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834A - 애완동물 놀이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놀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834A
KR20210081834A KR1020190174170A KR20190174170A KR20210081834A KR 20210081834 A KR20210081834 A KR 20210081834A KR 1020190174170 A KR1020190174170 A KR 1020190174170A KR 20190174170 A KR20190174170 A KR 20190174170A KR 20210081834 A KR20210081834 A KR 2021008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rojector
pet
play device
irradiated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김휘욱
김현욱
이종훈
조병도
Original Assignee
김근영
조병도
이종훈
김휘욱
김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영, 조병도, 이종훈, 김휘욱, 김현욱 filed Critical 김근영
Priority to KR102019017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834A/ko
Publication of KR2021008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다양한 동영상을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흥미를 잃지않고 지속적으로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어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놀이장치를 수동조작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과의 놀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놀이장치{pet play device}
본 발명은 애완동물 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다양한 동영상을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흥미를 잃지않고 지속적으로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어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놀이장치를 수동조작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과의 놀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나 개와 같은 애완동물을 반려동물로 삼아 기르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대략 500만 마리 정도의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주로 집안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주인이 외출하면 홀로 남겨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집안에서 키우는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은 집에만 있으니까 운동량이 부족하여 비만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운동을 위한 장난감을 사주기도 하지만 물어뜯어서 오래가지 못하거나 장난감을 어느정도 갖고 놀면 흥미를 잃어버려서 또 다른 장난감을 구입하는데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인이 집을 비우거나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가 많아 애완동물 혼자 집을 무료하게 지켜야만 할 경우가 많다. 혼자 남겨진 애완동물은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 성격 장애, 배고픔 등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주인은 출장 등으로 장기간 외출할 때, 동물병원 또는 애견센터 등에 애완동물을 위탁하고 있는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660318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빔 프로젝터에 의해 다양한 동영상을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흥미를 잃지않고 지속적으로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어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빔 프로젝터로 조사할 동영상을 USB포트를 통해 입력만 해주면되므로 장난감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항상 즐겁게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애완동물 놀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이미지에는 반응하지 않고 움직이는 물체에 반응하는 애완동물의 특성상 빔 프로젝터를 통해 동영상을 조사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조사된 동영상을 따라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지고 놀이를 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놀이장치를 수동조작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과의 놀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과 연동된 스마트폰 또는 PC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 애완동물 놀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놀이장치(100)는,
상단부(101)에 설치되는 빔 프로젝터(110)와,
몸체(102)에 장치되는 밝기조절부(121), 소리및음성조절부(122), 먹이투척센서(123), 블루투스 수신기(124), 와이파이 수신기(124a),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 USB포트(126), 스피커(127), 타이머(128), 감지센서부(129)와,
베이스(103)에 설치되는 먹이투척기(130)와,
놀이장치(100)에 설치되고 놀이장치(100)의 빔 프로젝터(110)를 비롯한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해주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빔 프로젝터(110)는 광원(111)에서 방출되는 동영상이 LCD액정(112)과 렌즈(113)를 거쳐서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되며 조사된 동영상을 보고 애완동물이 놀이를 할 수 있고,
상기 밝기조절부(121)는 빔 프로젝터(110)에서 조사되는 동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소리및음성조절부(122)는 스피커(127)에서 발생되는 소리 및 음성을 조절하고,
상기 먹이투척센서(123)는 애완동물이 빔 프로젝터(110)에 의해 조사되는 동영상을 향해 제어부(140)에 프로그램된 행동을 하게 되면 먹이투척기(130)에 먹이를 투척해주며,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124)는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이나 PC로부터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다운받거나 앱(App)을 이용하여 놀이장치(100)의 각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해주고,
상기 와이파이 수신기(124a)는 서버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장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는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되도록 입력된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USB포트(126)는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되는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PC 또는 USB에 연결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해주고,
상기 스피커(127)는 빔 프로젝터(110)에서 동영상이 조사될 때 소리도 함께 출력시켜주며,
상기 타이머(128)는 빔 프로젝터(110)의 작동시간 및 급식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부(129)는 애완동물이 놀이장치(100)로부터 떠나가거나 놀이장치(100)에 대한 반응이 적어지게 되면 빔 프로젝터(110)의 동영상을 바꾸거나 놀이장치(100)를 OFF 상태로 해주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장치는 빔 프로젝터에 의해 다양한 동영상을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흥미를 잃지않고 지속적으로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어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로 조사할 동영상을 USB포트를 통해 입력만 해주면되므로 장난감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항상 즐겁게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이미지에는 반응하지 않고 움직이는 물체에 반응하는 애완동물의 특성상 빔 프로젝터를 통해 동영상을 조사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조사된 동영상을 따라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지고 놀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놀이장치를 수동조작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과의 놀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놀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빔 프로젝터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애완동물 놀이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빔 프로젝터(110), 밝기조절부(121), 소리및음성조절부(122), 먹이투척센서(123), 블루투스(bluetooth) 수신기(124), 와이파이(wi-fi) 수신기(124a),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 USB포트(126), 스피커(127), 타이머(128), 감지센서부(129), 먹이투척기(130), 제어부(140)가 장착된 놀이장치(100)를 수동조작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제어함으로써,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과 소통하고, 놀아주기, 급식을 수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장치를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놀이장치(100)는 스마트폰(202)에 애완동물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앱(App)을 설치하여 명령을 수행하고, 놀이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스마트폰(202)을 이용하면,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놀이장치를 작동시켜서 애완동물과 놀아주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장치는 상단부(101), 몸체(102), 베이스(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놀이장치(100)의 상단부(101)에는 빔 프로젝터(110)가 설치되고, 놀이장치(100)의 몸체(102)에는 밝기조절부(121), 소리및음성조절부(122), 먹이투척센서(123), 블루투스 수신기(124), 와이파이 수신기(124a),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 USB포트(126), 스피커(127), 타이머(128), 감지센서부(129)가 장치되며, 놀이장치(100)의 베이스(103)에는 먹이투척기(130)가 설치된다.
놀이장치(100)의 외형은 크기,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할 수 있고, 가볍고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놀이장치(100)의 상단부(101)에 설치되는 빔 프로젝터(110)와 놀이장치(100)의 몸체(102)에 장치되는 밝기조절부(121), 소리및음성조절부(122), 먹이투척센서(123), 블루투스 수신기(124), 와이파이 수신기(124a),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 USB포트(126), 스피커(127), 타이머(128), 감지센서부(129)는 수동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부(129)는 몸체(102)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140)에 의해 무선통신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빔 프로젝터(110)는 광원(111)에서 방출되는 동영상이 LCD액정(112)과 렌즈(113)를 거쳐서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되며 조사된 동영상을 보고 애완동물이 호기심을 느껴 동영상을 따라 놀이를 할 수 있다. 이는 집안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이 운동량이 부족하여 비만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매번 다른 장난감을 사주지 않아도 되며,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 및 제어부(140)에 의해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하는 동영상만 바꾸어주면 다양한 동영상을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놀이를 통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운동의욕을 증가시켜서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빔 프로젝터(110)에 의한 놀아주기는 예약된 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혼자 집에 있는 애완동물의 무료함을 달래준다.
예컨데, 빔 프로젝터(110)로부터 물고기 동영상이 거실바닥에 조사되면 고양이가 물고기를 잡으려고 이러저리 뛰어다니며 애완동물과 놀아주기를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고양이는 멈춰있는 물체보다 움직이는 물체에 반응을 하므로 빔 프로젝터(110)에 의해 조사되는 동영상에 즉각 반응하여 신나게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빔 프로젝터(110)가 설치된 놀이장치(100)의 상단부(101)는 몸체에 힌지(101a)결합되어 몸체에 대해 상단부(101)의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밝기조절부(121)는 빔 프로젝터(110)에서 조사되는 동영상의 밝기를 조절한다.
소리및음성조절부(122)는 스피커(127)에서 발생되는 소리 및 음성을 조절한다.
먹이투척센서(123)는 애완동물이 빔 프로젝터(110)에 의해 조사되는 동영상을 향해 제어부(140)에 프로그램된 행동을 하게 되면 먹이투척기(130)에 먹이를 투척해준다. 이는 애완동물의 성취의욕을 높여서 계속적으로 놀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먹이투척기(130)에 의한 급식은 타이머(128)에 의해 시간을 예약하거나 스마트폰으로 제어부(140)를 실시간으로 조작하여, 먹이투척기(130)에 먹이를 채울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먹이투척기(130)에는 일정량의 먹이가 인출되도록 하는 공지의 먹이공급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먹이투척기(130)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발명되어 공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블루투스 수신기(124)는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이나 PC로부터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다운받거나 앱(App)을 이용하여 놀이장치(100)의 각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와이파이 수신기(124a)는 서버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장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는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되도록 입력된 다수의 동영상이나 프로그램 중 원하는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USB포트(126)는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되는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PC 또는 USB에 연결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해준다.
스피커(127)는 빔 프로젝터(110)에서 동영상이 조사될 때 소리도 함께 출력시켜준다.
타이머(128)는 빔 프로젝터(110)의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해준다. 타이머(128)는 소정의 시간을 예약 설정하여, 빔 프로젝터(110)를 활용한 놀아주기 및 급식투척기에 급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감지센서부(129)는 애완동물이 놀이장치(100)로부터 떠나가거나 놀이장치(100)에 대한 반응이 적어지게 되면 빔 프로젝터(110)의 동영상을 바꾸거나 놀이장치(100)를 OFF 상태로 해준다.
제어부(MCU:micro controller unit)(140)는 놀이장치(100)에 설치되고 놀이장치(100)의 빔 프로젝터(110)를 비롯한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해준다. 또한, 제어부(140)는 놀이장치(100)를 유무선의 사물인터넷(200)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 또는 와이파이와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장치는 빔 프로젝터(110)에 의해 다양한 동영상을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이 흥미를 잃지않고 지속적으로 놀이 및 운동을 할 수 있어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할 동영상을 USB포트(126)를 통해 입력만 해주면되므로 장난감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항상 즐겁게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이미지에는 반응하지 않고 움직이는 물체에 반응하는 애완동물의 특성상 빔 프로젝터(110)를 통해 동영상을 조사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조사된 동영상을 따라 지속적으로 흥미를 가지고 놀이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놀이장치(100)를 수동조작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한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홀로 남겨진 애완동물과의 놀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놀이장치 101 : 상단부
102 : 몸체 103 : 베이스
110 : 빔 프로젝터 111 : 광원
112 : LCD액정 113 : 렌즈
121 : 밝기조절부 122 : 소리및음성조절부
123 : 먹이투척센서 124 : 블루투스 수신기
124a : 와이파이 수신기
125 : 프로그램 선택스위치 126 : USB포트
127 : 스피커 128 : 타이머
129 : 감지센서부 130 : 먹이투척기
140 : 제어부 200 : 사물인터넷
210 : 스마트폰 220 : PC

Claims (1)

  1. 사물인터넷과 연동된 스마트폰 또는 PC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 애완동물 놀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놀이장치(100)는,
    상단부(101)에 설치되는 빔 프로젝터(110)와,
    몸체(102)에 장치되는 밝기조절부(121), 소리및음성조절부(122), 먹이투척센서(123), 블루투스 수신기(124), 와이파이 수신기(124a),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 USB포트(126), 스피커(127), 타이머(128), 감지센서부(129)와,
    베이스(103)에 설치되는 먹이투척기(130)와,
    놀이장치(100)에 설치되고 놀이장치(100)의 빔 프로젝터(110)를 비롯한 상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해주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빔 프로젝터(110)는 광원(111)에서 방출되는 동영상이 LCD액정(112)과 렌즈(113)를 거쳐서 거실바닥 또는 벽에 조사되며 조사된 동영상을 보고 애완동물이 놀이를 할 수 있고,
    상기 밝기조절부(121)는 빔 프로젝터(110)에서 조사되는 동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며,
    상기 소리및음성조절부(122)는 스피커(127)에서 발생되는 소리 및 음성을 조절하고,
    상기 먹이투척센서(123)는 애완동물이 빔 프로젝터(110)에 의해 조사되는 동영상을 향해 제어부(140)에 프로그램된 행동을 하게 되면 먹이투척기(130)에 먹이를 투척해주며,
    상기 블루투스 수신기(124)는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이나 PC로부터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다운받거나 앱(App)을 이용하여 놀이장치(100)의 각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해주고,
    상기 와이파이 수신기(124a)는 서버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장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프로그램 선택스위치(125)는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되도록 입력된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며,
    상기 USB포트(126)는 빔 프로젝터(110)로 조사되는 동영상이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 PC 또는 USB에 연결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해주고,
    상기 스피커(127)는 빔 프로젝터(110)에서 동영상이 조사될 때 소리도 함께 출력시켜주며,
    상기 타이머(128)는 빔 프로젝터(110)의 작동시간 및 급식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부(129)는 애완동물이 놀이장치(100)로부터 떠나가거나 놀이장치(100)에 대한 반응이 적어지게 되면 빔 프로젝터(110)의 동영상을 바꾸거나 놀이장치(100)를 OFF 상태로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놀이장치.
KR1020190174170A 2019-12-24 2019-12-24 애완동물 놀이장치 KR20210081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170A KR20210081834A (ko) 2019-12-24 2019-12-24 애완동물 놀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170A KR20210081834A (ko) 2019-12-24 2019-12-24 애완동물 놀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834A true KR20210081834A (ko) 2021-07-02

Family

ID=7689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170A KR20210081834A (ko) 2019-12-24 2019-12-24 애완동물 놀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8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318B1 (ko) 2016-05-04 2016-09-27 양성모 반려동물 오감놀이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318B1 (ko) 2016-05-04 2016-09-27 양성모 반려동물 오감놀이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2317U (ja) スマートクラウドインタラクティブアクアリウム装置
US10506794B2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10798917B2 (en) Farm system
US20180077904A1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US20170064926A1 (en) Interactive pet robot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US10582698B2 (en) Pet trainer and exercise apparatus
US20160360731A1 (en) Pet interactive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4162154A2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20060112898A1 (en) Animal entertainment training and food delivery system
KR101370882B1 (ko)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KR20170010131A (ko) 애완동물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CN104054591B (zh) 趣味喂食器
US20200068852A1 (en) Animal Caretaking System with an Animal-Mounted Audio Player Device
KR20210081834A (ko) 애완동물 놀이장치
KR20180020007A (ko)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KR101039783B1 (ko) 애완 동물을 위한 지능형 장난감 장치
KR101911620B1 (ko) 반려동물 원격 사료배급 제어장치
KR20160120005A (ko) 애완 동물용 놀이 기구 및 그 원격 조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US20220312735A1 (en) Animal training device with position recognizing controller
JP3203859U (ja) 外形可変リモートペット用玩具
US201903803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recting a pet's gaze during video calling
KR20230073524A (ko) 스마트 케이지
US20230049347A1 (en) Interactive system for pets
KR200187982Y1 (ko) 개인용 컴퓨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지능형디지털 강아지인형
KR20200036783A (ko) 반려동물 관찰 및 놀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