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116A -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116A
KR20210080116A KR1020190172520A KR20190172520A KR20210080116A KR 20210080116 A KR20210080116 A KR 20210080116A KR 1020190172520 A KR1020190172520 A KR 1020190172520A KR 20190172520 A KR20190172520 A KR 20190172520A KR 20210080116 A KR20210080116 A KR 2021008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ehicle
sharing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2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116A/ko
Priority to US16/942,408 priority patent/US11257368B2/en
Publication of KR2021008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5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no selection takes place on the transmitted or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는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 예정인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아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 공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SERVER SERVING CONTENTS SHARING SERVICE FOR VEHICLE AND CONTENTS SHARIN METHOD}
본 발명은 차량 및 이를 제어할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된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각종 엔터테인먼트, 예를 들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텔레비전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이동 단말과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거나 음향 형태, 시각적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에 따라 탑승자에게 다양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인포테인먼트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차량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파일은 시스템SW 또는 지도에 한정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량에서의 파일 다운로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중에는 AVNT(Audio, Video, Navigation, Telematics 통합멀티미디어시스템)에 전원이 들어온 상황에서 파일 사이즈와 무관하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하지만, 주행이 종료되면, AVNT에 전원이 들어오지 않은 상황에서 어떠한 파일이든 다운로드는 중단된다.
또한, 5G 시대에서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차량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이 무제한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데이터 사용 제한에 따라 자유로운 컨텐츠 다운로드가 불가능하다. 즉, 실질적으로 차량 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시나리오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향후, 자율 주행이 도입이 됨에 따라 운전하는 시간보다 차량에서 휴식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될 것이며 인포테인먼트를 통한 다양한 컨텐츠를 소비하게 될 것이 예상되므로, 무제한 데이터 사용으로 차량 간 데이터 공유를 통해 원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간 데이터 공유를 통해 원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의 학습을 통해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불편함이 없이 컨텐츠 이용할 수 있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 예정인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아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 공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시간에 대응되는 컨텐츠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크기에 따른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상기 분할된 컨텐츠의 제1 순위 업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순위로 업로드된 상기 분할된 컨텐츠는 가장 먼저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가장 많은 량의 분할된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는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 데이터 통신에 대한 신호 세기,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포맷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는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 패턴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주행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시 상기 차량의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시간을 파악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 부분을 제외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시동 온 상태인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을 웨이크 업(wakup) 상태로 전환한 뒤,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후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을 슬립(sleep)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웨이크 업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는 다른 차량으로 업로드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은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 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차량 컨텐츠 공유 방법은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저장 및 학습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 예정인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는 컨텐츠 업로드 단계와;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차량 간 데이터 공유를 통해 원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전자의 주행 패턴의 학습을 통해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불편함이 없이 컨텐츠 이용할 수 있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파일 다운로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할 및 분할될 컨텐츠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주행 중이거나 또는 정차 중인 복수의 차량(200, 300)과 차량(200, 300) 간 컨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컨텐츠 공유를 요청한 차량 또는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는 차량을 컨텐츠 수신 차량(200)으로 명명하고, 컨텐츠를 다른 차량에 제공하는 차량을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 명명한다. 물론,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될 수 있고, 컨텐츠 제공 차량(300) 역시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 차량(200) 및 컨텐츠 제공 차량(300)은 모두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시간을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컨텐츠 공유 서버(100)로 전송한다.
컨텐츠 공유 정보는 차량, 즉 차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식별 정보,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와 같은 주행 정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시간 정보 및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또는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공유 정보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및 컨텐츠의 포맷 정보(예를 들어, ID3 tag MP3 파일에서 사용하는 메타 데이터 포맷으로, 음악의 제목, 앨범명, 아티스트 등의 음악 파일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 간의 데이터 공유를 위한 데이터 통신 신호 강도(Signal Strength)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 3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통합 멀티 미디어 시스템(Audio, Video, Navigation, Telematics, AVNT)을 통하여 다양한 비디오 또는 오디오와 같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무선 통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 결합되어 자동차에서 위치 정보, 안전 운전, 오락, 금융 서비스, 예약 및 상품 구매 등의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합 멀티 미디어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차량(200, 300)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주행 시간 동안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300)을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를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부터 업로드 받아 컨텐츠 수신 차량(200)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 공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의 전반적 제어는 컨텐츠 공유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본 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의 동작은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 바람직하게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을 검색하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부터 분할될 컨텐츠를 개별적으로 업로드 받아 이를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 제공한다.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단순히 차량 간 컨텐츠 공유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제공될 컨텐츠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할하고,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순서 또는 특정 시간을 달리하여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컨텐츠 공유 서버(200), 즉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시간에 대응되는 컨텐츠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컨텐츠 크기에 따른 컨텐츠를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20분으로 산출된다면,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20분 동안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컨텐츠의 크기를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 부분을 제외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부터 업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5분 재생 시간을 갖는 컨텐츠 중 5분이 재생되었다면,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남은 10분에 대한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수에 따라 분할하고, 10분에 대한 컨텐츠 만을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부터 업로드 받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르며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3개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검색되었고,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부터 1/3씩 분할될 컨텐츠를 업로드 받고 있다.
전체가 1 내지 N 프레임인 컨텐츠는 세 개의 프레임(1~N/3프레임, N/3프레임~2N/3프레임, 2N/3프레임~ N프레임)으로 나누어지고, 특정한 순서(전계 순위)에 따라 분할된 컨텐츠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업로드 및/또는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할 및 분할될 컨텐츠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약 15분 영상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이 공유되어야 한다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통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 제공 차량(310) 내지 제3 컨텐츠 제공 차량(330)의 통신 상태가 순차적으로 우수하다면, 신호 세기가 “강”인 제1 컨텐츠 제공 차량(310)에서 가장 빠르게 재생되어야 하는 1~N/3프레임의 컨텐츠를 업로드 되고, 신호 세기가 “중”인 제2 컨텐츠 제공 차량(320)에서 그 다음에 재생되어야 하는 N/3프레임~2N/3프레임의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호 세기가 가장 약한 제3 컨텐츠 제공 차량(330)에서 컨텐츠의 마지막 2N/3프레임~ N프레임이 업로드 될 수 있다.
또는, 신호의 세기에 따라 컨텐트의 재생 시간이 아닌 업로드 되는 컨텐츠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세기가 “강”인 제1 컨텐츠 제공 차량(310)에서 가장 많은 양의 컨텐츠 프레임(1~N/2프레임)이 업로드 되고, 신호 세기가 “중”인 제2 컨텐츠 제공 차량(320)과 신호 세기가 가장 약한 제3 컨텐츠 제공 차량(330)에서 나머지 컨텐츠 프레임(N/2프레임~3N/4프레임, 3N/4프레임~N프레임)이 각각 업로드 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동일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차량을 파악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컨텐츠 데이터의 동시 또는 순차적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제어하되, 이 때 통신 상태에 따라 신호 세기가 가장 원활할 차량에게 재생 시간이 가장 빠른 부분의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 하게 하거나 컨텐츠 데이터의 송신량이 가장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의 공유 시, 재생될 수 있는 특정 컨텐츠 전체가 아닌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주행 시간에 대응하는 양 만큼의 컨텐츠만을 업로드 하여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행 중 차량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하고, 지나치게 많은 양의 컨텐츠 송수신으로 초래될 수 있는 통신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컨텐츠 공유 서버(100) 및 차량(200, 300) 내 통합 멀티 미디어 시스템이 도 4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4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컨텐츠 공유 서버(100) 및 차량(200, 300) 내 통합 멀티 미디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서버(100)의 동작은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동작을 주도하는 상술된 컨텐츠 공유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든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든 차량의 시동 오프 시 각자의 컨텐츠 공유 정보를 컨텐츠 공유 서버(100)로 전송한다(S410).
컨텐츠 공유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식별정보, 출발지/목적지 정보(GPS 포함),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주행 시간, 인포테인먼트 정보 등을 포함할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정보로서, 재생될 컨텐츠,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포맷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차량 별 차량 정보, 즉 수신한 컨텐츠 공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S420), 차량 운행 패턴을 학습하고,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 적합한 주행 패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S430).
즉,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차량의 시동 오프시 수집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출발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주행 패턴에 기초하여 차량의 시동 온 시 차량의 목적지 및 목적지까지의 주행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학습은 차량의 컨텐츠 공유 정보, 즉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딥 러닝 또는 머신 러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주행 패턴 학습을 통하여, 향후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운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즉,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출발지에서 주행을 시작하는 시간 및 목적지까지의 운행 시간의 패턴을 통하여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주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만약, 학습 및 검색 결과,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다른 차량이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서 재생될 만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50).
예컨대,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을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와 유사하거나 관련도가 높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특정 컨텐츠 전체가 아닌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주행 시간 동안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주생 시간 동안에 재생될 컨텐츠 만이 업로드 및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업로드 단계는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시간에 대응되는 컨텐츠 크기를 결정하고, 컨텐츠 크기에 따른 컨텐츠를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컨텐츠가 컨텐츠 제공 차량(300)으로부터 업로드될 수 있다.
반면, 학습 및 검색 결과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운행이 가능하지 않다거나 주행 패턴이라고 간주할 패턴이 검색되지 않으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다시 컨텐츠 공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학습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타 차종, 즉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컨텐츠 수신 차량(200)과 공유할 만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다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60).
만약,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시동 온 상태이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시동 온 상태인 차종 별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고,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에 대응하여 분할 요청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통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 중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300)에게 분할된 컨텐츠의 제1 순위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이 때 제1 순위로 업로드된 분할된 컨텐츠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서 가장 먼저 재생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 중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가장 많은 량의 분할된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 요청과 함께,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시동 오프 상태이면 컨텐츠 수신 차량(200)을 웨이크 업(wakup) 상태로 전환한다(S470).
시동 온 상태인 컨텐츠 제공 차량(300)은 컨텐츠 공유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파일의 업로드를 진행할 수 있고(S480), 시동 오프 이지만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 의하여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된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 파일 다운로드가 진행된다(S480).
이렇게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S490),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 수신 차량(200)을 슬립(sleep) 상태로 전환한다(S491).
한편, 다시 S450 및 S460으로 돌아가 다른 차량이 컨텐츠 수신 차량(200)과 공유할 만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거나,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시동 온 상태가 아니면, 컨텐츠의 다운로드, 즉 컨텐츠의 공유는 수행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는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시동 오프 상태에서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 의한 컨텐츠 공유 정보의 수집 및 학습이 이루어지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차량은 시동 온 상태에서, 컨텐츠를 제공 받는 차량은 시동 오프 상태에서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차량의 컨텐츠 공유 의사를 확인할 수도 있고,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차량은 주행 전에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업로드 및 다운로드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UI가 차량 시스템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고, 자신의 컨텐츠 공유를 원하지 않거나 개인 정보 유출을 꺼려 하는 사용자의 경우 컨텐츠 공유를 거부할 수도 있다.
또한, 공유되는 모든 컨텐츠 정보 및 이력은 컨텐츠 수신 차량(200) 및 컨텐츠 제공 차량(300),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고, 컨텐츠 공유에 대한 통계 자료 등이 차량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공유 이력은 유사한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추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차량 역시 사전 동의가 있었다면 시동 온 상태가 아니라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컨텐츠 업로드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이는 차량의 주행 중 데이터 사용에, 즉 주행 중 통신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옵션 역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공유 서버(100)의 학습에 의하지 않고,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컨텐츠 위시 리스트 등을 컨텐츠 공유 서버(10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컨텐츠 공유 서버(100)이 위시 리스트에 있는 컨텐츠의 공유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웨이크 업 상태인 경우,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역시 다른 차량으로 공유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하여 웨이크 업 상태일 때의 컨텐츠 공유에 대한 사전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컨텐츠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초기 컨텐츠 공유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한 것이지만, 컨텐츠 공유 시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와는 다른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 공유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우선, 본 실시예 역시 도 4와 같이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든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든 차량의 시동 오프 시 각자의 컨텐츠 공유 정보를 컨텐츠 공유 서버(100)로 전송한다(S510).
컨텐츠 공유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식별정보, 출발지/목적지 정보(GPS 포함),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주행 시간, 인포테인먼트 정보 등을 포함할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정보로서, 재생될 컨텐츠,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포맷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차량 별 차량 정보, 즉 수신한 컨텐츠 공유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차량 운행 패턴을 자체 학습할 수 있다(S520).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시동 온 상태일 때(S530),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540). 즉, 도 4의 실시예와는 달리 차량 사용자가 주행 중에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요청을 수신한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다른 차량이 컨텐츠 수신 차량(200)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5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특정 컨텐츠 전체가 아닌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주행 시간 동안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을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수신 차량(200)은 다운로드 받기를 원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또는 주행 시간, 또는 목적지 정보를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타 차종, 즉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요청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다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만약,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시동 온 상태이면,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시동 온 상태인 차종 별로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고,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컨텐츠 데이터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에 대응하여 분할 요청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의 통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 중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300)에게 분할된 컨텐츠의 제1 순위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고, 제1 순위로 업로드된 분할된 컨텐츠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서 가장 먼저 재생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300) 중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가장 많은 량의 분할된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
시동 온 상태인 컨텐츠 제공 차량(300)은 컨텐츠 공유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파일의 업로드를 진행할 수 있고(S570), 컨텐츠 공유 서버(100)에 의하여 파일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가 진행 및 제어될 수 있다(S571)
이렇게 컨텐츠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고(S573), 주행이 완료되면 컨텐츠 수신 차량(200)의 시동은 오프 상태가 될 것이다(S580).
컨텐츠 수신 차량(200)이 시동 오프되면, 다시 컨텐츠 공유 정보는 컨텐츠 공유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고, 컨텐츠 공유 서버(100)는 차량 운행 패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S590).
이후, 컨텐츠 공유를 위하여 도 4 또는 도 5의 단계들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다시 S550 및 5460으로 돌아가 다른 차량이 컨텐츠 수신 차량(200)과 공유할 만한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거나,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300)이 시동 온 상태가 아니면, 컨텐츠의 다운로드, 즉 컨텐츠의 공유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간 컨텐츠 공유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됨으로써 차량 간 컨텐츠 공유가 활성화 되고,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 크게 영향 받지 않고 원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공유 방법이 제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에 있어서,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 예정인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아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 다운로드 하는 컨텐츠 공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시간에 대응되는 컨텐츠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크기에 따른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상기 분할된 컨텐츠의 제1 순위 업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순위로 업로드된 상기 분할된 컨텐츠는 가장 먼저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가장 많은 량의 분할된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신호 세기,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포맷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는,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통신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 패턴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주행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시 상기 차량의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시간을 파악하고,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 부분을 제외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시동 온 상태인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을 웨이크 업(wakup) 상태로 전환한 뒤,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후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을 슬립(sleep)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웨이크 업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는 다른 차량으로 업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버.
  11.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에 있어서,
    차량 식별 정보, 차량에서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저장 및 학습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 예정인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는 컨텐츠 업로드 단계와;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으로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업로드 단계는,
    상기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에 대응되는 컨텐츠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크기에 따른 상기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수에 기초하여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업로드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상기 분할된 컨텐츠의 제1 순위 업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제1 순위로 업로드된 상기 분할된 컨텐츠는 가장 먼저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의 통신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업로드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상기 통신 상태가 가장 양호한 컨텐츠 제공 차량에게 가장 많은 량의 분할된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의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신호 세기, 컨텐츠 재생 시간, 컨텐츠 포맷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는,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 정보를 저장 및 학습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 패턴을 학습하고, 상기 학습된 주행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시 상기 차량의 목적지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시간을 파악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차량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업로드 단계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서 재생되었던 컨텐츠 부분을 제외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업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업로드 단계는,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컨텐츠 제공 차량 중 시동 온 상태인 컨텐츠 제공 차량으로부터 상기 동일한 컨텐츠를 업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이면,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을 웨이크 업(wakup) 상태로 전환한 뒤,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 후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을 슬립(sleep)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이 웨이크 업 상태인 경우, 상기 컨텐츠 수신 차량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는 다른 차량으로 업로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0190172520A 2019-12-20 2019-12-20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KR20210080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20A KR20210080116A (ko) 2019-12-20 2019-12-20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US16/942,408 US11257368B2 (en) 2019-12-20 2020-07-29 Server for providing a vehicle content sharing service and a content sha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520A KR20210080116A (ko) 2019-12-20 2019-12-20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16A true KR20210080116A (ko) 2021-06-30

Family

ID=7643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520A KR20210080116A (ko) 2019-12-20 2019-12-20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57368B2 (ko)
KR (1) KR202100801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6841B2 (en) * 2021-07-21 2024-01-16 Honda Motor Co., Ltd. Disparate player media shari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5356B2 (en) * 2003-05-09 2014-09-02 Dimitri Vorona System for transmitting, processing, receiving, and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JP5614176B2 (ja) 2010-08-26 2014-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ッシュ管理装置およびデータ配信システム
US8676920B2 (en) * 2010-12-08 2014-03-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lligent cache management protocol for vehicular networks
US20130073193A1 (en) * 2011-09-19 2013-03-21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Collaborative traffic monitoring
KR101987696B1 (ko) * 2013-01-10 2019-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단말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콘텐츠 공유 시스템
US10037689B2 (en) * 2015-03-24 2018-07-31 Donald Warren Taylor Apparatus and system to manage monitored vehicular flow rate
CN105453152B (zh) * 2013-08-02 2019-05-07 Lg电子株式会社 使用局域通信获得交通信息的方法及其装置
KR101534937B1 (ko) * 2013-11-05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험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9203843B2 (en) * 2013-11-08 2015-12-01 At&T Mobility Ii Llc Mobile device enabled tiered data exchange via a vehicle
DE102017204216A1 (de) * 2017-03-14 2018-09-20 Airbus Operation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temporären und lokalen Inhaltsfreigabe
US10324189B2 (en) * 2017-10-24 2019-06-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KR102025691B1 (ko) 2018-01-02 2019-09-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간 데이터 통신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7101073B2 (ja) * 2018-08-02 2022-07-1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隊列走行システム
US11303621B2 (en) * 2018-09-10 2022-04-12 Here Global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autonomous vehicles to share navigation-based content
US11325606B2 (en) * 2019-01-02 2022-05-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driving engagements with vehicles having varying levels of autonomy
US10841762B2 (en) * 2019-03-05 2020-11-17 Cisco Technology, Inc. Mobile data dynamic grouping for connected vehicle and in-vehicle networking
US11178219B2 (en) * 2019-03-08 2021-11-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source assurance for vehicle cloudification
US11176819B2 (en) * 2019-04-16 2021-11-16 Xev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protocol implementation for vehicle head units
US11462111B2 (en) * 2019-04-29 2022-10-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maneuver planning and messaging
US20200396787A1 (en) * 2019-06-13 2020-12-17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Managing transport network data access
US20200393847A1 (en) * 2019-06-17 2020-1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ynamic vehicle navigation based on leader follower scheme
US11587434B2 (en) * 2019-06-25 2023-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vehicle pass-by information sharing
US11410471B2 (en) * 2019-08-22 2022-08-09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ata flow for sensor sharing
US11180159B1 (en) * 2019-08-30 2021-11-2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Intelligent vehicle guidance for improved driving safe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7368B2 (en) 2022-02-22
US20210192949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13755B2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0035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ynchronizing media content between a vehicle device and a user device
US9168896B2 (en)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83860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powertrain management
US8151259B2 (en) Remote content updates for portable media devices
JP4421789B2 (ja) 移動体用電子システム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移動体用電子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0770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vehicle media content
US20070198472A1 (en) Multimedia system for a vehicle
CN111400515A (zh) 基于互联网出行的车载多媒体控制方法、装置和服务端
CN104050991A (zh) 使用连接的装置来确定乘员位置的系统和方法
US11644318B2 (en) Navig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210080116A (ko) 차량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컨텐츠 공유 방법
CN107980144B (zh) 无限电台推荐系统和方法
US20060271599A1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JP6631996B2 (ja) 電子装置、データベースの構築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4238941A (ja) 使用制限システム、使用制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59696A (ja) 車両用無線データ送受信装置
US9222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wdsourced tour creation and provision
JP2005159695A (ja) 車両用無線データ送受信装置
KR20210123837A (ko) 가이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EP28029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audio books service
JP2012203974A (ja) 車両用音楽選曲再生システム
JP5299012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制御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制御プログラム
KR10153469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7290606A (zh) 推荐信息的展示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