KR20210081962A -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962A
KR20210081962A KR1020190174412A KR20190174412A KR20210081962A KR 20210081962 A KR20210081962 A KR 20210081962A KR 1020190174412 A KR1020190174412 A KR 1020190174412A KR 20190174412 A KR20190174412 A KR 20190174412A KR 20210081962 A KR20210081962 A KR 20210081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romatic compound
deuterated
deuterated aromatic
present spec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연
김승하
김상훈
황교현
김광현
이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7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962A/ko
Publication of KR2021008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5/00Cycl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 C07C15/20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 C07C15/27Polycyclic condensed hydrocarbons containing three rings
    • C07C15/28Anthrac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91Dibenzofurans; Hydrogenated dibenzofurans
    • H01L51/0061
    • H01L51/007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METHOD FOR PREPARING DEUTERATED AROMATIC COMPOUNDS, COMPOUNDS MANUFACTURED THEREBY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수소 대비 자연에 대략 0.015% 존재한다.
최근 유기 발광 소자 화합물의 수소를 중수소로 치환할 경우, 화합물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중수소화 되면, 중소수가 수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분자의 진동에너지의 활동이 적기 때문에 분자간에 상호 작용을 줄여 주는 효과가 있어, 유기 발광소자의 성능이 향상된다.
유기 발광 소자 화합물을 중수소화시키는 방법은 출발물질 또는 중간체를 중수소화 하거나, 최종물질을 중수소화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최종물질을 중수소화하는 방법이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낮다.
일반적인 중수소 치환법은 알루미늄 트라이클로라이드 또는 에틸 알루미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루이스산 H/D 교환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수소화된 용매(C6D6 등)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하는 용매가 고가이고 인환성, 1급 발암물질이며 강산화성의 촉매를 사용하는 등 환경안전의 문제가 있다.
이 외에 D2O를 용매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지만 방향족 화합물의 용해도 문제, 불순물 생성, 낮은 중수소 치환율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환경이슈가 적은 D2O를 중수소원으로 사용하면서도, 중수소로 치환할 때 방향족 화합물의 용해도 문제를 완화하고 촉매와의 접촉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방향족 화합물, D2O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족 화합물을 중수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용매는 하기 식 1 및 식 2을 만족하는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식 1]
2< Log P <2.5
[식 2]
0.7 g/L < water solubility < 3 g/L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P는 분배계수이고,
물에 대한 용해도(water solubility)는 25℃에서 물 1L에 용해되는 양을 나타낸 값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술한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제조방법은 방향족 화합물의 용해도 문제를 완화시킨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제조방법은 반응물이 촉매와의 접촉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제조방법은 중수소 치환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LC 및 LC-MS 데이터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LC 및 LC-MS 데이터이다.
도 3은 실시예 3의 LC 및 LC-MS 데이터이다.
도 4는 용매 조성에 따라 용매 내 SM의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Pt층으로부터 용매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Pt층으로부터 SM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분포 중에서 Z축으로부터 4nm 위치에서의 SM의 양을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 내지 7에 대한 중수소 치환율을 비교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방향족 화합물, D2O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족 화합물을 중수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반응기 내에 방향족 화합물, D2O, 금속 촉매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의 내부공기를 수소 또는 수소와 비활성기체의 혼합가스로 치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방향족 화합물의 중수소화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반응기 내에 방향족 화합물, D2O, 금속 촉매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기 내에 방향족 화합물, D2O, 금속 촉매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입하거나, 방향족 화합물, D2O, 금속 촉매 및 유기 용매를 개별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여 용액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D2O과 유기 용매의 부피비는 4:1 내지 3:1일 수 있다. 이 경우 중수소의 치환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용액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촉매의 함량은 0.5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중량% 이상 2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우수한 중수소 치환율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0.5중량% 미만에서는 중수소 치환율이 부족하며, 3 중량% 초과에서는 중수소 치환율 증가 없이 정제 과정에서 어려움에 따른 수율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유기용매: 방향족 화합물의 무게비는 5: 1 내지 20:1이며, 구체적으로 5: 1 내지 15:1일 수 있다.
상기 반응기의 내부공기를 수소 또는 수소와 비활성기체의 혼합가스로 치환하는 단계는 진공범프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를 치환시킨다. 이때, 비활성기체는 화학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여 화합물을 잘 만들지 못하는 기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비활성기체는 헬륨, 네온, 아르곤, 크립톤, 제논, 라돈 및 오가네손 중 적어도 하나이며, 바람직하게는 아르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방향족 화합물의 중수소화를 진행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응기를 100℃ 이상, 110℃ 이상 또는 12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때, 반응 온도는 너무 높으면 유기물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중수소 치환 대상 유기물의 분해 온도 이하로 가열해야 하며, 예를 들면 1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수소 반응시간은 승온을 완료한 뒤 10 시간 이상, 11 시간 이상 또는 12 시간 이상 반응시킨다. 중수소 치환반응은 평형반응이기 때문에 충분한 반응시간을 부여해도 괜찮으므로, 특별히 상한값은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경제적인 관점에서 24시간 이하로 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하기 식 1 및 식 2을 만족한다.
[식 1]
2< Log P <2.5
[식 2]
0.7 g/L < water solubility < 3 g/L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P는 분배계수이고, 물에 대한 용해도(water solubility)는 25℃에서 물 1L에 용해되는 양을 나타낸 값이다.
상기 식 1과 식 2를 동시에 만족하는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중수소 치환 대상인 방향족 화합물을 잘 용해시키면서도 중수와 상용성(compatibility)이 좋은 장점이 있다.
상기 P는 분배계수(Partition-coefficient)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는 섞이지 않는 2 종류의 용매 혼합물에 대상 화합물을 첨가하여 섞은 후, 평형상태가 이루어졌을 때, 각 용매에서의 화합물 농도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분배계수는 log를 취한 값을 사용하며, 분배계수에 log를 취한 log P는 이온화되지 않은 화합물의 농도 비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섞이지 않는 2 종류의 용매 혼합물은 물과 옥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했으며, 이때의 log P는 (옥탄올 내 [용질])/(물 내 [용질])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 log P는 물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농도를 기준으로 옥탄올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농도의 비를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옥탄올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양이 많으면 소수성(hydrophobic) 물질이며, 이 경우 log P의 값은 1을 초과하게 된다. 상기 log P는 솔벤트 데이터베이스(solvent database)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상기 log P값이 상기 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용매는, 소수성(hydrophobic)인 중수소 치환 대상인 방향족 화합물을 잘 용해할 수 있다.
물에 대한 용해도(water solubility, g/L)는 25℃에서 물 1L에 용해되는 양(g)을 나타낸 값이며, 솔벤트 데이터베이스(solvent database)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페닐 아세탈디하이드 디메틸 아세탈(Phenyl acetaldehyde dimethyl acetal), 2-페닐 에틸 아세테이트(2-phenyl ethyl acetate), 4-메틸-2-페닐-1,3-디옥솔란(4-methyl-2-phenyl-1,3-dioxolane) 및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스터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스터계 용매 중 산소부분이 극성의(polar) 성질을 가지고 있어 중수소 치환 대상인 방향족 화합물을 잘 용해시키면서도 중수와의 상용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2-페닐 에틸 아세테이트(2-phenyl ethyl acetate) 및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방향족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상기 방향족 치환기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방향족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안트라센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안트라센을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안트라센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기의 예시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치환” 이라는 용어는 화합물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치환되는 위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는 위치 즉, 치환기가 치환 가능한 위치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2 이상 치환되는 경우, 2 이상의 치환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할로겐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아민기; 실릴기; 붕소기; 알콕시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었거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 중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어떠한 치환기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는 바이페닐기일 수 있다. 즉, 바이페닐기는 아릴기일 수도 있고, 2개의 페닐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할로겐기의 예로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실릴기는 -SiYaYbYc의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Ya, Yb 및 Yc는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실릴기는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tert-부틸디메틸실릴기, 비닐디메틸실릴기, 프로필디메틸실릴기, 트리페닐실릴기, 디페닐실릴기, 페닐실릴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붕소기는 -BYdYe의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Yd 및 Ye는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붕소기는 구체적으로 트리메틸붕소기, 트리에틸붕소기, tert-부틸디메틸붕소기, 트리페닐붕소기, 페닐붕소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30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20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10이다.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n-펜틸기, 헥실기, n-헥실기, 헵틸기, n-헵틸기, 옥틸기, n-옥틸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쇄일 수 있다. 알콕시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i-프로필옥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tert-부톡시, sec-부톡시, n-펜틸옥시, 네오펜틸옥시, 이소펜틸옥시, n-헥실옥시, 3,3-디메틸부틸옥시, 2-에틸부틸옥시, n-옥틸옥시, n-노닐옥시, n-데실옥시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알킬기, 알콕시기 및 그 외 알킬기 부분을 포함하는 치환체는 직쇄 또는 분쇄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클로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3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클로알킬기의 탄소수는 3 내지 30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클로알킬기의 탄소수는 3 내지 20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시클로알킬기의 탄소수는 3 내지 6이다. 구체적으로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6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며, 단환식 아릴기 또는 다환식 아릴기일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릴기의 탄소수는 6 내지 39이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아릴기의 탄소수는 6 내지 30이다. 상기 아릴기가 단환식 아릴기로는 페닐기, 바이페닐기, 터페닐기, 쿼터페닐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환식 아릴기로는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파이레닐기, 페릴레닐기, 트리페닐기, 크라이세닐기, 플루오레닐기, 트리페닐레닐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루오렌기는 치환될 수 있고, 치환기 2개가 서로 결합하여 스피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렌기가 치환되는 경우,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등의 스피로플루오렌기,
Figure pat00003
(9,9-디메틸플루오렌기), 및
Figure pat00004
(9,9-디페닐플루오렌기) 등의 치환된 플루오렌기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렌기는 2가기인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아릴기의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고리기는 이종원자로 N, O, P, S, Si 및 Se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고리기로서,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탄소수 2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헤테로고리기의 탄소수는 2 내지 36이다. 헤테로 고리기의 예로는 예로는 피리딘기, 피롤기, 피리미딘기, 퀴놀린기, 피리다진기, 퓨란기, 티오펜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디벤조퓨란기, 디벤조티오펜기, 카바졸기, 벤조카바졸기, 벤조나프토퓨란기, 벤조나프토티오펜기, 인데노카바졸기, 인돌로카바졸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아릴기는 방향족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헤테로고리기에 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민기는 -NH2; 알킬아민기; N-알킬아릴아민기; 아릴아민기; N-아릴헤테로아릴아민기; N-알킬헤테로아릴아민기 및 헤테로아릴아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아민기, 디메틸아민기, 에틸아민기, 디에틸아민기, 페닐아민기, 나프틸아민기, 바이페닐아민기, 안트라세닐아민기, 9-메틸-안트라세닐아민기, 디페닐아민기, N-페닐나프틸아민기, 디톨릴아민기, N-페닐톨릴아민기, 트리페닐아민기, N-페닐바이페닐아민기, N-페닐나프틸아민기, N-바이페닐나프틸아민기, N-나프틸플루오레닐아민기, N-페닐페난트레닐아민기, N-바이페닐페난트레닐아민기, N-페닐플루오레닐아민기, N-페닐터페닐아민기, N-페난트레닐플루오레닐아민기, N-바이페닐플루오레닐아민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알킬아릴아민기는 아민기의 N에 알킬기 및 아릴기가 치환된 아민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아릴헤테로아릴아민기는 아민기의 N에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가 치환된 아민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알킬헤테로아릴아민기는 아민기의 N에 알킬기 및 헤테로아릴기가 치환된 아민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아민기; N-알킬아릴아민기; 아릴아민기; N-아릴헤테로아릴아민기; N-알킬헤테로아릴아민기 및 헤테로아릴아민기 중의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는 각각 전술한 알킬기, 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의 예시와 같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기이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렌기이고,
a1, a2, b1, b2 및 c1은 각각 0 또는 1이며,
1< a1+a2+b1+b2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0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나프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는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계 지지체에 담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는 백금(Pt) 및 팔라듐(P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백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는 탄소계 지지체에 담지된 금속 촉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촉매는 탄소계 지지체에 담지된 백금(Pt/C)일 수 있다.
금속 촉매는 탄소계 지지체에 담지된 백금(Pt/C)인 경우, 금속 촉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내지 40 중량%의 백금을 포함할 수 있다. 백금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용매 내 잘 분산되지 않고 반응기 벽면에 붙어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므로, 상술한 함량의 백금을 포함하는 경우 탄소계 지지체와 촉매의 비율이 적절하여 용매 내 잘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제공한다.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중수소 치환율은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91% 이상, 92% 이상, 93% 이상, 94%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 또는 100%일 수 있다.
여기서, 중수소 치환율이란 전체 H 분자가 D 분자로 전환된 정도를 의미하며, 중수소 치환율은 1H NMR 정량분석으로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치환율을 측정하려는 샘플과 내부표준(Internal standard) 물질인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의 무게를 정확히 개량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d8(THF-d8)에 녹인다. 중수소 치환 전 분자량으로 몰수를 계산하여 남은 H의 몰수로부터 중수소 치환율을 계산한다. 이 치환율일 때의 분자량으로 치환율을 다시 계산하여 최종 치환율을 얻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은 안트라센계 화합물이다. 이는 적어도 1 이상의 중수소로 치환된 안트라센을 포함하는 방향족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기이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렌기이고,
a1, a2, b1, b2 및 c1은 각각 0 또는 1이며, 1< a1+a2+b1+b2이고, c2는 1 내지 9인 정수이며, d는 1 내지 7인 정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페닐기 또는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나프틸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페닐렌기 또는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나프탈렌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 구조에서, z1 내지 z15, z18, z20, z25 및 z27는 각각 1 내지 8의 정수이고,
z16, z17, z19 및 z21 내지 z24는 각각 1 내지 9의 정수이며,
z26는 1 내지 7의 정수이다.
상기 구조에서, 코어인 안트라센까지 모두 중수소로 포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중수소 치환율을 100%로 만들기는 어렵다.
중수소화 반응을 진행시키면 일반적으로 코어인 안트라센에 치환된 치환기들은 쉽게 중수소로 포화되나, 마지막으로 코어인 안트라센의 수소들이 얼마나 중수소로 치환되는가에 따라 중수소 치환율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동일한 중수소 치환율을 갖는 경우라면, 안트라센에 치환된 중수소가 많을수록 성능 개선의 효과가 높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층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발광층; 애노드와 상기 발광층 사이의 정공전달영역; 및 캐소드와 상기 발광층 사이의 전자전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정공전달영역 및 전자전달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전달영역은 애노드와 상기 발광층 사이의 1 이상의 유기물층을 의미하며,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정공조절층, 및 전자차단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전달영역은 캐소드와 상기 발광층 사이의 1 이상의 유기물층을 의미하며,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 및 수송을 동시에 하는 층, 전자조절층, 및 정공차단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유기 발광 소자의 유기물층은 단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층 이상의 유기물층이 적층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유기물층은 1 내지 3층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물층으로서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적은 수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복수개의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기물층은 동일한 물질 또는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양극, 유기물층 및 음극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스퍼터링법(sputtering)이나 전자빔 증발법(e-beam evaporation)과 같은 PVD(physical Vapor Deposition)방법을 이용하여, 기판 상에 금속 또는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을 증착시켜 양극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음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증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외에도, 기판 상에 음극 물질부터 유기물층, 양극 물질을 차례로 증착시켜 유기 발광 소자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시 진공 증착법 뿐만 아니라 용액 도포법에 의하여 유기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액 도포법이라 함은 스핀 코팅, 딥코팅, 닥터 블레이딩, 잉크젯프린팅, 스크린 프린팅, 스프레이법, 롤 코팅 등을 의미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양극(애노드)이고, 제2 전극은 음극(캐소드)이다.
또 하나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음극(캐소드)이고, 제2 전극은 양극(애노드)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양극,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normal type)의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에 음극, 1층 이상의 유기물층 및 양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역방향 구조(inverted type)의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음극, 유기물층 및 양극의 재질은 유기물층 중 적어도 한 층에 중수소화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솔벤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입수한 하기 유기용매의 정보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CAS No. 유기용매 화학식 끊는점
(℃)
LogP Water Solubility [g/L]
103-45-7 2-Phenylethylacetate C10H12O2 232.6 2.299 0.711
93-58-3 Methylbenzoate C8H8O2 198.5 2.196 1.34
502-44-3 Caprolactone C6H10O2 215 0.364 27.9
108-88-3 Toluene C7H8 111 2.68 0.52
80-73-9 1,3-Dimethyl-2-imidazolidinone C5H10N2O 225 -0.025 9.554
872-50-4 n-Methyl-2-pyrrolidinone C5H9NO 202 -0.398 248.3
중수소화를 진행시킬 하기 SM(starting material)을 표 1의 용매 중 2-Phenylethylacetate, Methylbenzoate 및 Caprolactone에 4 중량%로 첨가하여 100℃에서 교반한 결과, 모두 용해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Log P값이 2 이상인 용매에 모두 SM이 용해되었으며, Caprolactone은 Log P값이 2 미만이더라도 O(산소)를 포함하면 SM에 대한 용해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Figure pat00011
그러나, 상기 실험에 중수를 추가한 결과, Log P값이 2 미만인 Caprolactone은 SM을 용해시키지 못해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외 Log P값과 물에 대한 용해도가 본원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2-Phenylethylacetate 및 Methylbenzoate는 중수를 추가해도 SM을 용해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실험예 2]
Figure pat00012
100ml 플라스크(flask)에 중수(D2O)와 Pt/C 촉매(촉매 총 중량 대비 백금의 함량은 20wt%)를 넣고, 하기 표 1의 유기용매와 상기 반응식의 SM(starting material)을 첨가하여 교반했다. 이때, 각 조성의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SM(mg) D 2 O(ml) 용매(ml) 촉매(mg) MS Max.
실시예 1 300 10 Methyl benzoate(8) 38 437
실시예 2 500 10 Methyl benzoate(5) 63 441
실시예 3 200 8 Methyl benzoate(2) 25 444
실시예 4 300 6 Methyl benzoate(1.5) 38 443
실시예 5 200 12 Methyl benzoate(3) 25 442
실시예 6 200 16 Methyl benzoate(4) 25 443
실시예 7 200 20 Methyl benzoate(5) 25 433
비교예 1 500 10 Toluene(5) 63 434
비교예 2 300 12 toluene(3) 38 434
반응기 내부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를 수소가스로 치환시켰다.
온도를 120℃로 승온한 뒤 환류상태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톨루엔을 첨가한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각각을 제조했다.
결과물 상층액 0.15m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ml에 희석하여 LC 및 LC-MS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상기 표 2의 MS Max. 열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냈다. 여기서, 도 1은 실시예 1의 데이터이며, 도 2는 실시예 2의 데이터이고, 도 3은 실시예 3의 데이터이다.
해당 분석의 조건은 하기와 같다.
※ LC/MS 이온화법: APCI positive
※ HPLC조건
A:B=60:40~100:1, 10min gradient
Column: Capcellpak C18(4.6mm id x 50m L, 3um)
Eluent 조건: A : ACN/THF 50/50, B : H2O/ACN 100/1
Flow rate: 1 ml/min.
Column temperature: 40 ℃
Detection: 254 nm
이동상의 흐름조건은 하기 표 3과 같으며, 10분간 용매 조성이 변경된다.
Time (min.) A (%) B (%)
0 60 40
10 100 0
[실험예 3]
중수소 치환수는 측정된 샘플이 검출된 머무른 시간(retention time)에 해당하는 실험예 2에서 측정된 MS data를 통해 확인했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이때, Mass data의 가장 높은 peak의 분자량을 기준으로 하였고, 기기 특성상 나오는 mass 수치는 실제분자량(M)+1이다.
용매 D 2 O:용매 MS Max. 중수소 치환수
실시예 1 Methyl benzoate 5:4 437 6
실시예 2 Methyl benzoate 2:1 441 10
실시예 3 Methyl benzoate 4:1 444 13
비교예 1 Toluene 2:1 434 3
비교예 2 Toluene 4:1 434 3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Methyl benzoate은 중수소가 6개 정도 치환되었고, D2O:methyl benzoate의 부피비가 2:1인 실시예 2보다 4:1인 실시예 3이 중수소 치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톨루엔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2는 D2O:toluene의 부피비가 2:1와 4:1일 때 모두 중수소 3개가 치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분자동역학을 이용하여 Pt 층이 있을 때 용매 조성에 따라 용매 내 SM의 분포도를 계산했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SM와 용해도가 좋은 methyl benzoate를 넣은 경우, 물 100%에 비하여 SM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Pt 층과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Toluene의 경우 물 100% 보다는 Pt층에 접근하지만 Pt층 근처에 모여있지는 않는 것을 확인했다.
[실험예 4]
용매 조성에 따른 SM의 분포와 Pt층에 근접한 SM의 비율을 계산했다. 구체적으로, Pt층 근접성(Z축 density)은 SM이 Pt층에 근접하는지 Z축 number density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5 내지 7에 도시했다. 도 5는 Pt층으로부터 용매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Pt층으로부터 SM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도 6 중 Z축으로부터 4nm 위치에서의 SM의 양을 비교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르면, 물과 methyl benzoate의 비율이 4:1인 경우 근접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oluene(TOL)의 경우 개선 효과가 있으나 methyl benzoate(MBZ)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떨어졌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의 WAT는 물이다.
[실험예 5]
표 2의 실시예 3 내지 7에 대한 중수소 치환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다. 이때, 중수소 치환율은 LC-MS를 이용하여 늘어난 분자량으로 도출했다.
도 5에서 Methyl benzoate/SM의 중량비가 5, 10, 15, 20 및 25인 데이터는 각각 실시예 4, 실시예 3, 실시예 5,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 해당한다.
이때, Methyl benzoate의 밀도를 약 1g/ml으로 가정하여, Methyl benzoate의 무게를 계산했으며, 실시예 3을 예로 들면 Methyl benzoate/ SM의 중량비는 2g/ 0.2g으로 계산하여 10이다.
도 8에 따르면, Methyl benzoate와 SM의 무게비가 5배에서 25배까지 변화시켰을 때 10배일 때 가장 높은 중수소 치환율을 나타냄을 확인했다.

Claims (14)

  1. 방향족 화합물, D2O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족 화합물을 중수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용매는 하기 식 1 및 식 2을 만족하는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식 1]
    2< Log P <2.5
    [식 2]
    0.7 g/L < 물에 대한 용해도 < 3 g/L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P는 분배계수이고,
    물에 대한 용해도(water solubility)는 25℃에서 물 1L에 용해되는 양을 나타낸 값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스터계 용매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2O과 유기 용매의 부피비는 4:1 내지 3:1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안트라센계 화합물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기이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렌기이고,
    a1, a2, b1, b2 및 c1은 각각 0 또는 1이며,
    1< a1+a2+b1+b2이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페닐 아세탈디하이드 디메틸 아세탈(Phenyl acetaldehyde dimethyl acetal), 2-페닐 에틸 아세테이트(2-phenyl ethyl acetate), 4-메틸-2-페닐-1,3-디옥솔란(4-methyl-2-phenyl-1,3-dioxolane) 및 메틸벤조에이트(methylbenzo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은 안트라센계 화합물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중수소 치환율은 50% 이상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2에서,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기이며,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수소로 1 이상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인 아릴렌기이고,
    a1, a2, b1, b2 및 c1은 각각 0 또는 1이며,
    1< a1+a2+b1+b2이고,
    c2는 1 내지 9인 정수이며,
    d는 1 내지 7인 정수이다.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상기 구조에서, z1 내지 z15, z18, z20, z25 및 z27는 각각 1 내지 8의 정수이고,
    z16, z17, z19 및 z21 내지 z24는 각각 1 내지 9의 정수이며,
    z26는 1 내지 7의 정수이다.
  13. 청구항 8의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여 구비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 발광 소자.
KR1020190174412A 2019-12-24 2019-12-24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210081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12A KR20210081962A (ko) 2019-12-24 2019-12-24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412A KR20210081962A (ko) 2019-12-24 2019-12-24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962A true KR20210081962A (ko) 2021-07-02

Family

ID=7689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412A KR20210081962A (ko) 2019-12-24 2019-12-24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9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2943B1 (en) Composition for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4203840A1 (ja) 赤色発光材料、有機発光素子および化合物
CN115188914A (zh) 有机电致发光元件和电子设备
KR102051910B1 (ko) 중수소 치환된 유기금속 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3195508A (zh) 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KR20200081302A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200011383A (ko) 다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07011243A (zh) 芳香族化合物及发光器件
WO2018230860A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소자
Zhu et al. High Performance NIR OLEDs with Low Efficiency Roll‐Off by Leveraging Os (II) Phosphors and Exciplex Co‐Host
KR20220043755A (ko) 유기금속 화합물,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 전자 장치
TWI788977B (zh) 生產氘化芳香族化合物的方法、氘化反應組成物、氘化芳香族化合物以及電子裝置
KR20210081962A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이로 제조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564939B1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624288B1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EP426190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O2014203540A1 (ja) 金属錯体組成物、及び金属錯体の製造方法
TWI825564B (zh) 氘代蒽化合物的製備方法、反應組成物、氘代蒽化合物和組成物
US20130158262A1 (en) Compounds as Ligands for Transition Metal Complexes and Materials Made Thereof, and Use Therefor
EP4245743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deuterated anthracene compound, reaction composition, deuterated anthracene compound, and composition
KR20210081965A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210131633A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666393B1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중수소화 반응 조성물
KR102623205B1 (ko) 중수소화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20210023254A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