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1838A -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 Google Patents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1838A
KR20240021838A KR1020237045126A KR20237045126A KR20240021838A KR 20240021838 A KR20240021838 A KR 20240021838A KR 1020237045126 A KR1020237045126 A KR 1020237045126A KR 20237045126 A KR20237045126 A KR 20237045126A KR 20240021838 A KR20240021838 A KR 2024002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tton
push
blowing
control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티외 퓌앵
조안 사바티에
아르노 그리에네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4002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1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A45D20/124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comprising rot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48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with intern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52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adapted for heating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e.g. air stream
    • A45D20/525Hair-drying combs or hair-drying brushes, adapted for heating by an external heating source, e.g. air stream by an independent heating source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내의 공기의 스트림의 상이한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공기의 스트림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기는 상기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상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의 장치의 각각의 전환을 제어하는 푸시-푸시 버튼(20)을 갖는 제어 메커니즘(19)을 포함한다. - 헤어스타일링 기기.

Description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가정용 헤어스타일링 기기(hairstyling appliances)의 일반적인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모발의 건조 및/또는 쉐이핑(shap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 스트림(air stream)을 송풍하도록 설계된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분야에서, 하나의 단일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모발 건조 및/또는 쉐이핑 기술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기기에 다기능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송풍 모드에 따라 모발을 향해 공기 스트림을 송풍하도록 설계된 기기가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핸들 및 송풍기 헤드를 포함하고, 송풍기 헤드는 고온 또는 저온인 강제 공기의 스트림을 사용자의 모발을 향해 유도하기 위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휴대형 헤어 드라이어가 알려져 있다. 강제 공기 스트림은 상기 공기 출구를 통해 나올 때까지, 기기 내에서 하나의 단일 경로를 따른다. 이들 헤어 드라이어의 송풍 모드를 수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유용한 공기 통로 섹션 및/또는 공기 송풍 방향을 수정하고, 따라서 특정 모발 건조 및/또는 쉐이핑 기술의 구현에 적합한 복수의 다양한 송풍 모드를 정의하기 위해, 탈착 가능 여부에 무관하게, 공기 출구의 레벨에 부가의 부속품이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만족스럽기는 하지만, 이들 알려진 헤어 드라이어는 그럼에도 몇몇 단점을 갖는다. 특히, 헤어 드라이어를 일 송풍 모드로부터 다른 송풍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사용자가 부속품을 조립/분해하는 작업, 또는 공기 출구의 레벨에서 미리 조립된 부속품을 취급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작업은 때때로 지루한 것으로 판명될 수도 있는데, 이는 기기의 사용의 용이성과 그 인간공학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부속품(들)을 취급할 때 무시할 수 없는 화상 위험, 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이들 부속품이 단순히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되지 않고 사용자가 이들을 사용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에게 접근 불가능할 때, 부속품의 분실의 위험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할당된 목적은 특정 전문적인 헤어스타일링 기술을 갖지 않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특히 실용적이고 사용이 간단한 새로운 다기능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간공학적 설계와 특히 직관적인 사용을 갖는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사용이 특히 안전한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간단하고 소형 구성을 갖는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강건하고 신뢰적인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외부의 상보적인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복수의 별개의 작업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할당된 목적은 기기 내의 공기 스트림의 상이한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공기 스트림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이며, 상기 기기는 상기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상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의 기기의 각각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푸시-푸시 버튼을 갖는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덕분에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단지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예로서만 주어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주어진 설명의 숙독시에 더 상세히 나타나고 드러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 도 2는 도 1의 기기를 후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기기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기기를 부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 도 5는 기기의 제1 송풍 모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I-III(도 3 참조)에 따른 절두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기기의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의 버튼은 해제 위치에 있다.
- 도 6은 제1 송풍 모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설계 상세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을 강조하기 위해, 몇몇 요소는 생략되어 있고, 다른 요소는 투명하게 되어 있고, 버튼은 해제 위치에 있다.
- 도 7은 제1 송풍 모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I-III에 따른 절두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버튼은 누름 위치에 있다.
- 도 8은 제1 송풍 모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설계 상세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을 강조하기 위해, 몇몇 요소는 생략되어 있고, 다른 요소는 투명하게 되어 있고, 버튼은 누름 위치에 있다.
- 도 9는 기기의 제2 송풍 모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I-III에 따른 절두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버튼은 해제 위치에 있다.
- 도 10은 제2 송풍 모드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설계 상세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특히,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을 강조하기 위해, 몇몇 요소는 생략되어 있고, 다른 요소는 투명하게 되어 있고, 버튼은 해제 위치에 있다.
- 도 11은 도 1의 기기의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의 동작 상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 도 12는 그 작동 요소가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도 1 참조)에 따른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기기는 그 제1 송풍 모드에 있다.
- 도 13은 그 작동 요소가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에 따른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기기는 그 제1 송풍 모드에 있다.
- 도 14는 그 작동 요소가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에 따른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기기는 그 제1 송풍 모드에 있다.
- 도 15는 도 1 내지 도 4의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송풍기 헤드를 섹션 I-I에 따른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기기는 그 제2 송풍 모드에 있다.
- 도 16은 도 1 내지 도 4의 기기를 섹션 II-II(도 2 참조)에 따른 종방향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기기는 그 제2 송풍 모드에 있다.
- 도 17은 기기의 부가의 유리한 설계 요소를 도 1 내지 도 4의 기기의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 비한정적인 실시예가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손으로 파지하고 조작되도록 설계된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전문적인 헤어스타일링 기술을 갖지 않는 사용자에 의해, 즉, 모발 건조 뿐만 아니라 스타일링 및 쉐이핑의 견지의 모두에서 가정용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의도된 헤어스타일링 기기(1)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사용자가 스스로, 즉 그/그녀의 모발에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그럼에도,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제3 자의 모발에 사용자에 의해 사용을 위해 설계된 것으로 완벽하게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공기 스트림(F)의 상이한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공기 스트림(F)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는 사용자에 의해 대안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모발을 향해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유리하게는 "다중 모드" 또는 "다기능" 기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공기 스트림(F)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송풍 모드에 따라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부의 상이한 (공기역학) 경로를 따르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따라서 공기 스트림(F)은 상기 송풍 모드 중 제1 모드에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경로를 따른다. 상기 송풍 모드 중 제2 모드에서, 공기 스트림(F)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다른 경로, 즉, 송풍 모드 중 제1 모드에서 공기 스트림(F)이 따르는 경로(들)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경로를 따른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기 송풍 출구(2) 및 하나의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포함하고, 따라서 공기 스트림(F)은 선택된 송풍 모드에 따라,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공기 스트림(F)이 따르는 경로에 따라,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 중 하나 또는 모두(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을 향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로부터 송풍되도록 의도된다. 서로 별개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는 유리하게는 교대로가 아니라 동시에 존재한다. 따라서, 공기 스트림(F)은 유리하게는 제1 송풍 모드에 따라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제1 주어진 경로를 따른 후 제1 공기 송풍 출구(2)를 통해 및/또는 제2 송풍 모드에서 제1 경로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제2 주어진 경로를 따른 후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통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상이한 공기 경로의 구현예는 특히 공기 송풍 출구(2, 3)의 선택된 구성 및 형상, 이들 공기 송풍 출구의 상대 배열 등에 따라, 상당히 상이한 송풍 모드의 정의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는 공기 스트림(F)이 가능하게는 대향하는 각각의 상이한 방향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이격한 공기 송풍 출구(2, 3)를 통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로부터 송풍되는 송풍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송풍 모드는 유리하게는 "송풍 브러시" 모드에서의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동작 모드에 대응할 수도 있고, 반면 제2 송풍 모드는 유리하게는 "헤어 드라이어" 모드에서의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동작 모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송풍 모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모발 건조 및/또는 쉐이핑의 견지에서 의도되는 용도에 따라 다른 송풍 모드가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실제로, 상이한 송풍 모드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동일한 주어진 송풍 모드는 가능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부의 공기 스트림(F)의 복수의 상이한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취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파지되도록 의도된 수동 파지용 핸들(4)(또는 그립)을 포함한다. 핸들(4)은 통상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연장축(A-A')을 따라 종방향으로, 제1 단부(5)와 대향 제2 단부(6) 사이에서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핸들(4)은 성인 사용자에 의해 전체 손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길고 가는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핸들(4)에 연결되고 유리하게는 전술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를 갖는 송풍기 헤드(7)를 더 포함하여, 공기 스트림(F)이 따라서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를 통해 사용자의 모발의 방향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되도록 의도되게 된다. 그럼에도, 대안적으로, 송풍기 헤드(7)는 공기 송풍 출구(2, 3) 중 하나를 가질 수 있고, 반면 공기 송풍 출구(2, 3) 중 다른 하나는 핸들(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공기 스트림 발생 수단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 환경에서 주위 공기로부터 공기 스트림(F)을 개시하기 위한 송풍기 모듈(8)(또는 "모터-팬 유닛")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송풍기 모듈(8)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에 내장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주위 공기가 사용자의 모발의 방향으로 송풍되기 위해 송풍기 모듈(8)에 의해 흡입될 수 있는 공기 입구(9)가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통상적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하는 송풍기 모듈(8)은 핸들(4) 내에 또는 송풍기 헤드(7)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더 바람직하게는, 송풍기 모듈(8)은 핸들의 제2 단부(6)의 레벨에서 핸들(4)에 조립되어, 송풍기 모듈(8)이 유리하게는 핸들의 제2 단부(6)를 넘어 핸들(4)을 연장시키게 된다.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는 핸들의 제1 단부(5)의 레벨에서 핸들(4)에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기 모듈(8)은 송풍기 헤드(7) 및 핸들(4)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풍기 헤드(7)와 핸들(4)의 일반적인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경제적으로 높은 유량을 갖는 공기 스트림(F)을 발생하기 위해 송풍기 모듈(8)을 크기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송풍기 모듈(8)의 이러한 배열은, 핸들(4)이 모듈 송풍기(8)와 송풍기 헤드(7)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핸들(4)의 양 측면에 질량을 분배함으로써,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중량을 더 양호하게 균형화하는 것을 유리하게 허용한다. 이는 기기(1)의 인간공학 및 사용의 쾌적함에 기여한다. 더욱이, 이는 송풍기 모듈(8)을 사용자의 귀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이동시키고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동작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소음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송풍기 모듈(8)이 핸들(4) 내에 배열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의 제2 단부(6)의 레벨에서 핸들(4)과 조립되는 경우,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이어서 유리하게는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송풍기 헤드(7)까지 안내하여 채널링하기 위해 핸들(4)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10)(도 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이드 채널(10)은 유리하게는 독특할 수도 있어서,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공기 스트림(F)이 따르는 상이한 경로의 공통 부분을 정의하게 된다. 그럼에도, 대안적으로, 여러 개의 별개의 가이드 채널이 구현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기기(1)의 설계 및 제조의 간단성은 손상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공기 스트림(F)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따라서 상기 가이드 채널(또는 채널들)(1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되는 공기 스트림(F)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의도된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부에 내장된 가열 요소는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되는 공기 스트림(F) 내에 개재되도록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는 유리하게는 핸들(4)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10) 내부에 위치된다(도 16). 가열 요소는 통상적으로 절연 코어(11) 주위에 권취된 전기 전도성 와이어(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형성된 전기 가열 저항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 요소이다.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는 송풍기 헤드(7)에 수용될 수 있지만, 송풍기 헤드의 소형화는 손상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 특히 송풍기 모듈(8) 및/또는 가열 요소의 전기 동작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제어 및/또는 설정을 위한 수단(12)을 포함한다. 이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 유형, 푸시 버튼 유형 및/또는 슬라이드 또는 노브 배리에이터(variator) 유형의 설정 수단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전기적으로 활성화/비활성화하고 송풍기 모듈(8)의 팬의 회전 속도, 및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스트림(F)의 속도/유량, 및/또는 가열 요소의 가열 온도를 수정하기 위해 설정 수단 상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수동 제어/설정 수단(12)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와 같이 송풍기 모듈이 핸들(4)의 제2 단부(6)에서 조립될 때, 핸들(4)의 레벨 또는 송풍기 모듈(8)의 레벨에 위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가열 요소의 턴온 및/또는 턴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그 제1 단부(5)에서, 예를 들어 핸들(4)의 레벨에 배열된 냉풍/온풍 스위치(13)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휴대용 전기 기기를 구성하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바람직하게는 그 자유 단부에 전기 연결 플러그(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는 전원 코드(14)를 통해, 메인 소켓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전력 공급되도록 설계된다.
일 변형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르면, 송풍기 헤드(7)는 핸들(4)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립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송풍기 헤드(7)를 세정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핸들(4)로부터 송풍기 헤드(7)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구현된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송풍기 헤드(7)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4)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핸들(4)로부터 분리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정상 사용 시). 이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 및 사용의 모두를 간단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스트림(F)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은, 선택된 송풍 모드에 따라, 모듈 송풍기(8)에 의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를 향해 유도하기 위한 공기 유도 부재(15)(또는 "공기 편향 부재" 또는 "편향기")를 포함한다. 이 관점에서, 공기 유도 부재(15)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송풍 모드 중 제1 송풍 모드에 따라 제1 공기 송풍 출구(2)를 향해(바람직하게는 단지 향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유도하는 제1 공기 방향 구성과,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송풍 모드 중 제2 송풍 모드에 따라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향해(바람직하게는 단지 향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유도하는 제2 공기 방향 구성 사이에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는 그것이 점유하는 공기 방향 구성에 따라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공기 스트림(F)의 상이한 경로를 정의하거나 적어도 정의하는 데 기여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는 송풍기 헤드(7) 내부에 배열되는데, 이는 송풍기 헤드의 간단한 소형 설계에 기여한다. 공기 유도 부재(15)는 이어서 유리하게는 핸들(4) 내에 형성된 가이드 채널(10)로부터 나오는 공기 스트림(F)을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더욱 더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는 가이드 채널(10)로부터 나오는 공기 스트림(F)을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송풍 출구(2, 3) 중 어느 하나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공기 유도 부재(15)는 핸들(4) 내부에 배열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핸들의 소형화를 손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는 핸들(4)의 일 단부로부터 그리고 통상적으로 핸들(4)의 제1 단부(5)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기 유도 덕트(또는 "공기 편향 덕트", "편향기 덕트" 또는 "배럴")를 형성한다. 공기 유도 부재(15)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도 출구(16A)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공기 스트림(F)은 공기 유도 부재(15)에 의해 점유된 공기 방향 구성에 따라,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를 향해(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를 향해) 공기 유도 부재(15)에 의해 유도된다. 송풍기 모듈(8)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핸들(4) 내에 또는 핸들(4)의 제2 단부(6)에 배열되는 경우, 공기 유도 부재(15)는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수집하기 위해 핸들(4)의 공기 가이드 채널(10)에 연결된 공기 입구(17)(도 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는 유리하게는 핸들(4)의 제1 단부(5)를 넘어 공기 가이드 채널(10)을 연장시킨다.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에 의해 형성된 공기 유도 덕트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는 중공 튜브(18)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입구(17)를 형성하기 위해 그 단부 중 하나에서 개방된 중공 튜브(18)는 이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유도 출구(16A)가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기밀 벽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또한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의 공기 스트림(F)의 경로를 수정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19)을 포함한다. 제어 메커니즘(19) 상에 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따라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 중에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송풍 모드 중 어느 하나를 교대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공기 스트림(F)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할지를 선택하고,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메커니즘(19)은, 전술된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가능하게 포함할 수 있는 냉풍/온풍 스위치(13) 및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기적 동작의 수동 제어 및/또는 설정 수단(12)과 별개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어 메커니즘(19)은,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의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각각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푸시-푸시 버튼(20)을 갖는 제어 메커니즘(19)(또는 "푸시-푸시 운동학적 제어 메커니즘", 또는 "푸시-푸시" 버튼을 갖는 제어 메커니즘)이다.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의도된 제어 메커니즘(19)은 따라서,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 또는 적어도,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환으로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푸시(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를 변환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19)은 유리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유도 부재(15)에 연결된다.
이러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 덕분에, 동일한 푸시 방향에 있을 때마다,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간단한 푸시 작용의 반복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각각의 송풍 모드 변경을 제어하기 때문에,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사용은 따라서 특히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따라서,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각각의 푸시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상이한 송풍 모드를 갖는 횟수만큼 제어 메커니즘(19)이 연속적으로 작동된 후에 초기 송풍 모드로 복귀할 때까지, 주어진 초기 송풍 모드로부터 다음 송풍 모드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주기적인 전환을 제어하는 등이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공기 스트림(F) 발생 수단이 단지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공기 스트림(F)을 발생하도록 의도되면,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푸시는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동작 모드(제1 송풍 모드)로부터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2 동작 모드(제2 송풍 모드)를 향해, 이어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동작 모드로부터 제2 동작 모드를 향해 등으로 교대 전환을 제어한다.
유리하게는,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각각의 전환을 순수 기계적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 메커니즘(19)은,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 또는 적어도,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환으로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푸시(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를 기계적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유리하게는 임의의 전기적 또는 전기 기계적 구성요소가 없어, 그 설계가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신뢰적이게 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유리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버튼(20)에 인가되는 푸시의 영향 하에서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의 각각의 이동을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이동으로 기계적으로 변환하도록 공기 유도 부재(15)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는 유리하게는,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과 공기 유도 부재 사이에 전기 기계적 연결을 설정할 것이고, 즉, 사용자에 의해 버튼 상에 인가된 기계적 푸시를 공기 유도 부재(15)에 연결될 전기 액추에이터의 전기 명령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될 것인 전기 기계적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순수 기계적 제어 메커니즘(19)의 구현예는 헤어스타일링 기기가 턴온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송풍 모드를 수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에 의해 예상되지 못한 방향, 예를 들어 그/그녀의 얼굴을 향한 즉각적인 공기 송풍의 위험이 따라서 제한되는 점에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사용의 안전성이 개선된다. 그럼에도,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헤어스타일링 기기가 동작 중인 동안 사용자가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송풍 모드를 변경할 가능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단하게 유지된다. 더욱이, 전기 기계적 제어보다는, 송풍 모드 변경의 순수한 기계적 제어의 구현예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동작 신뢰성을 개선시키고, 그 제조 및 사용 비용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일 변형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르면,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의 버튼은 쌍안정성 버튼이다. 통상적으로, 제어 메커니즘은 이어서, 버튼이
-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제1 푸시의 영향 하에서 제1 안정 위치(소위 해제 위치)로부터 제2 불안정 위치(소위 불안정한 누름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제1 푸시가 중단될 때 탄성 복귀 부재의 영향 하에서, 상기 제1 안정 위치와 제2 불안정 위치의 중간인 제3 안정 위치(소위 안정한 누름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복귀하게 구성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버튼은 이어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송풍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안정한 누름 위치에 일시적으로 로킹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제어 메커니즘은, 버튼이 상기 제1 푸시에 연속적이고 따라서 버튼이 언로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제2 푸시의 영향 하에서 상기 제3 안정한 누름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불안정한 누름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제2 푸시가 중단될 때, 탄성 복귀 부재의 영향 하에서, 제1 안정한 해제 위치를 향해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쌍안정성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은 소위 "카디오이드(cardioid)" 메커니즘 운동학을 구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더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단안정성 버튼(20)이다. 따라서, 제어 메커니즘(19)은 바람직하게는, 버튼(20)이
-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제1 안정 위치(소위 해제 위치)로부터 제2 불안정 위치(소위 누름 위치)를 향해 전환하고(도 5 내지 도 8 및 도 11의 (a) 및 (b)), 이어서
-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누름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해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이 관점에서, 제어 메커니즘(19)은 이어서 유리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해제 위치를 향해 버튼(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복귀 부재(21)를 포함한다(도 9, 도 10 및 도 11의 (c) 및 (d)).
이 "단안정성" 변형예는, 버튼(20)이 체계적으로 해제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선택된 송풍 모드에 무관하게 사용자에 의해 여전히 접근 가능하게 유지되는 점에서, 전술된 "쌍안정성" 변형예보다 더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단안정성" 변형예는 설계가 더 간단하고 사용이 더 강건성이다.
일 변형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르면, 제어 메커니즘은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푸시를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환으로 변환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단일 푸시는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전환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이 다른 송풍 모드에 있으면, 사용자는 이어서 버튼(20) 상에 그/그녀의 푸시 힘을 인가하는 것을 정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구현된 다른 더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푸시를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를 향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환, 즉 전이로 변환하고,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상기 안정한 해제 위치를 향한 버튼(20)의 자동 복귀의 영향 하에서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의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이를 자동으로 완료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송풍 모드 변경은 이어서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에 의해서만 개시되고, 이어서 제어 메커니즘(19)에 의해 자동으로 완료된다. 특히, 이는 사용자에 대해 더 용이하고, 더 직관적이며, 더 신속한 송풍 모드 변경을 허용한다.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송풍 모드 변경을 명령하기 위해 버튼(20)에 대해 푸시를 인가할 때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게 되도록(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과) 의도된 접촉 부분(22) 또는 상호 작용 부분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버튼(20)의 접촉 부분(22)은 버튼(20) 상에 인가된 푸시의 부재시에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제어 메커니즘(19)은 유리하게는, 적어도 버튼(20)의 접촉 부분(22)이 버튼(20) 상에 인가된 푸시의 부재시에(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9), 즉 그 휴지 모드에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 표면 위에 배열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이는 버튼(20)에 대한 접근 및 사용자에 의한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또한 고온일 수 있고, 따라서 화상의 위험이 있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 표면과 사용자 사이의 접촉의 위험을 제한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어 메커니즘(19)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송풍 모드로부터 다른 송풍 모드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버튼(20)이 그 누름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도 7) 버튼(20)의 접촉 부분(22)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 표면 아래를 통과하도록(즉, 버튼(20)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내부에 완전히 격납되어 후퇴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주변 요소와 버튼(20)의 상호 작용에 의한 비의도적 송풍 모드 변경의 위험이 유리하게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핸들(4)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버튼(20)의 비의도적 조작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핸들(4)의 레벨이 아니라 송풍기 헤드(7)의 레벨에 배열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버튼(20)은 핸들(4)을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이 닿을 수 없도록 핸들(4)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버튼(20)은 핸들(4)에 대향하여 송풍기 헤드(7)의 레벨에 배열될 수도 있다. 핸들(4)을 잡고 있는 사용자 손의 하나의 손가락으로는 접근 불가능한 버튼(20)은 따라서 사용자의 다른 손의 손가락으로는 완벽하게 접근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공기 분배 부재(15)의 다양한 운동학이 고려될 수도 있다. 특히,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를 간단화하고 그 소형화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기 유도 부재(15)는 그럼에도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사이에서 회전축(B-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어 메커니즘(19)은 이어서 상기 회전축(B-B')을 중심으로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라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공기 유도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전환을 제어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4)에 대해 회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축(B-B')은 바람직하게는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에 평행하거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일치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과 공기 유도 부재(15)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고, 따라서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기계적 푸시 힘을 공기 유도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제어 메커니즘(19)은 바람직하게는 캠을 형성하고 한편으로는 공기 유도 부재(15)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른 한편으로는 버튼(2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 결합 부분(23)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캠과 협력하는 종동자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24)(또는 롤러)에 고정되어, 버튼(20) 상에 인가된 각각의 푸시가 회전축(C-C')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 및 그 회전축(B-B')을 중심으로 하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대응 회전을 야기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잔여부에 대해 특히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핸들(4)에 대해 병진축(D-D')을 따라 순수한 직선 병진을 위해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버튼(20)의 이동은 순수한 직선 병진 이동, 즉, 직선 활주 연결에 따른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 힘과 동일한 평균 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할 때 사용자에 대한 버튼(20)의 위치 및 배향에 무관하게, 버튼(20)의 취급은 사용자에게 특히 용이하고 직관적이다. 대안적으로, 설계 및 크기의 간단성의 견지에서, 뿐만 아니라 인간공학의 견지에서도 덜 유리하지만, 버튼(20)은 예를 들어 경사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20)의 접촉 부분(22)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원호의 곡선 궤적을 커버하도록 성형되고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버튼(20)은 버튼(20)의 직선 병진축(D-D')이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과 일치하도록 회전 결합 부분(23)에 대해 배열된다. 따라서,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각각의 푸시는, 버튼(20)과 회전 결합 부분(23) 사이의 임의의 중간 부분의 바람직한 부재로 인해 특히 간단하고 소형인 설계에 따라, 버튼(20)의 직선 병진 이동, 및 바람직하게는 직접 버튼(20)의 병진축(D-D')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을 야기한다. 대안적으로, 버튼(20)의 직선 병진축(D-D')은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에 평행하게 그리고 회전 결합 부분에 대해 오프셋되게 제공되고, 또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에 비스듬하거나 직교하게 제공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제어 메커니즘(19)의 설계의 간단성 및 소형화가 손상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결합 부분(23)은 공기 유도 부재(15)에 대해 회전이 고정되고,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은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회전축(B-B')과 일치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버튼(20)의 각각의 이동은,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공통 회전축(B-B', C-C')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결합 부분(23)과 공기 유도 부재(15)의 공동 회전을 야기한다. 이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 및 동작의 간단성과 신뢰성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 결합 부분(23)과 공기 유도 부재(15)는 형상 맞춤(form fitting)에 의해 함께 조립되고 나사 결합, 클립 고정/스냅 끼워맞춤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회전 결합 부분(23)과 공기 유도 부재(15)는 가능하게는 함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 결합 부분(23)은 더 구체적으로 홈이 있는 드럼 캠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 결합 부분(23)은 적어도 하나의 축대칭성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홈(25)의 2개의 대향 측벽에 의해 경계 한정되는 캠 경로를 형성하고 버튼(20)에 고정된 종동자를 형성하는 핀(24)에 의해 교차되도록 의도된 홈(25)이 제공된다. 따라서, 핀(24)은 홈(25) 내에 포획되는데, 이는 버튼(20)과 회전 결합 부분(23) 사이의 신뢰적인 기계적 연결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홈(25)은 주연에 있어, 축대칭성 원통형 부분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하고 자체로 폐쇄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회전축(C-C')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은 각각의 송풍 모드 변경 명령에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버튼(20)은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과 일치하는 그 직선 병진축(D-D')을 따라 순수한 직선 병진을 위해 장착된다. 버튼(20)은 회전 결합 부분(23)의 축대칭성 원통형 부분과 중첩하는 직선 병진축(D-D')을 따라 축대칭인 원형 섹션을 갖는 관형 측방향 스커트 부분(26)을 포함한다. 버튼(20)은, 버튼(20)과 회전 결합 부분(23) 사이의 기계적 연결의 신뢰성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하나의 단일 핀(24)에 연결되지 않고, 직선 병진축(D-D')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된 종동자를 형성하는 2개의 핀(24)에 연결된다. 각각의 핀의 자유 단부 부분이 여기서 회전 결합 부분(23)에 의해 형성된 홈이 있는 드럼 캠의 홈(25) 내에 수용된다. 버튼(20)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잔여부에 대해, 특히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핸들(4)에 대해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보장하고, 직선 병진축(D-D')을 따른 버튼(20)의 병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각각의 핀(24)의 대향 자유 단부 부분은 핸들(4)에 대해 고정 부분에 형성된 각각의 직사각형 구멍(27) 내에 수용된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단 버튼(20)이 회전 결합 부분(23)의 축대칭성 원통형 부분과 중첩하도록 조립되면, 각각의 핀(24)은 버튼(20)의 관형 측방향 스커트 부분(26)의 벽을 통해 형성된 오리피스에 강제로 장착된 원통형 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어, 종동자를 형성하는 이러한 핀(24)을 형성하는 핀의 부분은 버튼(20)의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게 되고, 반면 핀의 대향 부분은 버튼(20)의 외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직사각형 구멍(27) 중 하나 내에 포획되게 된다.
유리하게는,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 복귀 부재(21)를 포함한다. 탄성 복귀 부재(21)는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그 안정한 해제 위치(휴지 위치)를 향해 버튼(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와 같이, 압축 스프링은 한편으로는 버튼(20)의 내부 표면에 대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표면에 대해 접촉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회전 결합 부분(23)에 의해 형성된 캠은:
-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푸시-푸시 버튼 제어 메커니즘(15)의 버튼(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단지 하나의 제1 부분에 대해,
-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탄성 복귀 부재(21)와 캠의 공동 영향 하에서 대향 방향으로 버튼(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나머지에 대해, 하나의 공기 방향 구성으로부터 다른 공기 방향 구성으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대응 전환에 의해 하나의 송풍 모드로부터 다른 송풍 모드로의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른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이 수행되도록 성형되고 구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변형예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송풍 모드 변경은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에 의해서만 개시되고, 송풍 모드 변경은 사용자가 제어 메커니즘의 버튼(20)의 푸시를 정지한 후에, 제어 메커니즘(19)에 의해 자동으로 종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그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공기 방향 구성으로 전환하게 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라 공기 유도 부재(15)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일부만을 제공하면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는 특히 사용자에게 더 용이하고, 더 직관적이며, 더 신속한 송풍 모드 변경을 허용한다. 더욱 더 유리하게는, 캠은, 버튼(20) 상에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50% 미만에 대해(예를 들어, 단지 30% 또는 40%에 대해), 이어서,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탄성 복귀 부재(21)와 캠의 공동 영향 하에서 대향 방향으로 버튼(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나머지에 대해(즉, 50% 초과, 예를 들어 60% 또는 70%에 대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른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이 달성되도록 성형되고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특징은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향 기울기를 갖는 램프(29A, 29B)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캠 경로 부분(28A, 28B)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된 홈이 있는 드럼 캠의 홈(25)에 의해 정의된 캠 경로의 프로파일을 변조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고, 종동자를 형성하는 핀(24)에 의한 그 커버리지는 이하와 같이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라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을 야기한다. 우선, 사용자가 버튼을 해제 위치로부터 누름 위치를 향해 유도하기 위해 버튼(20) 상에 푸시를 인가할 때, 핀(24)은 제1 경사부(29A)를 형성하는 홈(25)의 측벽 중 하나에 대해 지지하면서 활주함으로써 제1 캠 경로 부분(28A)을 커버하여, 이에 의해 제1 회전각(θ1)에 따라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을 야기한다(도 11의 (a) 및 (b)). 이어서, 사용자가 버튼(20)을 푸시하는 것을 정지할 때, 탄성 복귀 부재(21)는 그 해제 위치(휴지 위치)를 향해 버튼(20)을 자동으로 복귀시키고, 핀(24)은 이어서 이 때 제1 경사부(29A)의 것에 대향하는 기울기를 갖는 제2 경사부(29B)를 형성하는 홈(25)의 측벽 중 다른 하나에 대해 지지하면서 활주함으로써 제2 캠 경로 부분(28B)을 커버하고, 핀(24)은 탄성 복귀 부재(21)의 영향 하에서 제2 경사부(29B)에 대해 눌러져서, 이에 의해 제2 회전각(θ2)에 따라 회전 결합 부분(23)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강제한다(도 11의 (c) 및 (d)). 제1 경사부(29A)의 기울기는 제2 경사부(29B)의 기울기보다 더 가파르고 더 뚜렷해지도록 선택되어, 제1 회전각(θ1)은 따라서 제2 회전각(θ2)보다 더 작게 되고, 제1 및 제2 회전각(θ1, θ2)의 합은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 각도(θ1)는 사용자에 의한 푸시에 의해 개시되는 이동에 대응하고, 반면 제2 각도(θ2)는 전술된 자동 상보적 이동에 대응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구성으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전환은 90°의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을 갖고 그 회전축(C-C')을 중심으로 하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버튼(20) 상에 인가된 4회의 연속적인 푸시의 영향 하에서 그 회전축(C-C')을 중심으로 360° 회전함으로써, 공기 유도 부재(15)는 유리하게는 그 각도 구성을 4회 변경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사이에서 교대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홈이 있는 드럼 캠은 여기서:
-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그 안정한 해제 위치로부터 그 불안정한 누름 위치를 향해 버튼(20)의 순수한 직선 병진 이동에 의해 단지 36°(제1 회전각(θ1))(즉, 40%)에 대해,
-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 탄성 복귀 부재(21)와 홈이 있는 드럼 캠의 공동 영향 하에서, 그 불안정한 누름 위치로부터 그 안정한 해제 위치를 향해, 버튼의 대향 방향으로 순수한 직선 병진 이동에 의해 나머지 54°(제2 회전각(θ2) = θ-θ1)에 대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라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이 달성되도록 성형되고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특히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이 있는 드럼 캠의 홈(15)의 측벽은 적어도 2개의 절결부(30A, 30B)를 갖고, 여기서 핀(들)(24)은 교대로 끼워맞춤되어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어느 하나를 점유하고 버튼(20) 상에 사용자에 의해 인가된 푸시가 중단될 때(도 11의 (a) 및 (d)) 종동자(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특히, 이는 공기 유도 부재(15)가 그에 의해 점유된 공기 방향 구성을 비의도적으로 벗어나는 위험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기기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안정한 로킹을 보장함으로써 기기의 사용의 쾌적함과 안전성을 개선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과 공기 유도 부재(15) 사이의 전술된 바와 같은 기계적 연결에 제한되지 않고, 특히 공기 유도 부재(15)의 배열, 형상 및 구성, 공기 유도 부재의 이동성(피봇, 병진 등), 버튼(20)의 배열, 버튼의 이동성(회전, 병진, 기울임 등)에 따라 다른 적합한 운동학적 체인이 대안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다른 캠 형상이 고려될 수 있지만(단일 드럼 캠 등), 홈이 있는 드럼 캠의 구현예는 전술된 이유로 더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구현된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송풍기 헤드(7)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 작동 요소(31)(또는 작동 "플레이트" 또는 "패드")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31)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공기 송풍 출구(2)를 갖고, 특히 사용자의 모발을 브러싱하고, 스타일링하고, 그리고/또는 빗질하기 위해 사용자의 모발과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 가능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를 포함한다. 작동 요소(31)는 통상적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외부를 향해 지향된 지지 표면(34)이 제공되고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가 고정되는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는 지지부(33)에 체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지지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지지 표면(34)으로부터 돌출하는 브러시 강모 및/또는 스파이크의 복수의 행 또는 바아(32A, 32B, 32C)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작동 요소(31)는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 및 그 지지부(33)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고 작동 요소(31)를 측방향으로 경계 한정하는 측방향 패널(31A, 31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송풍 모드는 유리하게는, 공기 스트림(F)이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공기 송풍 출구(2)를 통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될 때까지 헤어스타일링 기기(1)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경로를 따르는 소위 "송풍 브러시" 모드에 대응한다. 유리하게는, 이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제1 공기 송풍 출구(2)는 제1 송풍 출구 부분(2A)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서로 별개이고, 따라서 일치하지도 않고 연속되지도 않으며,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31)는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과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를 갖고,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동시에 존재하고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유리하게는 모발 맞물림 요소의 대향 측방향 에지를 따라,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에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송풍 모드에서, 공기 스트림(F)은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통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송풍기 헤드(7)는 핸들(4)에 대해 고정되고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각각 갖는 케이스(35)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스(35)는 핸들의 제1 단부(5)에서 핸들(4)에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스(35)의 외부 표면은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의 일반적인 외부 형상 및 윤곽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공기 송풍 출구(3)는 에어 블레이드의 형태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세장형 형상을 갖는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공기 송풍 출구(3)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 형상으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을 갖는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2 송풍 모드는 유리하게는 "헤어 드라이어" 모드에 대응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의 작동 요소(31)는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가 케이스(35) 외부로(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케이스(35) 내에 배열된다(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를 위해, 케이스(35)는 작동 요소(31)를 수용하는 개구 또는 노치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작동 요소(31)는 스타일링될 모발을 향해, 송풍기 헤드의 외부를 향해 지향된 송풍기 헤드(7)의 제1 면을 형성하는 외부 표면(36)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외부 표면(36)은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지지부(33)의 표면(34)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스(35)의 전방 또는 위가 아니라, 송풍기 헤드(7)의 케이스(35) 내에 작동 요소(31)를 수용하는 것은 몇몇 장점을 갖는다. 우선, 케이스(35)는 따라서 작동 요소(31)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일종의 보호 인클로저를 형성하는데, 이는 송풍기 헤드(7)의 기계적 충격의 경우에 작동 요소(31)에 대한 손상의 위험, 뿐만 아니라 작동 요소(31)의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스트림(F)이 고온일 때 작동 요소(31)와의 접촉에 의한 사용자의 화상의 위험을 제한한다. 케이스(35) 내의 작동 요소(31)의 일체화는 또한 송풍기 헤드(7)의 전체 크기를 제한하는 것을 허용하고, 따라서 송풍기 헤드의 소형 설계를 허용한다. 더욱이, 케이스(35)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한 손으로 핸들(4)에 의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잡고 다른 손으로 송풍기 헤드(7)를 잡는, 통상적으로 두 손으로의 헤어드레싱 제스처의 맥락에서, 사용자에 의해 송풍기 헤드(7)의 수동 파지를 위한 영역을 제공하여, 이에 의해 작동 요소(31)와 송풍기 헤드(7)를 잡고 있는 사용자의 손 사이의 기계적 상호 작용의 위험을 제한한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특히 강건하고, 인간공학적이고, 소형이며 안전한 설계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케이스(35)(더 일반적으로는 송풍기 헤드(7))는 케이스(35)가 그 제1 단부(5)를 넘어 핸들(4)을 연장시키는 레벨의 하단부(37)와 대향 상단부(38) 사이에서, 평균 연장축(E-E')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스(35)가 핸들(4)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동안, 작동 요소(31)는 유리하게는, 공기 스트림(F)이 제1 송풍 출구 부분(2A)을 통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각도 위치와, 공기 스트림(F)이 제2 송풍 출구 부분(2B)을 통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송풍되도록 의도되는, 제1 각도 위치와 별개인 적어도 하나의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회전축(F-F')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4)에 대해 회전 피봇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31)는 미리 결정되고 유리하게는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축(F-F')을 중심으로 피봇함으로써 핸들(4)에 대해 복수의 상이한 각도 배향(또는 위치)을 점유할 수 있다. 작동 요소(31)는 회전축(F-F'') 주위로 다소의 회전 위도를 갖고, 따라서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핸들(4)에 대해 피봇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과 작동 요소(31)의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 사이의 상호 작용은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 상에 사용자의 모발에 의해 인가되는 견인력의 영향 하에서 핸들(4)에 대한 작동 요소(31)의 피봇을 야기할 수도 있다.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제1 송풍 모드가 선택될 때, 이는 이어서 헤어 브러싱 또는 스타일링 방향에 따라, 그리고 따라서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작동 요소(31)의 피봇 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공기 스트림(F)은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하여 모발을 브러싱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특정 작용 또는 반영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발의 뿌리부터 끝까지, 항상 사용자의 모발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송풍된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특히 만족스러운 헤어스타일링 및 쉐이핑 효과를 용이하게 얻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전체 송풍기 헤드(7)가 아니라 단지 작동 요소(31)만이 핸들(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는 사실이 주어지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특히 인간공학적이고 심지어 특정 전문 헤어스타일링 기술을 갖지 않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이 용이하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제1 공기 방향 구성(제1 송풍 모드, 도 12 내지 도 14)을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가 작동 요소의 각도 위치에 따라,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공기 송풍(2)의 제1 출구의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를 향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반대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제2 공기 방향 구성(제2 송풍 모드, 도 15 및 도 16)을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가 송풍기 헤드(7)의 케이스(35)에 의해 지지된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향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이 관점에서, 공기 유도 부재(15)는 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공기 유도 출구(16A, 16B)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서로 별개이고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평균 방향에서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유도하여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2개의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를 형성하는 공기 유도 덕트의 중공 튜브(18)의 벽에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1 공기 분배 구성(제1 송풍 모드)을 점유할 때, 작동 요소(31)는 유리하게는
- 공기 유도 부재(15)의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제1 공기 유도 출구가 제1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과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하는 상기 제1 각도 위치(도 12, 공기 스트림(F)이 따르는 제1 대응 경로는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음)와,
- 공기 유도 부재(15)의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제2 공기 유도 출구가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B)과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하는 상기 제2 각도 위치(도 13, 공기 스트림(F)이 따르는 제2 대응 경로는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음) 사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에서 핸들(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1 공기 분배 구성을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어느 것도 송풍기 헤드(7)의 케이스(35)에 의해 지지된 제2 공기 송풍 출구(3)와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하지 않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반대로,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2 공기 분배 구성을 점유할 때(제2 송풍 모드),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공기 송풍 출구(3)와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어느 것도 이어서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와 공기역학적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각도 위치는 대향하는 극단 위치이고,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는 10° 내지 60° 사이에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사이에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사이에 포함되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에 포함된다(예를 들어, 24°). 이는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하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회전의 진폭(따라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 상에 모발에 의해 인가된 견인의 힘, 기간 및 거리)을 최적화함으로써, 기기(1) 상에 특히 인간공학적 사용을 부여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모든 길이의 모발에 유리하게 적응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각도 위치는 극단 정지 위치를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작동 요소(31)가 제1 각도 위치(도 12)를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2 공기 유도 출구(16B)와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B)의 공기역학적 연통을 방지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작동 요소(31)가 각각 제2 각도 위치(도 13)를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공기 유도 출구(16A)와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의 상호 공기역학적 연통을 방지하도록 또한 설계되고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작동 요소(31)가 제1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공기 스트림(F)은 단지 제1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을 통해서만 송풍되고, 반대로, 작동 요소(31)가 제2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공기 스트림(F)은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B)을 통해서만 송풍된다. 따라서,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된 전체 공기 스트림(F)은, 핸들(4)에 대해 작동 요소(31)에 의해 점유된 제1 또는 제2 각도 위치에 따라 각각,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하나에 의해서만 교대로 송풍될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특징은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의 설계를 간단화하는 것을 허용하여, 압력 손실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최적 헤어스타일링 결과를 위한 사용자의 모발을 향한 공기 스트림(F)의 송풍을 최적화하면서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에 대해 공기 분배를 더 신뢰적이게 한다.
제1 공기 송풍 출구(2)의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의 각각은 슬롯과 같은 세장형 연속 개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별개의 오리피스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오리피스의 세장형 연속 개구 또는 라인은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을 따라 일반적으로 지향되는 평균 방향에 따라, 주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양 측면에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의 다른 형상 및/또는 배향이 대안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를 향해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도록 성형되고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따라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양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 이 방식으로, 상기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하고 사용자의 모발이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와 맞물리는 동안 모발의 뿌리부터 끝을 향해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는 것을 허용하여, 이와 같이 송풍되는 공기 스트림(F)은 모발의 비늘(scales)을 폐쇄하고, 따라서 모발의 외관과 견고함을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방식으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지지 표면(34)에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 외부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도록 성형되고 구성되고, 이 표면(34)은 바람직하게는 송풍기 헤드(7)의 외부를 향해 만곡(볼록)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 스트림(F)의 경로는 실질적으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지지 표면(34)의 윤곽을 따른다(도 12 내지 도 14). 이 방식으로, 모발은 공기 스트림(F)의 영향 하에서, 특히 코안다(Coanda) 효과에 의해 송풍기 헤드(7)의 작동 요소(31)에 대해 눌러지거나 적어도 그를 향해 끌어당겨지는 경향이 있다. 더욱 더 유리하게는, 상기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이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를 향해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도록 또한 성형되고 구성될 때, 이는 모발이 공기 스트림(F)의 영향 하에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지지 표면(34)에 대해 눌러지거나 이 지지 표면을 향해 적어도 끌어당겨지게 한다. 이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는 스타일링 결과, 및 특히 헤어스타일링, 브러싱 및/또는 보강 효과의 개선에 기여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의 각각은 작동 요소(31)의 외부 표면(36)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별개의 돌출부(39)에 형성된 복수의 별개의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도면에서는, 상기 도면의 판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돌출부(39) 중 단지 일부만이 참조되어 있음). 따라서, 돌출부(39)는 유리하게는 빗질하여 모발을 분리하여 모발을 더 양호하게 건조 및/또는 쉐이핑하는데 기여하는 돌기 또는 치형부를 형성하고, 공기 스트림(F)은 복수의 별개의 오리피스에 의해 가능한 한 모발에 근접하여 유도된 복수의 별개의 공기 스트림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돌출부(39)의 양 측면에서 모발의 분리 및 양호한 분배의 이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2차 기계적 모발 맞물림 수단이 유리하게는 각각의 돌출부(39)(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상기 2차 기계적 맞물림 수단은 강모 및/또는 스파이크의 다발을 포함한다. 상기 2차 기계적 맞물림 수단은 또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발 견인력의 일부를 차지함으로써 작동 요소(31)의 적절한 배향에 기여하는데, 이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사용의 용이성과 쾌적함을 더 개선시킨다.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이 또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지지 표면(34)에 접선 방향으로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도록 성형되고 구성되는 바람직한 경우에, 상기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이어서 유리하게는 전술된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조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다시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방향으로, 공기 스트림(F)을 분할하여 상기 지지 표면(34)에 접선 방향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공기 출구 "스쿠프(scoops)", 즉, 엘보우 관형 덕트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돌출부(39)는 케이스(35)와 함께 상보적인 정지 수단을 정의하여,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를 기계적으로 경계 한정하고, 따라서 핸들(4)에 대한 작동 요소(31)의 회전, 진동, 위도를 기계적으로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작동 요소(31)가 제1 및 제2 각도 위치의 각도상으로 중간인 제3 각도 위치(특히 도 1, 도 3 및 도 14)를 점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되고, 여기서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과 동시에 공기역학적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작동 요소(31)가 상기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 공기 스트림(F)은 송풍기 헤드(7) 내에서 2개의 상이한 경로를 동시에 따른 후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에 의해 동시에 송풍될 수도 있다(도 1, 도 3 및 도 14). 유리하게는, 제3 각도 위치는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 내의 제1 및 제2 각도 위치에 대한 각도 중앙 위치이다. 더욱 더 유리하게는, 제3 각도 위치는 휴지 위치이고, 작동 요소(31)는 작동 요소(31)가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점유할 때 작동 요소(31)를 제3 각도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키도록 의도된,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복귀 부재(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발과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작동 요소(31) 상에 인가되는 힘의 부재시에, 작동 요소(31)는 유리하게는 제3 중간 각도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이후에 제1 및 제2 각도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데 필요할 것인 사용자의 모발과 작동 요소(31)의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작동 요소(31)의 회전의 힘 및 진폭이 유리하게 감소되는데, 이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사용의 용이성과 쾌적함을 더 개선한다. 예를 들어, 복귀 부재(40)는 굴곡시에 작동하는 판스프링(또는 스프링 판) 또는 굴곡시에 작동하는 스프링 로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도 4, 도 6, 도 8 및 도 10).
바람직하게는, 핸들(4)에 대한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은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에 평행하거나 일치한다. 따라서, 작동 요소(31)의 운동학은 간단하고 신뢰적이며,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특히 직관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은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에 평행하고, 작동 요소(31)에 대해 상기 종방향 연장축(A-A')으로부터 후방으로 오프셋되어 후퇴된다. 따라서,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은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과 작동 요소(31)의 외부 표면(31)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후퇴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이미 전술된 값의 범위, 및 따라서 개선된 인간공학에 따라 비교적 작은 미리 결정된 각도 범위(또는 각도 변위)의 정의를 가능하게 하고, 제한된 크기를 갖는 송풍기 헤드(7)를 유지하면서 이와 같이 한다.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는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도 덕트를 형성하는데, 이는 핸들(4)의 일 단부로부터, 통상적으로 핸들(4)의 제1 단부(5)로부터 종방향 연장축(G-G')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종방향 연장축은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축(B-B')과 일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에 평행하거나 일치한다. 더욱 더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종방향 연장축(G-G')은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에 평행하고, 작동 요소(31)에 대해 상기 회전축(F-F')의 전방에서 오프셋된다.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의 종방향 연장축(G-G')은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과 작동 요소(31)의 외부 표면(36)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종방향 연장축(G-G')은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과 평행하거나, 또는 더욱 더 유리하게는 일치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은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과 일치한다. 유리하게는, 핸들(4) 및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종방향 연장축(A-A', G-G'),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 및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은 평면(P1)에서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이들 특징은 한편으로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 및 동작의 간단성, 및 다른 한편으로는 그 인간공학 및 사용의 용이성에 기여한다. 물론, 본 발명은 그럼에도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예를 들어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은, 바람직하게는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에 평행하면서, 예를 들어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사이에 포함된 각도에 따라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에 대해 교차하는 것이 대안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도 부재(15)의 상기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서로 별개이고 이격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상이한 평균 방향으로 송풍기 모듈(8)에 의해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유도하고 분배하도록 유리하게 구성된다. 이 관점에서, 상기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종방향 연장축(G-G')에 대해 일반적으로 정대향 방식으로 위치된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유리하게는 기기(1) 및 특히 송풍기 헤드(7)의 제한된 크기를 유지하면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설계를 간단화하고 그 공기역학적 동작을 최적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공기 유도 부재(15)에 의해 형성된 공기 유도 덕트는 일반적으로 절두원추형 형상(상기에 고려된 바와 같이)을 갖는 중공 튜브(18)를 포함하고, 그 회전축은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종방향 연장축(G-G')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 유도 부재(15)의 종방향 연장축(G-G')은 여기서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과 일치한다. 핸들(4) 및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종방향 연장축(A-A', G-G')은 자체로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과 일치한다. 더욱이, 핸들(4) 및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종방향 연장축(A-A', G-G'),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은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에 평행하다. 후자는 후방으로 오프셋되고, 작동 요소(31)에 대해 상기 종방향 연장축(A-A')으로부터 후퇴된다(도 12 내지 도 15). 더욱이, 핸들(4) 및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종방향 연장축(A-A', G-G'),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 및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은 상기에 고려된 바와 같이, 평면(P1)(도 12 내지 도 15)에서 동일 평면상에 있다. 공기 유도 덕트는 여기서 송풍기 헤드(7)의 케이스(35) 내부에 수용되고, 그것이 연결된 핸들(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공기 유도 덕트는 공기 유도 덕트의 공기 입구(17)가 배열되어 있는 레벨에서, 절두원추형 튜브(18)의 큰 베이스를 통해 핸들(4) 내부에 형성된 공기 가이드 채널(10)을 연장한다. 따라서, 튜브(18) 내부의 공기 스트림(F)의 유용한 통로 섹션은 핸들(4)로부터 이격하여 이동할 때, 공기 유도 덕트의 종방향 연장축(G-G')을 따라 감소한다.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덕트는 중공 튜브(18)의 측벽을 통해 형성되는 동일한 각각의 유용한 섹션을 갖는 2개의 단일 공기 유도 출구(16A, 16B)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도 출구(16A, 16B)의 각각은 공기 유도 덕트의 종방향 연장축(G-G')을 갖는 평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구멍의 형태이다. 이 예에서,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공기 유도 덕트의 종방향 연장축(G-G')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대향하여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덕트의 튜브(18)의 일반적으로 절두원추형 형상은 튜브(18)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 스트림(F)의 프로파일을 균질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음에, 송풍기 헤드(7)는 유리하게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제1 공기 방향 구성을 점유할 때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을 갖는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의 공기역학적 연통을 보장하도록 의도된 제1 및 제2 파이프 부분(41, 42)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는,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제2 공기 방향 구성을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의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어느 하나를 케이스(35)에 의해 지지되는 제2 공기 송풍 출구(3)와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하여 설정하는 제3 파이프 부분(43)을 더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부분(41, 42, 43)은 유리하게는 내부 파이프 디바이스(44)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는 따라서 "3방향" 내부 파이프 디바이스(또는 "3방향 밸브")를 구성한다. 송풍기 헤드(7)의 케이스(35) 내에 수용된 내부 파이프 디바이스(44)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의 핸들(4) 및 상기 케이스(35)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1 공기 분배 구성(제1 송풍 모드, 도 12 내지 도 14)을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제1 및 제2 공기 파이프 부분(41, 42)과 각각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하고, 상기 공기 유도 출구(16A, 16B)는 제1 및 제2 파이프 부분(41, 42)의 대응 입구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파이프 부분(41, 42)에 대한 작동 요소(31)(및 특히 작동 요소의 측방향 패널(31A, 31B))의 내부면의 부분(45A, 45B)(또는 "밀봉 부분")의 긴밀한 회전 협력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부분(41, 42)의 각각의 출구를 밀봉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작동 요소(31)에 의해 점유된 제1 또는 제2 각도 위치에 따라, 공기 유도 부재(15)(도 12)의 제2 공기 유도 출구(16B)와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하는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되는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B)의 설정 및 제1 공기 유도 출구(16A)(도 13)를 갖는 제1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의 설정을 교대로 방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유리하게는, 작동 요소(31)의 내부면 부분(45A, 45B)(또는 "밀봉 부분")은,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중 하나를 향해 각각 지향된(도 14) 2개의 동일한 공기 스트림 부분으로 공기 스트림(F)이 분할되도록, 단지 부분적으로 제3 각도 위치를 점유할 때에만 제1 및 제2 파이프 부분(41, 42)의 각각의 출구를 밀봉한다. 항상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1 공기 방향 구성(도 12 내지 도 14)을 점유할 때, 공기 유도 부재(15)의 튜브(18)의 벽은 이어서 내부 파이프 디바이스(44)의 제3 파이프 부분(43)을 밀봉한다. 이 방식으로, 공기 유도 부재(15)의 공기 유도 출구(16A, 16B)와 송풍기 헤드(7)의 제2 공기 송풍 출구(3) 사이의 임의의 공기역학적 연통이 방지된다. 반대로,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2 공기 분배 구성을 점유할 때(제2 송풍 모드, 도 15 및 도 16),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어느 하나는, 고려된 공기 유도 출구(16A, 16B)를 제3 파이프 부분(43)의 입구에 대응하여 설정함으로써, 제3 파이프 부분(43)을 통해 송풍기 헤드(7)의 제2 공기 송풍 출구(3)와 공기역학적으로 연통한다. 공기 유도 부재(15)의 튜브(18)의 벽은 이어서 제1 및 제2 파이프 부분(41, 42)을 밀봉하고, 반면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중 다른 하나는 내부 파이프 디바이스(44)의 벽 부분(46)에 의해 밀봉된다. 이 방식으로,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와 작동 요소(3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 사이의 임의의 공기역학적 연통이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전술된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90°인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전환을 보장하도록 설계되고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이는 특히 공기 유도 부재(15)의 제1 및 제2 공기 유도 출구(16A, 16B) 및 송풍기 헤드(7)의 제1, 제2 및 제3 파이프 부분(41, 42, 43)의 입구의 특정 배열에 의해 가능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작동 요소(31)의 외부 표면(36)은 송풍기 헤드(7)의 제1 면을 형성하고, 이 제1 면은 따라서 송풍기 헤드(7)의 제1 공기 송풍 출구(2)의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을 갖고, 케이스(35)는 유리하게는 송풍기 헤드(7)의 제2 면을 형성하고, 이 제2 면은 송풍기 헤드(7)의 상기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편으로는 제1 공기 출구(2)의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과, 다른 한편으로는 제2 공기 송풍 출구(3)는 바람직하게는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을 포함하는 평면의 양 측면에 배열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편으로는 제1 공기 출구(2)의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과, 다른 한편으로는 제2 공기 송풍 출구(3)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을 포함하는 평면(P2)의 양 측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송풍기 헤드(7)의 제1 및 제2 면은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P2)의 양 측면에 배열된다. 작동 요소(31)의 회전축(F-F')과 케이스(35)의 평균 연장축(E-E')은 유리하게는 핸들(2)의 종방향 연장축(A-A')에 평행하거나 일치하고, 송풍기 헤드(7)의 제1 및 제2 면은 따라서 유리하게는 핸들(4)의 종방향 연장축(A-A')을 포함하는 평면의 양 측면에 배열된다. 따라서,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특히 인간공학적이고 사용이 용이하다. 실제로, 사용자는 따라서 유리하게는 기기(1)의 핸들(4)의 간단한 180° 회전에 의해, 제1 동작 모드(제1 송풍 모드, 작동 요소(31)/송풍기 헤드(7)의 제1 면이 모발에 대향하여 지향됨)에 따라 또는 제2 동작 모드에 따라(제2 송풍 모드, 제2 공기 송풍 출구(3)/송풍기 헤드(7)의 제2 면이 모발에 대향하여 지향됨) 교대로 헤어스타일링 기기(1)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미 전술된 이유 및 장점에 대해,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풍기 헤드(7)의 레벨에, 그리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송풍기 헤드의 케이스(35)의 레벨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버튼(20)의 접촉 부분(22)은 버튼(20) 상에 인가된 푸시의 부재시에 케이스(35)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도 1 내지 도 3, 도 9 및 도 16).
바람직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는 상기 송풍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각적 표시기(4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시각적 표시기(47)의 구현예는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람직한 경우에 더욱 더 흥미롭고, 여기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단안정성 버튼, 즉, 기기(1)의 동작 모드에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휴지 위치를 점유하는 버튼이다. 바람직하게는, 시각적 표시기(47)는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의 면(49)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48A)(관통 개방, 가능하게는 투명 요소에 의해 폐쇄됨) 및 표시기 부분(50)을 포함하고, 표시기 부분은 버튼(20)의 내부에 형성된 자유 공간(5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춤되고, 송풍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지에 따라 상기 개구(48A)를 통해 가시화되거나 가시화되지 않고, 또는 상이한 방식으로 가시화되도록(기기(1)의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48A)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개구(48A)가 형성되는 버튼(20)의 면(49)은 선택된 송풍 모드에 무관하게 사용자에게 가시화되는 면이다. 더욱 더 유리하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버튼(20)의 상기 면(49)은 버튼(20)의 전술된 접촉 부분(22)을 갖는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시각적 표시기(47)는 버튼(20)의 상기 면(49)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별개의) 개구(48A, 48B)를 포함하고, 표시기 부분(50)은, 대안적으로 상기(적어도 2개의) 송풍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지에 따라 상기 개구(48A, 48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가시화되거나 가시화되지 않고, 또는 상이한 방식으로 가시화되도록(기기(1)의 외부로부터) 버튼(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더 일반적으로, 시각적 표시기(47)는 유리하게는 헤어스타일링 기기(1)가 상이한 송풍 모드를 갖는 것과 동수의 개구(48A, 48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개구(48A, 48B)는 동일한 형상(도 17), 또는 상이한 독특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같이, 표시기 부분(50)은 회전 결합 부분(23)을 통해 공기 유도 부재(15)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회전 결합 부분에 대해 회전이 고정될 수도 있어,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이 표시기 부분(50)의 공동 회전을 야기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표시기 부분(50)은, 표시기 부분(50)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개구(48A, 48B)를 갖는 버튼(20)의 면(49)의 방향으로 지향된 그 상부면이 착색되는(또는 다른 방식으로 마킹됨) 적어도 하나의 아암(50A)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전 결합 부분(23)은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에 대해 회전이 고정되고,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은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회전축(B-B')과 일치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은 따라서 동일한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표시기 부분(50)의 대응 회전을 야기한다. 유리하게는, 개구(48A, 48B)는:
- 공기 유도 부재(15)가 제1 공기 방향 구성(제1 송풍 모드)을 점유할 때, 표시기 부분(50)의 아암(50A)의 착색된 상부면은 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시화되도록 개구(48A, 48B) 중 하나에 대향하여 배열되도록, 이어서
-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회전에 의해 제2 공기 방향 구성(제2 송풍 모드)을 점유할 때, 표시기 부분(50)의 아암(50A)의 착색된 상부면은 이어서 개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시화되도록 개구(48A, 48B) 중 다른 하나에 대향하여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90°이고, 공기 유도 부재(15)는 유리하게는 그 각도 구성을 4회 변경하여, 버튼(20) 상에 인가되는 4회의 연속적인 푸시의 영향 하에서 그 회전축(B-B')을 중심으로 360° 회전될 때,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사이에서 교대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48A, 48B)는 유리하게는 공기 유도 부재(15), 회전 결합 부분(23) 및 표시기 부분(50)의 일치하는 회전축(B-B', C-C')에 대해 90°의 상대 각도로 배열된다. 여기서, 표시기 부분(50)은, 표시기 부분의 회전축의 양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180° 각도를 형성하고 개구(48A, 48B)를 갖는 버튼(20)의 면(49)을 향해 지향된 그 상부면이 착색되는(또는 다른 방식으로 마킹됨) 2개의 아암(50A, 50B)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 유도 부재(15)가 예를 들어 초기에 제1 공기 방향 구성(제1 송풍 모드, 도 11의 (a) 및 도 17의 (a))을 점유할 때, 표시기 부분(50)의 제1 아암(50A)의 착색된 상부면은 제1 개구를 통해 가시화되도록 제1 개구(48A)에 대향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 공기 유도 부재(15)가 90°의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첫번째 회전 후에 제2 공기 방향 구성(제2 송풍 모드, 도 11의 (d) 및 도 17의 (b))을 점유할 때, 제2 아암(50B)의 착색된 상부면은 이어서 제2 개구를 통해 가시화되도록 제2 개구(48B)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공기 유도 부재(15)가 90°의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동일한 방향으로 두번째 회전 후에 제1 공기 방향 구성을 점유할 때, 표시기 부분(50)의 제2 아암(50B)의 착색된 상부면은 제1 개구(48A)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공기 유도 부재(15)가 90°의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동일한 방향으로 세번째 회전 후 다시 제2 공기 방향 구성을 점유할 때, 제1 아암(50A)의 착색된 상부면은 제2 개구(48B)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공기 유도 부재(15)가 90°의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만큼 동일한 방향으로 네번째 회전 후에 다시 제1 공기 방향 구성을 점유할 때, 제1 아암(50A)의 착색된 상부면은 이어서 초기와 같이 제1 개구(48A)에 대향하여 다시 배열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더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개구(48A, 48B)의 각각은 또한 유리하게는 대응 송풍 모드를 설명하는 상보적인 시각적 마커(52)(예를 들어, 도 17에서와 같이, 그림 또는 글귀 "M1" /"M2")와 연관될 수도 있다. 물론, 시각적 표시기의 다른 설계 및 구성이 대안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전술된 시각적 표시기(47)는 기계적 시각적 표시기, 즉, 그 상태의 변경이 선택된 송풍 모드를 반영하기 위해 순수히 기계적 방식으로 제어되는 시각적 표시기이지만, 대안적으로,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발광 시각적 표시기 구현의 구현예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가정용 헤어스타일링 기기, 더 구체적으로는 모발의 건조 및/또는 쉐이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기 스트림을 송풍하도록 설계된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의 설계 및 제조에서 용례를 발견한다.

Claims (16)

  1. 휴대용 헤어스타일링 기기(1)이며, 기기(1) 내의 공기 스트림의 상이한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송풍 모드에 따라 공기 스트림(F)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1)는 상기 송풍 모드 중 하나로부터 상기 송풍 모드 중 다른 하나로의 기기(1)의 각각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푸시-푸시 버튼(20)을 갖는 제어 메커니즘(19)을 포함하는, 기기(1).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별개인 적어도 하나의 제1 공기 송풍 출구(2) 및 하나의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스트림(F) 발생 수단은 상기 공기 스트림(F)을 개시하기 위한 송풍기 모듈(8) 및 적어도:
    - 상기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송풍 모드 중 제1 모드에 따라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제1 공기 송풍 출구(2)를 향해 유도하는 제1 공기 방향 구성과,
    - 상기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송풍 모드 중 제2 모드에 따라 개시된 공기 스트림(F)을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향해 유도하는 제2 공기 방향 구성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공기 유도 부재(15)를 포함하고,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공기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하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의 상기 공기 유도 부재(15)의 각각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유도 부재(15)에 연결되는, 기기(1).
  3. 제2항에 있어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버튼(20)에 인가되는 푸시의 영향 하에서 버튼(20)의 각각의 이동을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이동으로 기계적으로 변환하도록 공기 유도 부재(15)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기(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공기 유도 부재(15)는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사이에서 회전축(B-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라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공기 유도 부재(15)의 전환을 제어하는, 기기(1).
  5. 제3항 및 제4항에 있어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캠을 형성하고 공기 유도 부재(15)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 결합 부분(23)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20)은 캠과 협력하는 종동자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24)에 고정되어, 버튼(20) 상에 인가된 각각의 푸시가 회전축(C-C')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 및 공기 유도 부재(15)의 대응 회전을 야기하게 되는, 기기(1).
  6. 제5항에 있어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은 탄성 복귀 부재(21)를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에 따른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이
    - 상기 버튼(20) 상에 인가된 푸시의 영향 하에서 버튼(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단지 하나의 제1 부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50% 미만에 대해,
    - 이어서, 탄성 복귀 부재(21) 및 상기 캠의 공동 영향 하에서 대향 방향으로 상기 버튼(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각(θ)의 나머지에 대해 달성되도록 성형되고 구성되는, 기기(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20)은 바람직하게는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과 일치하는 직선 병진축(D-D')에 따라 순수한 직선 병진으로 장착되는, 기기(1).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결합 부분(23)은 공기 유도 부재(15)에 대해 회전 고정되어 있고, 회전 결합 부분(23)의 회전축(C-C')은 공기 유도 부재(15)의 회전축(B-B')과 일치하는, 기기(1).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결합 부분(23)은 홈이 있는 드럼 캠을 형성하는, 기기(1).
  10. 제9항에 있어서, 홈이 있는 드럼 캠의 홈(25)의 측벽은 적어도 2개의 절결부(30A, 30B)를 갖고, 여기서 상기 핀(24)은 공기 유도 부재(15)가 상기 제1 및 제2 공기 방향 구성 중 하나를 점유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대로 끼워맞춤되는, 기기(1).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동 파지 핸들(4) 및 핸들(4)에 연결된 송풍기 헤드(7)를 포함하고, 송풍기 헤드(7)는 상기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2, 3)를 갖고,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은 바람직하게는 송풍기 헤드(7)의 레벨에 배열되는, 기기(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헤드(7)는
    - 핸들(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공기 송풍 출구(2)를 갖고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를 포함하는 작동 요소(31)로서, 제1 공기 송풍 출구(2)는 서로 별개이고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의 양 측면에 위치된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공기 송풍 출구 부분(2A, 2B)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모발 맞물림 요소(32)를 향해 공기 스트림(F)을 송풍하도록 성형되고 구성되는, 작동 요소(31), 및
    - 핸들(4)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제2 공기 송풍 출구(3)를 갖는 케이스(35)를 포함하는, 기기(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푸시-푸시 버튼(20) 제어 메커니즘(19)의 버튼(20)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분(22)은 상기 버튼(20) 상에 인가된 푸시의 부재시에 기기(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기(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송풍 모드의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적 표시기(47)를 포함하는, 기기(1).
  15. 제14항에 있어서, 시각적 표시기(47)는 제어 메커니즘(9)의 버튼(20)의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48A)와 표시기 부분(50)을 포함하고, 표시기 부분은 버튼(20)의 내부에 형성된 자유 공간(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송풍 모드 중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개구(48A)를 통해 가시화되거나 가시화되지 않고, 또는 상이하게 가시화되도록 상기 개구(48A)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1).
  16. 제15항에 있어서, 시각적 표시기(47)는 버튼(20)의 상기 면(49)에 형성된 2개의 개구(48A, 48B)를 포함하고, 표시기 부분(50)은 상기 송풍 모드 중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개구(48A, 48B)를 통해 교대로, 가시화되거나 가시화되지 않고, 또는 상이하게 가시화되도록 버튼(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1).
KR1020237045126A 2021-06-16 2022-06-15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KR202400218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6396 2021-06-16
FR2106396A FR3124058A1 (fr) 2021-06-16 2021-06-16 Appareil de coiffure multimode de soufflage a mecanisme de commande de type pousser-pousser
PCT/FR2022/051157 WO2022263775A1 (fr) 2021-06-16 2022-06-15 Appareil de coiffure multimode de soufflage a mecanisme de commande de type pousser-pous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1838A true KR20240021838A (ko) 2024-02-19

Family

ID=7751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126A KR20240021838A (ko) 2021-06-16 2022-06-15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55166A1 (ko)
KR (1) KR20240021838A (ko)
CN (1) CN117500406A (ko)
FR (1) FR3124058A1 (ko)
WO (1) WO20222637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8821B (en) * 2016-03-24 2019-10-02 Dyson Technology Ltd Attachment for a handheld appliance
US10973298B2 (en) * 2017-09-12 2021-04-13 The Beachwaver Co. Digitally controlled hair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55166A1 (fr) 2024-04-24
WO2022263775A1 (fr) 2022-12-22
FR3124058A1 (fr) 2022-12-23
CN117500406A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7722A (en) Hair blower with orifice control
US5661910A (en) Hand held blow dryer having airflow control means
KR20210081281A (ko) 핸들에 대한 위치의 잠금이 가능한 회전식 부속품을 갖는 다기능 헤어스타일링 기기
US20120266483A1 (en) Blow Dryer and Controls for Same
JP2020078572A (ja) 手持ち式電気器具
JP2023542010A (ja) ヘアケア機器用アタッチメント
KR20240021838A (ko) 푸시-푸시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다중 송풍 모드를 갖는 헤어스타일링 기기
US6671460B1 (en) Hand-held electrical appliance such as a hair drier provided with position adjustable control members
KR20150129177A (ko) 풍향 전환이 가능한 헤어 드라이어용 노즐
US7945991B2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operating rocker
KR20210081279A (ko) 오실레이팅 블로우 브러시를 형성하는 개선된 헤어스타일링 기기
JP2019079821A (ja) 手持ち式電気器具
US20230404236A1 (en) Handheld appliance
CN117500407A (zh) 具有改进的摆动吹风机-刷模式的头发造型器具
KR200489452Y1 (ko) 고데기 겸용의 헤어 드라이기
US20230329414A1 (en) Haircare appliance
JPH053131Y2 (ko)
RU2789219C2 (ru) Парикмахерский прибор с подвижной головкой и работ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и регулируемой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положения указанной головки
CN220275126U (zh) 一种电吹风的多功能美发棒配件
CN111802781B (zh) 风型转换装置及具有该风型转换装置的吹风机
TW202146117A (zh) 噴灑水槍之控制裝置
JP2589204Y2 (ja) キッチンシャワー
MXPA98005009A (en) Manual air dryer that has a decontrol element of flow of a
JPH036240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