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830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830A
KR20210009830A KR1020190086916A KR20190086916A KR20210009830A KR 20210009830 A KR20210009830 A KR 20210009830A KR 1020190086916 A KR1020190086916 A KR 1020190086916A KR 20190086916 A KR20190086916 A KR 20190086916A KR 20210009830 A KR20210009830 A KR 2021000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elivery
password
refrigerato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진
명유진
서미영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830A/ko
Publication of KR2021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는, 입력부가 터치되어, 물품 보관을 위한 입고 명령이 입력되면,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배송 종류 선택 화면에는, 정기 배송 버튼과 일반 배송 버튼이 출력되며, 상기 정기 배송 버튼이 터치되어 정기 배송이 선택되면, 상기 실외측 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 번호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 번호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측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제시되는 선행 기술에는,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반 냉장고에 적용되는 냉동 사이클이 채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이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에 어떻게 설치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개시되지 않는다.
또한, 현관용 냉장고의 실외측 도어의 개방 조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전혀 개시되지 않는다. 일례로,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에게 실외측 도어의 개방 권한을 어떻게 부여할 것인지,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어떤 방식으로 실외측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전혀 개시되지 않는다.
나아가, 매일 또는 정기적으로 동일한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 기사가 실외측 도어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내용이 상기 선행 기술에는 전혀 개시되지 않고 있다.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일정 기간 동안 정기 배송되는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가 배송할 때마다 새로운 암호화 코드 또는 새로운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사용자가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 통하여, 또는 본인의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정기 배송 물품을 등록하면 정기 배송 비밀 번호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실외측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터치 버튼 형태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 및 상기 실내측 도어 또는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정기 배송 물품의 입고를 위한 비밀 번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입력된 비밀 번호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실외측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정기 배송 물품의 입고 때마다 새로운 인증 코드 또는 비밀 번호을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택배 기사가 입고하고자 하는 물품이 정기 배송 물품인지 일반 배송 물품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기 배송 물품 등록 과정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현관용 냉장고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정기 배송 물품 등록 시 입력되는 정보는, 정기 배송 물품의 정기 배송 시작 날짜, 정기 배송 종료 날짜, 비밀 번호의 인증 유효 시각, 배송 업체, 배송 물품, 배송 담당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정기 배송 물품 등록 과정을 통해서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한 비밀 번호가 자동으로 생성됨으로써, 일정 기간 동안 정기 배송되는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가 배송할 때마다 새로운 암호화 코드 또는 새로운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 통하여, 또는 본인의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정기 배송 물품을 등록하면 정기 배송 비밀 번호가 자동으로 생성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측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 저장실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서, 냉기공급 및 방열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물품이 보관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입고 명령이 입력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인증 방법이 선택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정기 배송이 선택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정기 배송 물품이 선택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정기 배송 물품의 입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9는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기 배송 물품 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여 정기 배송 물품의 비밀 번호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물건을 주문하고 배송 신청을 하는 사람 및 본 발명의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보관 중인 물품을 수령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을 사용자 또는 주문자로 정의될 수 있다.
물품 배송을 담당하는 업체는 배송 업체 또는 택배 업체로 정의될 수 있고, 물품을 직접 배송하는 사람은 택배 기사, 배송 기사, 배달원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들 용어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냉장고는 현관용 냉장고 또는 현관 냉장고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구조 외에,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별도의 거치대에 의하여 현관 앞에 설치되는 냉장고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정의되는 냉기 공급 장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로 냉기 또는 온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기 공급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열전 모듈 외에 압축기와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소형 냉각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측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현관 도어(D)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D)는 벽(W)에 설치된다. 상기 현관 도어(D)에는 도어 개방을 위한 도어 락(L)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D)에는 개구(opening)(H)가 형성되고,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개구(H)에 삽입되어 실내측(I)과 실외측(O)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를 기준으로 상기 실외측(O)을 "전방", 상기 실내측(I)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H)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H)와 상기 캐비닛(110)의 외면 사이에는 실러(160, 도 6 참조)가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개구(H)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식품의 저장이 가능한 저장실(110a)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10a)에는 카메라(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카메라(118)는 상기 저장실(11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8)는 상기 저장실(110a)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본 발명의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된 앱 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또는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앱 서버에 업로드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0a)은 상기 실내측(I) 및 상기 실외측(O)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저장실(110a)의 일측(실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110a)을 개폐할 수 있는 실외측 도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상기 실외측(O)에 위치되며, 일례로 식품을 배달하는 배달자가 식품을 투입하기 위하여 개방하는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임의의 도어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 록킹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저장실(110a)의 타측(실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110a)을 개폐할 수 있는 실내측 도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70)는 상기 실내측(I)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식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개방하는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 및 상기 실내측 도어(170)는 상기 캐비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상기 캐비닛(110)에 결합되는 힌지(181) 및 상기 캐비닛(110)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181)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185)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185)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래치(185)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 결합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전면에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개방을 위하여 가압할 수 있는 누름부(182)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182)는 상기 래치(185)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래치(185)에 가압력을 전달하며, 상기 래치(185)는 전달된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결합부(115)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push-up 버튼방식).
상기 실내측 도어(170)의 구성은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기 실내측 도어(170)에도 힌지, 래치 및 누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전면에는, 배달되는 식품에 관한 정보를 판독할 수있는 코드 스캐너(184)(또는 암호화 코드 스캐너)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스캐너(184)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QR 코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식품 배달자가 식품 또는 식품 용기에 구비되는 식품정보(코드 정보)를 상기 코드 스캐너(184)에 갖다대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배달 예정된 식품임을 인식하고,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달자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고 식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에는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배달자를 위한 "안내 코멘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내 코멘트는, "식품의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코드 스캐너에 인식시켜 주세요"와 같은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비밀번호 또는 인증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표시될 수 있다. 배달자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된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부에 입력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정리하면, 배달자는 식품 코드를 코드 스캐너(184)에 인식시키거나 비밀번호 또는 인증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고, 실외측 도어(180) 개방 후 식품을 저장실(110a)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도어(D)를 관통하여 실내측(I)과 실외측(O)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 중 상기 실내측(I)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W2)은 상기 실외측(O)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도어(D)로부터 실내측(I)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크고 상기 실외측(O)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작으므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가 임의의 사람들이 통행하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 중 상기 실내측(I)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도어(D)의 외면에 지지되는 전면 지지부(119)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전면 지지부(119)는 상기 도어(D)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하부에는 냉기 공급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냉기 공급장치(200)의 전면부, 즉 상기 전면 지지부(119)가 상기 도어(D)에 지지 또는 부착되므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도어(D)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 저장실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2개의 캐비닛측면부(111)와, 상기 2개의 캐비닛측면부(1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캐비닛상면부(113), 상기 캐비닛(110)의 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저면부(115), 및 캐비닛 후면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캐비닛저면부(115)의 전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D)의 후면에 지지 또는 부착되는 전면 지지부(1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면 지지부(119)의 후측에는 냉기 공급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전면 지지부(119)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실(110a)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장실저면부(11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캐비닛(11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0)은 "ㄱ"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0)은, 육면체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가 설치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케이스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측면부(111)의 하부에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의 방열부를 거친 외기가 배출되는 방열 배출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 배출부(255)에는, 배출 그릴(256)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양측에는 도어(170,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양측 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 상기 도어(170,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70,180)는, 상기 캐비닛(110)의 실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실외측 도어(180) 및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실내측 도어(17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배달자가 개방할 수 있는 도어로서, 상기 배달자는 비밀번호 입력 또는 물품인식 후 상기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여 식품을 상기 저장실(110a)로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실내측 도어(170)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실(110a)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70)의 구조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와 유사하다. 상기 실내측 도어(170)에는,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누름부(172)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172)를 눌러 상기 실내측 도어(170)를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내측 도어(170)는 실내측에 배치된 도어로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으므로 록킹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실외측 도어(180)의 개방을 위한 록킹 해제를 위한 작용(비밀번호 입력, 물품인식등)이 필요없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냉기 공급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는 상기 캐비닛측면부(111)의 하부 양측과, 캐비닛저면부(115)와, 전면지지부(119) 및 캐비닛후면부(116)가 이루는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저면부(115)에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 유입부(25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의 방열팬(280) 및 히트 싱크(220)를 거쳐 상기 방열 배출부(25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부(252)에는 유입그릴(25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부(252) 및 상기 방열 배출부(255)는 캐비닛(110)의 외부 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0a)은 캐비닛(110)의 내부 벽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벽은, 식품이 놓여지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저장실 하부벽(121)과,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저장실 측벽(123)과, 상기 저장실(110a)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실 측벽(123)의 상부를 연결하는 저장실 상부벽(126) 및 상기 저장실 측벽(123)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저장실 후벽(125)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110a)은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 저장실 측벽(123), 저장실 상부벽(126) 및 상기 저장실 후벽(125)에 의하여 대략 육면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측벽(123)은 제 2 유로 덕트(105, 도 8 참조)의 일면을 형성한다.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브(122)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122)는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가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리브(122)의 상측에 식품이 놓여, 상기 식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에는, 상기 저장실(110a)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로 복귀시키기 위한 냉기 유입공(128)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냉기 유입공(128)은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측벽(123)에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110a)측으로 공급하는 냉기 배출공(129)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입공(128) 및 상기 냉기 배출공(129)의 구성에 의하여, 냉기 공급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는 저장실(110a)의 측면부에서 공급되고, 후방 하부를 통하여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상부벽(126)에는, 상기 저장실(110a)에 투입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상기 카메라(118)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상면부(113)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실내 측에 노출되는 어느 지점에는 냉장 선택 버튼(101)과 온장 선택 버튼(10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 선택 버튼(101)과 온장 선택 버튼(102)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저장실(110a)의 보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 도어(170)의 일측에는, 저장실(110a) 내부에 물품이 보관중임을 알려주는 보관 상태 표시등(173)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있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가족이 상기 보관 상태 표시등(173)의 온/오프 상태 또는 색상을 확인하여, 저장실(110a)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꺼내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서, 냉기공급 및 방열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장치(200)는 캐비닛(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110a)의 하부에 구비되어 냉기유로 및 방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 장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부품, 일례로 압축기와 같은 고소음 발생원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냉장고(100)의 구동중에 소음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은 상대적으로 경량으로 구성되므로, 현관용 도어(D)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열전소자모듈(200)은 열전소자를 포함하며, 열전소자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냉각과 발열을 구현하는 소자를 가리킨다. 열전소자의 흡열측이 저장실(110a)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열전소자의 발열측이 냉장고(100)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면, 열전소자의 작동을 통해 저장실(110a)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은, 상기 열전소자가 결합되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모듈 본체(210)와, 상기 모듈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실(110a)의 냉기와 열교환 하는 콜드 싱크(230) 및 상기 모듈 본체(210)의 g타측에 구비되어 외기와 열교환 하는 히트 싱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210)의 일측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을 기준으로 저장실(110)을 향하는 방향, 즉 상측이며, 타측은 냉장고(1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콜드 싱크(230)는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히트 싱크(220)는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와 방열부는 면 접촉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반대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의 경우,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서 신속하게 방열이 이루어져야,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에서 충분한 흡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 싱크(220)의 열교환 면적은 상기 콜드 싱크(230)의 열교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20) 및 상기 콜드 싱크(230) 각각은, 상기 열전소자에 접촉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열전달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은, 상기 콜드 싱크(230)와 상기 히트 싱크(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모듈 단열재(240)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모듈 단열재(240)는 4각 프레임의 형상을 가지고 열전소자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실(110a)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저장실(110a)의 냉기 순환을 강제하는 냉기 순환팬(2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순환팬(270)은 상기 콜드 싱크(23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기 순환팬(270)은, 축방향으로 냉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1),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이너 케이스(101)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10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상기 콜드 싱크(230)로부터 연장되어 냉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유로덕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유로덕트(290)는 상기 콜드 싱크(230)의 양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덕트(290)의 내부에는 제 1 냉기유로(2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덕트(290)는 제 2 유로 덕트(1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1)의 양측에는 제 2 유로덕트(105)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유로덕트(105)는 상기 저장실 측벽(123)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유로덕트(105)의 상부에는 상기 냉기 배출공(129)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1)의 양측면과 상기 제 2 유로덕트(105)의 사이에는, 냉기가 유동하는 제 2 냉기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냉기유로(106)는 상기 제 1 냉기유로(29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순환팬(270)이 구동하면, 상기 저장실(110a)의 냉기는 상기 냉기 유입공(128)을 통하여 상기 냉기 순환팬(27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콜드 싱크(230)와 열교환 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기 순환팬(27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냉기유로(291)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냉기유로(291)의 냉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제 2 냉기유로(106)로 유입되며, 상기 냉기 배출공(129)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10a)의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는, 외기를 도입하여 열전소자의 방열부와 열교환시키는 방열팬(2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열팬(280)은 상기 캐비닛저면부(115)에 지지되며, 상기 외기 유입부(25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열팬(280)은, 축방향으로 냉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상기 히트 싱크(220)로부터 연장되어 외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며 내부에 방열유로(261)를 형성하는 방열 유로덕트(260)가 구비된다. 상기 방열 유로덕트(260)는 상기 히트 싱크(220)의 양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열 배출부(25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278)이 구동하면, 외기는 상기 외기 유입부(252)를 통하여 상기 방열팬(28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히트 싱크(220)와 열교환 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냉기는 상기 방열팬(27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방열 유로덕트(260)를 거쳐 상기 방열 배출부(255)에서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현관용 냉장고(100)에 공급될 전력은 도어(D) 주변에 설치되는 인터폰이나 초인종, 또는 실내측 조명원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어되는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어되는 현관용 냉장고(100)는, 제어부(500)와, 전원 공급부(510), 입력부(520), 출력부(580), 구동부(590), 온도 센서(560), 도어락(570), 및 인터페이스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제어부(500)로 사용자 또는 택배 기사를 포함하는 배달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520)는, 입력 버튼(521), 물품 정보 인식기(522), 통신 모듈(523), 터치 입력부(524), 이미지 촬영부(525), 마이크(526), 모션 신호 감지부(527), 근접 신호 감지부(528), 진동 신호 감지부(529), 및 생체 정보 감지부(53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 또는 배달자가 손가락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조작하는 기계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입력 스위치 또는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상기 실외측 도어(180) 뿐만 아니라 캐비닛(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상기 냉장 기능 선택 버튼(101)과 온장 기능 선택 버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 정보 인식기(522)는, 제품의 포장 박스에 인쇄 또는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522a)와, QR 코드를 인식하는 QR코드 스캐너(52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523)은, 사용자의 휴대폰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NFC 모듈 :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NFC 신호 감지부(523a)와,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리모컨 신호 감지부(523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523)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524)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 내에서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524)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에 접근하거나 닿으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촬영부(525)는, 상기 저장실(110a)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118) 뿐만 아니라 실외측 도어(18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또는 배달원의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공되는 이미지 분석용 카메라(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용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신호 감지부(528)는, 적외선 송신부와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센서(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신호 감지부(529)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를 손으로 노크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음파를 감지하는 노크 신호 감지부(529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감지부(530)는, 사용자의 정맥 지도를 감지하는 정맥 정보 감지부(531),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정보 감지부(532), 및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인식하는 DNA 정보 감지부(5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58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5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81)는, 실외측 도어(18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50 : 도 1 참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580)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 미디어의 재생음 또는 안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5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음향 출력부의 일례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락(570)은, 상술한 래치(158)를 포함한 도어 잠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570)은, 상기 실내측 도어(170) 또는 실외측 도어(180)가 임의로 개방되거나, 승인받지 않은 자가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온도 센서(534)는 상기 저장실(110a) 내에 설치되어 저장실(110a) 온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인터페이스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50)는 다양한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일례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550)는, 유에스비(USB) 또는 에스디 카드(SD card)를 포함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유무선 데이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90)는, 상술한 열전 소자를 이용한 냉기 공급 장치(220) 또는 압축기와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냉각 사이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 장치(220)는, 상기 열전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상기 저장실(110a) 내부로 차가운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전 소자로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냉장 모드에서는 차가운 공기가 저장실(110a)로 공급되도록 하고, 온장 모드에서는 따뜻한 공기가 저장실(110a)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모바일 장치)는, 인터넷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연결되는 앱서버(40) 및 쇼핑몰 서버(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하여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는 상기 앱서버(4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입력부(5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앱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앱서버(400)로부터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로 메세지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서버(40)는 인터넷을 통하여 배송 업체 서버(60)로 메세지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여 사용자 등록을 할 때, 현관용 냉장고(100)의 고유 번호를 등록함으로써, 해당 쇼핑몰의 서버(50)와 상기 앱서버(40) 간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쇼핑몰에서 물품 주문 및 배송 신청을 완료하면, 주문한 물품에 대한 정보(예 : 암호화 코드 정보)가 상기 쇼핑몰의 서버(50)로부터 상기 앱서버(40) 및 상기 배송 업체 서버(60)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서버(40)로 전송된 물품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인터넷 쇼핑몰이나 마트에서 물품 주문이 이루어지면, 물품에 대한 암호화 코드가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와 배송 업체 서버(60)로 전송된다.
상세히, 사용자 단말기는, 컴퓨터(10)를 포함하는 고정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원 단말기 또는 택배 기사 단말기(30)는 모바일 장치 또는 PDA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사세히, 사용자가 컴퓨터(10) 또는 모바일 장치(20)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에 연결된 쇼핑 몰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가 상기 앱서버(40)를 통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전송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쇼핑몰 서버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 해당 쇼핑몰의 서버(50)에서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직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는, 쇼핑몰 서버(50)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저장된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서 상기 앱서버(4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앱 서버(40)에서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가 배송 업체 서버(60)로 전송되어 배달원 단말기(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는 암호화 코드, 예컨대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로 배송 업체 서버(60)로 전송될 수 있고, 배송 업체에서는 상기 암호화 코드를 구매 물품의 포장 박스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관련 정보는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배송 업체의 서버로 전송된 후 최종적으로 배달원 단말기(30)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고,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암호화 코드 및 인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암호화 코드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를 직접 생성 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택배회사로부터 배달원의 단말기(30)의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암호화 코드 및 인증 관련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를 배달원의 단말기(30)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컴퓨터(10) 또는 모바일 장치(20)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사이트 또는 마트 사이트에 접속 또는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사이트 또는 마트 사이트로 접속 및 로그인하는 방법은, 해당 쇼핑몰 사이트의 주소로 직접 접속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뒤, 해당 쇼핑 몰 또는 마트 사이트에 접속 또는 로그인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달원의 단말기(30)는 해당 배달 업체 또는 우체국의 서버에 의하여 통제되므로, 배달원의 단말기(30)는 해당 배달 업체 또는 우체국의 서버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쇼핑몰에 접속하여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면, 해당 쇼핑몰의 서버로부터 구매 물품 정보 인증 관련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물품 정보와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앱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품 정보와 인증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50)로부터 상기 앱서버(40) 및 상기 배송 업체 서버(60)로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쇼핑몰 서버(50)로부터 상기 앱서버(40)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 및 배송 업체 서버(6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 배송 업체의 배달원, 즉 택배 기사는 주문된 물품을 사용자의 현관용 냉장고(100) 앞까지 배달하고, 인증 정보를 현관용 냉장고(100)의 도어에 구비된 암호화 코드 스캐너(522a,522b)에 갖다대면, 현관용 냉장고(100)의 실외측 도어(180)가 개방되어, 물품의 저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2는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마지막으로 터치한 시점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하여도 추가 터치가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화면이 꺼지도록 제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가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 또는 택배 기사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이 켜지면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디스플레이부(150)는, 저장실(110a)에 보관 중인 물품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따라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110a) 내부에 보관 중이 물품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 중앙에는 현관용 냉장고(100)가 장착된 주택의 호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일측에는 입고 명령 입력을 위한 입고 명령 입력부(151)가 터치 버튼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일측에는 현재 현관용 냉장고(100)의 실외측 도어(180)가 잠금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잠금 상태 표시부(153)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다른 일측에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운전 조건 또는 상태 조건 등을 설정하는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설정 버튼부(157)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물품이 보관 중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여 디스플레이부 화면이 켜졌을 때, 저장실(110a) 내부에 물품이 보관 중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 화면의 중앙 영역은 운전 모드 표시부(155)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 중앙에 정의되는 운전 모드 표시부(155)에는 현재 운전 중인 현관 냉장고의 운전 모드가 표시된다. 예컨대, 저장실(110a)이 냉장 상태로 운전되어 물품이 냉장 상태로 보관 중인 경우, 상기 운전 모드 표시부(155)에는 냉장 모드를 의미하는 동영상,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운전 모드 표시부(155)의 하측에는 보관 상태 표시부(156)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 상태 표시부(156)에는 현재 작동 중인 현관 냉장고(100)의 운전 모드가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일측, 일례로 상기 보관 상태 표시부(156)의 하측에는 상기 입고 명령 입력부(151)와, 물품 출고를 위한 출고 명령 입력부(15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10a) 내부에 물품이 보관 중일 때는, 물품의 입고 뿐만 아니라 물품의 출고도 가능하여야 하므로, 입고 명령 입력부(151)와 출고 명령 입력부(152)가 모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현관 냉장고(100)가 운전 중일 때에는 상기 잠금 상태 표시부(153)의 측방에 온도 표시부(154)가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잠금 상태 표시부(153)에는 실외측 도어(180)가 잠금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도형 이미지, 예컨대 자물쇠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온도 표시부(154)에는 온도계 이미지와 저장실 온도를 표시하는 숫자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설정 버튼부(157)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는 입고 명령이 입력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택배 기사가 도 12 또는 도 13에 보이는 화면 상태에서 입고 명령 입력부(151)를 터치하여 입고 명령을 입력하면,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인증 방법 선택 화면에는, 암호화 코드 스캔을 통한 인증을 안내하는 안내 화면과, 비밀 번호(또는 인증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을 안내하는 안내 화면이 구획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의 좌측 영역에는 암호화 코드 스캔을 의미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암호화 코드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의 우측 영역에는 비밀 번호 입력을 의미하는 키패드 이미지와 함께 비밀 번호(또는 인증 번호) 선택 버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정기 배송을 담당하는 택배 기사는 배송 때마다 매번 암호화 코드를 부여받고, 코드 스캔하는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비밀 번호를 부여받아서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동일 또는 동종의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는 비밀 번호 선택 버튼을 터치하여 비밀 번호 입력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5는 인증 방법이 선택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보이는 인증 방법 선택 화면에서 인증 방법을 선택하면, 정기 배송 물품인지 일반 배송 물품인지를 선택하는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은, 정기 배송 업무를 담당하는 택배 기사가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해서 현관용 냉장고(100)의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화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정기적인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는 물품 주문 과정에서 생성된 암호화 코드를 실외측 도어(180)에 구비된 코드 스캐너에 위치시켜서 암호화 코드 스캐닝을 통해서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돌고 한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동일 또는 동종의 물품을 배송하는 택배 기사는, 매번 암호화 코드를 새로 수신할 필요없이, 해당 정기 배송 물품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동일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을 터치하여 인증 방법이 선택되면, 정기 배송 선택 버튼과 일반 배송 선택 버튼이 각각 터치 버튼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배송은, 정기 배송을 제외한 모든 배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정기 배송 업무를 담당하는 택배 기사는 정기 배송 선택 버튼을 터치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도 16은 정기 배송이 선택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정기 배송 업무를 담당하는 택배 기사가 도 15에 도시된 배송 종류 선택 화면에서 정기 배송을 선택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에 정기 배송되고 있는 물품들이 리스트업 된다.
상기 배송 물품 리스트 화면에는 정기적으로 배송되는 물품과 해당 물품의 배송 업체 또는 판매 업체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업된다.
그리고, 상기 배송 물품 리스트 화면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스크롤 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택배 기사는 상기 스크롤 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자신이 배송을 담당하고 있는 정기 배송 대상 물품을 찾아서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은 정기 배송 물품이 선택되면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택배 기사가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를 선택하면,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택배 기사는 해당 정기 배송 물품에 지정된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비밀 번호가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 기저장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면 실외측 도어(180)가 개방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정기 배송 물품의 입고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정기 배송 업무를 담당하는 택배 기사가 현관용 냉장고(100)의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여 저장실(110a)에 배송 물품을 입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택배 기사는 실외측 도어(180)의 디스플레이부(150)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0)를 활성화시킨다(S110). 디스플레이부(150)의 활성화 방법으로는, 화면을 터치하는 방법 외에 화면을 2회 이상 노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50)가 활성화되면,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고 선택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되고(S120), 택배 기사는 입고 버튼을 터치하여 입고 명령이 입력되도록 한다(S130).
또한, 입고 명령이 입력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이 출력되고(S140), 이 상태에서 택배 기사는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 방법을 선택한다.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 방법이 선택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이 출력되고(S160), 택배 기사가 정기 배송을 선택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가 화면에 출력된다(S180).
이 상태에서, 택배 기사가 스크롤 바를 이동시켜 정기 배송 물품을 선택하면(S19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된다(S20).
택배 기사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S210),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서 비밀 번호 일치 여부 확인 과정을 수행하고, 비밀 번호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실외측 도어가 개방된다(S220).
변형된 방법으로서, 택배 기사가 입고 명령을 입력하면(S130), 도 15에 도시된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이 바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계 S140 및 S150 과정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정기 배송의 경우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실외측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기본 조건으로 하는 경우에는, 굳이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이 출력되고 비밀 번호 인증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5에 도시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정기 배송이 선택되면(S170),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 화면이 출력되고, 택배 기사가 본인이 담당하는 배송 물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과정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는, 정기 배송 물품별로 비밀 번호를 매칭시켜서 저장하고 있고, 배송 물품별로 설정된 비밀 번호는 모두 다른 비밀 번호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되는 비밀 번호와 제어부(5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비밀 번호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비밀 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입력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비밀 번호가 추출되면, 추출된 비밀 번호와 매칭되어 있는 정기 배송 물품의 배송 기사가 상기 비밀 번호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500)는 실외측 도어(18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의 사용자는, 실외측 도어(18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정기 배송되는 물품에 대한 비밀 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정기 배송되는 물품에 대한 비밀 번호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상기 설정 버튼부(157)(도 12 또는 도 13 참조)를 터치하여, 설정 메뉴로 진입한다.
설정 메뉴로 진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설정 화면에 표시되는 설정 메뉴는, 인증 방법 설정 메뉴(150a), 알림시간 설정 메뉴(150b), 네트워크 설정 메뉴(150c), 화면 설정 메뉴 (150d), 및 소리 설정 메뉴(150e), 및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메뉴(150f)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우측 화면에 표시되는 스크롤바(150g)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설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메뉴(150f)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을 위한 메인 화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도 20은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정기 배송 물품을 추가하기 위해서 상기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메뉴(150f)를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을 위한 메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된다.
상기 메인 화면에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정기 배송 물품들이 리스트업되고, 화면 일측에 추가 버튼부(150h)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추가 버튼부(150h)를 터치하여 새로운 정기 배송 물품을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도 21은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정기 배송 물품 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추가 버튼부(150h)를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된다.
상기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을 통해서, 정기 배송 시작 날짜와 종료 날짜, 비밀 번호 입력이 허용되는 유효 시각, 배송 업체, 배송 물품, 배송 담당자의 연락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끝나고 상기 저장 버튼부(150j)를 터치하면 입력된 정보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 저장되고, 그와 동시에 등록된 정기 배송 물품에 대한 비밀 번호가 생성된다.
또한, 생성된 비밀 번호는 해당 물품과 매칭되어 제어부(500)에 저장되고, 동시에 상기 생성된 비밀 번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배송 업체로 전송된다. 배송 업체로 비밀 번호가 전송되면, 해당 정기 배송 물품의 배송을 담당하는 택배 기사의 단말기로도 전송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상부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에는 각각 취소 버튼부(150i)와 저장 버튼부(150j)가 터치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취소 버튼부(150i)를 터치하면, 입력이 취소되고 도 20에 보이는 메인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22는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여 정기 배송 물품의 비밀 번호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현관용 냉장고(100)을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상기 설정 버튼부(157)를 터치하여 설정 명령을 입력한다(S310).
상세히, 상기 설정 버튼부(157)를 터치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부(50)에 출력된다(S320).
상기 설정 화면 상태에서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메뉴를 터치하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된다(S340).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 상에서 해당 정기 배송 물품용 비밀 번호 생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고(S350), 저장 버튼부(150j)를 터치하여 저장 명령을 입력한다(S360).
저장 명령이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전송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정보가 제어부(500)에 저장되고, 제어부(500)에서는 정기 배송 물품을 위한 비밀 번호를 생성하여 앱서버(40)로 전송한다(S370).
이와 동시에, 생성된 비밀 번호는 해당 배송 물품과 매칭되어 제어부(500)에서 관리되며, 하나의 예로서 룩업 테이블 형태로 배송 물품 별로 비밀 번호가 매칭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앱서버로 전송된 비밀 번호 정보는 해당 정기 배송 물품을 배송하는 배송 업체의 서버(60)로 전송되고, 최종적으로 배송을 담당하는 택배 기사의 모바일 장치(3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밀 번호는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현관용 냉장고(100)에서 상기 앱서버(4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송 업체의 서버(60)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직접 전송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에서 설명한 정기 배송 물품의 등록과, 등록된 배송 물품에 대한 비밀 번호, 즉 실외측 도어(180)의 개방을 위해 필요한 비밀 번호 생성 과정은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등록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현관용 냉장고(100)의 설정 버튼부(150j)에 대응하는 설정 버튼을 터치하면,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2에서 설명된 플로차트의 순서대로 비밀 번호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정장 명령을 입력하면, 정기 배송 물품을 위한 비밀 번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비밀 번호는 정기 배송 물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앱서버(4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서버(40)에서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 및 배송 업체 서버(60)로 정기 배송 물품 및 해당 물품에 대하여 설정된 비밀 번호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본인의 모바일 장치(20)를 이용하여 정기 배송 물품용 비밀 번호를 생성하여 배송 업체의 택배 기사에게 최종적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복도에 서서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실외측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명령 입력을 위한 입력부가 터치 버튼 형태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 및 상기 실내측 도어 또는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터치되어, 물품 보관을 위한 입고 명령이 입력되면,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배송 종류 선택 화면에는, 정기 배송 버튼과 일반 배송 버튼이 출력되며,
    상기 정기 배송 버튼이 터치되어 정기 배송이 선택되면, 상기 실외측 도어 개방을 위한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비밀 번호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 번호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외측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되고,
    물품 입고 명령 입력부와 물품 출고 명령 입력부가 터치 버튼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물품 입고 명령 입력부가 터치되어 물품 입고 명령이 입력되면, 인증 방법 선택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상기 인증 방법 선택 화면에는, 암호화 코드 인증과 비밀 번호 인증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 번호 인증이 선택되면, 상기 배송 종류 선택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 배송이 선택되면,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고,
    리스트-업된 정기 배송 물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이후에 상기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 배송 물품의 비밀 번호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된 후, 상기 제어부로 전송되어 저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기 배송 물품의 비밀 번호 정보를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앱서버 또는 배송 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일측에 제공되는 설정 버튼부가 터치되어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설정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기 배송 비밀 번호 설정 메뉴가 터치되어 선택되면,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 배송 물품 추가 화면에는,
    상기 제어부에 기등록된 정기 배송 물품 리스트와,
    정기 배송 물품 추가를 위한 추가 버튼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버튼부가 터치되어 선택되면, 정기 배송 물품의 비밀 번호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정기 배송 물품의 정기 배송 시작 날짜, 정기 배송 종료 날짜, 비밀 번호의 인증 유효 시각, 배송 업체, 배송 물품, 배송 담당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의 입력이 끝나고 저장 버튼부가 터치되어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고,
    입력된 정보를 상기 앱서버 및/또는 상기 배송 업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190086916A 2019-07-18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916A KR20210009830A (ko) 2019-07-18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916A KR20210009830A (ko) 2019-07-18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830A true KR20210009830A (ko) 2021-01-27

Family

ID=7423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916A KR20210009830A (ko) 2019-07-18 2019-07-18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8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310B2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US11918131B2 (en) Refrigerator
CN113474607B (zh) 使用安装于存储介质的应用的玄关用冰箱的控制和管理方法
US10140795B2 (en) Food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77552A1 (en) Smart delivery package storage container
US10769916B2 (en) Refrigera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11957259B2 (en) To-go cubby unit
US20180041493A1 (en) Authenticating mobile lockers
US202000350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US201900877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delivery and tracking of packages
CN108351107A (zh) 烤炉和烤炉门开闭方法
US20210287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 ordering and securely delivering ordered products
KR20210103608A (ko) 냉장고, 서버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200144916A (ko) 물품 보관 장치
KR2021000983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00142332A (ko) 기록 매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및 관리 방법
KR20200108709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8199A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20014491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4253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251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2507A (ko) 현관용 냉장고
CN114120529B (zh) 无人零售柜、零售柜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KR20210077449A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WO2023129470A1 (en) Demographic and identity verification for delivery restri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