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066A - 창호용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066A
KR20210079066A KR1020190171157A KR20190171157A KR20210079066A KR 20210079066 A KR20210079066 A KR 20210079066A KR 1020190171157 A KR1020190171157 A KR 1020190171157A KR 20190171157 A KR20190171157 A KR 20190171157A KR 20210079066 A KR20210079066 A KR 2021007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ntilation device
outdoor air
air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976B1 (ko
Inventor
명제민
이태호
허관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7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9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창호용 환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체와 인접하게 마련된 창호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있어서, 환기 장치는, 벽체와 창호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팬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열 교환 모듈; 및 하우징에 마련되며, 팬 모듈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용 환기 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와 벽체 사이에 마련되어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킬 수 있는 창호용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는 방법은 건물 외부와 통하는 창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미세먼지, 차량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하여 실외 공기의 질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창호나 출입문을 열어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단순히 교환하는 방법으로는 실내 공기의 질을 높이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필터나 환기 시스템을 창호에 일체로 장착하는 창호 부착형 환기 시스템에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창호 부착형 환기 시스템은 창호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창호의 형태나 구조에 따라 탈부착 및 성능 변경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창호 부착형 환기 시스템의 경우, 환기 시스템에 장착된 열 교환 소자, 팬 등의 교체하거나 유지 및 보수를 위해서는 환기 시스템 자체를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 환기 시스템은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에 의해 발생된 물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실내 습도 조절이 가능하며, 창호에 결로를 방지하면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19001호(2007.05.1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미세먼지를 걸러주면서 실외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발생된 결로를 방지하면서, 폭우나 태풍으로 내부에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창호용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벽체와, 벽체와 인접하게 마련된 창호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있어서, 환기 장치는, 벽체와 창호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팬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열 교환 모듈; 및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팬 모듈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 필터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팬 모듈의 앞쪽에 마련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제1 필터; 및 제1 필터의 앞쪽에 마련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는 제2 필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 하우징의 전면에는 풍향조절 커버가 결합되되, 풍향조절 커버는 하우징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실외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는 풍향조절 커버의 회전에 따라 개방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는, 개구부를 통해 실외 공기가 하우징으로 급기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및 팬 모듈 및 열교환 모듈을 거치면서 열 교환된 공기 중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 가 마련되며, 필터부는 급기구 및 배기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의 앞 쪽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기구는 하우징의 실내측에 마련되고, 배기구는 하우징의 실외측에 마련되되, 팬 모듈 및 열 교환 모듈의 작동 상태에 따라 하우징의 실외측에 마련된 배기구가 급기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변경되고, 하우징의 실내측에 마련된 급기구가 배기구로 역할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수분 배출홈이 형성되고, 수분 배출홈은, 열 교환 모듈에 의해 생성된 결로수나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결로 및 폭우나 태풍으로 인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단열을 위하여 수분 배출홈을 차단하거나, 하우징의 내부에 결로수나 폭우, 태풍으로 인한 물이 생성되었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수분 배출홈을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분 제거부; 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 제거부는, 수분 배출홈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마련된 댐퍼; 댐퍼와 연결되어 댐퍼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댐퍼 구동부재; 및 댐퍼 구동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분이 감지되면 댐퍼 구동부재에 댐퍼의 개방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여 수분 배출홈이 개방되도록 마련된 수분감지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분감지센서는, 하우징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 모듈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습도의 교환이 없이 온도만 교환하는 현열 교환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벽체와, 벽체와 인접하게 마련된 창호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있어서, 환기 장치는, 벽체와 창호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팬 모듈;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열 교환 모듈; 하우징에 마련되되 팬 모듈의 앞쪽에 마련되어 팬 모듈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및 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풍향조절 커버; 를 포함하고, 풍향조절 커버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양이 달라지도록 마련된, 창호용 환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 장치는, 실외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주며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는 필터부가 마련됨으로써 실내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 장치는, 하우징의 하단부에 수분 제거부를 마련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결로나 태풍 및 폭우로 인해 발생된 물을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 장치는,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풍향조절커버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창호에 결로 발생시 창호 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창호에 결로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가 창호와 벽체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10, 이하 '환기 장치'라 함)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창호(10)는 창틀(12)과, 창틀(12)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창짝(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창호(10)는 창짝(14)을 이용하여 창문을 열어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는 창호(10)와 창호(10)가 설치되는 벽체(20) 사이에 마련되어, 창호(10)를 열지 않고도 환기 장치(10)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벽체(20)와 창호(10)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110)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팬 모듈(120),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열 교환 모듈(130) 및 하우징(110)에 마련되며, 팬 모듈(120)에 의해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실외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116,118)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환기 장치(100)를 위한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된다.
하우징(110)은 창호(10)와 벽체(20)에 대해 세로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의 일단부 및 양단부가 각각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에 팬 모듈(120), 열 교환 모듈(130) 및 필터부(116,118)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팬 모듈(120), 열 교환 모듈(130)을 장착한 후에는 하우징 커버(112)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단부 및 타단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열 교환 모듈(130), 팬 모듈(120), 필터부(116,118)의 제1 필터(116), 필터부(116,118)의 제2 필터(118)를 장착하고, 하우징(110)에 풍향 조절커버(150) 순서로 조립된다.
하우징 커버(112)는 하우징(11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에 장착된 팬 모듈(120)이나 열 교환 모듈(130)과 같은 부품의 교체나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 하우징 커버(112)를 하우징(110)으로부터 탈거하고, 부품의 교체 및 보수가 끝난 후에 하우징 커버(112)를 하우징(110)에 다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환기 장치(100)의 작동을 위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의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100)는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창호(10)와 같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도록 고정된다.
환기 장치(100)가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고정되므로, 하우징(110)도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환기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을 창호(10)와 벽체(20) 사이에 반영구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실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인 급기구(115)가 마련되고,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통로인 배기구(117)가 마련된다.
참고로, 급기구(115)는 실내측에 마련되고, 배기구(117)는 실외측에 마련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듈(1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하우징(110)의 실외측에 마련된 배기구(117)가 급기구(115)의 역할을 수행하고, 하우징(110)의 실내측에 마련된 급기구(115)가 배기구(117)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팬 모듈(120)의 동작 상태에 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116,118)가 마련된다.
필터부(116,118)는 하우징(110)의 급기구(115)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부(116,118)는 제1 필터(116) 및 제2 필터(118)를 포함한다.
제1 필터(116)는 하우징(110)의 내부, 즉 하우징(110)의 급기구(115)와 인접하게 마련되되, 팬 모듈(120)의 앞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필터(116)는 팬 모듈(120)에 의해 하우징(110)의 급기구(115)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준다. 이를 위해, 제1 필터(116)는 미세먼지용 필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필터(118)는 하우징(110)의 내부, 즉 하우징(110)의 급기구(115)와 인접하게 마련되되, 팬 모듈(120)의 앞쪽에 배치된 제1 필터(116)의 앞쪽에 위치된다.
제2 필터(118)는 팬 모듈(120)에 의해 하우징(110)의 급기구(115)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춰주게 된다.
예를 들어, 비나 눈이 내리면 실외의 습도가 올라갈 수 밖에 없다.
만약, 실외에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지 않고 환기 장치(100)를 통해 실내로 바로 유입되면, 실내의 습도가 실외의 습도 만큼 올라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전면에 설치된 제2 필터(118)는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함으로써 습기가 흡착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더라도 실내의 습도가 올라가지 않고 쾌적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116,118)는 하우징(110)의 급기구(115)의 앞쪽에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10)의 배기구(117) 쪽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듈(1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하우징(110)의 실외측에 마련된 배기구(117)가 급기구(115)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변경되고, 하우징(110)의 실내측에 마련된 급기구(115)가 배기구(117)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는 필터부(116,118)가 급기구(115) 측에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배기구(117) 측에도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에는 풍향 조절커버(150)가 마련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풍향 조절커버(150)는 별도로 마련된 커버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하우징(110)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참고로, 커버 구동부는 풍향 조절커버(15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일종의 모터이다.
이때, 풍향 조절커버(150)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10)의 일면에 대해 관통 형성된 관통 형성된 개구부(111)의 개방 면적을 변화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11)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마련되고,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풍향 조절커버(150)가 마련된다.
풍향 조절커버(150)를 회전시키게 되면 개구부(111)의 면적을 변경시킨다. 이때, 개구부(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데, 풍향 조절커버(150)를 일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개구부(111)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111)를 통해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즉, 필요한 경우, 풍향 조절커버(150)를 이용하여 개구부(111)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하우징(110)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장치(100)를 가동하는 경우, 하우징(110)에 대한 풍향 조절커버(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우징(110)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풍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서, 실내 환경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풍향 조절커버(150)를 환기 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창호(10) 쪽으로 가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창호(10)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풍향 조절커버(150)의 회전 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단말기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조작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팬 모듈(120)은 하우징(110)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팬 모듈(120)은 실외 공기를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모듈(120)은 급기팬의 형태로 마련되어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를 하우징(110)으로 흡입하는 것이 더욱 용이하게될 수 있다.
팬 모듈(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모듈(120)은 3개가 하나의 세트(set)로 형성되고, 하나의 세트로 형성된 팬 모듈(120)이 하우징(110)의 급기구(115) 및 배기구(117) 쪽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세트로 마련되어 하우징(110)의 급기구(115) 및 배기구(117) 쪽에 마련된 팬 모듈(120)의 앞쪽에는 제1 필터(116) 및 제2 필터(118)를 포함하는 필터부(116,118)가 위치되게 된다.
한편, 열 교환 모듈(130)은 팬 모듈(120)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한다.
열 교환 모듈(13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 교환기(heat exchanger) 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오염된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열 교환되어 깨끗한 공기는 실내로 공급하고, 그 외 오염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한다.
이때, 환기 장치(100)를 사용하는 계절에 따라,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 습도가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실내 온도 및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열 교환 모듈(130)도 팬 모듈(120)과 같이 하우징(110)의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교환 모듈(130)은 3개가 하나의 세트(set)로 형성되고, 하나의 세트로 형성된 열 교환 모듈(130)이 하우징(110)의 급기구(115) 및 배기구(117) 쪽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팬 모듈(120) 및 열 교환 모듈(130)의 작동 상태에 따라 하우징(110)의 급기구(115) 및 배기구(117)의 역할이 변경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에 형성된 급기구(115) 및 배기구(117)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팬 모듈(120)이나 열 교환 모듈(130)은 트위스트(twist) 형식으로 풍향을 바꾸어 열 교환을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흡기구(115) 및 배기구(117)의 역할이 서로 변경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3개의 팬 모듈(120)이 합쳐진 팬 모듈(120)은 하나로 동작되고, 3개의 열 교환 모듈(130)이 합쳐진 열 교환 모듈(130)은 하나로 동작된다.
이때, 팬 모듈(130) 및 열 교환 모듈(130)은 흡기 및 배기를 번갈아가며 바꾸면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열 교환한다.
만약, 상단이 배기이면 하단이 급기가 되고, 상단이 급기이면 하단이 배기가 된다. 반대로,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급기가 되면, 상단 및 하단은 모두 배기가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실내측에 마련되는 급기구(115)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고, 하우징(110)의 실외측에 마련되는 배기구(117)도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된다.
이때, 팬 모듈(1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실내측에 마련된 급기구(115)가 배기구(117)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실외측에 마련된 배기구(117)가 급기구(115)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100)의 공기 흐름을 간단히 설명한다.
개구부(1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제2 필터(118), 제1 필터(116)를 거쳐 급기구(115)를 통해 팬 모듈(120) 및 열 교환 모듈(130)로 공급되며, 팬 모듈(120) 및 열 교환 모듈(130)에 의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열 교환되며 열 교환된 공기 중에서 일부는 실내로 공급되고, 열 교환된 공기 중에서 다른 일부는 실외로 공급되게 된다.
참고로, 팬 모듈(120) 및 열 교환 모듈(130)의 개수는 하우징(110)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환기 장치(100)가 설치되는 공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열 교환 모듈(130)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습도의 교환이 없이 온도만 교환하는 현열 교환기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열 교환기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습도의 교환이 없이 온도의 교환만 이루어진다. 이때, 여름에 열 교환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현열 교환기는 전열 교환기와 마찬가지로 실외의 뜨겁고 습한 공기가 실내로 급기 될 때에는 실내 공기와 비슷한 온도를 가지도록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 교환이 이루어져 실내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지만, 습도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열 교환 모듈(130)이 현열 교환기로 마련되는 경우,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에 포함된 습도가 응결수로 하우징(110)의 내부에 남게 된다.
또한, 실내외 온도차가 심하여 창호(10)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폭우, 태풍 등으로 환기 장치(100)의 내부에 물(수분)이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있는 결로수나 수분은 하우징(110)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결로수나 물과 같은 수분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배출되지 않을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인물이 발생하여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를 타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장기적으로 창호용 환기 장치(110)의 내구성에 손상을 줄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생성된 결로수나 수분은 반드시 하우징(110)에서 배출시켜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에는 수분 배출홈(119)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 배출홈(119)은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개공 형태로 형성된다.
수분 배출홈(119)은 열 교환 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결로수나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결로 및 폭우나 태풍으로 인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수분 배출홈(119)을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는 수분 제거부(140)가 마련된다.
수분 제거부(140)는 수분 배출홈(119)에 마련되어 창호용 환기 장치(100)의 단열을 위하여 수분 배출홈(119)을 차단하거나,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로수나 폭우, 태풍으로 인하여 물이 생성되었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수분 배출홈(119)을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분 제거부(140)는 댐퍼(142), 댐퍼 구동부(144) 및 수분감지 센서(146)를 포함한다.
댐퍼(142)는 수분 배출홈(119)에 마련되어 수분 배출홈(119)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마련된다.
댐퍼(142)는 수분 배출홈(119)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로서,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판(plate)의 형태로 마련된다.
참고로, 댐퍼(142)의 두께는 수분 배출홈(119)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되고,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하우징(110)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댐퍼(142)의 크기는 수분 배출홈(119)을 차단하도록 수분 배출홈(119)의 크기와 같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댐퍼(142)를 이용하여 환기 장치(100)의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댐퍼 구동부(144)는 댐퍼(142)와 연결되어 댐퍼(142)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댐퍼 구동부(14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motor)가 사용된다.
이때, 댐퍼 구동부(144)에 사용되는 모터의 종류를 변경하여 댐퍼(142)의 개방 또는 차단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수분감지 센서(146)는 하우징(110)의 하단부, 즉 수분 배출홈(119)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수분감지 센서(146)는 댐퍼 구동부(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분이 감지되면 댐퍼 구동부(144)에 댐퍼(142)의 개방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여 수분 배출홈(119)이 개방되도록 한다.
수분감지 센서(146)는 결로수, 물 등과 같은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빗물감지센서로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수분감지 센서(146)에 물이나 수분이 닿으면 이를 감지하여 댐퍼 구동부(144)가 작동되고, 댐퍼 구동부(144)에 의해 댐퍼(142)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분 배출홈(119)을 개방시킴으로써 외부로 물이나 수분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분감지 센서(146)는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마련되되, 하우징(110)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감지 센서(146)는 하우징(110)의 하단부와 대략적으로 5mm 정도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참고로, 수분감지 센서(146)와 하우징(110) 간의 거리는 창호용 환기 장치(100)를 제조하는 제조자나 이러한 창호용 환기 장치(100)가 사용되는 주변 환경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는 다르게, 댐퍼(142)와 댐퍼 구동부(144)가 각각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142)와 댐퍼 구동부(144)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구동 모터에 날개 형태의 댐퍼가 장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즉, 댐퍼(142)와 댐퍼 구동부(144)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환기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주며 실외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는 필터부(116,118)가 마련됨으로써 실내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환기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하단부에 수분 제거부(140)를 마련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로나 태풍 및 폭우로 인해 발생된 물을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2: 창틀
14: 창짝 20: 벽체
100: 창호용 환기 장치
110: 하우징 111: 개구부
112: 하우징 커버 115: 급기구
116: 제1 필터 117: 배기구
118: 제2 필터 119: 수분 배출홈
120: 팬 모듈 130: 열 교환 모듈
140: 수분 제거부 142: 댐퍼
144: 댐퍼 구동부 146: 수분감지 센서
150: 풍향 조절용 커버

Claims (12)

  1. 벽체와, 벽체와 인접하게 마련된 창호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있어서,
    환기 장치는,
    벽체와 창호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팬 모듈;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열 교환 모듈; 및
    하우징에 마련되며, 팬 모듈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팬 모듈의 앞쪽에 마련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제1 필터; 및
    제1 필터의 앞쪽에 마련되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는 제2 필터; 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면에는 풍향조절 커버가 결합되되,
    풍향조절 커버는 하우징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마련된, 창호용 환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실외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개구부는 풍향조절 커버의 회전에 따라 개방 면적이 조절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개구부를 통해 실외 공기가 하우징으로 급기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기구; 및
    팬 모듈 및 열교환 모듈을 거치면서 열 교환된 공기 중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 가 마련되며,
    필터부는 급기구 및 배기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의 앞 쪽에 마련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급기구는 하우징의 실내측에 마련되고, 배기구는 하우징의 실외측에 마련되되,
    팬 모듈 및 열 교환 모듈의 작동 상태에 따라 하우징의 실외측에 마련된 배기구가 급기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변경되고, 하우징의 실내측에 마련된 급기구가 배기구로 역할이 변경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수분 배출홈이 형성되고,
    수분 배출홈은, 열 교환 모듈에 의해 생성된 결로수나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결로 및 폭우나 태풍으로 인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창호용 환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창호용 환기 장치의 단열을 위하여 수분 배출홈을 차단하거나, 하우징의 내부에 결로수나 폭우, 태풍으로 인한 물이 생성되었다고 감지되는 경우에 수분 배출홈을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분 제거부; 가 마련된, 창호용 환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수분 제거부는,
    수분 배출홈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마련된 댐퍼;
    댐퍼와 연결되어 댐퍼를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댐퍼 구동부재; 및
    댐퍼 구동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분이 감지되면 댐퍼 구동부재에 댐퍼의 개방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여 수분 배출홈이 개방되도록 마련된 수분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수분감지센서는, 하우징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창호용 환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교환 모듈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습도의 교환이 없이 온도만 교환하는 현열 교환기로 마련되는, 창호용 환기 장치.
  12. 벽체와, 벽체와 인접하게 마련된 창호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에 있어서,
    환기 장치는,
    벽체와 창호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의 내부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팬 모듈;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열 교환하여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열 교환 모듈;
    하우징에 마련되되 팬 모듈의 앞쪽에 마련되어 팬 모듈에 의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주거나 실외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및
    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며, 하우징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풍향조절 커버;
    를 포함하고,
    풍향조절 커버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양이 달라지도록 마련된, 창호용 환기 장치.
KR1020190171157A 2019-12-19 2019-12-19 창호용 환기 장치 KR10265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57A KR102654976B1 (ko) 2019-12-19 2019-12-19 창호용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157A KR102654976B1 (ko) 2019-12-19 2019-12-19 창호용 환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066A true KR20210079066A (ko) 2021-06-29
KR102654976B1 KR102654976B1 (ko) 2024-04-05

Family

ID=7662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157A KR102654976B1 (ko) 2019-12-19 2019-12-19 창호용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289A (ko) * 2021-12-22 2023-06-29 (주)엘엑스하우시스 엔드캡을 구비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01B1 (ko) 2005-03-21 2007-05-16 고명한 환기장치
KR100912453B1 (ko) * 2007-11-30 2009-08-17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20120028045A (ko) * 2010-09-14 2012-03-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JP2012117455A (ja) * 2010-12-01 2012-06-21 Hino Motors Ltd 熱交換器の凝縮水貯留排出機構
KR20180087016A (ko) * 2017-01-24 2018-08-01 이수빈 자연 급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01B1 (ko) 2005-03-21 2007-05-16 고명한 환기장치
KR100912453B1 (ko) * 2007-11-30 2009-08-17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KR20120028045A (ko) * 2010-09-14 2012-03-2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JP2012117455A (ja) * 2010-12-01 2012-06-21 Hino Motors Ltd 熱交換器の凝縮水貯留排出機構
KR20180087016A (ko) * 2017-01-24 2018-08-01 이수빈 자연 급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289A (ko) * 2021-12-22 2023-06-29 (주)엘엑스하우시스 엔드캡을 구비하는 창호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976B1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2396B (zh) 一种双循环式新风系统和新风机
KR102059727B1 (ko) 다기능 환기 유닛
KR102056470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US7563160B2 (en) Ventilating apparatus
KR101967279B1 (ko) 실내 공기청정 환기시스템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CN108302685B (zh) 具有内部空气的循环、排出和吸入功能的空气循环系统
KR102287901B1 (ko) 환기장치
KR100577207B1 (ko) 붙박이 형식 환기 시스템
KR102388507B1 (ko) 나노 필터를 적용한 제습 댐퍼를 포함한 공기조화기
KR100622111B1 (ko) 열교환 기능을 갖는 창틀형 환기 장치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2654976B1 (ko) 창호용 환기 장치
CN112484207A (zh) 新风系统、新风系统的控制方法
JP2002162083A (ja) 換気調湿システム
KR100698516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CN110906461B (zh) 一种窗式显热交换新风机
KR20050001507A (ko) 환기시스템
CN211146811U (zh) 新风系统
KR20070089001A (ko) 창호형 환기장치
KR200382452Y1 (ko) 열교환 기능이 구비된 창틀형 환기 장치
KR102397543B1 (ko) 창문설치형 환기청정기
KR102379009B1 (ko) 벽 매립형 환기장치
KR100483509B1 (ko) 공기정화 환풍기
CN211876227U (zh) 一种外置窗式室内新风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