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937A -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 Google Patents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937A
KR20210078937A KR1020190170909A KR20190170909A KR20210078937A KR 20210078937 A KR20210078937 A KR 20210078937A KR 1020190170909 A KR1020190170909 A KR 1020190170909A KR 20190170909 A KR20190170909 A KR 20190170909A KR 20210078937 A KR20210078937 A KR 2021007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ynthetic wood
nets
w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윤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보령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보령환경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보령환경
Priority to KR102019017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937A/ko
Publication of KR2021007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폐그물을 건조한후 이물질 제거 및 탈염, 탈수, 압착, 파쇄하여 얻은 분쇄물에 목분, 석고, 갈대, 쑥 또는 쇠뜨기, 숯, 황토 등을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폐그물을 재활용하여 자원을 절약하며, 제조원가가 낮고, 방충성, 내수성,내구성, 강도 등이 우수하며 성형 및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나무의 질감 또한 잘 표현할 수 있는 친환경적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선 파쇄된 해양 폐그물을 이송 건조하는 건조장치, 고압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입하는 분사장치, 탈염, 탈수시키는 탈염탈수장치, 탈염, 탈수시킨 해양 폐그물을 압착하는 압착장치와, 압착시킨 폐그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폐그물을 이송하는 밸트컨베이어와 폐그물을 건조하는 건조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장치는 고압에어를 분사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에어기와 이물질을 흡입 처리하는 이물질흡입기로 구성되고, 상기 탈염탈수장치는 폐그물을 탈염, 탈수하는 세척기,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하는 정화기,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폐그물의 염분을 측정하는 염분측정기로 구성되며, 또한, 세척된 폐그물을 압착시키는 압착기와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폐그물 분쇄물을 합성목재 조성물 재료로 준비한다.
본 발명은 합성목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에서 준비된 폐그물 분쇄물 25 내지 40 중량%, 평균입자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목분 30 내지 50 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석고 5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갈대 3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쑥 또는 쇠뜨기 5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숯 1 내지 5중량%, 평균입자 크기가 150 내지 200 메쉬인 황토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커플링제,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로 제조되는 합성목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Composition of eco-friendly synthetic wood mixed grinded waste net and synthetic wood fabrica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폐그물을 건조한 후 이물질 제거 및 탈염, 탈수, 압착, 파쇄,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에 목분, 석고, 갈대, 쑥 또는 쇠뜨기, 숯, 황토 등을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폐그물을 재활용하여 자원을 절약하며, 제조원가가 낮고, 방충성, 내수성, 내구성, 강도 등이 우수하며 성형 및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나무의 질감 또한 잘 표현할 수 있는 친환경적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더불어 해양에는 공장 및 도시 등에서 유입되는 각종 쓰레기와, 하천을 따라 유입되는 각종 생활쓰레기 등으로 인해 심각한 해양오염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연안 양식어장이 증가하면서 그물 등의 어구와 같은 해양 폐기물 역시 해양오염을 가중시키는 주요인이 되어 이들을 수거,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노력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침체(沈滯)어망 등의 폐그물은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고 과거에는 이들 해양 폐그물을 수거하여 소각 또는 매립처리하였으나 소각 시 다이옥신과 같은 심각한 대기오염 물질이 다량 발생하고 땅에 매립하는 경우에는 수십년간 썩지 않아 식물 생장에 방해가 되는 등 이러한 처리과정에서 2차적인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회수하여 재생자원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폐그물은 일반 폐기물과 달리 바닷물에 의해 다량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염분으로 인한 폴리머(Polymer) 산화작용 등으로 성형가공성이 저해되고 압출 성형 후에는 제조된 제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염분제거를 위한 탈염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수거한 해양 폐그물을 소각, 매립하는 과거의 처리방법은 2차적인 환경오염의 요인이 되므로 최근에는 해양 폐그물의 구성 성분 중 소각 시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 성분의 물질만을 분리하여 이것만 연소 용융시켜 연소용융과정에서 폐열을 회수하거나 융융슬래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해양 폐그물을 연소용융실에서 용용시켜 용융슬래그를 재활용 고형물로 재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재생방법은 해양 폐그물을 연소용융실에 투입하여 버너로 고온에서 용융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용융슬래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고온 용융 시 많은 열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함수율이 높은 슬러지를 건조, 소각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를 회수하여 깨끗한 수증기를 생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비등점이 물보다 높은 연료유를 슬러지와 혼합하여 슬러지의 열전달이 신속하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소각하고 이를 통해 발생된 수증기는 응축기에서 응축수로 회수하고 증기발생기에서는 깨끗한 수증기를 회수하는 방법이 있으나, 상기 해양 폐그물은 함수율이 매우높아 재활용 과정 등에서 건조,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재활용하는데 경제성과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에 함수율이 높고 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해양 폐그물을 재활용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작업을 보다 경제적이고 생산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마루판, 천정판, 문짝, 문틀, 창호, 펜스와 같은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천연목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천연목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질감에 의해 건축물의 내·외장재의 미관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천연목재는 열에 약할 뿐만 아니라, 흡수율이 커서 잘 썩고 벌레에 약하며, 건조되면 뒤틀리거나 갈라져 틈이 생기고 닳아 없어지는 등 변형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연목재는 수명연장과 깨끗함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방충제를 도포하고 칠을 해야 하는 등 사후관리에 비용이 필요하다. 더욱이 전 세계적으로 환경보존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산림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사용 목재의 7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천연목재의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목재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천연목재와 유사한 기능 및 외관을 갖는 합성목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287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769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3774호가 있다. 이러한 반영구적인 합성목재는 보통 목재, 볏집, 옥수수대, 펄프, 왕겨와 같은 섬유질과 열가소성 수지 등을 혼합한 조성물로 제조된다.
그러나 종래 합성목재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특허가 공개되어 있지만, 이들은 재활용 열가소성 수지 활용에 대한 방안을 전혀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어서 자원 절약 측면에서 효과가 없으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가 비싼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 여러 가지 합성목재에 관한 특허들은 상술한 목재의 취약점인 내수성, 내구성, 방충성, 강도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제조원가가 비싸고, 나무질감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그와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 제7,326,740호는 천연산물, 열가소성 수지, 항진균제 등을 포함한 천연산물 복합체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미국등록특허는 항진균제를 포함함으로써 미생물로부터 천연산물 복합체를 보호할 수는 있으나, 천연산물 복합체의 강도, 내수성, 내구성 등을 높이고, 원가를 낮추고, 나무질감을 표현하기 위한목적이나 효과 등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재활용 열가소성 수지를 활용하여 자원 절약 및 제조원가를 낮추며, 나무질감을 잘 표현하면서 방충성, 내수성, 내구성, 강도 등이 높으면서도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 후 벌레에 의한 훼손 및 썩지 않고 깨지지 않아 사후관리가 필요 없으며 목재의 변형이 없는 새로운 합성목재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287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769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73774호 미국등록특허 제7,326,740호
Polymer(Korea), Vol. 27, No. 6, pp 569-575(20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염수로 인해 염도와 함수율이 높은 해양 폐그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탈염, 탈수, 이물질 제거, 파쇄 후 분쇄한 분쇄물을 합성목재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가 낮고, 방충성, 내수성, 내구성, 강도 등이 우수하며, 성형 및 시공이 편리할뿐만 아니라 나무의 질감 또한 잘 표현할 수 있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우선 파쇄된 해양 폐그물을 이송 건조하는 건조장치, 고압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입하는 분사장치, 탈염, 탈수시키는 탈염탈수장치, 탈염, 탈수시킨 해양 폐그물을 압착하는 압착장치와, 압착시킨 폐그물을 파쇄하고 분쇄하는 분쇄장치로 폐그물 분쇄물을 생산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폐그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와 폐그물을 건조하는 건조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장치는 고압에어를 분사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에어기와 이물질을 흡입 처리하는 이물질흡입기로 구성되고, 상기 탈염탈수장치는 폐그물을 탈염, 탈수하는 세척기,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하는 정화기,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폐그물의 염분을 측정하는 염분측정기로 구성되며, 또한, 세척된 폐그물을 압착시키는 압착기와 폐그물을 파쇄하고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폐그물 분쇄물을 합성목재 조성물 재료로 준비한다.
본 발명은 합성목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에서 준비된 폐그물 분쇄물 25 내지 40 중량%;
평균입자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목분 30 내지 50 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석고 5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갈대 3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쑥 또는 쇠뜨기 5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숯 1 내지 5중량%;
평균입자 크기가 150 내지 200 메쉬인 황토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커플링제,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로 제조되는 합성목재를 제공한다.
발명에 따르면, 해수에 오랜 시간 동안 침체되어 많은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해양 폐그물을 일련의 과정을 통해 탈염, 탈수하고 압착한 후 파쇄, 분쇄하여 얻어진 폐그물 분쇄물로 합성목재를 제품화하여 폐그물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폐그물을 그냥 폐기하는데 따른 자원낭비에서 벗어나 폐그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종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대신 상기 폐그물 분쇄물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분의 일정비율을 갈대, 쑥, 쇠뜨기풀 등과 같이 산과 들에 널려있어 입수가 용이한 재료로 대체함으로써 제조원가가 낮으면서도 나무질감이 잘 표현된 친환경적인 합성목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쑥, 쇠뜨기풀의 함유로 방충효과가 높아 방충성이 뛰어난 친환경 합성목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석고와 황토를 사용함으로써 강도가 높고, 내구성, 내열성이 우수하며, 시공후 썩거나 깨지거나 비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사후관리에 비용이 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상기 목분, 석고, 갈대, 쑥, 쇠뜨기풀 등에 대해 특정 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분 간의 혼합 및 분산이 잘 이루어져 성형이 편리하면서도 휨강도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합성목재는 마루판, 문짝, 문틀, 창호, 펜스 등의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의 제조공정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 및 분사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염탈수장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기로 탈염탈수를 끝낸 후 내부 회전원통의 작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압착장치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과정을 보인 순서도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폐그물 분쇄물과 목분, 석고, 갈대, 쑥 또는 쇠뜨기, 숯, 황토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폐그물 분쇄물은 다음과 같은 장치에 의해 수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은 파쇄된 폐그물을 이송, 건조하는 건조장치(100)와, 건조된 폐그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장치와, 폐그물을 탈염, 탈수하는 탈염탈수장치(200), 그리고 탈염, 탈수 후 압착하는 압착장치(300), 폐그물을 분쇄하는 분쇄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수거된 폐그물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호퍼(101)를 통해 건조기(103)로 이송, 건조되고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물질이 제거된 폐그물은 세척기(201)로 이송되어 탈염, 탈수작업을 거치고 압착기(300)와 분쇄기(400)로 이송하여 압착되고 분쇄된다.
상기 세척기(201)에서 사용된 물은 정화기(210)를 거쳐 재사용 가능하게 정화되어 저장탱크(220)에 저장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 전체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건조장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탈염탈수장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건조기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압착장치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 과정을 그린 순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100), 분사장치, 탈염탈수장치(200), 압착장치(300), 분쇄장치(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건조장치(100)와 분사장치는 공급호퍼(101), 벨트컨베이어(102), 건조기(103)와 고압에어기(104), 이물질 흡입기(105), 이물질저장통(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정크기로 절단된 폐그물은 공급호퍼(100)에 투입되고, 벨트컨베이어(102)와 건조기(103)를 통해 이송 및 건조된다.
이송되는 폐그물에 남아있는 이물질은 고압에어기(104)에서 분사된 고압에어로 분리되고, 이물질흡입기(105)로 빨려들어가 이물질저장통(106)에 저장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이물질제거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면, 이물질 제거는 건조기(103) 내의 상부에 위치한 고압에어기(104)와 벨트컨베이어(102) 좌,우측에 위치한 이물질흡입기(105), 그리고 이물질흡입기(105) 하부에 연결되어있는 이물질저장통(10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압에어기(104)에서 분사된 고압에어는 벨트컨베이어(102)로 이송되는 폐그물을 건조할 수 있을 만큼 고온이면서, 폐그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이물질흡입기(105)와 이물질저장통(106)은 폐그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폐그물은 벨트컨베이어(102)로 이송되면서 고압에어기(104)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고압에어에 건조되고, 분사되는 고압에어의 충격으로 폐그물에 붙어 있던 이물질은 폐그물과 이격되어 공기 중에 날리거나 벨트컨베이어(102) 바닥에 떨어진다. 이렇게 폐그물과 분리된 이물질은 이물질흡입기(105)로 빨려들어 이물질저장통(106)에 들어간다.
이러한 과정은 폐그물이 건조기(103) 내 벨트컨베이어(102)로 이송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차후에 진행되는 세척작업의 효율성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고압에어의 온도 및 세기는 폐그물을 건조하고, 이물질을 제거할 만큼 충분한 온도와 세기이며 조절가능하다.
또한, 이물질흡입기(105) 하부에 이물질저장통(106)을 연결하여 이물질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건조되고 1차 이물질 제거를 마친 파쇄 폐그물은 탈수탈염장치(200)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기(103)의 상부에 고압에어기(104)가 설치되고 벨트컨베이어 좌우측에 이물질흡입기(105)와 그 하부에 이물질저장통(106)이 설치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탈수탈염장치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면, 탈수탈염장치(200)는 세척기(201), 회전원통(204), 염분측정기(202), 정화기(210), 전처리장치(211), 역삼투화장치(212), 저장탱크(220), 펌프(2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척기(201)는 원형형태이며 내부에는 폐그물의 탈염을 위한 세척수가 채워지고 세척수가 채워진 세척기(201) 상부의 투입부(203)로부터 폐그물을 투입한다. 상기 폐그물은 금속 등의 부착물 등을 제거하고 합성수지류만을 분리시킨 것이다.
또한 세척기(201)는 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내부 회전 원통(204)은 세척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작은 구멍(205)이 뚫려 있고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좌우 고속 회전을 한다. 이때 염분측정기(202)를 통해 폐그물의 염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203)로부터 투입된 폐그물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원통(204) 내에서 세척수와 충돌하고 서로 비벼지면서 부착된 염분이 탈락되고 세척수에 녹으면서 탈염이 이루어진다. 상기 탈염과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배수구(206)를 열어 세척기(201) 내부의 세척수를 정수기(210)로 배수하고 세척수의 배수가 이루어지면 다시 고속으로 내부 원통(204)을 돌려서 해양 폐그물을 회전시켜 탈수시키고 탈수된 물은 배수구(206)를 통해 정수기(210)로 보내진다.
상기 배수구(206)에는 배수되는 세척수에 혼입된 폐그물의 잔여물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스크린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탈수작업이 마무리되면 배수구(206)를 닫고 세척기(201) 내부의 회전원통(204)을 기계적으로 수직상승시킨후 기울여 세척기(201) 내부의 폐그물을 배출시킨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세척기로 탈염탈수 작업 후 폐그물 배출을 위한 내부 회전원통(204)의 작동 모습을 보여준다. 회전원통(204)은 구동실린더와 같은 종래의 기계적 장치로 수직 작용 및 기울일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정화기(210)는 탈염, 탈수작업에 사용되어 염분을 함유한 세척수를 전처리장치(211)와 역삼투장치(212)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정화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처리장치(21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여과기를 전처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고, 동일 종류의 여과기를 복수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역삼투장치(212)는 탈염, 탈수작업을 거쳐 다량의 염분을 함유한 세척수를 유입받은 후,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염분이 제거된 세척수를 배출한다.
여기서, 삽투압은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반투막으로 막아 놓았을 때,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쪽으로 용매가 옮겨가는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을 말한다. 역삼투압은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할 때, 용액으로부터 순수한 용매가 반투막을 통해 빠져나오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리고, 역삼투막은 역삼투 현상을 일으키는 데 사용되는 반투막이다.
정화된 세척수는 염분이 제거된 상태로 펌프(221)를 통해 저장탱크(220)로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기(201) 하측에 정화기(210)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탱크(220)에 저장된 세척수는 펌프(221)를 통해 다시 세척기(201)로 투입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탈염, 탈수 시 발생하는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폐그물을 재활용함에 있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압착장치(300)는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압착로울러(301)가 상하로 배치되어 탈염탈수장치(200)에서 탈염, 탈수시킨 폐그물을 압착하여 잔여 수분을 탈수함과 아울러 압착작업으로 부피를 축소시켜서 분쇄기(400)로 이송하고 분쇄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과정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7의 구성을 따르는 동시에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S110)에서 일정크기로 절단된 폐그물이 공급호퍼(101)에 투입된다.
이어서, 단계(S120)에서 투입된 폐그물은 이송 건조되면서, 고압에어기(104)로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어서, 단계(S130)에서 페그물은 세척되고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정화된다.
이어서, 단계(S140)에서 상기 세척된 폐그물은 압착되고 분쇄된다.
상기한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그물의 재활용을 위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시스템 의해서, 해양에서 수거된 폐그물은 재활용되며 보다 적은 비용으로 탈염, 탈수 및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장치와 방법에 의해 얻은 폐그물 분쇄물은 본 발명인 합성목재의 원료로 완성된다.
폐그물 분쇄물은 본 발명의 최종 생산품인 합성목재로 가공 시, 종래의 천연목재 또는 합성목재에 비하여 내수성, 내열성, 충격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폐그물 분쇄물은 폐그물로부터 재활용된 재료이므로 이를 이용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므로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폐그물 분쇄물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보다 선팽창 계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융점이 높기 때문에, 심한 온도차이에 의한 수축 또는 팽창으로 인한 최종 생산품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상기 폐그물 분쇄물은 동절기의 저온 충격강도 및 불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굴곡면 시공 시 적절한 유연성을 발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그물 분쇄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내수성, 내구성, 내열성, 충격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 면에서 우수하며, 시공 처리도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폐그물 분쇄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는데,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합성목재의 내수성, 충격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을 강화시키면서, 온도차이에서 오는 합성목재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 목분과 석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대, 쑥 또는 쇠뜨기와 함께, 목분에 비해 값이 저렴하고 흡수율이 낮으며 강도가 높은 석고를 포함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내수성,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불연효과 및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목분과 석고로는 일정 크기의 평균입자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목분은 평균입자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인 목분을 사용하며, 상기 석고는 평균입자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석고를 사용한다.
상기한 입자크기를 갖는 목분을 사용함으로써, 최종 생산품인 합성목재에서 천연목재의 나무질감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고, 상술한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석고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석고가 그보다 입자가 큰 목분 등의 사이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어 합성목재의 강도를 고르게 높이고, 흡수율을 충분히 낮추면서도, 신율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목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합성목재의 모든 가공에 목공 공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천연목재와 같은 가공성을 갖게 한다. 이러한 목분으로는 활엽수, 소나무, 전나무 등의 침엽수 또는 대나무 등의 분쇄물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분으로 활엽수의 분쇄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풍나무과(예: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신나무 등)의 분쇄물을 사용한다. 단풍나무과의 분쇄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등의 유독물질이 발생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목분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데,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표면외관의 효과는 탁월하나 기계적 물성이 크게 감소되며,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무늬 및 질감에서 천연목재의 느낌을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석고는 그 값이 목분에 비해 저렴하고, 목분 보다 흡수율이 낮으며, 강도가 높을 뿐 아니라 열에도 강하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내수성, 내열성, 내구성, 강도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며, 변형이나 사후관리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석고 입자의 크기는 100 내지 150 메쉬가 바람직한데, 상술한 범위의 입자크기를 가짐으로써, 석고가 합성목재 내의 목분, 갈대, 쑥 등의 사이에 고르게 분산되어 합성목재의 불연효과와 여러 강도, 즉 휨강도, 나사못 유지력, 습윤 시 휨강도 등을 크게 강화시킬 수 있다. 만약 석고의 입자크기가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면, 석고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여 특정부위의 강도만 강화되거나, 성형성, 시공성 등을 떨어뜨리는 바람직하지 못한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고는 목분에 함유된 수분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목분에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합성목재에서 기포발생, 표면불량, 뒤틀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석고를 사용함으로써 목분에 함유된 수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석고를 일정량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수분제거를 위한 작업이나 공정이 불필요하고, 건조 후 공기 중의 수분을 재흡수하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석고의 사용으로 인해 합성목재의 불연효과 및 내구성이 증대되고, 온도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게된다. 이러한 석고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데,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나무질감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고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강도, 성형성 등이 나빠질 수 있고, 상술한 범위의 미만이면, 강도, 흡수율 및 나무질감 면에서 역시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필수성분으로 갈대, 쑥 또는 쇠뜨기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산과 들에 널려있는 갈대, 쑥 또는 쇠뜨기풀과 같이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필수 성분으로 채용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고 값이 저렴하면서 강도 등이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갈대, 쑥 또는 쇠뜨기풀을 건조한 후 일정 크기로 절단 또는 분쇄해서 사용하거나, 먼저 절단 또는 분쇄한 후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갈대와 쑥 또는 쇠뜨기는 입자 크기가 50 내지 130메쉬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범위의 입자크기를 갖는 갈대, 쑥 또는 쇠뜨기풀을 사용하면, 상기한 입자크기의 목분 및 석고와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천연목재의 나무질감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고, 혼합 및 분산도 잘 이루어져 합성목재의 강도, 불연성 또한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갈대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0중량%, 쑥 또는 쇠뜨기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중량% 포함되는데,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목분, 석고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조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고,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통기성, 통풍성 등의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갈대, 쑥 또는 쇠뜨기풀을 충분히 건조한 후 일정 크기로 절단하거나 분쇄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갈대, 쑥 또는 쇠뜨기풀은 천연의 재료로서 구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강도가 좋고 목재와 유사한 질감을 주기때문에, 이를 사용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더 낮출 수 있고, 합성목재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나무질감을보다 잘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쑥 또는 쇠뜨기풀은 방충작용을 하는데 유용하며, 항균작용, 면역강화작용 등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기능과 작용을 하므로, 이를 사용하면, 방충작용으로 인해 본 발명의 완성품인 합성목재를 유지, 관리하는데 비용이 절약되며, 또한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미생물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며 내구성이 높은 합성목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숯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숯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약리 효과 및 세균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숯은 공기 중에 있는 노폐물을 걸러내고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정화역할을 하고 곰팡이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숯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면 강도, 불연성 등에서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숯의 입자 크기는 목분과 잘 혼합 및 분산되도록 100 내지 15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황토를 필수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황토는 충전제의 역할을 하며, 건조하면 강성을 나타내므로 합성목재의 불연성 및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황토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여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이러한 황토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면 강도, 불연성, 촉감 등에서 충분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황토의 입자 크기는 나머지 성분들, 특히 석고와 잘 혼합 및 분산되도록 150 내지 20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추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물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컨대 커플링제,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커플링제는 필수성분들의 혼합 시 그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구조를 견고히 구성되게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로는 종래 알려진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로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실리카와 같은 무기물이 이용될 수 있고, 그 표면이 스테아르산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안료로는 무기안료, 유기안료 등 통상의 안료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무기안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포스페이트 계통의 산화방지제, 페놀계 산화방지제, 칼슘 스테아린산염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광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bis 2,2,6,6-tetramethyl-4-piperidil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 계통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합성목재는 창호, 문틀, 바닥재 및 몰딩류 등의 건축용 내·외장재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몰딩류로는 천정몰딩, 코너몰딩, 문선몰딩, 장식몰딩, 걸레받이, 등박스 또는 액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 및 합성목재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예컨대 공압출법, 일반압출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의 제조공정를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며, 이와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가 완성된다.
우선, 폐그물 분쇄물과 목분, 석고, 갈대, 쑥 또는 쇠뜨기 숯, 황토를 믹서기에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 때, 상기 교반 온도 및 시간은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종류, 크기, 두께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2분 내지 10분간 교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분들의 함량은 상술 하였으므로, 생략한다.
그 후, 커플링제, 충전제, 안료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여 역시 일정 조건, 예를 들면 5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제조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제조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상기 압출기의 스크류 전면부의 히팅 온도 180 내지 240℃, 스크류 중앙부의 히팅 온도 170 내지 200℃, 스크류 후면부의 히팅 온도 140 내지 170℃로, 상기 합성목재의 조성물을 펠렛 제조 금형으로 이송시켜, 펠렛 제조 금형 히팅 온도 140 내지 180℃에서 펠렛을 제조한 후, 상기 펠렛을 상온에서 건조시킨다.
이어서, 상기 펠렛을 합성목재의 기재 제조 압출기에 투입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펠렛을 합성목재의 기재 제조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 상기 압출기의 제 1 스크류 히팅 온도 180 내지 240℃, 제 2 스크류 히팅 온도 170 내지 200℃로 이송 및 진공가스 배출부에서 진공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제 3 스크류 히팅 온도 140 내지 170℃, 제 4 스크류 히팅 온도 150 내지 180℃로 상기 펠렛을 기재 제조 금형으로 이송시켜, 기재 제조 금형 히팅 온도 140 내지 180℃에서 합성목재 기재로 압출한 후, 냉각조에서 냉각후, 절단기로 절단하여 합성목재의 기재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폐그물 분쇄물 30중량%와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메쉬인 목분 4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20메쉬인 석고 5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메쉬인 갈대 5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메쉬인 쑥 5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메쉬인 숯 3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50메쉬인 황토 3중량%를 믹서기에 투입하여 80℃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때, 상기 목분, 갈대, 쑥은 함수율 3~5% 정도로 열풍건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 후 커플링제, 충전제 및 안료를 투입하여 70℃의 온도에서 7분 동안 교반하여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제조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 스크류 전단부 온도 180℃, 중앙부 온도 200℃, 후면부 온도 170℃로 이송, 금형온도 180℃에서 펠렛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상온에서 건조된 펠렛을 합성목재의 기재 제조 압출기에 투입, 제 1 스크류 온도 190℃, 제 2 스크류 온도 170℃로 이송 및 진공가스를 진공가스 배출부로 배출한 후, 제 3 스크류 온도 140℃, 제 4 스크류 온도 180℃로 이송하여, 180℃ 금형에서 압출, 기재를 제조 냉각조에서 냉각 및 절단기로 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의 조성 범위 내로 제조한 상기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최종생산물은 합성목재의 모든 물성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물성은 다음과 같다.
함수율은 0.35
휨강도는 건조 시 36.94N/㎟ 물에 7일 함침 시 36.91N/㎟
흡수율은 물에 7일 함침 시 1.20%
흡수두께 팽창율은 물에 7일 함침 시 0.30%
나사못 유지력은 평면 2389N 측면 1631N
습윤 시 휨강도 37.55N/㎟
나무 질감 및 외관 4.9점/5.0점
위의 물성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 특히 목분, 석고, 갈대, 쑥의 평균입자 크기에 따른 물성 평가 결과, 나무질감 및 외관, 휨강도, 습윤 시 휨강도, 흡수율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쑥으로 인해 방충성과 항균효과 등 인체에 유익한 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정 함량을 목분 대신 값이 싼 석고, 갈대, 쑥을 사용함으로써 이를 사용하지 않은 조성물 대비 약 5~15%의 원가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의 조성물은 성분의 혼합이 잘 이루어져 고른 강도분포를 보임과 동시에 성형 및 시공이 보다 용이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폐그물 분쇄물 25 내지 40 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이고 수분 함량이 3 내지 8%인 목분 30 내지 50 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석고 5 내지 10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인 갈대 3 내지 15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50 내지 130 메쉬인 쑥 또는 쇠뜨기 1 내지 5중량%;
    평균입자의 크기가 100 내지 150 메쉬인 숯 1 내지 5중량%;
    평균입자 크기가 150 내지 200 메쉬인 황토 1 내지 5중량%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그물 분쇄물은, 파쇄된 해양 폐그물을 이송 건조하는 건조장치, 고압공기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흡입하는 분사장치, 탈염, 탈수시키는 탈염탈수장치, 탈염, 탈수시킨 해양 폐그물을 압착하는 압착장치와, 압착시킨 폐그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통해서 생산되며, 상기 건조장치는 폐그물을 이송하는 밸트컨베이어와 폐그물을 건조하는 건조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장치는 고압에어를 분사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에어기와 이물질을 흡입 처리하는 이물질흡입기로 구성되고, 상기 탈염탈수장치는 폐그물을 탈염, 탈수하는 세척기, 그리고 세척에 사용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하는 정화기,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폐그물의 염분을 측정하는 염분측정기로 구성되며, 또한, 세척된 폐그물을 압착시키는 압착기와 분쇄하는 분쇄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생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피복재가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제조되는 합성목재
KR1020190170909A 2019-12-19 2019-12-19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20210078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09A KR20210078937A (ko) 2019-12-19 2019-12-19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909A KR20210078937A (ko) 2019-12-19 2019-12-19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937A true KR20210078937A (ko) 2021-06-29

Family

ID=7662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909A KR20210078937A (ko) 2019-12-19 2019-12-19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9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55B1 (ko) 2021-08-09 2022-02-18 주식회사 제이알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6740B2 (en) 2003-04-23 2008-02-05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Natural products composites
KR100928702B1 (ko) 2009-03-23 2009-11-27 현우공업 주식회사 친환경성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0987698B1 (ko) 2010-01-22 2010-10-13 주식회사 아론물산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1073774B1 (ko) 2011-04-12 2011-10-13 김현용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합성목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6740B2 (en) 2003-04-23 2008-02-05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Natural products composites
KR100928702B1 (ko) 2009-03-23 2009-11-27 현우공업 주식회사 친환경성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0987698B1 (ko) 2010-01-22 2010-10-13 주식회사 아론물산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1073774B1 (ko) 2011-04-12 2011-10-13 김현용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합성목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olymer(Korea), Vol. 27, No. 6, pp 569-575(20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55B1 (ko) 2021-08-09 2022-02-18 주식회사 제이알 친환경 합성목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1359C9 (ru) Волокнистые материалы и композиты
JP6744296B2 (ja) 廃棄物を選別および/または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前記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処理材料
RU2403090C2 (ru) Волокнистые материалы и композиты
CA2783759C (en) Fibrous materials and composites
JP2022118218A (ja) 混合固形廃棄物からの固体燃料組成物の製造方法
CA2778529A1 (en) Reed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KR20170133075A (ko) 전선피복을 혼합한 농작용 지주목의 제조방법
US20230405878A1 (en) Preconditioned resin aggregate
KR20210078937A (ko)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1266151B1 (ko) 팜 부산물과 팜 슬러지를 이용한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8405A (ko)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CN110218421A (zh) 一种废旧衣物和pet瓶片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KR101951188B1 (ko) 살균, 탈취 기능이 있는 나노 아연 탄소 과망간산칼륨 용액의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130118427A (ko)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CN102010612B (zh) 生活垃圾工业化生产能循环利用的高分子复合环保材料的方法
KR101582487B1 (ko) 해수와 종이를 이용한 황토보드 및 그 성형방법
KR20130142356A (ko) 폐그물 분쇄물이 혼합되고 방충성이 뛰어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1154814B1 (ko) 패각을 함유하는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101130333B1 (ko) 패각을 함유하는 인조 목재와 그 제조방법
KR101094893B1 (ko) 원적외선 방사 인조 목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20130123535A (ko) 방충성이 뛰어난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1748574B1 (ko) 저분진 치핑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및 도장공법
KR101094892B1 (ko) 원적외선 방사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101100404B1 (ko) 호두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101275194B1 (ko) 합성목재용 펠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