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882B1 -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882B1
KR101370882B1 KR1020120092816A KR20120092816A KR101370882B1 KR 101370882 B1 KR101370882 B1 KR 101370882B1 KR 1020120092816 A KR1020120092816 A KR 1020120092816A KR 20120092816 A KR20120092816 A KR 20120092816A KR 101370882 B1 KR101370882 B1 KR 10137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camera
opening
camera modul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921A (ko
Inventor
이지섭
전웅
Original Assignee
전웅
이지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웅, 이지섭 filed Critical 전웅
Priority to KR102012009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애완동물용 급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3곳의 지지레그를 가지며, 내부가 중공형인 상부 개구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횡장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네크부; 상기 네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저장통; 상기 사료 저장통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공급하는 사료공급유닛;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레그 중 어느 한 레그에 수납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게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사료공급유닛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받이;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레그 중 어느 한 레그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용 게임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네크부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따라 횡단 동작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개방부를 따라 회전 동작시키는 카메라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급식장치{Pet feed device}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급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원거리에서 급식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점, 외부에서 애완동물의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점, 애완동물이 시각적으로 유희할 수 있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점, 애완동물이 뛰어놀 수 있으면서 운동을 겸할 수 있는 유희기구가 구비된 점 등에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기능을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을 갖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핵가족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가정에서 개나 고양이 등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을 키우고 있는데, 주인이 집에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급식시간이나 급식량 등을 조절하여 원활한 급식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가족 구성원 전체의 장기 외출 또는 휴가 등으로 장시간 집을 비우게 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의 처리가 문제시되고 있다.
통상 개나 고양이 등은 짧은 외출시에는 함께 동행하는 경우가 있으나, 타인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고, 시끄러운 소리를 내어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파충류나 조류 등의 경우 동반 외출이 어려우며, 더우기 장시간(장기간) 집을 비우게 되는 휴가 등의 경우 함께 동반하기가 곤란하여 동물병원을 이용하게 되나,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어서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된다.
이 때문에 애완동물이나 가축을 사육하는 사육자가 여행이나 출장 등으로 장시간 비우게 될 때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가축용 사료 공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351117호(이하 인용발명1 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는 가축용 사료공급장치에 의하면, 몸체 내부에 일정량의 사료를 저장하는 호퍼 형태의 사료저장통을 형성하고 그 사료 저장통 저부에 공급스크류를 형성하며, 그 공급스크류의 배출단에 배출구를 형성하여 가축에 사료를 일정한 양으로 공급할 수 있는 사료공급부와, 그 사료공급부에서 일정한 양의 사료를 배출시켜주도록 스크류를 설정된 회전수 만큼 회전시켜주는 스테핑모터와, 그 스테핑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모터 구동부와, 사료가 공급되면 사료공급을 알려주는 스피커와, 그 스피커에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증폭해 출력하는 앰프와, 그 사료배출량과 공급시간 등을 설정하여 입력해 주는 설정부와, 사운드 신호 저장과 프로그램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메모리와, 사료공급시간과 공급량을 상기 설정부를 통해 설정 입력받아 사운드 신호를 메모리에서 인출하여 사운드 처리하여 앰프로 출력하여 사운드를 출력시키고, 모터구동부로 스테핑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설정된 공급량에 맞게 회전수를 제어해주는 제어부와, 그 제어부의 동작 및 타이머 설정에 필요한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공급부로 구성되어 있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어 사료 공급시 인력이 필요치 않고 사육자의 행동이 자유로워져 가축 사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인용발명1은 정해진 시간에 일정량의 사료를 공급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료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나선 스크류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나선익 사이의 좁은 밀폐된 공간들에 사료가 잔류하고 있어 특히 무더운 여름철 등에 사료가 호퍼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입구측의 사료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까지의 잔류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경우 사료 부패의 위험성이 높으며, 사육자의 부재로 인해 부패된 사료를 애완동물이나 가축이 먹고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울러, 나선 스크류는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므로 장치의 볼륨이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도 제기된다.
상기한 인용발명1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36970호(애완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장치)(이하 인용발명2 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2는 사료 저장 호퍼 밑에 회전로터 장치를 설치하고, 회전로터의 외주에 요홈을 형성하여 요홈이 회전로터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서 사료를 공급하게 되므로써, 인용발명1의 스크류축 공급 방식에 비해 회전로터의 길이가 매우 짧아져 장치의 볼륨이 현저히 축소되어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회전로터의 요홈에 갇혀 밀폐된 공간 속에 머무르게 되는 사료 양이 없어지거나 적어져서 사료의 부패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인용발명2는 사료공급이 타이머에 의해 이루어질 뿐 원격제어, 특히 현재 일반화되어 있는 스마트 폰에 의한 원격제어가 불가능하므로 설정된 타이밍에 사료를 공급하는 기능만을 하게 되어 사료가 많이 남아있는데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사료가 공급될 수 있어서 애완동물이 과식하게 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인용발명2는 일정한 타이밍에 맞게 사료를 공급하는 단일 기능만을 할 뿐 애완동물과 놀아줄 수 있는 유희기능이 전무하여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원거리에서 급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점, 외부에서 애완동물의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점, 애완동물이 시각적으로 유희할 수 있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점, 애완동물이 뛰어놀 수 있으면서 운동을 겸할 수 있는 유희기구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능들을 스마트 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3곳의 지지레그를 가지며, 내부가 중공형인 상부 개구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횡장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네크부; 상기 네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저장통; 상기 사료 저장통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공급하는 사료공급유닛;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레그 중 어느 한 레그에 수납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게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사료공급유닛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받이;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레그 중 어느 한 레그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용 게임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네크부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따라 횡단 동작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개방부를 따라 회전 동작시키는 카메라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료공급유닛은, 상기 네크부 및 베이스 부의 내부에 배치된 채 네크부의 상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사료배출가이드; 상기 사료배출가이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물레방아 형태의 사료배출피더; 상기 사료배출피더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딩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피딩 모터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네크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주면 일부에 기어치가 형성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홀더;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의 기어치와 치합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의 내부에 설치된 채, 상기 유성기어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유성기어가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 일부 구간을 따라 회전되게 하는 유성기어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성기어 구동모터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면에 종장형의 카메라 홀이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카메라 본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 상하 각도조절판에 지지된 채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되며 상기 카메라 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 급식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서 장기 외출 및 휴가 등으로 인해 주인이 부재중이더라도 원거리에서 급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찰 카메라를 통해 외부에서도 애완동물의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시각적으로 유희할 수 있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주인이 장기간동안 부재중이더라도 우울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희기구가 설치되어 애완동물이 뛰어놀 수 있으면서 운동도 병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식장치의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를 3단 분리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료공급유닛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구동 모듈의 발췌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판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일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직접 위치한다는 의미는 물론, 상기 일 구성요소 상에 제 3의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각 구성요소 또는 부분 등을 제1, 제2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지칭하였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상대적인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식장치의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를 3단 분리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는 베이스부(100), 네크부(200), 사료 저장통(300), 사료공급유닛(400), 사료받이(500), 터치 스크린(600), 카메라 모듈(700) 및 카메라 구동모듈(80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급식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해야하므로 견고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3곳의 지지레그(110)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는 그 내부를 중공형으로 하여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였고, 그 상부는 개방되어 상기 네크부(200)와 연통되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 베이스부(100)의 지지레그(110) 중 어느 한 지지레그에는 수납게이트(111)를 형성하여, 상기 사료받이(500)가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설명부호(120)는 애완동물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600)의 영상물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고, (130)은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USB포트이다.
네크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외주면 일부 구간에는 횡방향으로 호형의 개구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사료 저장통(300)은 도 3에서와 같이 사료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네크부(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사료 저장통(300)은 사료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 저장통(300)의 하부 중앙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 배출구(310)가 형성되고, 상기 사료 배출구(310)의 주변에는 환형의 결합리브(311)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리브(311)의 외주면에는 결합돌기(312)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네크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리브(311)가 삽입 및 결속되는 결속홀(220)이 형성되되, 상기 결속홀(220)의 일정부위에는 상기 결합돌기(312)가 통과되는 키홈(221)이 형성되어 이 키홈(221)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312)를 통과시킨 후 사료 저장통(300)을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면 결합돌기(312)가 상기 결속홀(220)의 단부에 걸림되어 결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미 설명부호(320)는 사료 저장통(300)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이다.
사료공급유닛(40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사료 저장통(300)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상기 사료받이(500)로 일정량 분할하여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배출가이드(410), 사료배출피더(420) 및 피딩모터(430)를 포함한다.
상기 사료배출가이드(410)는 2피스로 양 분할되게 구성되어 이를 합치하였을 때 사료가 통과되는 통로를 구성하게 되며, 그 상부는 상기 네크부(200)의 상단에 고정된 채 상기 네크부(200) 및 베이스 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사료배출피터(420)는 상기 사료배출가이드(4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421)와, 상기 허브(42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분할판(4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료배출피더(420)는 상기 각 분할판(422) 사이사이로 일정량의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료 저장통(300)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상기 사료받이(500)로 떨어뜨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딩모터(430)는 상기 사료배출가이드(41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된 채 상기 사료배출피더(420)와 연결되어 사료배출피더(420)에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피딩모터(430)는 급식장치 상에 조작버튼(미도시)을 설치하여 수동으로 조작시킬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딩모터(430)는 일정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텝모터(또는 스테핑 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받이(500)는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지지레그(110) 중 특정 레그에 형성된 수납게이트(111)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유닛(40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역할을 한다. 이 사료받이(500)는 수납게이트(111)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태에 있다.
터치 스크린(60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지지레그(110) 중 특정 레그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용 게임 또는 영상이 출력된다. 터치 스크린(600)은 화상이 출력되고, 음성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구비된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된다.
특히, 상기 터치 스크린(600)은 원거리에서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작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0)은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원거리에서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를 통해 애완동물의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네크부(200)의 개구부(210)에 설치되어 개구부(210)를 따라 횡단 동작되게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800)에 의해 횡방향을 따라 촬영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800)은 후술될 카메라 모듈 홀더(82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면에 종장형의 카메라 홀(711)이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710)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7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카메라 본체(720)와, 상기 카메라 본체(720)의 전방에 상하 각도조절판(740)에 지지된 채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며 상기 카메라 홀(711)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렌즈부(730)를 포함한다.
카메라 구동모듈(800)은 상기 카메라 모듈(700)을 좌우로 위치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800)은 도 6 및 7에서와 같이, 링기어(810), 카메라 모듈 홀더(820), 유성기어(830) 및 유성기어 구동모터(840)를 포함한다.
상기 링기어(810)는 상기 네크부(200)의 하단에 설치되며, 원형띠 형태를 취한 채 그 내주면 일부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기어치는 상기 개구부(210)의 길이에 상응한 길이만큼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820)는 상기 카메라 모듈(700)이 외주면에 설치된 채 상기 링기어(8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된다.
상기 유성기어(830)는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820)에 마련된 설치패널(85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채 상기 링기어(8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링기어(8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820) 및 이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70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 구동모터(840)는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820)는 상기 설치패널(850)의 상부에 설치된 채 상기 유성기어(830)와 직결되어 유성기어(83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성기어 구동모터(840)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급식장치는 유희수단으로서 레이저 포인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90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710)의 전면 일측의 카메라 홀(711) 인근에 종장형의 레이저 포인터 홀(712)을 형성하고, 이 레이저 포인터 홀(712)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 각도조절판(740)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900)는 카메라 모듈(700)에 편승하여 좌우이동이 가능하고 또, 상하 각도조절판(740)에 의해 상하 각도도 조절되어 레이저 포인터(900)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하면서 레이저를 발진함으로써 애완동물에게 유희를 제공하며 운동효과도 볼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상기 피딩모터(430), 유성기어 구동모터(840), 각도조절판(740) 및 터치 스크린(600)은 리모컨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갖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CPU역할을 하는 제어부와, 애완동물용 급식장치의 거스텀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폰에 급식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얼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상기 스마트폰의 스크린에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식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급식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부 등의 전자적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음성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처리 및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롬, 램, 플래시 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롬(ROM)은 상기 제어부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램(RAM)은 상기 제어부의 워킹 메모리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플래시 롬은 상기 급식장치의 제어코드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통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무선통신 처리부와 무선 통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처리부는 무선통신 송수신부와 제어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화하여 제어부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통신 송수신부는 상기 무선통신 처리부에서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와이파이 등의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 처리부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급식장치의 제어 메뉴얼이 스마트폰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션인식부는 메뉴, 취소, 확인, 종료 등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터치하여 입력하거나 드래그를 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한다.
상기 음성인식부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고, 제공된 신호는 통신부를 통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상기 급식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네크부
300 : 사료저장통 400 : 사료공급유닛
500 : 사료받이 600 : 터치 스크린
700 : 카메라 모듈 800 : 카메라 구동모듈
900 : 레이져 포인터

Claims (6)

  1.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주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3곳의 지지레그를 가지며, 내부가 중공형인 상부 개구형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부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의 일부 구간에 횡장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네크부;
    상기 네크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료가 저장되는 사료 저장통;
    상기 사료 저장통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일정량씩 분할하여 공급하는 사료공급유닛;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레그 중 어느 한 레그에 수납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게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사료공급유닛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담아내는 사료받이;
    상기 베이스부의 지지레그 중 어느 한 레그에 설치되어 애완동물용 게임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네크부의 개방부에 설치되어 개방부를 따라 횡단 동작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개방부를 따라 회전 동작시키는 카메라 구동모듈;
    을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공급유닛은, 상기 네크부 및 베이스 부의 내부에 배치된 채 네크부의 상부에 상단이 고정되는 사료배출가이드;
    상기 사료배출가이드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분할판으로 이루어진 물레방아 형태의 사료배출피더;
    상기 사료배출피더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딩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모터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구동모듈은, 상기 네크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주면 일부에 기어치가 형성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홀더;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의 기어치와 치합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의 내부에 설치된 채, 상기 유성기어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유성기어가 상기 링기어의 내주면 일부 구간을 따라 회전되게 하는 유성기어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 구동모터는 스마트 폰 또는 컴퓨터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 홀더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면에 종장형의 카메라 홀이 형성된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내부에 내장되는 카메라 본체; 및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 상하 각도조절판에 지지된 채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되며 상기 카메라 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렌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KR1020120092816A 2012-08-24 2012-08-24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KR10137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816A KR101370882B1 (ko) 2012-08-24 2012-08-24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816A KR101370882B1 (ko) 2012-08-24 2012-08-24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921A KR20140026921A (ko) 2014-03-06
KR101370882B1 true KR101370882B1 (ko) 2014-03-10

Family

ID=5064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816A KR101370882B1 (ko) 2012-08-24 2012-08-24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79115A1 (en) * 2020-09-11 2022-03-17 Chicony Electronics Co., Ltd. Pet feed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711A1 (en) * 2014-09-01 2016-03-10 Cleverpet Llc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210328907U (zh) * 2019-06-19 2020-04-17 深圳市西西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互动投食机
US11758880B2 (en) * 2020-03-31 2023-09-19 Amtran Technology Co., Ltd. Object supplying assembly, object casting assembly and operation method of object distribution system
KR102231841B1 (ko) * 2020-08-03 2021-03-26 박미림 고양이를 위한 레이저 포인터 조립체
KR102436365B1 (ko) * 2020-08-04 2022-08-25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기
KR102295233B1 (ko) * 2021-01-29 2021-09-02 류은영 청각훈련용 먹이보상 놀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661U (ko) * 1990-01-22 1991-10-03
KR20020083968A (ko) * 2002-09-11 2002-11-04 주식회사 중앙Cmi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US6789503B1 (en) 2003-08-18 2004-09-14 De Ping Gao Automatic animal fee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661U (ko) * 1990-01-22 1991-10-03
KR20020083968A (ko) * 2002-09-11 2002-11-04 주식회사 중앙Cmi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US6789503B1 (en) 2003-08-18 2004-09-14 De Ping Gao Automatic animal feed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79115A1 (en) * 2020-09-11 2022-03-17 Chicony Electronics Co., Ltd. Pet feeding apparatus
US11744226B2 (en) * 2020-09-11 2023-09-05 Chicony Electronics Co., Ltd. Pet feed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921A (ko)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882B1 (ko) 애완동물용 급식장치
US9462787B2 (en) Puzzle pet toy and treat dispenser
US20230210086A1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6475642B2 (ja) 動物インタラクション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224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nd feeding an animal using positive reinforcement techniques
US9675049B2 (en) Pet amusement device
US20080289580A1 (en) Automatic pet feeder
US8944006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TWI641315B (zh) 寵物餵食裝置
US8633981B2 (en) Wireless controlled pet toy dispenser with camera
US20120234258A1 (en) Twitch toy
US20220117194A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nimals
US20060000418A1 (en) Pet feeder
EP1704776A1 (en) A feeder and a feeding method protecting feedstuff from moisture
US20200396959A1 (en) Automatic living food dispenser
US20190069510A1 (en) Music pet house
CN204409215U (zh) 自动投料喂食器
CN207305713U (zh) 一种远程监控自动喂食器
CN107410065A (zh) 一种宠物自动喂食器
CN205213778U (zh) 一种具有视频语音互动的宠物器具
KR101039783B1 (ko) 애완 동물을 위한 지능형 장난감 장치
KR20140108823A (ko) 물고기용 먹이 공급기
KR20190108690A (ko) 반려견의 사료 디스펜서
CN108450356A (zh) 一种宠物喂食训练器
CN105409803A (zh) 一种具有视频语音互动的宠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