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762A - 기어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어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762A
KR20210081762A KR1020190174026A KR20190174026A KR20210081762A KR 20210081762 A KR20210081762 A KR 20210081762A KR 1020190174026 A KR1020190174026 A KR 1020190174026A KR 20190174026 A KR20190174026 A KR 20190174026A KR 20210081762 A KR20210081762 A KR 20210081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over body
assembly
hole
gear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044B1 (ko
Inventor
정진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에스지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에스지
Priority to KR102019017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0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5Support of gearboxes, e.g. torque arms, or attachment to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 및 안마기 등에 사용되는 기어박스 조립체의 조립시 칩(chip)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조립 구조를 개선시킨 기어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어박스 커버체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지지바에 직접 체결하여,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가 동시에 지지바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볼팅 작업시 금속 칩(chip)이 발생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여 기어박스 조립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팅 작업 횟수를 크게 줄여서 조립 공수 감소 및 조립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기어박스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어박스 조립체{GEAR BOX ASSEMBLY}
본 발명은 기어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기기 및 안마기 등에 사용되는 기어박스 조립체의 조립시 칩(chip)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조립 구조를 개선시킨 기어박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안마기, 지압기, 온열 치료기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각 가정에서도 하나 이상의 안마 관련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안마 관련 기기에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안마 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롤러, 타격기, 진동기, 에어포켓 등과 같은 다수의 기구들이 소정의 배열로 내설될 수 있고, 각 기구들의 구동을 위한 복수의 모터 및 기어박스가 내설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안마 관련 기기들은 사람이 착석하거나 또는 누워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안마 관련 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모터 및 기어박스의 구동 소음을 최소화해야 하고, 또한 모터 및 기어박스의 안정적인 구동 성능 및 내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여기서,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구성 및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내부 구성품을 나타내고,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내부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한 기어박스 커버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은 모터의 속도를 감속 또는 증속시키기 위한 기어열(110)과, 기어열(110)의 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20,13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기어열(110)의 장착 공간 및 높이를 일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바(140)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에 지지바(140)의 하단부를 리벳(142)으로 리벳팅하여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로부터 지지바(140)의 상단부로 볼트(144)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바(140)가 연결되므로, 3번 이상의 리벳팅 뿐만 아니라 3번 이상의 볼팅 작업이 소요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인 기어박스 커버체(150)가 상부 플레이트(120)에 조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볼팅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에도 적어도 3개 이상의 볼트 체결홀(122)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상기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을 기어박스 커버체(150) 내로 위치시키면, 즉 기어박스 커버체(150)를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을 커버링하는 위치로 배열시키면, 기어박스 커버체(150)와 상부 플레이트(120)가 서로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각 볼팅홀(152)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각 볼트 체결홀(122)이 서로 일치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각 볼팅홀(152)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각 볼트 체결홀(122)로 볼트(144)를 체결함으로써, 기어박스 커버체(150)가 상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는 동시에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기어열 및 지지바 등)들이 보호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볼팅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에도 적어도 3개 이상의 볼트 체결홀(122)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적어도 3번 이상의 볼팅 작업이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조립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각 볼팅홀(152)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20)의 각 볼트 체결홀(122)로 볼트(144)를 체결할 때의 압입 마찰력에 의하여 볼팅홀(152) 및 볼트 체결홀(122)의 내경부로부터 금속 칩(chip)이 탈락되어,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의 기어열(110) 쪽으로 낙하하여 끼이게 됨으로써, 기어열(110)의 회전 구동시 노이즈(noise)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기어열(110)의 파손을 초래하는 등 기어박스 조립체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기어박스 조립체(100)를 조립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120)로부터 지지바(140)의 상단부에 대하여 볼트(144)를 체결하는 볼팅 작업이 3번 이상 소요되고, 또한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볼팅홀(152)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20)의 볼트 체결홀(122)로 볼트를 체결하는 볼팅 작업이 3번 이상 더 소요됨에 따라, 과도한 볼팅 횟수로 인하여 작업자의 조립 공수 증가 및 조립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3-0131519호(2013.12.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기어박스 커버체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지지바에 직접 체결하여,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가 동시에 지지바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볼팅 작업시 금속 칩(chip)이 발생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하여 기어박스 조립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팅 작업 횟수를 크게 줄여서 조립 공수 감소 및 조립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기어박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어열과, 기어열의 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바와, 기어열을 비롯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를 커버링하는 기어박스 커버체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에 암나사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암나사홀과 일치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에 암나사홀 및 관통홀과 일치하는 볼트 장착홀을 형성하여,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의 볼트 장착홀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바의 암나사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가 동시에 조립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3개 이상의 지지바가 연결되어, 상기 각 지지바의 암나사홀과 일치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관통홀과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의 볼트 장착홀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 장착홀로부터 관통홀을 경유하여 암나사홀에 볼트를 체결하는 볼팅 횟수가 3번 이상 소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의 사방 모서리에는 모터 및 대상조립품과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 취부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어박스 커버체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를 상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 간에 연결되는 지지바 내로 직접 체결함으로써,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가 동시에 조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를 별도로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조립 공수를 단축시킴과 함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볼트가 지지바의 상단부내에 형성된 암나사홀로 체결됨으로써, 기존에 볼팅 작업시 금속 칩(chip)이 발생하여 기어열로 침투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칩에 의한 노이즈 방지 및 기어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어박스 조립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한 볼팅 작업 횟수를 기존에 비하여 반으로 줄여서 조립 공수 감소 및 조립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내부 구성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기어박스 커버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 조립체의 내부 구성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종래의 기어박스 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기어박스 커버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 조립체의 내부 구성품을 나타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박스 조립체의 내부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한 기어박스 커버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은 모터의 속도를 감속 또는 증속시키기 위한 기어열(110)과, 기어열(110)의 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20,13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동시에 기어열(110)의 장착 공간 및 높이를 일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지지바(14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부 플레이트(130)에 지지바(140)의 하단부가 리벳(142)을 리벳팅하거나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특히, 상기 지지바(140)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동시 체결을 위한 암나사홀(1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에는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과 일치하는 관통홀(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에는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 및 상부 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4)과 일치하는 볼트 장착홀(154)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어박스 조립체(100)의 내부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인 기어박스 커버체(150)가 상부 플레이트(120)와 함께 지지바(140)에 동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볼트 장착홀(154)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4)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에 볼트(14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와 상부 플레이트(120)가 동시에 조립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볼트(144)를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볼트 장착홀(154)과 상부 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4)로 삽입하여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 내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기어박스 커버체(150)와 상부 플레이트(120)가 지지바(140)에 동시에 조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기어박스 커버체와 상부 플레이트를 별도로 조립하는 것에 비하여 조립 공수를 단축시킴과 함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144)가 볼트 장착홀(154) 및 관통홀(124)을 지나서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 내에 삽입 체결되므로, 볼트(144) 체결시 금속 팁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금속 팁이 발생하더라도 암나사홀(146) 내에 갇히게 되어 기존에 볼트 체결시 발생한 금속 팁이 기어열 쪽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와 상부 플레이트(120)를 체결하는 볼트(144)가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 내로 체결될 때 금속 팁이 발생하더라도 암나사홀(146) 내에 갇히게 됨으로써, 기존에 볼팅 작업시 금속 칩(chip)이 발생하여 기어열로 침투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칩에 의한 노이즈 방지 및 기어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기어박스 조립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3개 이상의 지지바(140)가 연결되므로, 상기 각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과 일치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4)과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볼트 장착홀(154)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 장착홀(154)로부터 관통홀(124)을 경유하여 암나사홀(146)에 볼트(144)를 체결하는 볼팅 횟수가 3번 이상으로 소요된다.
이에,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와 상부 플레이트(120)를 체결하기 위한 볼팅 작업 횟수를 기존에 비하여 반으로 줄여서(예를 들어, 기존 6회에서 3회로 감소) 조립 공수 감소 및 조립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사방 모서리에는 모터 및 대상조립품(미도시됨)과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 취부홀(156)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기어박스 조립체(100)가 연결되는 대상인 모터 및 대상조립품과의 조립이 브라켓 취부홀(156)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어열(110)에는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벤즈이미다졸 20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3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15중량%, 비스페놀 F형 디글리시딜에테르 1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벤즈이미다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비스페놀 F형 디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볼트 체결홀(122)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암포 글리시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암포 글리시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볼트 체결홀(122)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볼트 체결홀(122)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볼트 체결홀(122)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트 체결홀(122)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0.1 몰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및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에는 적외선 방사체 분말과 바인더로 이루어진 방열코팅제가 코팅될 수 있다.
적외선 방사체 분말은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산화구리, 산화코발트, 산화니켈, 오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크롬,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규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둘 이상 혼합한 혼합물이다.
바인더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로 형성된다. 이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는, 콜로이드 무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0.1~150중량부 또는 유기수지 0.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콜로이드 무기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아연, 바륨타이타네이트, 지르코늄타이타네이트 및 스트론튬타이타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과 방열코팅제 사이에는 프라이머 처리가 이루어진다. 프라이머 처리는,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방열코팅제 표면에는 보호층이 더 형성된다. 이 보호층은,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에 방사율이 높은 고방사율의 방열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열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으로부터 잘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방열코팅제는 적외선 방사체 분말과 바인더로 이루어져 핀튜브 표면에 코팅되는 것으로서, 적외선 방사체 분말은, 옥, 세르사이트, 코디에라이트, 게르마늄, 산화철, 운모, 이산화망간, 실리콘카바이드, 맥섬석, 카본, 산화구리, 산화코발트, 산화니켈, 오산화안티몬, 산화주석, 산화크롬,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및 질화규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둘 이상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바인더로는, 실란 바인더, 유기 바인더, 실리콘 화합물 바인더,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과 방열코팅제 사이에는 프라이머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열코팅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프라이머로서는,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사용한다.
또한, 방열코팅제 표면에는 방열코팅제를 보호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보호층이 더 형성된다. 이 보호층은 실란, 유기수지, 실리콘 화합물, 무기바인더,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 글래스 프릿(glass frit)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란 바인더는, 4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을 포함하되, 상기 4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실란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i-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한다.
또한, 유기 바인더는, 탄소사슬의 양 말단 또는 사슬의 측쇄에 열중합이 가능한 비닐기, 아크릴기, 에스테르기, 우레탄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이미드기 및 열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적어도 1관능기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고분자, 그리고 광중합이 가능한 비닐기, 알릴기, 아크릴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및 광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적어도 1관능기 이상을 함유하는 유기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며, 또한 상기 유기 고분자는 탄화수소기의 일부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실리콘 화합물 바인더는, 실록산(-Si-O-)을 기본으로 하면서, 실리콘 원자의 4개 결합부위 중 어느 하나에 직쇄, 측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물질이며, 상기 탄화수소기는 알킬기, 케톤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알릴기, 알콕시기, 방향족기, 아미노기,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니트로기, 하이드록시기, 사이클로부텐기, 카르복실기, 알키드기, 우레탄기, 비닐기, 니트릴기, 수소 또는 에폭시 작용기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가지거나, 상기 탄화수소기의 일부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무기바인더는, 수 분산된 콜로이드 실리카에 Li+, Na+, K+, Mg2+, Pb2+, Ca2+ 중 하나 이상의 이온을 포함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이는 수산화물인 LiOH, NaOH, KOH, Mg(OH)2, Pb(OH)2, Ca(OH)2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바인더는, 콜로이드 무기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0.1~150중량부 또는 유기수지 0.1~15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콜로이드 무기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아연, 바륨타이타네이트, 지르코늄타이타네이트 및 스트론튬타이타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글래스 프릿(glass frit) 바인더는 유리조성을 고온에서 녹인 뒤 냉각시켜서 분말 혹은 조각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보호코팅이나 씰링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용융 온도도 조성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상기 글래스 프릿은 상온에서 고상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온도를 올리면 액상으로 되어 바인더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액상에서 접착시킨 뒤 다시 냉각을 시키게 되면 고상의 형태로 접착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에 고방사율의 방열코팅제를 코팅하여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의 방사율을 높여 기존의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면, 하부 플레이트(130)의 외면에서의 대류와 함께 복사에 의해서도 열이 잘 방출되도록 하여 열방출 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형태의 모든 기어박스 조립체(100)에 적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 및 경제적인 효과가 우수하다.
100 : 기어박스 조립체
110 : 기어열
120 : 상부 플레이트
122 : 볼트 체결홀
124 : 관통홀
130 : 하부 플레이트
140 : 지지바
142 : 리벳
144 : 볼트
146 : 암나사홀
150 : 기어박스 커버체
152 : 볼팅홀
154 : 볼트 장착홀
156 : 브라켓 취부홀

Claims (3)

  1. 기어열(110)과, 기어열(110)의 각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플레이트(120) 및 하부 플레이트(130)와,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바(140)와, 기어열(110)을 비롯하여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120,130)를 커버링하는 기어박스 커버체(15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40)의 상단부에 암나사홀(146)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에 암나사홀(146)과 일치하는 관통홀(124)을 형성하며,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에 암나사홀(146) 및 관통홀(124)과 일치하는 볼트 장착홀(154)을 형성하여,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볼트 장착홀(154)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4)을 경유하여 상기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에 볼트(144)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와 상부 플레이트(120)가 동시에 조립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30) 사이에 3개 이상의 지지바(140)가 연결되고, 상기 각 지지바(140)의 암나사홀(146)과 일치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관통홀(124)과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볼트 장착홀(154)도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 장착홀(154)로부터 관통홀(124)을 경유하여 암나사홀(146)에 볼트(144)를 체결하는 볼팅 횟수가 3번 이상 소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커버체(150)의 사방 모서리에는 모터 및 대상조립품과의 연결을 위한 브라켓 취부홀(156)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박스 조립체.
KR1020190174026A 2019-12-24 2019-12-24 기어박스 조립체 KR102394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26A KR102394044B1 (ko) 2019-12-24 2019-12-24 기어박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026A KR102394044B1 (ko) 2019-12-24 2019-12-24 기어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62A true KR20210081762A (ko) 2021-07-02
KR102394044B1 KR102394044B1 (ko) 2022-05-04

Family

ID=7689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026A KR102394044B1 (ko) 2019-12-24 2019-12-24 기어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0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800A (ko) * 2002-08-19 2004-02-25 모론 모터 앤 코일 코오포레이션 높은 토크 내성과 강도를 갖는 나사 없는 플라스틱 기어박스
KR20090041481A (ko) * 2007-10-24 2009-04-29 장영국 모터용 플라스틱 감속기
KR100978376B1 (ko) * 2009-10-29 2010-08-26 주식회사 우진산업 싸이크로 감속기
KR20130131519A (ko) 2012-05-24 2013-12-04 (주)대경산업 분리 가능한 기어 구조를 갖는 안마 모듈
KR102057638B1 (ko) * 2019-08-07 2019-12-19 주식회사 태진중공업 열교환기용 내부관 확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800A (ko) * 2002-08-19 2004-02-25 모론 모터 앤 코일 코오포레이션 높은 토크 내성과 강도를 갖는 나사 없는 플라스틱 기어박스
KR20090041481A (ko) * 2007-10-24 2009-04-29 장영국 모터용 플라스틱 감속기
KR100978376B1 (ko) * 2009-10-29 2010-08-26 주식회사 우진산업 싸이크로 감속기
KR20130131519A (ko) 2012-05-24 2013-12-04 (주)대경산업 분리 가능한 기어 구조를 갖는 안마 모듈
KR102057638B1 (ko) * 2019-08-07 2019-12-19 주식회사 태진중공업 열교환기용 내부관 확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044B1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1202B2 (ja) 樹脂組成物
JP6369475B2 (ja) 封止用樹脂組成物及び封止用シート
KR102133544B1 (ko) 자외선-저항성 초소수성 코팅 조성물
EP2546275A3 (en)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s, epoxy resin compositions for the encapsulation of electronic parts, stabilizers for electrical insulating oils, and casting epoxy resin compositions for electrical insulation.
US20120077040A1 (en) Heat dissipation coating agent and heat-dissipating plate including same
EP1257367A4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THERMAL EFFICIENCY THROUGH THE USE OF SILANE COATINGS AND COATED ARTICLES
CN107034466B (zh) 腐蚀控制涂层
KR100855228B1 (ko) 표면개질 코런덤 및 수지조성물
KR102394044B1 (ko) 기어박스 조립체
JP2011084667A (ja) 樹脂組成物
KR101243944B1 (ko) 분산성이 개선된 방열 코팅용 습식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방열 코팅용 습식복합코팅막
WO2010084938A1 (ja) 樹脂組成物
KR101072298B1 (ko) 방열 코팅층이 형성된 진공펌프
TW201234940A (en) Metal-bas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metal-based circuit board
KR102057638B1 (ko) 열교환기용 내부관 확관장치
DE112017000390T5 (de) Chip-Bindemittel vom Typ Kondensationsreaktion, LED-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061978B2 (ja) 耐食性、熱放射性、導電性に優れた表面処理鋼板および塗装鋼鈑
JP6157761B1 (ja) 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固定子コイル、並びに回転電機
KR101063916B1 (ko) 방열 코팅층이 형성된 변압기
KR101072294B1 (ko) 방열 코팅층이 형성된 전동기
Singh‐Beemat et al. Effect of clay on the corrosion inhibition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ester–polyurea–polysiloxane hybrid coatings
JP3555825B2 (ja) 新規有機ケイ素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る表面処理剤および樹脂添加剤
JP2010155877A (ja) プリプレグシート
CN107903813A (zh) 一种输电线路中绝缘子用防污闪涂料及其制备工艺
JP2008031405A (ja) 熱伝導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