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199A - 스마트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199A
KR20210078199A KR1020190170021A KR20190170021A KR20210078199A KR 20210078199 A KR20210078199 A KR 20210078199A KR 1020190170021 A KR1020190170021 A KR 1020190170021A KR 20190170021 A KR20190170021 A KR 20190170021A KR 20210078199 A KR20210078199 A KR 2021007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t
processor
information
door system
sma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유진
박한조
신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199A/ko
Publication of KR2021007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6Video do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사람이 출입하고, 내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현관 도어, 실외측 도어 및 실내측 도어를 포함하는 물품 저장고, 상기 거주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거주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가 상기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및 상기 거주자가 상기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정보를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도어 시스템{SMART DOOR SYSTEM}
본 발명은, 거주자의 상태에 따라 거주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내부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현관문은 기계식 도어락을 구비하고 단순히 잠금 수단 및 개폐수단으로써의 기능만 수행하였다.
다만 최근에는 전자식 도어락 혹은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되어 사용하기 더 쉬운 럭(lock)/언락(unlock)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정보 및 심미적 요소를 제공하며 방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는 스마트 도어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버튼 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진화하여, 최근에는 생체 인증 등 간편하면서도 보안성이 향상된 인증 수단을 사용하는 스마트 도어가 등장하고 있다.
한편 많은 가정에서 이른 아침에 우유나 유제품 등을 배달시킨다. 최근에는 핵가족화, 독신 가정의 증가, 여성들의 사회생활이 증가함에 따라 유제품뿐 아니라 야채, 과일 등 다양한 배달식품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러나 여름휴가나 명절 등과 같이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상기 배달식품은 신선도를 유지하지 못해 부패하거나 상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지구 온난화로 인해 연평균 기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름철뿐 아니라 봄부터 가을까지 상기 배달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여야 할 필요성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33394 (2011년 3월 31일)에는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한편 스마트 도어에서 택배와 관련된 정보나 기타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적절히 제공할 수 있으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정보가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 문헌]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1-0033394 (2011년 3월 31일).
본 발명은, 거주자의 상태에 따라 거주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내부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거주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및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정보를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상태를 구분하고, 거주자의 상태에 따라 거주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집으로 들어온 거주자는 부재 중 도착한 택배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집에서 나가려는 거주자는 잊어버린 소지품이나 기타 외출시 필요한 정보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거주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장착된 현관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내에서 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내측 도어를 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택배 정보 중 배송 완료된 택배의 구매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배송이 미완료된 택배의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19a는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b는, 실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실외와 통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내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1 메뉴가 선택 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는 제2 메뉴가 선택 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3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장착된 현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개된 현관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옥내와 복도를 구획하는 외벽(1)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프레임(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의 내측에 현관 도어(3)와, 상기 현관 도어(3)의 측방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3)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 사이에는 구획부(7) 또는 구획벽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7)에는 상기 현관 도어(3)의 개폐 및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일측에는 접근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 센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수납할 택배 물품의 암호화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리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면 인식 센서를 통해서 인식된 접근자의 얼굴 이미지가 상기 컨트롤 패널(4)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4)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안면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관 도어(3)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후술함)와 실내측 도어(후술함)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택배 물품의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를 개방시키고, 실외측 도어가 닫힘을 인식하면 자동으로 실외측 도어의 잠금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이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제어부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 패널(4)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실외측 도어와 실내측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다른 하나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된 컨트롤 패널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본체 또는 실외측 도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상측에는 제 1 저장고(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제 2 저장고(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고(5)는 물품을 따뜻한 상태로 보관하는 온장고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고(6)는 상온으로 유지되어 단순히 택배 물품의 저장 기능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고내 온도와 다른 온도로 유지되되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저장고(5)가 냉장 또는 냉동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저장고(6)가 택배 물품의 보관 기능만 수행하도록 상온으로 유지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의 후방에 해당하는 실내 현관 측벽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 3 저장고(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저장고(8)는 신발이나 우산 또는 세탁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는 전방 일부분이 외벽(1)을 관통하는 벽 매립형 냉장고로 이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전단 일부가 외벽(1)에 매립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114)를 개폐하는 외부 도어(12)와,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115)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13)와,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장착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기 공급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개구부(114)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전면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내측 개구부(115)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측면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의 후면을 덮는 방열 커버(15)와, 상기 방열 커버(15)를 통해서 배출되는 방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외부 공기 가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이 상하로 배치되고, 한 쌍의 방열 커버(15)가 각각의 냉기 공급 모듈(20)을 커버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공기 가이드(16)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방열 커버(15) 사이에 배치되어, 하측의 방열 커버(15)로부터 배출되는 방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은, 상측의 제 1 냉기 공급 모듈과 하측의 제 2 냉기 공급 모듈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의 냉기 공급 모듈(20)의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중앙에 배치되는 구조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며, 이 구조에서는 상기 외부 공기 가이드(16)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열 커버(15)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전면에서 플랜지가 절곡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 커버(15)의 상면과 하면을 제외한 배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에만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방열 커버(15)의 후면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방열 커버(15)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 이후에는 상기 상기 방열 커버(1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방열 커버(15)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후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는, 상기 캐비닛(11) 내부 공간을, 냉기 공급 모듈(20)이 수용되는 증발실(102)과 배송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실(101)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는 드레인 팬(drain pan)(14)과, 드레인 호스(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141)는,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실(102) 바닥에 모인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 호스(141)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적어도 상기 외부 도어(12)의 전면은 실외에 노출되어, 인증된 택배 기사가 개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12)의 전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저장고(5,6)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이들보다 약간 돌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도어(12)의 전면은 상기 외벽(1)과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이보다 약간 더 돌출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도어(12)는, 접근이 허용되지 않은 사람이 쉽게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손잡이 구조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도어(12)의 일측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4)에 장착된 인증 수단에 의하여 배송 물품이 인식 및 인증되면, 상기 컨트롤 패널(4) 또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에 설치된 제어부가 상기 외부 도어(1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도어(12)를 밀어주는 별도의 구동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외부 도어(12)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도록 하여, 택배 기사가 상기 외부 도어를 개방하기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이 완료되고 택배 기사가 외부 도어(12)를 닫으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외부 도어를 잠금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상기 캐비닛(11)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내부 도어(13)의 좌측면까지의 거리(M)는 상기 외벽(1)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도어(13)의 힌지(후술함)는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외벽(1)을 포함한 상기 캐비닛(11)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내부 도어(12)의 힌지(124)도 상기 캐비닛(11)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외벽(1)을 포함한 상기 캐비닛(11) 이외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은, 외형을 이루는 아우터 케이스(11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의 내측에 놓여서 상기 저장실(101)을 정의는 인너 케이스(1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11)와 인너 케이스(112)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에는 다수의 돌기부(112i)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전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가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에 형성됨으로써, 중량이 큰 배송 물품을 상기 저장실(101)에 밀어 넣어 수납할 때, 배송 물품과 인너 케이스(112) 바닥이 선 접촉에 가깝게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기부(112i)는, 도트(dot) 또는 반구 형태의 돌기부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배송 물품의 바닥면과 돌기부 간 점접촉에 가깝게 접촉하도록 하여, 마찰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개구부((114)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는 아우터 씰러(outer sealer)(31)가 장착되고, 상기 내측 개구부(115)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는 인너 씰러(inner sealer)(3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후면에는 내부 에어 가이드 (18)가 장착되어,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상기 저장실(101)로 안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열전 소자가 적용된 냉기 공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열전 소자는, 전류가 공급되면 일 면은 온도가 떨어져서 열을 흡수하는 흡열면으로 작용하고, 반대 면은 온도가 증가하여 열을 방출하는 발열면으로 작용한다.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열전 소자(21)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22)와,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24)와, 상기 콜드 싱크(22)의 전방에 놓이는 흡열팬(23)과, 상기 히트 싱크(24)의 후방에 놓이는 방열팬(25), 및 상기 열전 소자(2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단열 블록(26)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냉기 공급 모듈(20)은,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형성된 장착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냉기 공급 모듈(20)이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 제 1 냉기 공급 모듈이 상기 캐비닛(11)의 후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냉기 공급 모듈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1)의 후면에 제 2 냉기 공급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냉기 공급 모듈을 구성하는 흡열팬과 제 2 냉기 공급 모듈을 구성하는 흡열팬 사이에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에 의하여, 상기 제 1 냉기 공급 모듈의 흡열팬에 의하여 유동하는 냉기와 상기 제 2 냉기 공급 모듈의 흡열팬에 의하여 유동하는 냉기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저장실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팬(23)과 상기 방열팬(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축류팬 또는 원심팬일 수 있다.
상기 콜드 싱크(22)는 싱크 바디와,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한다. 상기 싱크 바디의 후면은 상기 열전 소자(21)의 전면에 밀착되고, 상기 열교환 핀은 직사각형 형태의 핀이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은 상기 싱크 바디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열팬(23)에 의하여 흡입되는 상기 저장실(101) 내부의 냉기는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 부딪힌 다음 상기 다수의 열교환 핀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분산되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콜드 싱크(22)와 열교환하면서 냉각된 냉기는 상기 내부 에어 가이드(18)를 따라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에 형성된 토출 그릴(171)을 통과한 뒤 상기 저장실(101)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콜드 싱크(22)와 마찬가지로, 후면이 상기 열전 소자(21)의 발열면에 부착되는 싱크 바디와, 상기 싱크 바디의 전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4)는 상기 콜드 싱크(22)보다 열교환 양이 커야 하므로, 콜드 싱크(22)보다 큰 체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히트 파이프와 같은 열전달 수단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열전 소자의 냉력(cooling capacity)은 흡열면과 발열면의 온도차가 클수록 감소하는 물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열전 소자(21)의 냉력 극대화를 위해서 상기 히트 싱크(24)의 방열 능력이 상기 콜드 싱크(22)의 흡열 능력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히트 싱크(24)의 열교환 핀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열되므로, 방열팬(25)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실내 공기)는 히트 싱크(24)의 싱크 바디 표면에 부딪힌 후 좌우 방향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특히, 하측의 히트 싱크(24)에 부딪혀서 열교환한 뒤 좌우로 나뉘어 흐르는 방열 공기는 상기 외부 에어 가이드(16)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상기 방열 커버(15)의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 흐르도록 안내된다.
한편, 상기 콜드 싱크(22)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는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으로 흘러내린 뒤, 상기 드레인 호스(141)를 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으로 집수된다. 상기 드레인 호스(141)는 상기 증발실(102)의 바닥을 정의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112)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캐비닛(11)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팬(14)으로 연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는 통신부(210), 센싱부(220), 입력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도어락(260), 프로세서(270) 및 전원공급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단말기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하나 이상의 도어(300, 400, 500)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홈 서버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통신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를 홈 네트워크 또는 기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통신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이동 통신 회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무선 인터넷 모듈(무선 인터넷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 모듈(근거리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단말기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하나 이상의 도어(300, 400, 500)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홈 서버 사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외부 서버 사이, 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다른 장치(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는 사용자(집의 구성원 또는 방문자)를 인증하거나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고유의 ID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외부 기기와 유선 연결되는 경우, 통신부(210)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220)는 사용자(집의 구성원 또는 방문자)를 인증하거나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과 관련된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지문 인식 센서, 사용자의 정맥 데이터를 획득하는 정맥 인식 센서, 사용자의 홍채 데이터를 획득하는 홍채 인식 센서,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획득하는 얼굴 인식 센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음성 인식 센서, 사용자의 손금 데이터를 획득하는 손금 인식 센서, 사용자의 장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장형 인식 센서, 사용자의 망막 데이터를 획득하는 망막 인식 센서, 사용자의 DNA를 획득하는 DNA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행동적 특징과 관련된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필적 데이터를 획득하는 필적 인식 센서, 사용자의 입술의 움직임의 버릇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립 무브먼트 인식 센서, 사용자의 눈 깜빡임에 의한 검은 자위의 영역의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눈 깜빡임 인식 센서, 사용자의 보행의 특징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보행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데이터 들을 조합한 다중 생체 인식 (Multimodal biometrics)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하거나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220)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상술한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센싱부(220)는 음성 데이터를 획득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상술한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 구성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통신부(210) 또는 센싱부(220)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례로, 프로세서는 통신부(210)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어락(260)을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ID가 전송되고, 기등록된 ID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된 ID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도어락(260)을 언락(unlock)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센싱부(220)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어락(260)을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등록된 지문과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된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도어락(260)을 언락(unlock)할 수 있다. 반면에 기 등록된 지문과 지문 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된 지문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도어락(260)을 락(lock)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 등록된 홍채와 홍채 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된 홍체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도어락(260)을 언락(unlock)할 수 있다. 반면에 기 등록된 홍채와 홍채 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된 홍체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도어락(260)을 락(lock)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는, 입력부(120)는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입력부(12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거나 메모리(25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2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또는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터치 패드)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2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프로세서(27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햅틱 모듈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출력부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광출력부가 출력하는 신호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사용자의 이벤트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도어락(260)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장착되는 기계적 장치로,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메카니즘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를 락(lock)하거나 언락(unlock)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도어락(260)은 기계적 구동원인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락(lock)은 잠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락(lock)된다는 의미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언락(unlock) 상태에서 락(lock) 상태로 변경되거나 락(lock) 상태에 있던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계속 락(lock)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언락(unlock)은 잠금 해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언락(unlock)된다는 의미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락(lock) 상태에서 언락(unlock) 상태로 변경되거나, 언락(unlock) 상태에 있던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가 계속 언락(unlock)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50)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50)에 저장되고,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270)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본 도면에서 살펴보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70)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7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본 도면에서 살펴보는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80)는 프로세서(27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28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220)는 통신부(210) 및 입력부(230)를 포함하고, 통신부(210) 및 입력부(230)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은, 현관 도어, 물품 저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관 도어(3)는 잠금 해제 되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현관 도어(3)는 개방 시 사람이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260)은, 현관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현관 도어 도어락(261), 냉장고 도어를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unlock)하는 냉장고 도어락(262) 및 택배 저장고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택배 저장고 도어락(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실외측 냉장고 도어(제1 실외측 도어) 및 실내측 냉장고 도어(제1 실내측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 도어락(262)은 실외측 냉장고 도어락(제1 실외측 도어락) 및 실내측 냉장고 도어락(제1 실내측 도어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택배 저장고는 실외측 택배 저장고 도어(제2 실외측 도어) 및 실내측 택배 저장고 도어(제2 실내측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택배 저장고 도어락(263)은 실외측 택배 저장고 도어락(제2 실외측 도어락) 및 실내측 택배 저장고 도어락(제2 실내측 도어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은 프로세서(27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은 실내에서 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용어 제2 냉장고(6)는 용어 택배 저장고(6)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현관용 냉장고(10)는 용어 냉장고(10)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따.
또한 물품 저장고는, 냉장고(10) 및 택배 저장고(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는, 실외측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 저장고가 냉장고(10)만을 포함하는 경우, 냉장고(10)는 실외측 냉장고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측 냉장고 도어는 냉장고 도어락(262)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물품 저장고가 택배 저장고(6)만을 포함하는 경우, 택배 저장고(6)는 실외측 택배 저장고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측 택배 저장고 도어는, 실외측 택배 저장고 도어락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가 냉장고(10) 및 택배 저장고(6)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270)의 제어 하에, 실외측 냉장고 도어 및 실외측 택배 저장고 도어는 모두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되거나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것은, 인증에 성공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는 현관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현관 도어의 실외 측 면에 설치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현관 도어의 실내 측 면에 설치되는 내부 디스플레이(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된다”는 용어는, 내부 디스플레이(1010)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현관 도어의 안쪽에 설치되는 중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문은 중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에 살고 있거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 집의 가족 구성원이거나, 스마트 도어 시스템이 설치된 사무실의 직원일 수 있다.
도 11은 실내측 도어를 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물품 저장고는 실내측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 저장고가 냉장고(10)만을 포함하는 경우, 냉장고(10)는 실내측 냉장고 도어(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저장고가 택배 저장고(6)만을 포함하는 경우, 택배 저장고(6)는 실내측 택배 저장고 도어(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가 냉장고(10) 및 택배 저장고(6)를 포함하는 경우, 물품 저장고는 실내측 냉장고 도어(1110) 및 실내측 택배 저장고 도어(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는 도어락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는 거주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거주자의 상태는,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온 경우,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 그리고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센싱부에서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왔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관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된 경우, 또는 현관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감지된 후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후방(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실내측 방향)에 위치한 사용자가 카메라 등을 통하여 감지되는 경우,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왔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센싱부에서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하여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스마트 도어 시스템으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또는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스마트 도어 시스템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는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한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센싱부에서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온 것이 감지되었고 실외로 나간 것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주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및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정보를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2는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거주자는 인증을 통하여 실내로 들어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인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데이터는 생체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프로세서는 센싱부(220)에서 획득된 인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가 인증 서버에 저장된 경우,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프로세서는 센싱부(220)에서 획득된 방문자의 생체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하여 인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서버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로부터 수신한 생체 데이터 및 서버에 저장된 방문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등록된 사용자들의 생체 데이터를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방문자들의 생체 데이터 중 특정 방문자의 생체 데이터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생체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서버는 인증에 성공했다는 인증 결과를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증이 인증 서버에서 수행되고, 인증 서버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인증 결과 및 방문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가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에 저장된 경우,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프로세서는 센싱부(220)에서 획득된 생체 데이터 및 메모리(250)에 저장된 등록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200)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와 센싱부(220)에서 획득된 생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 중 특정 방문자의 생체 데이터와 센싱부(220)에서 획득된 생체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인증이 성공하면,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현관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거주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프로세서는 실내 진입 화면을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고 현관 도어가 닫히면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진입 화면은, 택배 정보(1220, 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프로세서는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진입 화면은, 실내에 진입한 거주자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1210), 냉장고 설정 정보(1230), 내부에 머무르는 거주자에 대한 정보(1250), 구성원 간 메시지 정보(1260),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택배 정보는 택배 도착 알림(1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 저장고 내에는, 물품 저장고 내 물품을 감지하기 위한 물품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저장고 내 물품이 감지되면, 프로세서는 택배 도착 알림(12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저장고가 냉장고 및 택배 저장고를 포함하는 경우, 냉장고에는 제1 물품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택배 저장고에는 제2 물품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 및 택배 저장고 중 적어도 하나에서 물품이 감지되면, 프로세서는 택배가 보관된 장소를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택배 도착 알림(12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써, 택배 기사로부터 택배 기사의 인증 데이터가 수신되고 물품 저장고의 실외측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폐쇄된 경우, 프로세서는 택배 도착 알림(12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택배 정보는 택배의 도착 시간 또는 택배의 보관 시간(124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물품 저장고의 실외측 도어가 개방된 시간을 저장할 수 있으며, 실외측 도어가 개방된 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택배의 도착 시간 또는 택배의 보관 시간(1240)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택배 정보는, 배송 완료된 택배의 구매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택배 정보 중 배송 완료된 택배의 구매 목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는 배송 완료된 택배의 구매 목록(13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메모리에는, 배송 프로세스의 식별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택배 기사로부터 인증 데이터(QR 코드 또는 비밀 번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는 물품 저장고의 실외측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QR 코드 또는 비밀 번호에는, 해당하는 배송 프로세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수신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가 A 유통사에 B 상품 및 C 상품의 배송을 요청하여, D 배송 프로세스가 수행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메모리에는 D 배송 프로세스의 식별 정보 및 구매 목록(B 상품, C 상품)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택배 기사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에 D 배송 프로세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면, 프로세서는 D 배송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B 상품, C 상품)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구매 목록은 구매한 물품의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품의 가격, 수량 등 일반적으로 영수증에 기재되는 내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구매 목록은, 유통사(택배의 배송자), 구매 일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 및 배송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송 프로세스의 식별 정보는 택배 기사의 단말기, 거주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 도어 시스템 간에 공유될 수 있다. 또한 구매 목록은, 거주자의 단말기 및 스마트 도어 시스템 간에 공유될 수 있다.
택배가 도착한 경우, 거주자는 자신이 주문한 상품이 제대로 도착하였는지 확인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가 배송 완료된 경우 배송 완료된 택배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물품 저장고에 있는 물품과 구매 목록을 손쉽게 비교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는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면, 프로세서는 냉장고의 실내측 도어의 개방 후 경과 시간(132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면, 프로세서는 배송 완료된 택배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실내측 도어를 개방한다는 것은, 물품 저장고 내 택배를 꺼내려는 사용자의 의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면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목록을 보기를 원할 때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배송이 미완료된 택배의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는 배송이 미완료된 택배의 택배 정보(1410, 143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메모리에는, 배송 프로세스의 식별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택배 기사측 단말기 또는 유통사 측 서버로부터 식별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배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정보는 배송 예정 시간(배송 완료까지 남은 시간) 및 택배의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 및 배송 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는 수신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구매 목록과 함께 수신된 배송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디스플레이(1010)에는, 구매 목록, 배송 예정 시간(배송 완료까지 남은 시간) 및 택배의 현재 위치(1410, 143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되면, 프로세서는 배송이 미완료된 택배의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실내측 도어를 개방했다가 다시 폐쇄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현재 도착한 택배는 확인하였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아직 도착하지 않은 택배가 무엇인지, 언제 도착하는지에 대하여 궁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 되면 배송이 미완료된 택배의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물품 저장고 내 물품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물품 저장고 내 물품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저장고 내 하나 이상의 물품이 물품 저장고 내 공간의 일정 부피 이상을 차지하거나 물품 저장고가 가득 찬 경우, 물품 저장고를 비울 것을 추천하는 메시지(14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택배 정보는, 물품 저장고를 개방한 구성원의 정보 및 물품 저장고가 개방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되면, 프로세서는 물품 저장고를 개방한 구성원에 대한 정보 및 물품 저장고가 개방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물품 저장고를 개방한 구성원에 대한 정보 및 물품 저장고가 개방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하나 이상의 구성원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프로세서는 물품 저장고를 개방한 구성원에 대한 정보 및 물품 저장고가 개방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5 내지 19a는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외출 시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더욱 구체적으로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현관 도어에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외출 시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외출 시 필요 정보는, 리마인드 메시지(1610), 거주자에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1620), 날씨 정보(1630), 거주자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1640), 거주자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16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소지품 정보(1620)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소지품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복수의 소지품 중 하나 이상의 소지품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잊어버리는 소지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빠가 외출 시 우산과 시계를 소지하는 것을 자주 잊는 경우, 아빠는 우산과 시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선택된 소지품 및 소지품을 선택한 거주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우산 및 시계를 아빠와 매칭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접근하는 거주자가 누구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거주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접근하는 거주자가 누구인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접근하는 거주자에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복수의 소지품 중 접근하는 거주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지품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있는 아빠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아빠에 대응하는 소지품(우산 및 시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8은 외출 시 필요 정보 중 교통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교통 정보에 대한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는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정보는, 대중 교통, 자가용, 자전거 등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방법, 경로 및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는, 집 주변의 역에 정차하는 교통 수단의 식별 정보 및 도착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A 역에 정차하는 버스들(441번, 9100번, 9200번) 및 버스들의 도착 시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정보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에는 복수의 거주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이동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정보는, 거주자의 목적지, 거주자가 이용하는 역, 거주자가 이용하는 교통 수단의 식별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빠는 집 주변 A 정류장에서 110번 버스 또는 112번 버스를 타고, 최종 목적지는 강남역이라는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거주자의 목적지, 거주자가 이용하는 역, 거주자가 이용하는 교통 수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접근하는 거주자가 누구인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접근하는 거주자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있는 아빠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이용해야 하는 교통 수단의 식별 정보, 소요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실내에 있는 아빠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A 정류장에 정차하는 교통 수단의 식별 정보 및 도착 시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실내에 있는 아빠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A 정류장에 정차하고 아빠가 이용하는 교통 수단(예를 들어 110번 버스, 112번 버스)의 식별 정보 및 도착 시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9a는 외출 시 필요 정보 중 일정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정 정보에 대한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는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정보는, 일정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일정의 내용 정보 및 일정의 시간 정보(시간, 일, 요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정보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에는 복수의 거주자에 각각 대응하는 일정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거주자의 단말기나 서버로부터 거주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실내에 있는 거주자가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접근하는 거주자가 누구인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접근하는 거주자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월간 일정, 주간 일정 또는 일간 일정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외출 시 필요 정보는 날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에서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접근하는 거주자가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날씨 정보는, 온도, 습도, 구름, 바람, 강수, 미세먼지, 오존 지수, 시간 별 예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거주자에 대응하는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거주자가 접근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특정 거주자의 목적지의 날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외출 시 필요 정보는 리마인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마인드 메시지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접근하는 거주자가 확인해야 하는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오늘은 비가 예상됩니다. 우산을 준비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기상 주의보나 경보(건조 주의보, 태풍 경보 등)가 발효된 상태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마트 도어는, 거주자에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과 함께, “잊으신 물건은 없으신가요?”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9b는, 실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고 실외와 통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부에서 방문자가 벨을 누르는 경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벨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프로세서는, 내부 디스플레이(1010)에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전방을 촬영한 영상(191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전방을 촬영한 영상(1910)과 함께, 통화 연결 메뉴(1920), 통화 종료 메뉴(1930), 현관문 열기 메뉴(194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연결 메뉴(1920)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외부와 내부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화 종료 메뉴(1930)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외부와 내부의 통화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현관문 열기 메뉴(1940)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현관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현관 도어의 도어 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이상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센싱부를 통하여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 데이터를 등록된 인증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전방의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어 시스템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통하여 두리번거리는 움직임, 내부를 들여다보려고 하는 모습, 기기를 조작하려는 모습, 강제로 현관 도어나 물품 저장고 도어를 개방하려는 움직임 등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이상 감지 음향을 출력하도록 실내 공간 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설치된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인터폰 메뉴(20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인터폰 메뉴(2020)가 이미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프로세서는 인터폰 메뉴를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인터폰 메뉴(2020)를 하이라이트 표시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하거나, 인터폰 메뉴(2020)를 둘러싸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20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인터폰 메뉴(2020)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폰 메뉴가 선택되면, 도 20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실외를 촬영한 영상(203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실외를 촬영한 영상(2030)과 함께, 통화 연결 메뉴, 통화 종료 메뉴, 현관문 열기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연결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외부와 내부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는 외부를 확인하고, 도 20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화 종류 메뉴를 눌러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실외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인 경우, 현관문 열기 메뉴를 눌러 현관 도어를 잠금 해제 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실외를 촬영한 영상을 거주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주자는 단말기에 통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고, 실외와 거주자의 단말기 간의 영상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거주자는 외부를 확인하고 단말기에 표시된 메뉴를 눌러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실외에 있는 사람이 방문자인 경우, 현관문 열기 메뉴를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거주자의 단말기로부터 현관문 열기 명령을 수신하고, 현관 도어가 잠금 해제 되도록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내부 디스플레이(1010)에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인 화면은, 리마인이 메시지, 날씨 정보, 교통 정보, 일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화면은 복수의 메뉴(2121, 2122, 2123, 2124, 2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메뉴(2121)은 외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 제2 메뉴는 냉장고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2122), 제3 메뉴(2123)는 가족 간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메뉴, 제4 메뉴(2124)는 실외의 영상을 확인하고 실외와 통화하기 위한 메뉴, 제5 메뉴(2125)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일 수 있다.
도 22는 제1 메뉴가 선택 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외출 모드는, 외출 시 실내 공간의 전기 용품들의 전원을 관리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용품은, 냉장고, 세탁기, TV 등의 가전 제품이나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외출 모드에서 실내 공간의 전기 용품들의 온/오프 상태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외출 모드에서 전기 용품들의 미리 설정된 온/오프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는 전기 용품들의 미리 설정된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전기 용품들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복수의 전기 용품들을 디스플레이 하고, 복수의 전기 용품 중 특정 전기 용품을 온 또는 오프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전기 용품을 온 또는 오프 할 수 있다.
한편 거주자는 현관 도어를 열어서 밖으로 나간 후 현관 도어를 다시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현관 도어가 열렸다가 닫히면, 내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오프할 수 있다.
도 23은 제2 메뉴가 선택 되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메뉴는 냉장고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일 수 있다.
제2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택배 정보(23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배송 완료된 택배의 구매 목록, 배송이 완료되지 않은 택배의 구매 목록, 택배의 도착 시간, 택배의 보관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뉴가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냉장고의 냉장 상태(23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냉장고 내부의 현재 온도, 냉장고의 냉장 시간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예약 냉장에 대한 정보(233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프로세서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냉장 시간을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 냉장 시간을 예약 냉장에 대한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예약 냉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면 냉장을 수행하고, 예약된 시간이 종료하면 냉장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냉장 시간은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택배 기사측 단말기 또는 유통사 측 서버로부터 배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 정보는 배송 예정 시간(배송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배송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예약 냉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택배가 오후 세시에 도착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오후 세시에 냉장을 시작한다는 정보를 예약 냉장에 대한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택배가 오후 세시에 도착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오후 세시보다 기 설정된 시간(30)분 이전에 냉장을 시작한다는 정보를 예약 냉장에 대한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송이 수행됨에 따라 복수의 배송 예정 시간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가장 가까운 배송 예정 시간에 기초하여 예약 냉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냉장고의 온도 조절을 위한 UI(234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냉장의 온/오프, 냉장고 내부 온도의 조절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냉장의 온/오프를 설정하거나,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4는 취침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로세서는 취침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취침 모드가 적용되는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입력에 기초하여 취침 모드가 적용되는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취침모드가 적용되는 시간에 도달하면, 프로세서는 이벤트 발생시 알림음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취임 모드에서의 알림음의 볼륨을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침 모드가 적용되는 시간에 도달하면, 프로세서는 이벤트 발생 시 설정된 볼륨으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취침 모드가 적용될 이벤트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는 이벤트 발생 시 알림음을 출력하지 않거나 설정된 볼륨으로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5는 제3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거주자 들은 거주자들 중 특정 거주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거주자는 메시지 및 메시지가 전달될 제2 거주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메시지 및 메시지가 전달될 제2 거주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제2 거주자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들은 다른 거주자 들 전체에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거주자는 가족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가족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가족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현관 도어를 통과하여 내부로 들어오는 제2 거주자 또는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려고 하는 제2 거주자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현관 도어를 통과하여 내부로 들어오는 제2 거주자 또는 실내에서 외부로 나가려고 하는 제2 거주자에게 도달한 메시지의 개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시지를 전송한 제3 거주자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가족 메시지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제3 거주자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제3 거주자가 제2 거주자에 전송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가족 메시지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프로세서는 제3 거주자가 거주자 전체에 전송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제어 명령은 거주자의 단말기에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단말기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주자의 단말기는, 거주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설정되는 설정 값은 거주자의 단말기에서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단말기에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주자의 단말기는, 거주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설정 값을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설정되는 설정 값을, 수신된 설정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의 단말기는, 거주자의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제어를 위하여,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상태, 제어 메뉴 및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단말기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스마토 도어의 외부 디스플레이 및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의 단말기는, “냉장고에 물품이 배송되었습니다.”, “냉장고의 전원이 꺼졌습니다.”. “냉장고의 냉장 기능이 켜졌습니다.”, “냉장고의 온도가 6도로 변경되었습니다”, “냉장고의 냉장 기능이 꺼졌습니다”. “아빠가 냉장고를 개방하였습니다”, “엄마가 원격으로 냉장고를 개방하였습니다”, “공통 비밀 번호로 냉장고가 개방되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의 단말기는, 제어 메뉴 및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메뉴 및 설정 메뉴는, 스마토 도어의 외부 디스플레이 및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거주자의 단말기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설정 값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냉장고의 냉장 기능을 온/오프 하기 위한 입력, 냉장고의 온도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자동 냉장(물품이 냉장고에 인입되는 경우 또는 물품이 냉장고에 인입되기 기 설정된 시간 전에 자동으로 냉장을 시작) 입력, 예약 냉장 입력, 물품 저장고 상시 개방 여부 입력, 알람 주기 설정 입력, 일정 설정 입력, 물품 저장고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비밀 번호 설정 입력, 현관 도어 열림 입력, 물품 저장고 열림 입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스마트 도어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도어 시스템은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상태를 구분하고, 거주자의 상태에 따라 거주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집으로 들어온 거주자는 부재 중 도착한 택배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집에서 나가려는 거주자는 잊어버린 소지품이나 기타 외출시 필요한 정보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거주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 외부에서 이상이 감지되면, 이상 상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0: 스마트 도어 시스템

Claims (13)

  1. 사람이 출입하고, 내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현관 도어;
    실외측 도어 및 실내측 도어를 포함하는 물품 저장고;
    상기 거주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거주자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거주자가 상기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및 상기 거주자가 상기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정보를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주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거주자가 실외로 나가려고 하는 경우 외출 시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주자가 상기 실내로 들어오고 상기 현관 도어가 닫히면, 택배 도착 알림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정보는,
    배송 완료된 택배에 대응하는 구매 목록, 택배의 도착 시간, 택배의 배송자 및 택배의 보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저장고는 냉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냉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실내측 도어의 개방 후 경과 시간을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품 저장고의 실내측 도어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되면, 배송이 미완료된 택배의 택배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저장고는 냉장고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택배의 배송 예정 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택배의 배송 예정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부터 냉장을 수행하도록 상기 냉장고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실내에 있는 상기 거주자가 상기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외출 시 필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시 필요 정보는,
    날씨 정보, 상기 거주자에 대응하는 일정 정보 및 상기 거주자에 대응하는 교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시 필요 정보는,
    상기 거주자에 대응하는 소지품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실내에 있는 상기 거주자가 상기 현관 도어에 접근하는 경우, 복수의 소지품 중 상기 거주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지품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주자가 실내에 머무르고 실외에서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인터폰 메뉴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상기 인터폰 메뉴를 식별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실외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0190170021A 2019-12-18 2019-12-18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210078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21A KR20210078199A (ko) 2019-12-18 2019-12-18 스마트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021A KR20210078199A (ko) 2019-12-18 2019-12-18 스마트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199A true KR20210078199A (ko) 2021-06-28

Family

ID=7660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021A KR20210078199A (ko) 2019-12-18 2019-12-18 스마트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1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8502A (zh) * 2021-12-17 2022-05-03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与家电联网的物流机器人及其控制方法
WO2023075332A1 (ko) * 2021-10-29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332A1 (ko) * 2021-10-29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61924A (ko) * 2021-10-29 202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가전기기
CN114428502A (zh) * 2021-12-17 2022-05-03 重庆特斯联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与家电联网的物流机器人及其控制方法
CN114428502B (zh) * 2021-12-17 2024-04-05 北京未末卓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与家电联网的物流机器人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64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senting appropriate actions for responding to a visitor to a smart home environment
US20230062133A1 (en) Authorized smart access to a monitored property
US1066468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visitor to a smart home environment
US9879466B1 (en) Garage door controller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980310B2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US10810813B1 (en) Smart lock device and method
US10847009B1 (en) Property control and configuration based on thermal imaging
EP3301388A1 (en) Refrigera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having the same
EP3933320A1 (en) Refrigerator
US2022015500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front door refrigerator using application installed in recording medium
US201900877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delivery and tracking of packages
KR20210078199A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CN106600471A (zh) 一种基于智慧酒店的宾客服务分析决策系统
KR102150642B1 (ko) 무선충전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1944882B1 (ko) 공조, 조명, 설비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의 공조, 조명 제어 방법
KR20210077449A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200142332A (ko) 기록 매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및 관리 방법
KR20200108709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0014491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251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2507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3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20021426A (ko)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KR20200143302A (ko) 무선충전을 이용한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210004253A (ko) 현관용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