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279A -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 Google Patents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279A
KR20210081279A KR1020200180621A KR20200180621A KR20210081279A KR 20210081279 A KR20210081279 A KR 20210081279A KR 1020200180621 A KR1020200180621 A KR 1020200180621A KR 20200180621 A KR20200180621 A KR 20200180621A KR 20210081279 A KR20210081279 A KR 2021008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accessory
handle
angular
ai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유 피에르 자끄 푸인
발렌틴 자벨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08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45D20/50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and provision for an air strea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52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adapted for heating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e.g. air stream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 본 발명은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송풍기(5), 핸들(2) 및 핸들(2)에 연결되는 부속품(6)을 포함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에 관한 것으로서, 부속품(6)은 모발손질 요소(12) 및 손질 요소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배기구(15, 16)를 포함하고, 기기는 핸들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는 공기 분배관(21)을 포함하고, 상기 관은 서로 다른 방향들을 따르는 2개의 공기 분배용 출구를 포함하고, 부속품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변각으로 배향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점유하기 위하여 핸들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장착되며, 구성에서 부속품은 공기 분배 출구 중 하나가 제1 배기구와 통기되는 제1 위치와, 나머지 공기 분배 출구가 제2 배기구와 통기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전환될 수 있다.
- 헤어스타일링 기기.

Description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IMPROVED HAIRSTYLING DEVICE FORMING AN OSCILLATING BLOWER BRUSH}
본 발명은 헤어스타일링 기기, 예를 들어 가정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일반적 기술 분야, 더욱 명확하게는 모발건조 용도 및/또는 헤어쉐이핑(hair shap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용도를 위하여 기류를 송풍하도록 고안된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헤어스타일링 기기 분야에서, 블로우 헤어 브러시 유형의 기기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그립 핸들에 연결되고 그 전체 또는 일부의 표면 상으로 브러시 모를 구비한 브러시 헤드를 포함한다. 송풍 오리피스들이 브러시 모 위치에 마련되고, 그 결과 냉 또는 온 기류가 모발 방향으로 브러시 헤드에 의해 송풍될 수 있다. 그러한 블로우 헤어 브러시들은 한가지 이상의 헤어스타일링 또는 헤어쉐이핑 효과를 구현하면서 모발의 일정 수준의 건조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공지된 블로우 헤어 브러시들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고 하여도 더욱 개선될 여지는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블로우 헤어브러시들을 이용하여 수득 가능하다고 간주되는 헤어스타일링 효과들은 실상에서는 구현하기 쉽지 않으며, 특히 미용술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들에게 그러하다. 게다가 그러한 공지된 블로우 헤어 브러시들은 특히 복잡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사용상 신뢰도 및 용이성에 손상을 주는 경향이 있다. 한편, 몇몇 공지된 블로우 헤어 브러시들은 컴팩트성의 결여로 인하여 인체공학성이 결여되며 취급이 불편해진다.
게다가, 그러한 블로우 헤어 브러시 유형의 공지된 헤어스타일링 기기들이 브러싱 기능을 모발건조 기능과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다양한 기기들을 대체하게 되어 있다면, 그 경우 건조 작용이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브러싱과 반드시 연관되어 있으므로, 실제로는 특히 모발의 만족스런 건조에는 잘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한 블로우 헤어 브러시 유형의 공지된 헤어스타일링 기기들은 그 자체만으로는 모발의 건조, 스타일링 및 쉐이핑의 다양한 복수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없게 하며, 그 결과 원하는 헤어스타일링 작업을 모두 만족스럽게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의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부여된 목적들은 미용술에 관한 전문적인 특별한 실력이 부족한 사용자일지라도 특히 만족스러운 헤어 스타일링 및 쉐이핑 효과를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용술에 관한 전문적인 특별한 실력이 부족한 사용자일지라도 사용하기에 동시에 실용적이고 직관적이며 단순한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설계의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컴팩트한 구성의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추가적인 외장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의존하지 않고 복수의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락한 사용 조건 하에서 특히 효율적인 모발 건조 및 쉐이핑을 수득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부여된 목적들은, 기류 생성용 송풍 모듈, 파지용 핸들 및 핸들에 연결된 부속품을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이용하여 달성되는데, 상기 부속품은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main) 요소 및 서로 별개이고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의 양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는 핸들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immobile) 장착되고 핸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분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관은 송풍 모듈에 의해 생성된 기류를 서로 다른 평균 방향들로 분배하기 위한 서로 별개이며 이격된 2개의 공기 분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부속품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에 대한 부속품의 가변 각도 배향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기 위하여 회전축을 따라 핸들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제1 각도 구성에서 상기 부속품은,
- 공기 분배관의 상기 공기 분배 출구들 중 제1 분배 출구가 부속품의 제1 배기구와 통기하는 제1 각도 위치와
- 상기 공기 분배관의 공기 분배 출구들 중 제2 분배 출구가 부속품의 제2 배기구와 통기하는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장점들은 예시로서만 비한정적으로 제공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더욱 상세히 나타나고 강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기기의 부속품은 핸들에 대하여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있고, 상기 부속품은 기기가 유리하게 포함하는 잠금 수단에 의해 잠금된다.
도 2는 도 1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측면도이며, 본 경우에 기기의 부속품은 핸들에 대하여 제2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있고, 상기 부속품은 기기가 유리하게 포함하는 잠금 수단에 의해 잠금된다.
도 4는 도 3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상세 설계도로서 부속품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며, 기기의 부속품은 제1 각도 구성의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상세 설계도로서 부속품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며, 기기의 부속품은 제1 각도 구성의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하고 있다.
도 7은 도 3 및 도 4(제2 각도 구성)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상세 설계도로서 부속품 위치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 도 2 및 도 5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정면 상세 설계도(제1 각도 구성)이며, 어떤 부속품 요소들은 몇몇 유리한 설계 양태를 강조하기 위하여 생략되거나 투명도로 도시되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부속품 케이싱의 제1 케이싱 요소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10은 헤어스타일링 기기 부속품의 핸들 및 공기 분배관의 일부와 관련하여 도 9에 도시된 제1 케이싱 요소의 절단도(truncated view)이다. 기기의 공기 유도 채널 및 공기 분배관은 투명도로 도시되었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8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부속품 케이싱의 제2 케이싱 요소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8(제1 각도 구성)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상세 설계도로서, 부속품 위치에서 핸들과 부속품 간의 인터페이스 근방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 도 4, 및 도 7(제2 각도 구성)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상세 설계도로서, 부속품 위치에서 핸들과 부속품 사이의 인터페이스 근방에서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손으로 파지되고 취급되도록 고안된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이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에 관한, 즉 건조뿐 아니라 미용술과 헤어쉐이핑 측면에서도 특별한 전문적 역량이 부족한 사용자를 위한 가정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사용자가 기기(1)를 스스로, 즉 자신의 모발을 위해 사용하도록 고안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기(1)를 타인의 모발에 대하여 사용하도록 고안되는 것도 완벽하게 고려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손으로 파지하는 핸들(2)(또는 손잡이)을 포함하고, 핸들은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취급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게 되어있다. 핸들(2)은 전형적으로 제1 단부(3) 및 맞은편의 제2 단부(4)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축(A-A')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유리하게 매립되고, 기류(F)(가압된)를 생성하도록 고안된 송풍 모듈(5), 및 핸들(2)에 연결된 부속품(6)을 포함하고, 부속품을 통하여,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가 유리하게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로 사용자의 모발 방향으로 투사될 수 있도록 유도되게 되어 있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공기 유입구(7)를 구비하고 있으며, 대기가 사용자의 모발을 향하여 송풍될 목적으로 유입구를 통하여 송풍 모듈(5)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환풍기를 유리하게 포함하는, 상기 송풍 모듈(5)은 유리하게 핸들(2) 내부에, 또는 부속품(6)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송풍 모듈(5)은 핸들(2)의 제2 단부(4) 위치에서 핸들에 조립되고, 따라서 송풍 모듈(5)이 핸들(2)을 핸들의 제2 단부(4) 너머로 유리하게 연장한다. 유리하게는, 기기(1)의 부속품(6)은 핸들(2)의 제1 단부(3) 위치에서 핸들에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 모듈(5)은 바람직하게는 부속품(6)과 핸들(2)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므로 송풍 모듈(5)의 규모를 부속품(6) 및 핸들(2)의 전체 부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다량의 기류(F)를 경제적으로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송풍 모듈(5)의 그러한 배치는 유리하게 핸들(2)의 양측으로 질량을 분배함으로써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중량이 더욱 우수하게 균형을 이룰 수 있게 하여, 핸들 사용상의 인체공학성과 안락함에 기여한다. 송풍 모듈(5)이 그와 같이 핸들(2)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또는 전술되고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의 제2 단부(4) 위치에서 핸들에 조립되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유리하게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를 핸들(2) 외부로 부속품(6)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핸들(2) 내부에 배치되는 유도 채널(8)(도 8)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가열 요소도 포함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에 매립되는 가열 요소는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 내에 삽입되어 기류와 간섭하도록 배치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는 유리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2) 내에 마련된 상기 기류(F) 유도 채널(8)의 내부에 위치된다(도 8). 그 자체로 공지된 가열 요소는 전형적으로 주울 효과 원리로 작동하고, 절연 코어(9) 둘레로 권취된 전도체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발열 전기저항을 포함하는 전기적 가열 요소이다. 대안으로서, 가열 요소는 부속품(6)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나, 그 경우 특히 부속품의 컴팩트성은 불리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 및 특히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송풍 모듈(5) 및/또는 가열 요소의 작동을 수동 제어 및/또는 조절하는 수단(10)을 포함한다. 그것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예를 들어 로커 스위치, 푸시버튼 스위치 유형 및/또는 슬라이드 또는 썸휠의 가변기 유형의 조절 수단(10)으로서, 조절 수단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전기적으로 작동/정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송풍 모듈(5)의 환풍기 회전 속도, 및 따라서 부속품(6)에 의해 송풍되는 기류(F)의 속도/유량, 및/또는 가열 요소의 가열 온도를 변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다. 그 자체로 공지된 그러한 수동 제어/조절 수단(10)은 예를 들어 핸들(2) 위치에 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송풍 모듈(5)이 핸들의 제2 단부(4)에 조립되어 있을 때는 송풍 모듈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 휴대용 전기기기를 구성하면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코드(11)를 통하여 구역 상에 급전되도록 마련된다. 대안으로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예를 들어 핸들(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축전지 등의 매립형 에너지원에 의해 급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부속품(6)은 사용자의 모발을 특히 브러싱, 스타일링 및/또는 빗질하도록 사용자의 모발과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어 있는,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를 포함한다. 부속품(6)은 기기(1)의 외부를 향하여 배향되는 지지면(14)을 구비한 지지부(13)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며, 지지부에는, 경우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가 결 된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는 상기 지지부(13)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면(14)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그 면과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브러시 모(또는 피코)의 열(row) 또는 바아(bar)(12A, 12b, 12C)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예로서,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는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3)의 재료로 된 브러시 모(또는 피코)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면(14)은 거의 평평할 수 있거나,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속품(6)으로부터 외향 융기될 수 있다.
부속품(6)은 또한 적어도 제1 및 제2 배기구(메인)(15, 16)을 포함하고, 배기구들을 통하여 기류(F)가 사용자의 모발을 향하여 부속품(6)에 의하여 송풍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서로 별개이며, 따라서 혼합되지도 연이어 인접하지도 않고,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양측에 위치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그와 같이 유리하게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가장자리에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서로 반대편의 측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특히 도 5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의 존재는 영구적인 존재이며, 즉 대체 가능하지 않다. 다시 말하자면,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항시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양측에 있으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은 임시적인 것이 아니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부속품(6)은 경우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기계식 모발손질용 보조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부속품(6)은, 제1 기계식 모발손질용 보조 요소는 상기 제1 배기구(15)가 상기 제1 보조 요소와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사이에 위치되게 하도록 배치하여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제2 보조 요소는 상기 제2 배기구(16)가 상기 제2 보조 요소와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사이에 위치되게 하도록 배치하여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속품(6)은 케이싱(17)을 포함하고, 케이싱의 외면은 유리하게 부속품(6)의 전체적 외부 형태 및 윤곽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7)은 유리하게 핸들(2)의 제1 단부(3) 위치에서 핸들에 연결되고, 그 결과 상기 케이싱(17)은 [따라서 부속품(6)은] 유리하게 상기 핸들(2)을 핸들의 제1 단부(3) 너머로 직접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케이싱(17)의 외면은 유리하게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종단부로서 상기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2)을 연장하는 종단부의 전체적 외부 형태 및 윤곽을 형성한다. 도면들에 예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7)은 바람직하게는 일부분이 유리하게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지지부(13)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면(18A)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3)에 고정된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는 따라서 유리하게 케이싱(17)에 결합되고 케이싱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유리하게, 케이싱(17)의 제1 면(18A)은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를 착장하고,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케이싱(17) 및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케이싱과 모발손질용 요소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다. 부속품의 케이싱(17),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및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기계적 단일 서브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특히 유리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싱(17)의 제1면(18A)은 단일체 케이싱의 제1 요소(17A) 외면의 전체 또는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지지부(13) 및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유리하게 케이싱의 제1 요소(17A)의 물질로 제조된다. 케이싱의 상기 제1 요소(17A)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의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므로 부속품(6)의 설계 및 제조는 특히 단순화된다.
유리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7)[및 더 총체적으로는 부속품(6)]은 상기 케이싱(17)이 유리하게 핸들(2)을 핸들의 제2 단부(4) 너머로 연장하는 위치의 하위 단부(19)와 맞은 편의 상위 단부(20) 사이에서, (제2) 중앙 축(B-B')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유리하게 연속적인 종장형의 슬릿 등의 개방부로 각각 형성되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측부 에지의 양측을 각각 따라서, 케이싱(17)의 상기 연장 축(B-B')을 따라 전반적으로 배향되는 평균 방향을 향하여 유리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의 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대안으로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공기 분배관(21)을 포함하며, 분배관은 핸들(2)의 단부(3)로부터, 본원의 경우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2)의 제1 단부(3)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공기 분배관(21)은 2개의 공기 분배 출구(22, 23)를 포함하며, 공기 분배 출구들은 서로 구별되고 이격되며, 서로 다른 평균 방향들을 따라 공기 분배관(21) 밖으로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를 분배하도록 마련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분배 출구들(22, 23)은 유리하게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분배관(21)은 단 2개의 공기 분배 출구(22, 23)만을 포함하며, 공기 분배 출구들은 유리하게 거의 동일한 공기 통로용 유효 단면적을 각각 갖는다. 송풍 모듈(5)이 핸들(2) 내부에, 또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의 제2 단부(3)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 분배관(21)은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를 수집하기 위하여 핸들(2)의 내부에 마련된 유도 채널(8)에 접속되는 공기 유입구(24)를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기 분배관(21)은 상기 유도 채널(8)을 그것의 제1 단부(3) 너머로 유리하게 연장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 및 제조가 더 단순화되도록, 핸들(2) 내부의 공기 분배관(21) 및 유도 채널(8)은 단일체인 단일 부품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분배관(21)은 이후 상술될 바와 같이, 단부들 중 하나가 개방되는 원통형 또는 원뿔대형인 중공 튜브(2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기구들(15, 16)은 튜브(25)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벽은 거의 기밀하다.
본 발명에 따라, 부속품(6)은 적어도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기 위하여, 즉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가변 각도 배향을 허용하는, 핸들(2)에 대하여 회전하는 부속품(6)의 소정의 제1 공간적 배치를 점유하기 위하여 (제3) 회전축(C-C')을 따라 핸들(2)에 대하여 회전식,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1 각도 구성은, 부속품(6)이 유리하게 한정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축(C-C')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핸들(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점유할 수 있는 복수의 서로 다른 각도 배향(또는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부속품(6)이 소위 "가변식 각도 배향"되는 그러한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면, 부속품(6)은,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를 통하여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로 기류를 송풍하면서, 회전축(C-C') 둘레로 일정 회전 각거리를 갖고 따라서 상기 한정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2)에 대하여 피벗, 오실레이팅할 수 있다.
더욱 특정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할 때, 상기 부속품(6)이,
-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공기 분배 출구들(22, 23) 중 제1 공기 분배 출구(22)가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와 통기하는 제1 각도 위치(도시되지 않음)와,
-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공기 분배 출구들(22, 23) 중 제2 공기 분배 출구(23)가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와 통기하는 제2 각도 위치(상기 제1 각도 위치와 별개이며 도 5에 도시됨)
사이에서 위치전환 되기에 적합하도록, 고안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하고 기기의 부속품(6)이 소위 "가변식 각도 배향"되는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사용자의 모발과 부속품(6)의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사이의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모발에 의하여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상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효과로, 회전축(C-C')을 따르는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피벗을 구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그로 인하여 모발의 브러싱 또는 쉐이핑 방향에 따라,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C-C') 둘레로의 부속품(6)의 피벗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기류(F)를 송풍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 결과, 기기(1)를 이용하여 모발을 브러싱하는 이외에 사용자의 다른 특정한 동작이 필요없이, 기류(F)는 유리하게 항시 사용자의 모발과 최대한 가깝게, 기기(1)의 이동 방향에 따라 항시 최적의 방향으로 송풍될 것이다. 본원의 경우 기류는 그와 같이 항시 모근에서 모발 첨단의 방향으로 송풍될 것인데, 방향은 모발의 쉐이핑 또는 빗기 작업 등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미용술에 대해 특정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에게도 포함하여, 특히 만족스러운 헤어스타일링 및 쉐이핑 효과를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속품(6)을 핸들(2)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부속품(6)에 적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각도 위치는 제1 각도 구성에서 양극단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들인데,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는 20° 내지 60°이고 바람직하게는 50°이다. 그러한 값의 범위는, 회전 진폭을 최적화함으로써, 즉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하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나머지 하나로 도달하는 데 필요한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상에 모발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에 기인한 이동 행정을 최적화함으로써, 기기(1)의 사용상 특히 인체공학성을 부여한다.
유리하게는,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기류(F)를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방향으로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상기 지지면(14)과 거의 접선 방향에서 기기(1) 외부로 송풍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2개 모두,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사이에 위치된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방향으로,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지지부(13) 표면(14)에 대하여 거의 접선 방향이 되도록 기류(F)를 인도하고 배향하도록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지지부(13)에 대하여 형성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에 의해 송풍될 수 있는 기류(F)의 평균 궤적은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브러시 모 또는 피코들이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지지부(13) 표면(14)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과 교차(평행하지 않게) 한다. 그 결과, 기류(F)는 유리하게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에 구속된 모발에 최대한 근접하여 송풍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기기(1)를 이용하여 수득될 수 있는 모발의 스타일링, 브러싱 또는 나아가 스트레이트닝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기기(1)는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는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와 공기 분배관(21)의 제2 공기 분배 출구(23)와의 통기가 금지되도록 고안되고 구성된다. 상호적으로, 기기(1)는 유리하게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는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와 공기 분배관(21)의 제1 공기 분배 출구(22)와의 통기가 금지되도록 고안되고 구성된다(도 5). 따라서,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F)의 총량은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 23)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에 의해서만, 각각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에 의해 점유된 제1 또는 제2 각도 위치에 따라 교대로 송풍될 수 있다. 그러한 특성은 유리하게 특히 부속품(6)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게 하고 유량 손실 없이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를 향하는 공기 분배를 신뢰성있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기기(1)는,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의 중간 각을 이루고 공기 분배관(21)의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 23)이 동시에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 통기하고 있는, 도 6에 도시된 제3 각도 위치를 부속품(6)이 점유하도록 고안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부속품(6)이 상기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에 의해 동시에 송풍될 수 있다. 이로써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양측으로 기류(F)가 배출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최초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모발 타래와 접촉시킬 때, 헤어스타일링 작업의 초기에 특히 유리하다. 실제로, 사용자가 기기(1)를 이동시키기 전에, 그리고 모발이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상에 인장력을 인가하기 전에, 따라서 기류(F)가 제1 또는 제2 공기 분배 출구(22, 23)에 의해서만 송풍되기 전에 모발 타래의 모든 구역이 처리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3 각도 위치는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의 중간 각도 위치이다. 따라서 제1 및 제3 각도 위치 사이의 부속품(6)의 회전 진폭은 제2 및 제3 각도 위치 사이의 부속품(6)의 회전 진폭과 동일하다(예를 들어, 상기 제3 각도 위치의 양측으로 25°의 진폭).
더욱 유리하게는, 제3 각도 위치는 휴식 위치인데, 부속품(6)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들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를 점유할 때, 상기 제3 각도 위치로 상기 부속품(6)을 복원시키도록 마련된 복원 수단, 바람직하게는 탄성 복원 수단을 부속품(6)이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과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부속품(6) 상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부재시에, 부속품(6)은 유리하게 자동으로 상기 제3 각도 위치, 소위 휴식 위치로 스스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에 도달하기 위하여 추후 필요한, 사용자의 모발과 부속품(6)의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부속품(6)을 회전시키기 위한 힘과 진폭은 유리하게 감소되며, 이는 기기(1) 사용상의 편의성 및 안락함을 더욱 개선시킨다.
상기 복원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로 작용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인장 용수철(26, 27)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부속품(6)의 회전축(C-C')과 수직인 평면 내에 배치되어, 상기 용수철(26, 27) 각각은 그것들의 단부들 중 하나가 핸들(2)에 연결되거나, 이하 설명될 바와 같이 핸들(2)에 대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될 수 있는 중개 부품(28)에 연결된다. 상기 용수철(26, 27) 각각은 그것들의 단부들 중 나머지 하나에 의해 부속품(6) 및, 예를 들어 부속품의 케이싱(17)의 각 지지면에 연결된다. 그러한 휴식용 중간 위치인 제3 각도 위치로의 부속품(6)의 자동 복귀를 보장하기 위하여, 그러한 한 쌍의 용수철(26, 27)을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내구성이 있다 해도, 적절한 탄성(판 용수철, 토션 용수철 등) 또는 비탄성(자석 한 쌍 등)의 다른 복원 수단들도 그러한 목적의 대안으로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복원 수단은 기기(1) 내에서 순환하는 기류의 외부에 배치되어, 한편으로는 상기 복원 수단이 상기 기류(F)를 교란할 수 없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기류가 기기(1)의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되었을 때, 상기 기류(F)가 복원 수단의 양호한 작동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1)는,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되고 공기 분배관(21)에 의해 분배되는 기류(F)의 거의 총량이,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를 통하여 송풍되고,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를 통하여 송풍되고, 만일 해당하는 경우 부속품(6)이 상기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를 동시에 통하여 송풍되도록 고안되고 구성된다. 그러나 선택사양으로서, 기기(1)의 부속품(6)은 보조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인데, 보조 배기구는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 별개이고,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위치, 상기 제2 각도 위치 또는 경우에 따라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하는지에 따라 공기 분배관(21)의 제1 공기 분배 출구(22) 및/또는 공기 분배관(21)의 제2 공기 분배 출구(23)와 통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에서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유리하게 주로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송풍될 수 있으나, 상기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서도 적어도 일부가 송풍될 수 있다. 상호적으로,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에서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하면,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유리하게 주로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송풍될 수 있으나, 상기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서도 적어도 일부가 송풍될 수 있다. 따라서,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발로 인해, 불행히도 폐쇄되는 경우를 가정할 때, 기류(F)는 그럼에도 부속품(6)의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 기기(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방출식 해법으로써 기기(1)의 과열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모발 또는 두피의 모든 화상 위험을 제한한다. 그러한 보조 배기구의 존재는 또한, 송풍 모듈(5)이 매우 많은 양의 기류를 발생하도록 작동할 때,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의 유효 단면적의 규모가,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다량의 기류(F)에 대하여 불충분하게 설정되었을 경우에도 특히 유용하다. 실제로, 그와 같이 기기(6) 내에 발생된 내부 배압의 효과에 의한 송풍 모듈(5)의 손상 위험뿐 아니라 사용자 모발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배기구(15, 16)의 유효 단면적이 한정됨에 따른, 또는 상기 유효 단면적의 "축소화"에 따른 이상 과열 및 기류(F)의 가속 효과에 의한 사용자 모발의 화상 위험(상기 기류가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될 때)도 특히 제한된다. 본원에서 "보조"라 함은, 상기 보조 배기구는 기기(1)의 정상 사용시 우선적으로 송풍되게 되어있는 본 기류가 통과하는 배기구를 구성하지 않으며, 그와 반대로, 기류가 부속품(6)의 상기 메인 배기구(15, 16)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를 통하여 적절히 송풍되지 못하는 경우 비 우선적 출구-소위 "우회" 또는 "안전" 출구를 구성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기기(1)는 그와 같이 상기 기기(1) 내에서 순환하는 기류가 기본적이고 우선적으로, 공기 분배관(21)으로부터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이 점유하는 각도 위치에 따라]를 향하여 유도되도록 유리하게 고안되고 구성되며, 보조 배기구는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를 통하여 예정대로 배출되지 못한 기류의 적어도 일부를 방출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목적으로, 상기 보조 배기구는 제1 및 제2 배기구 각각의 공기 통로의 유효 단면적의 예상치 못한 특정 제약이 없는 경우 기류(F)의 유량의 적어도 60%가 부속품(6)의 제1 및/또는 제2 배기구(15, 16)를 통하여 송풍될 수 있도록 유리하게 규모가 설정될 것이고, 이는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에 있을 때 부속품(6)이 점유하는 각도 위치에 상관없다.
그러한 보조 배기구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위치에서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사이에 위치될 것이다. 보조 배기구는 전형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보조 오리피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고, 보조 오리피스(들)는, 기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 방출될 때, 공기가 그럼에도 사용자의 모발을 향하여[그리고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또는 기기(6)의 핸들(2)을 잡고 있는 손을 향하지는 않도록] 제어되는 방식으로 송풍되도록,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지지부(3)를 관통하여 지지부의 브러시 모의 열 또는 바아(12A, 12B, 12C)들 사이에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 그러한 보조 배기구는 압력이 임계치에 도달했을 때 기류(F)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조 배기구만을 통하여 송풍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압력 임계치는 예를 들어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또는 나머지 하나의 소정의 폐쇄 단계를 나타내는 값으로 선택된다. 또한, 변형예로서, 상기 보조 배기구가 이하 상술될 바와 같은 제3 배기구(33)로 구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공기 분배관(21)은 핸들(2)의 상기 제1 단부(3)로부터,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회전축(C-C')과 혼용되는 (제4) 연장축(D-D')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부속품(6)은 유리하게 공기 분배관(21) 둘레로 핸들(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이는 특히 기기(1)의 설계 및 작동을 단순화하는데 기여한다. 따라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 분배관(21)은 유리하게 부속품(6)의 케이싱(17) 내부로 연장될 수 있고, 케이싱(17)과 공기 분배관(21) 각각의 연장축(B-B', D-D')은 유리하게 서로 평행하거나 혼용된다. 따라서, 공기 분배관(21)과 부속품(6)의 케이싱(17) 사이에, 상기 공기 분배관(21) 둘레로의 케이싱(17)의 회전구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볼 베어링을 설치할 것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하다. 경우에 따라, 설계 측면에서는 특히 덜 유리하지만,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이 부속품(6)의 케이싱의 회전축(C-C')과 평행하고 다소 시프트(shift) 되어있는 것을 경우에 따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부속품(6)이 핸들(2)에 대하여 그 둘레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회전축(C-C')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들(2)의 연장축(A-A')과 혼용된다. 그러나 회전축은 대안으로서 핸들(2)의 연장축(A-A')과 평행하고 그것에 대하여 다소 시프트될 수 있을 것이다. 부속품(6)의 기계적 양태는 그와 같이 단순하고 신뢰성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직관적 핸들링을 가능하게 한다. 역시 대안예로서, 부속품(6)의 회전축(C-C')이 예를 들어 5° 내지 15°의 각도를 따라 핸들(2)의 연장축(A-A')과 교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리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들(2)의 연장축(A-A')은 부속품(6)의 회전축(C-C') 및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과 혼용된다. 그러나 또한 예를 들어 부속품(6)의 회전축(C-C')과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이 서로 혼용되고, 예를 들어 5° 내지 15° 각도, 또는 예를 들어 거의 90° 각도를 따라 핸들(2)의 연장축(A-A')과 교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공기 분배관(21)의 공기 분배 출구들(22, 23)은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를 유리하게 서로 반대인 여러 방향을 따라, 따라서 거의 평행인 방향은 따르지 않고 분배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기류(F)는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방향으로 최소의 손실로 용이하게 분배될 수 있고, 이는 기류의 우수한 유속 및 우수한 유량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최고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특히, 부속품(6)의 회전축(C-C')이 공기 분배관(21)의 종방향 연장축(D-D')과 혼용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은 특히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연장축(D-D')과 165° 내지 195° 각도를 형성하는 여러 다른 평균 방향을 따라 상기 기류(F)를 분배하도록, 특히 형태 및 배열 면에서 마련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은,
- 제1 공기 분배 출구(22)는 부속품(6)이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그 자체로 제1 평균 방향을 따라 기류를 송풍하기에 적합하고,
- 제2 공기 분배 출구(23)는 부속품(6)이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그 자체로 제2 평균 방향을 따라 기류를 송풍하기에 적합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평균 방향은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을 따라 교차하는 평면 내에서, 연장축(D-D')과 165° 내지 195° 각도를 형성하도록 각각 내접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은 유리하게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그러한 구성은 유리하게 특히 부속품(6)의 한정된 부피를 유지하면서 기기(1)의 설계를 단순화하고 공기 유통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리고 특히 도 8 및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 분배관(21)은 거의 원뿔대형(상기 고려된 바와 같이)의 중공 튜브(25)를 포함하고, 그것의 회전축은 유리하게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은 핸들(2)의 연장축(A-A')과 혼용된다. 공기 분배관(21)과 핸들(2) 각각의 연장축(A-A', D-D')은 그 자체로 상기 바람직하게 고려된 바와 같이, 부속품(6)의 회전축(C-C')과 혼용된다. 상기 공기 분배관(21)은 유리하게 부속품(6)의 케이싱(17) 내부에, 부속품이 핸들(2)에 연결되었을 때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17)은 공기 분배관(21)의 튜브(25) 둘레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도 10). 공기 분배관(21)은 유리하게 핸들(2) 내부에 마련된 유도 채널(8)을 원뿔대형 튜브(25)의 대형 기부를 통하여 연장하고, 대형 기부 위치에는 공기 분배관(21)의 공기 유입구(24)가 배치된다. 따라서 튜브(25) 내부에서 기류(F) 통로의 유효 단면적은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을 따라서 핸들(2)에서 멀어짐에 따라 감소한다. 공기 분배관(21)은 유리하게 각각의 유효 단면적이 동일하고, 중공 튜브(25)의 측벽(29)-측벽(29)은 기밀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2개의 동일한 공기 분배 출구(22, 23)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공기 분배 출구(22, 23)는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종방향 연장되는 직사각형 개구부의 형태를 갖는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 23)은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에 대하여 거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공기 분배관(21)의 튜브(25)의 거의 원뿔대형의 형태는,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을 따라 튜브(25) 내부에서 순환하고 공기 분배 출구들(22, 23)을 통하여 방출되는 기류(F)의 프로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마련된다. 한편, 공기 분배관(21)은 공기 분배 출구들(22, 23) 위치에 배치된 전향 플랩(30)을 유리하게 포함하여, 방사상 방향, 즉 유리하게 공기 분배관(21)의 연장축(D-D')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공기 분배 출구들을 통한 공기 분배를 용이하게 하고 그와 같이 분배된 기류(D)의 프로필을 균일하게 하고자 한다. 반면에, 부속품(6)은,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속품이 핸들(2)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공기 분배관(21)의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 23)이 각각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 통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1 및 제2 배관부(31, 32)를 유리하게 포함한다.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배관부(31, 32)는 유리하게 부속품(6)의 케이싱(17)의 제1 케이싱 요소(17)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유리하게는, 특히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공기 분배관(21)이 부속품(6)의 케이싱(17)의 해당 내면과 밀착 회전 연동함으로써,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와 공기 분배관(21)의 제2 공기 분배 출구(23)와의 통기 및 상호적으로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와 공기 분배관(21)의 제1 공기 분배 출구(22)와의 통기를, 부속품이 점유하는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도 5)에 따라 교대로 금지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택된 일 변형예에 따르면, 부속품(6)은 그 외에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 별개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배기구와 별개의) 제3 (메인) 배기구(33)를 포함하고, 부속품(6)은 제2 각도 구성을 -전술한 상기 제1 각도 구성과 교대로- 점유하도록 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의 회전축(C-C')을 따라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2 각도 구성에서는 상기 부속품(6)은 상기 제3 배기구(33)만을 통하여 기류를 송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속품(6)은 그와 같이 적어도,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를 통하여 부속품(6)에 의해 기류가 송풍되는, 전술한 상기 제1 각도 구성(도 1, 도 2, 도 5, 도 6, 도 10, 도 12)과 상기 제3 배기구(33)만을 통하여 부속품(6)에 의해 기류가 송풍되는 제2 각도 구성(도 3, 도 4, 도 7, 도 13) 사이에서 위치전환 되기 위하여 회전축(C-C')둘레로 핸들에 대하여 회전식, 피벗식으로 유리하게 장착된다. 다시 말하자면, 부속품(6)은 핸들(2)에 대하여, 피벗 연결에 의해, 따라서 핸들(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피벗에 의해 사용자가 부속품(6)의 제1 및/또는 제2 배기구(15, 16) 혹은 제3 배기구(33) 중에서 상기 부속품(6)에 의하여 송풍되는 기류가 통과하게 될 배기구를 교대로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유리하게 고안되고 구성된다.
그러한 이유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채택할 때는, 기기(1)의 공기 분배관(21)의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 중 아무것도 부속품(6)의 제3 배기구(33)와 통기하지 않는 반면,
-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구성을 채택할 때는, 기기(1)의 공기 분배관(21)의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 중 적어도 하나가 부속품(6)의 제3 배기구(33)와 통기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 중 아무것도 상기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및/또는 해당하는 경우 보조 배기구)와 통기하지 않도록,
유리하게 고안되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러한 특성은 공기 분배관(21)과 부속품(6)의 케이싱(17)의 해당 내면과의 긴밀한 회전 연동에 의해 보장된다(도 5 내지 도 7).
따라서, 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에 의해 공기를 송풍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위치전환될 수 있는 "블로우 브러시" 사용 모드로부터,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따라서 기류가 부속품(6)의 제3 배기구(33)를 통하여 기본적으로 송풍되는 것에 해당하는 다른 사용 모드로 유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도면들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품(6)의 상기 케이싱(17)은 상기 제3 배기구(33)를 착장하고 있는 제2면(18B)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7)의 제1면 및 제2면(18A, 18B)은 그 경우 부속품(6)의 케이싱(17)의 종방향 연장축(C-C') 및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회전축(C-C')의 양측에 위치된다. 부속품(6)은 그 외에 바람직하게는,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들(22,23) 중 적어도 하나와 부속품(6)의 상기 제3 배기구(33) 사이에서,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구성에 있을 때, 통기를 보장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3 배관부(34)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부속품(6)의 상기 제3 배기구(34)의 유효단면적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배관부(34)의 출구 단부(35)의 윤곽으로 한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부속품(6)의 케이싱(17)은 전술한 케이싱의 제1 요소(17A)에 결합되고(예를 들어 나사식 또는 스냅식으로) 케이싱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된 단일체이거나 아닌 케이싱의 제2 요소(17B)를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싱의 상기 제2 요소(17B)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3 배관부(34)를 포함할 수 있거나, 모든 적절한 수단으로 케이싱의 상기 제2 요소(17B)에 움직이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배기구(33)는 유리하게 전반적으로 직사각형의 종장형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기류는 에어 블레이드 형태로 배출됨). 대안예로서, 상기 제3 배기구(33)는 예를 들어, 전반적으로 원형인 개방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기류는 거의 원통형 또는 원뿔대형으로 배출됨). 따라서, 부속품(6)이 핸들(2)에 대하여 상기 제2 각도 구성을 점유하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유리하게 사용자의 모발 건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헤어드라이어" 모드). 유리하게는, 제2 각도 구성은 그 경우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유일한 소정의 각도 방향(또는 위치)(따라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변하지 않음)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부속품(6)이 회전축(C-C')에 대하여 유일한 소정의 각도 방향 또는 위치를 따라 배향되지 않으면, 기류는 부속품(6)에 의해 상기 제3 배기구(33)를 통하여 유리하게 송풍될 수 없다. 따라서 부속품(6)은 제3 배기구(33)를 통하여는 소정의 유일한 평균 방향을 따라 기류를 송풍할 수 있도록 유리하게 되어 있다. 물론 부속품의 제3 배기구(33)는 상기 개시한 형태와는 다른 형태의 하나 또는 다수의 개방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부속품(6)이 핸들(2)에 대하여 그러한 제2 각도 구성에 있을 때, 더욱 일반적으로 모발 건조 이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기기(1)는 대안으로서, 상기 제2 각도 구성에서 부속품(6)의 핸들(2)에 대한 각도 방향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가변할 수 있도록(더 이상 유일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블로우 브러시" 기능 모드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대안적 기능/사용 모드,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특히 선택된 제3 배기구(33) 형태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모드와 결합하는, 다기능 기기(소위 "투-인-원"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유리하게 구성한다.
설계 및 제조 상의 단순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기(1)는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중 하나에서 나머지 하나로의 전환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유리하게 고안되고 구성된다. 특히, 부속품(6)의 케이싱(17)은 유리하게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2)을 잡고 나머지 손으로는 상기 케이싱(17)을 파지함으로써, 부속품(6)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중 하나로부터 나머지 하나로 전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케이싱(17)[및 따라서 부속품(6)]에 직접 개입하여 부속품(6)이 핸들(2)에 대하여 회전축(C-C') 중심으로 피벗 운동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부속품(6)이 회전축(C-C') 둘레로 90°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부속품(6)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중 하나에서 나머지 하나로 전환될 수 있게 하도록 고안되고 구성된다. 그러나 각도 값은 실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부속품(6)의 제1 각도 구성으로부터 제2 각도 구성으로의 전환은 예를 들어 대안예로서 회전축(C-C') 둘레로의 부속품(6)의 180° 각도 회전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부속품(6)이 전술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을 교대로 점유할 수 있도록, 유리하게 고안되고 구성되는 바람직한 경우에,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을 잠금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잠금 수단은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블로우 브러시" 모드)을, 상기 부속품(6)이 그 구성에 있을 때 회전축(C-C')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이탈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그 경우에도 물론 상기 잠금 수단은 소정의 각도범위를 따라 회전축(C-C') 둘레로 부속품(6)이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지는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잠금 수단은 그 외에, 상호적으로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구성(예를 들어 "헤어드라이어" 모드)을, 부속품(6)이 그 각도 구성에 있을 때, 회전축(C-C')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이탈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사용자가 상기 잠금 수단에 의해 부속품(6)의 잠금 및/또는 열림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제어용 부재(36)도 유리하게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 수단은,
- 상기 잠금 수단이, 부속품(6)을 그 부속품이 잠금되어있는 상기 제1 각도 구성(및 바람직하게는 상호적으로 상기 제2 각도 구성)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그 부속품(6)을 회전축(C-C')을 따라 핸들(2)에 대하여 회전구동시킬 모든 가능성을 기계식으로 제지하는, 잠금 구성과,
- 상기 잠금 수단이 그와 반대로, 부속품(6)을 그 부속품이 점유하고 있는 상기 제1 각도 구성(및 바람직하게는 상호적으로 상기 제2 각도 구성)으로부터, 그 부속품이 교대로 점유할 수 있는 제2 각도 구성(및 바람직하게는 상호적으로 제1 각도 구성)으로 유리하게 복귀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부속품(6)을 상기 회전축(C-C')을 따라 핸들(2)에 대하여 회전구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열림 구성
사이에서 가역적으로 전환하도록 유리하게 고안된다.
잠금 구성에서 열림 구성으로, 그리고 상호적으로 열림 구성에서 잠금 구성으로 전환되려면, 부속품(6)의 잠금/열림 제어용 부재(36)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적극적 작용이 필요하다. 실제로, 핸들(2)에 대한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의 각도 구성에서 일단 잠금되면, 사용자가 잠금 수단의 열림을 명령하기 위하여 제어용 부재(36) 상에 적극적 작용을 선행하지 않으면 부속품(6)은 그것이 있는 각도 구성을 이탈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부속품(6)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중 하나 및/또는 나머지 하나의 구성에 있고 잠금 수단이 잠금 구성에 있을 때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모든 수동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어용 부재는 핸들(2) 및 부속품(6)과는 기능적으로 독립적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하 상술될 바와 같이 제어용 부재(36)가 핸들(2) 또는 부속품(6)에 착장되고 탑재될 수 있다 해도 핸들 및 부속품 자체로는 상기 제어용 부재(36)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특히, 부속품(6)의 열림은 사용자가 핸들(2) 및/또는 부속품(6) 전체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제어될 수는 없다.
따라서 기기(1)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부속품(6)의 각도 구성을 "블로우 브러시" 모드(제1 각도 구성)에서 잠금할 가능성이 있음으로써, 특히 사용자가 기기(1)를 이용하여 모발을 브러시할 때, 사용자의 모발과 부속품(6)의 기계식 모발 삽입용 요소(12)와의 상호작용이 회전축(C-C') 둘레로 부속품(6)을 피벗하게 하고 따라서 부속품을 그것의 제1 각도 구성 "블로우 브러시" 모드에서 이탈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호적으로, 부속품의 각도 구성을, 예를 들어 "헤어드라이어" 모드(제2 각도 구성)로 잠금하도록 기기(1)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추가 가능성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기기(1)를 이용하여 기기(1)의 핸들(2)을 잡고 있는 손의 손목 회전운동을 번갈아 실행하여 모발을 건조할 때, 부속품(6)이 관성에 의해 회전되고 그것의 "헤어드라이어" 제1 각도 구성을 불시에 이탈하게 되는 것을 특히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이 점유하는 각도 구성을 잠금하는 그러한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상 다수의 일상적 불쾌감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게 하고 헤어스타일링 기기(1) 사용 상의 높은 신뢰감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각도 구성의 급격한 변환을 유발하는 부속품(6)의 원치않는 회전으로 인하여 원치않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온 기류가 불시에 투사되는 것을 특히 방지한다는 점에서, 상기 잠금 수단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특별히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잠금 수단의 덕분으로 기기(1)의 과열 및 손상 위험이 제한되기도 하는데, 위험도 경우에 따라 부속품(6)의 원치않는 회전으로 기인할 수 있기 때문이며, 그러한 회전은 부속품(6)을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이외의 각도 위치로 보냄으로써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로 투사되는 것을 강하게 저지하거나 나아가 완전히 금지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유리하게 다수의 다양한 사용 모드에 따라 사용 가능하고(다기능 기기), 사용자가 하나의 사용 모드에서 다른 사용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핸들에 대한 부속품(6)의 구성/배향을 변동하기만 하면 충분하므로 특히 단순하고 실용적일 뿐 아니라, 동시에,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작동 중에 점유하고 있는 각도 구성을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한 이탈할 수 없으므로 특히 신뢰성 있고 안전하다.
경우에 따라,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부속품(6)의 그러한 잠금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기기(1)는 부속품(6)이 점유하고 있는 각도 구성을 이탈할 수 있는 부속품의 역량을 완전히 금지하지는 않으면서 제한하기 위하여,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회전을 제한하는 수단을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한 수단은 예를 들어 한 쌍의 자석, 볼록형 손잡이들(culs-de-poule)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제한 수단은 그 외에 부속품(6)이 해당 각도 구성에 잘 있는지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하는 표시 수단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부속품(6)과 핸들(2)에 대하여 충분한 토크를 인가함으로써 부속품(6)을 상기 각도 구성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여전히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부속품(6)이 제1 각도 구성("블로우 브러시" 모드)을 이탈하는 것을, 상기 부속품(6)이 그 구성을 점유하고 있을 때 금지하기 위한,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은 잠금 수단, 및 부속품(6)이 제2 각도 구성(예를 들어 "헤어드라이어" 모드)을 이탈하는 것을, 상기 부속품(6)이 그 구성을 점유하고 있을 때, 완전히 금지하지는 않으면서도 제한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제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잠금 수단의 열림 구성은 불안정한 구성이고, 그 결과 상기 잠금 수단은 그것이 열림 구성에 있을 때 자연적으로 저절로 그것의 잠금 구성으로 복귀하는 경향을 갖는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안전성이 증가하는데, 이는 잠금 수단의 제어용 부재(21) 상에 사용자의 적극적 작용이 없으면 잠금 수단은 자연히 그것의 잠금 구성으로 복귀하는 경향을 가지고 따라서 부속품(6)을 고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부속품(6)이 그 경우 잠길 수 있게 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 중 하나의 구성을 점유하는 한]. 그러므로, 잠금 수단의 잠금 구성은 그와 같이 유리하게 사용자에 의한 제어용 부재(36)의 개입 없이 자연적으로 잠금 수단이 점유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휴식 위치이다.
잠금 수단이 부속품(6)을 제1 각도 구성("블로우 브러시" 모드)으로 잠금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러나 부속품(6)이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전술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는 전환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 수단은 유리하게 볼트(37) 및 모서리 그루브(3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즉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 아치 형태의 개방부(또는 개구부)로서 그 내부에, 제동 장치를 형성하는 상기 모서리 그루브(38)의 2개의 양측 맞은 편의 단부(39, 40) 사이에 상기 볼트(37)를 수용하는 개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 그루브(38)의 길이는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를 한정하고 경계설정하도록 유리하게 선택된다. 볼트(37)가 일단 상기 모서리 그루브(38) 내에 잠금 수단의 잠금 구성에서 수용되면, 상기 볼트(37) 및 모서리 그루브(38)의 상대적 이동(및 따라서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피벗 운동)은 모서리 그루브(38)의 서로 맞은 편 단부들(39, 40)에 의해 제한된다. 잠금 수단의 열림 구성에서는, 볼트(37)는 모서리 그루브(38)와 연동할 수 있지 않으며, 그 결과 부속품(6)을 회전시키는 장애물이 더 이상 없고 따라서 부속품은 제1 각도 구성을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유리하게는, 모서리 그루브(38)는 부속품(6)과 결합되는 반면, 볼트(37)는 핸들(2)과 결합되고, 이로써 특히 부속품(6)의 설계가 단순화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7)는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 단면의 강성 로드("연결핀") 형태를 유리하게 취할 수 있고, 상기 강성 로드는, 로드의 적어도 일부가 모서리 그루브(38)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잠금 구성)와 역으로 로드 전체가 상기 모서리 그루브(38) 외부에 배치되는 위치(열림 위치) 사이에서 그 종축을 따라 슬라이딩 병진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속품(6)은 유리하게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그루브(38)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식으로 장착되는 중개 부품(28)을 포함한다. 상기 중개 부품(28)은 상기 개시된 설명에 따른 상기 제3 중간 각도 위치로 부속품(6)을 자동 복귀시키는 수단을 유리하게 포함하는 2개의 인장 용수철(26, 27)을 통하여 부속품(6)에 기계식으로 연결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철(26, 27) 각각의 일 단부는 부속품(6)의 케이싱(17)의 제1 내부 지지면과 맞닿게 되고, 나머지 일 단부 각각은 상기 중개 부품(28)에 연결되고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용수철들(26, 27)은, 중개 부품(28)이 모서리 그루브(38) 내부에서, 중개 부품(28)의 일 단부가 모서리 그루브(38)의 상기 단부(39, 40) 중 하나에 맞닿는 제1 극단 위치와 중개 부품(28)의 맞은편 단부가 모서리 그루브(38)의 상기 단부들(39, 40) 중 나머지 하나에 맞닿는 제2 극단 위치 사이에서 오실레이팅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 한편, 중개 부품(28)은 유리하게 부품의 단부들로부터 동일거리로, 볼트(37)를 그 내부에 밀착 수용하고 따라서 부속품(6)을 상기 제1 각도 구성으로 잠금하도록(도 12), 따라서 부속품(6)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C-C')을 따른 일정 각도 위치를 부여하도록 설계된 제1 천공(41)을 구비한다.
모서리 그루브(38) 내부에서 중개 부품(28)의 상기 제1 및 제2 극단 위치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에 각각 유리하게 해당되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부속품(6)은 핸들(2)에 대하여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있을 때 위치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속품(6)이 볼트(37)와 모서리 그루브(38)의 협동으로 제1 각도 구성에 잠금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들은 상기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있을 때 축(C-C')을 중심으로 한 부속품(6)의 자유 회전, 오실레이팅 진폭을 제한하는 제동용 극단 위치들을 유리하게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모서리 그루브(38)는, 예를 들어 모서리 그루브(38)의 단부들(39, 40)로부터 등거리로 위치되고, 부속품(6)이 제1 각도 구성에 잠금되어 있을 때 볼트(37)의 원위 단부가 그 내부에 밀착 수용될 수 있는, 제2 오리피스(도시되지 않음)를 유리하게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부속품(6)은 이미 상술된 제3 각도 위치에서, 볼트(37)와 모서리 그루브(38) 내에 마련된 상기 제2 오리피스[및, 중개 부품(28)이 설치된 경우 중개부품의 상기 제1 중공(41)]와의 협동으로써 유리하게 잠금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에 잠금되어 있을 때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부속품(6)이 피벗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할 것이다.
부속품(6)이 제1 구성("블로우 브러시" 모드)에 있을 때, 그러한 휴식용 제3 중간 위치를 점유하도록 마련되지 않은 경우, 중개 부품(28)이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을 것이고 볼트(37)가 모서리 그루브(38)의 단부들(39, 40)에 직접(더는 간접적이지 않게) 맞닿게 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각도 구성(예를 들어 "헤어드라이어" 모드)은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유일한 소정의 각도 배향에 유리하게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잠금 수단이 그 외에,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구성을, 상기 고려된 바와 같이 상기 부속품(6)이 각도 구성을 점유하고 있을 때, 이탈하는 것을 유리하게 상호적으로 금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 수단은 그 외에 부속품(6)의 케이싱(17) 내에 마련된 제3 중공(42)을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중공은 그 내부에, 부속품(6)을 상기 제2 각도 구성에서 잠금하기 위하여, 볼트(37)를 밀착 수용하도록 형성된다(도 13).
따라서 잠금 수단의 잠금 구성에서, 볼트(37)는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회전 방향으로 현저한 간극 없이 제3 중공(42) 내부에 포획된다.
기기(1)가, 부속품(6)의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각도 구성(제1 각도 구성만이 아닌)이 소정의 각도 범위(각각의 각도 구성에 대하여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은 범위) 내에서 가변하는 부속품(6)의 각도 배향을 허용하도록 고안되었다고 가정하면, 그리고 부속품(6)을 잠금하기 원한다고 가정하면, 잠금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 및 2개의 별개의 해당 모서리 그루브를 유리하게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모서리 그루브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속품(6)이 잠금되어야 하는 각도 구성이 제1 구성인지 제2 구성인지에 따라 그 내부에 상기 볼트(37)를 교대로 수용하도록 고안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잠금 수단의 제어용 부재(36)는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로서, 사용자가 제어용 부재(36)를 직접 수동으로 작동함으로써 잠금 수단에 의해 부속품(6)의 잠금/열림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볼트(37)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잠금 수단이, 적어도 잠금 수단이 상기 잠금 구성에 있는 잠금 위치와 잠금 수단이 상기 열림 구성에 있는 열림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어용 부재(36)의 효과로 이동하도록 유리하게 장착된다. 그러한 변형예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신뢰성 있도록 실시하기에 유익하다. 유리하게는, 자동 제어용 부재에 관한 것일 수 있을 것인데, 그 경우 사용자는 잠금 수단에 의해 부속품(6)의 잠금/열림을 제어하기 위하여 간접적으로 제어용 부재를 다룰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자동 제어용 부재는 예를 들어 한편은 잠금 수단에 다른 한편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및/또는 조절용 수단(10)에 연결된, 헤어스타일링 기기(1) 작동용 전자계전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수동 제어 및/또는 조절 수단(10)을 작동하면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작동을 개시하면, 자동 제어용 부재가 예를 들어 부속품(6)이 점유하고 있는 각도 구성에서 잠금 수단을 잠금하도록 자동으로 명령할 것이다. 따라서 부속품(6)의 각도 구성을 변환하려면, 사용자가 다시 제어 및/또는 조절 수단(10)을 부속품(6)의 자동 열림을 명령하도록 작동함으로써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잠금 수단의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부속품(6)이 아닌 핸들(2)에 이동식 장착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유리하게 기기(1)의 핸들(2)을 잡고있는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를 취급할 수 있고, 이로써 헤어스타일링 기기(1)에 특히 인체공학적인 특성을 부여한다. 역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핸들(2)의 일 단부 위치에 장착되는데, 그 단부로부터 부속품(6)이 핸들(2)을 연장하는 측 단부이며,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핸들(2)의 상기 제2 단부(4) 위치에 해당된다. 따라서 회전식 부속품(6)과 핸들(2)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최 근접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의 그러한 위치는, 특히 복잡한 결합 수단의 필요성을 제한하면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와 잠금 수단 사이의 기계식 연결부의 더욱 단순하고 더욱 신뢰성 있으며 부피는 더 작은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의 다양한 기계식 양태가 고려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택된 특히 단순한 변형예에 따르면,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바람직하게는 핸들(2)의 종방향 연장축(A-A')을 따라 직선 병진이동식으로 유리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핸들(2) 내에 마련된 슬라이드 홈(43)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 슬라이더(36)로 유리하게 형성된다. 대안예로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바람직하게는 핸들(2)의 종방향 연장축(A-A') 둘레로 회전 이동식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대안예로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핸들(2)의 종방향 연장축(A-A')을 따르고 그 둘레로, 즉 나선형 연결로, 병진이동식 및 회전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2개의 대안예에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핸들(2) 내에 마련된 해당 환형 그루브 또는 목부(neck) 내부에서 회전 이동 또는 병진-회전 이동하도록 장착되는 환형 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덜 유리한, 또 다른 대안예에 따르면,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핸들(2)의 종방향 연장축(A-A')과 교차(예를 들어 수직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진이동식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경우,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는 푸시버튼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상기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가 잠금 수단의 상기 열림 위치에 있을 때[그리고 사용자가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 상의 모든 직접적 동작을 중단할 때],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를 잠금 수단의 상기 잠금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마련된 복원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개시된, 잠금 수단의 열림 구성의 유리한 불안정한 특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원 수단은 상기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잠금 위치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를 탄성적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인장 또는 압축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수철을 포함하는 탄성 복원 수단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 수단은, 도 8에서 투명하게 도시된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는 핸들(2) 표면과 기계식 수동 제어용 부재(36)의 각각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인장 용수철(44, 45)을 유리하게 포함하는, 그러한 탄성 복원 수단이다. 물론, 탄성(블레이드 용수철, 압축 용수철 등) 또는 비탄성(자석 쌍 등)의 다른 복원 수단들이 제어용 부재(36)를 잠금 수단의 상기 잠금 위치로 자동으로 복원시키는 그러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대안으로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또 다른 변형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부속품(6)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가변 각도 배향을 허용하는 상기 제1 각도 구성만을 점유하고, 따라서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배기구(15, 16)를 통하여 기류를 송풍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회전진동할 수 있도록, 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의 회전축(C-C')을 따라 회전식으로 장착된다("블로우 브러시" 모드만 있음). 따라서 특히, 변형예에 따르면, 기기의 부속품(6)은, 상기 부속품(6)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각도 구성을 점유할 때 부속품(6)이 그것을 통하여 기류를 송풍하게 되어있는 제3 배기구(33)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가 제동용 극단 위치를 구성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그 경우 소정의 각도 범위를 기계식으로 한정하도록, 따라서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회전, 오실레이팅의 각도 위치를 기계식으로 경계설정하도록 고안되고 배치되는 보조 제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 변형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부속품(6)은 핸들(2)에 탈부착식으로 연결되고 조립되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상기 부속품(6)을 세척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핸들(2)로부터 부속품(6)을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택된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부속품(6)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2)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 결합되어 유지되고,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2)로부터 분리될 수 없게(통상의 사용시) 마련되도록 고안된다. 이로써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뿐 아니라 사용도 단순화된다. 이를 위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 분배관(21)은 핸들(2)의 연장축(A-A')과 수직인 평면 내에서 펼쳐지는 환형 주연 입술부(46)를 핸들(2)의 제1 단부(3) 근방에 유리하게 구비한다. 부속품(6)은 유리하게 상기 환형 주연 입술부(46)와 상보적이고 그 중앙에 슬라이딩 식으로 입술부를 수용하도록 고안된 환형 목부를 유리하게 포함한다. 그러한 상보적 환형 목부는 전형적으로, 부속품(6)의 케이싱(17)의 제1 및 제2 케이싱 요소들(17A, 17B)에 의해 각각 착장되는 목부분(47A, 47B)을 포함하며(도 9 및 도 11), 목부분들은 상기 환형 주연 입술부(46)을 포획하고 따라서 케이싱의 상기 제1 및 제2 요소들(17A, 17B)이 서로 고정되면 부속품(6)의 회전식 조립을 보장하게 한다.

Claims (16)

  1. 기류(F)를 생성하기 위한 송풍 모듈(5), 수동 파지용 핸들(2) 및 핸들(2)에 연결된 부속품(6)을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이며,
    상기 부속품(6)은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 및 서로 별개이고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의 양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1)는 핸들(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장착되고 핸들(2)의 일 단부(3)로부터 연장되는 공기 분배관(21)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분배관(21)은 서로 다른 평균 방향들을 따라 송풍 모듈(5)에 의해 생성된 기류(F)를 분배하기 위하여 서로 별개이고 이격된 2개의 공기 분배 출구(22, 23)를 포함하고, 상기 부속품(6)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부속품(6)의 핸들(2)에 대한 가변 각도 방향을 허용하는 적어도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하기 위하여 회전축(C-C')을 따라 핸들(2)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제1 각도 구성에서 상기 부속품(6)은:
    -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공기 분배 출구들(22, 23) 중 제1 공기 분배 출구가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와 통기되는 제1 각도 위치와,
    -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공기 분배 출구들(22, 23) 중 제2 공기 분배 출구가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와 통기되는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될 수 있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각도 위치는 제1 각도 구성의 서로 맞은 편의 극단 위치이고,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는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0°인,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부속품(6)의 제2 배기구(16)와 공기 분배관(21)의 제2 공기 분배 출구(23)와의 통기는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금지되고, 부속품(6)의 제1 배기구(15)와 공기 분배관(21)의 제1 공기 분배 출구(22)와의 통기는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금지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는,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2)를 향하여 상기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요소(13)의 지지면(14)과 거의 접선 방향으로 기기(1)의 외부로 기류를 송풍하도록 마련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할 때, 부속품(6)은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의 중간 각도 위치에 있는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할 수 있고, 그 위치에서 공기 분배관(21)의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22, 23)는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 동시에 통기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6. 제5항에 있어서, 제3 각도 위치는 휴식 위치이고, 상기 부속품(6)은 부속품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한 위치 또는 나머지 한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부속품(6)을 상기 제3 각도 위치로 자동으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 수단(26, 27)을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7. 제6항에 있어서, 복원 수단(26, 27)은 서로 반대로 작동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인장 용수철(26, 27)을 포함하는, 부속품이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한 위치 또는 나머지 한 위치를 점유할 때,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관(21)은 부속품(6)의 핸들(2)에 대한 회전축(C-C')과 평행하거나 혼용되는 연장축(D-D')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분배 출구(22, 23)가 상기 기류(F)를 분배하게 되어 있는 방향들(D1, D2)은 공기 분배관(21)의 상기 연장축(D-D')과 165° 내지 195°의 각을 형성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회전축(C-C')은 상기 핸들(2)의 종방향 연장축(A-A')과 혼용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6)은,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는 별개인 보조 배기구로서,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위치 또는 상기 제2 각도 위치 중 점유한 위치에 따라, 공기 분배관(21)의 제1 공기 분배 출구(22) 및/또는 제2 공기 분배 출구(23)와 통기하도록 마련된, 보조 배기구를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기구는 기계식 모발손질용 메인 부재(12)의 위치에서 부속품(6)의 상기 제1 및 제2 배기구(15, 16) 사이에 배치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6)은 부속품(6)의 제1 및 제2 배기구(15, 16)와는 별개의 제3 배기구(33)를 포함하고, 상기 부속품(6)은 상기 부속품(6)이 상기 제3 배기구(33)만을 통해서 기류를 송풍할 수 있는 제2 각도 구성을 점유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C-C')을 따라 핸들(2)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구성은 핸들(2)에 대한 부속품(6)의 유일한 소정의 각도 배향에 해당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기기(1)는 그 외에 핸들(2)에 대하여 부속품(6)을 잠금하는 수단 - 상기 부속품(6)이 상기 제1 각도 구성을 점유할 때 부속품(6)이 제1 각도 구성에서 이탈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하여 마련됨 - 및 기기(1)의 사용자가 상기 잠금 수단에 의해 부속품(6)의 잠금 및/또는 열림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용 부재(36)를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그 외에 부속품(6)이 상기 제2 각도 구성을 점유할 때 부속품(6)이 제2 각도 구성을 이탈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
KR1020200180621A 2019-12-23 2020-12-22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KR20210081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5506 2019-12-23
FR1915506A FR3104917A1 (fr) 2019-12-23 2019-12-23 Appareil de coiffure ameliore formant une brosse soufflante oscilla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279A true KR20210081279A (ko) 2021-07-01

Family

ID=7091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621A KR20210081279A (ko) 2019-12-23 2020-12-22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45091A1 (ko)
JP (1) JP2021098007A (ko)
KR (1) KR20210081279A (ko)
CN (1) CN113080594A (ko)
FR (1) FR3104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1238S1 (en) 2022-06-02 2024-04-02 Sharkninja Operating Llc Hair care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8782A (en) * 1998-02-04 2000-03-21 Vital Hair Tools, Llc Blow dryer having airflow control means
ITMI20060011A1 (it) * 2006-01-04 2007-07-05 Leopoldo Matteo Bazzicalupo Dispositivo asciugacapelli
GB2548821B (en) * 2016-03-24 2019-10-02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98007A (ja) 2021-07-01
CN113080594A (zh) 2021-07-09
EP3845091A1 (fr) 2021-07-07
FR3104917A1 (fr)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3100103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styling hair
US9609941B2 (en) Hair styling tool with movable dividers
JP5959434B2 (ja) 手持ち式ヘアドライヤ
US10143284B2 (en) Hair dryer apparatus
JP7151021B1 (ja) ヘアケアユニット
KR20210081279A (ko)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CN114599251A (zh) 带有可定向旋转附件的美发器具
US20170095050A1 (en) Multiple Purpose Hair Dryer
KR20210081281A (ko) 핸들에 대한 위치의 잠금이 가능한 회전식 부속품을 갖는 다기능 헤어스타일링 기기
KR20210106555A (ko) 회전식 헤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US6671460B1 (en) Hand-held electrical appliance such as a hair drier provided with position adjustable control members
US11510472B2 (en) Rotary blower brush with improved ergonomics
KR20210105979A (ko) 이동식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위치에 제어된 동작을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US20240115027A1 (en) Haircare appliance
KR200489452Y1 (ko) 고데기 겸용의 헤어 드라이기
KR20240033238A (ko) 송풍식 헤어스타일링 기기용 회전식 부속품
KR20230076142A (ko) 핸드헬드 기기
CN114599252A (zh) 带有可定向的吹风附件的美发器具
KR20240021838A (ko)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RU2789219C2 (ru) Парикмахерский прибор с подвижной головкой и работ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и регулируемой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положения указанной головки
RU2814087C1 (ru) Парикмахер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риентируемым воздуходув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RU2811970C1 (ru) Парикмахер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риентируемым вращающимся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CN117500407A (zh) 具有改进的摆动吹风机-刷模式的头发造型器具
CN218791017U (zh) 一种可切换吹风梳
CN115227015A (zh) 具有可定向附件和附件的锁定装置的美发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