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918A - 현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현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918A
KR20200144918A KR1020190073169A KR20190073169A KR20200144918A KR 20200144918 A KR20200144918 A KR 20200144918A KR 1020190073169 A KR1020190073169 A KR 1020190073169A KR 20190073169 A KR20190073169 A KR 20190073169A KR 20200144918 A KR20200144918 A KR 2020014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authentication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서진
명유진
서미영
여인선
이원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918A/ko
Priority to US17/433,341 priority patent/US11980310B2/en
Priority to EP20762844.7A priority patent/EP3933327A4/en
Priority to PCT/KR2020/002082 priority patent/WO2020175836A1/ko
Priority to CN202080016404.3A priority patent/CN113474606A/zh
Publication of KR2020014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7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heating or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는,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 수단이 등록되도록 하고, 물품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통과한 경우에만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물품 도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용 냉장고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본 발명은 현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품을 소정의 장소에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이 신선식품일 경우, 식품이 상하거나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배달 차량에 냉장고 또는 온장고를 구비하여 식품을 저장하고 배달한다.
식품은 냉각 또는 보온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포장재에 담겨져 배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포장재는 스티로폼과 같은 환경오염 물질로 구성되어, 최근 사용량을 절감하고자 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된다.
한편, 배달시간에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에는,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가정에 없는 경우 또는 배달시간이 너무 이르거나 늦게 되면,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여 식품을 전달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배달원과 사용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고, 식품이 사용자에게 최종 전달될 때까지 상하거나 식지 않아야 하는 필요성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소정 장소의 입구(현관)에 냉장고를 설치하여 배달원은 상기 냉장고에 식품을 보관하여 신선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는 편한 시간에 냉장고에 접근하여 식품을 전달받을 수 있는 제품이 소개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는 현관 도어에 장착되는 현관용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 기술에 의하면, 냉장고의 하부에 냉각 장치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상기 냉각 장치의 세부 구성이 전혀 개시되지 않는다.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 도어는 허락된 사람만이 개방하도록 하여, 보안성이 확보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관용 냉장고의 오작동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또는 배달원에게 즉시 알려줄 수 있어야 한다.
선행 기술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3394호(2011년03월31일)
본 발명은 종래의 현관용 냉장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특히, 사용자가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저장된 물품을 인출하기 전까지 물품이 신선하게 보관되도록 할 수 있는 현관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 주인 또는 허락받은 사람만 현관용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여 냉장고 내에 저장된 물건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현관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로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를 개방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거나, 외측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경고 메세지가 사용자에게 즉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는 현관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는,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실외측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 및 상기 실내측 도어 또는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 수단이 등록되도록 하고, 물품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통과한 경우에만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물품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를 감지하여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인증 방법 설정 메뉴의 선택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등록 프로필 리스트를 출력하며, 인증 대상 프로필이 선택되면, 인증 수단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인증 수단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등록 완료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증 수단 등록 과정에서 등록되는 인증 수단은, 모바일 장치의 NFC와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출고 명령이 입력된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NFC 정보 또는 비밀 번호와, 상기 인증 수단 등록 과정에서 등록된 NFC 정보 또는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고, 인증 절차를 통과한 경우에만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출고 명령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외측 도어의 개방 시도를 감지하면, 경고음 출력과 함께 경고 메세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출고 명령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외측 도어의 개방 시도를 감지하면,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외측 도어에 장착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외측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경고 메세지와 함께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NFC 인증 방법과 비밀 번호 인증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방법 선택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버튼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NFC 인증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NFC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입력된 NFC 정보와 등록된 NFC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된 NFC 정보와 등록된 NFC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NFC 인증 절차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비밀번호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물품이 보관 중임을 알리는 알림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물건이나 신선 식품을 주문한 사용자가 집에 없는 경우에도 택배 기사는 배달 물건을 주문자에게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고, 배송 과정에서 배송 물건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신선 식품과 같이 저온 보관을 필요로 하는 배송 물건인 경우에, 주문자(또는 사용자)가 부재 중이더라도 배송 물건이 상하거나 변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택배 기사와 같이 배송 물건을 배달하는 사람만이 현관 밖에서 현관용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송 물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려는 시도가 행해지거나 외측 도어에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되므로, 현관용 냉장고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자동으로 저장실 내부를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저장실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에 장착된 이미지 분석용 카메라가 작동하도록하여, 외측 도어 개방을 시도하는 자의 안면이 촬영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측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 저장실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서, 냉기공급 및 방열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내측 도어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고장 상황 발생시 수행되는 고장 제어 알고리즘.
도 14 및 도 15는 상기 고장 제어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동안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 모습.
도 16은 현관용 냉장고의 고장 상황 발생시 배달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세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의 강제 개방 시도가 발생한 경우에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8은 강제 개방 시도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메세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20 내지 도 26은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 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27은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 개방을 위한 사용자 인증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물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의미하며, 현관용 냉장고의 소유자 및 그 가족을 포함하여,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에 저장된 물품의 인출이 허용 또는 승인된 사람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가 "현관용 냉장고" 또는 "현관 냉장고"로 혼용될 수 있으나, 이들 용어는 모두 현관 도어 또는 벽에 장착되는 냉장고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 및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구매 물품 또는 주문 물품은 신선 식품을 포함한 그 외의 모든 형태의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배달원은, 택배 기사 및 우체부 등과 같이,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 또는 상품을 현관용 냉장고의 저장실까지 배달하는 임무와 권한을 부여받은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세워 놓도록 설치될 수 있고, 건축물의 도어나 건축물의 벽면 혹은 별도의 거치대의 표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도어나 벽면 혹은 거치대를 관통하면서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가 설치된 장소로부터 낙하에 의한 파손을 줄이도록 무겁지 않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례로, 소형의 압축기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거나 열전 소자 모듈을 이용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 모듈은 상기 압축기보다 소음이 적기 때문에, 침실, 공부방, 거실, 건축물의 도어나 건축물의 벽면 등과 같이 저소음을 필요로 하는 공간에 냉장고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동 사이클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열전모듈은 압축기를 이용한 냉동 사이클에 비해 냉장고 혹은 온장고로 사용할 수도 있다.
더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열전 모듈이 설치되지 않거나 작동하지 않는 단순 택배 함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현관용 냉장고에 구비되는 입력부는 현관 도어 또는 냉장고 캐비닛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고, 정보의 입력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의 입력부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입력 수단 또는 서브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서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현관용 냉장고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 활성화 상태가 되고, 소정의 다른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가 입력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i)전부 입력 활성화, ii)일부만 입력 활성화, 또는 iii)전부 입력 비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활성화 상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냉장고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상태로 정의하고, 입력 비활성화 상태는, 상기 정보가 입력될 수 없는 상태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냉장고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냉장고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냉장고의 노치 온도를 증감시키는 명령, 냉장고의 전기 소자 또는 부품에 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거나, 전압을 증감시키기 위한 명령, 냉장고에 장착된 센서에서 감지한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는, 냉장고 작동과 관련된 명령이 입력되는 버튼, 물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기 및 물품의 QR코드를 인식하는 QR코드 인식기를 포함하는 코드 스캐너와 같이 물품에 대한 고유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물품 정보 인식기, 리모컨을 포함하는 원격조작기나 휴대 전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는 통신 모듈 또는 소자 (예 : 리모콘 신호 수신부, NFC 신호 수신부 등), 사람을 포함한 물체의 영상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미지 촬영부, 사람의 음성을 포함한 소리 신호를 인식하는 마이크, 사람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는 모션 신호 감지부, 사람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신호 감지부 (혹은 거리 신호 감지부), 사람의 터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사람의 정맥정보, 홍채정보나 DNA정보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생체 정보감지부,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두드리는 것을 감지하는 진동 신호 감지부(예 : 노크 신호 감지부),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냉장고 작동과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냉장고는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고 내로 물품 입고를 위해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1 도어("이하 입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로부터 물품 출고를 위해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2 도어("이하 출고 도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복수 개의 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도어는 적어도 상기 입고 도어와 상기 출고 도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고도어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출고 도어는 상기 냉장고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입고 도어와 상기 출고 도어가 모두 상기 냉장고의 전방 또는 상기 냉장고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상기 입고 도어 및, 상기 입고 도어와 구분된 별도의 출고 도어가 모두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과, 상기 입고 도어 및 상기 입고 도어와 구분된 별도의 출고 도어가 모두 상기 냉장고의 후방에 구비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냉장고 내로 물품 입고를 위해 정보가 입력되는 제 1 입력부("이하 입고 입력부")와 상기 물품 출고를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제 2 입력부 ("이하 출고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복수 개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부는 적어도 상기 입고용 입력부와 상기 출고용 입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가 설정된 "입고기준정보 (=입고인증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입고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이후에, 상기 "입고기준정보"는 삭제, 초기화되거나 재설정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입고를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고인증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출고를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출고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입고인증과 상기 출고인증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고인증 방법과 상기 출고인증 방법이 다르도록 제어하는 실시예는 아래의 3가지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냉장고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고를 위해 입력되는 정보가 설정된 "입고기준정보"(예, 입고되는 물건과 관련된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입고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출고를 위해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입고기준정보와는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출고기준정보" (예. 냉장고와 관련하여 등록된 사용자 정보) 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출고인증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냉장고는 복수 개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입고 입력부 (예 : 바코드 인식기나 QR코드 인식기와 같은 물품정보 인식기) 와 출고 입력부 (예 : NFC신호 인식기와 같이 외부기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통신소자)가 서로 구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냉장고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고를 위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입고 모드 (예 : 보관버튼)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출고를 위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출고 모드 (예 : 찾기버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는 출고모드만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제어부가 상기 입고 입력부가 활성화되는 방법과 상기 출고 입력부가 활성화되는 방법이 서로 다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저장실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고 입력부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 내에 상기 물품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출고 입력부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냉장고 내에 카메라를 통해 상기 냉장고에 물품의 유무나 물품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입고인증이 수행되어 도어 잠금이 해제된 이후에는 상기 출고모드만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출고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냉장고 사용자만 출고인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가 출고인증을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고 모드" 또는 "보관 모드"는, 물품 입고자가 물품을 저장실에 보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어 모드로 정의될 수 있고, "출고 모드" 또는 "찾기 모드"는, 물품 출고자가 물품을 저장실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어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측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현관용 냉장고가 현관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측과 실외측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현관 도어(D)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D)는 벽(W)에 설치된다. 상기 현관 도어(D)에는 도어 개방을 위한 도어 락(L)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현관 도어(D)에는 개구(opening)(H)가 형성되고,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개구(H)에 삽입되어 실내측(I)과 실외측(O)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를 기준으로 상기 실외측(O)을 "전방", 상기 실내측(I)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H)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H)와 상기 캐비닛(110)의 외면 사이에는 실러(160, 도 6 참조)가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개구(H)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식품의 저장이 가능한 저장실(110a)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10a)에는 카메라(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카메라(118)는 상기 저장실(11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8)는 상기 저장실(110a)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현관용 냉장고(100)의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이하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된 앱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또는 모바일 장치)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앱서버에 업로드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관용 냉장고에는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0a)은 상기 실내측(I) 및 상기 실외측(O)에서 개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저장실(110a)의 일측(실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110a)을 개폐할 수 있는 실외측 도어(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상기 실외측(O)에 위치되며, 일례로 식품을 배달하는 배달자가 식품을 투입하기 위하여 개방하는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임의의 도어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 록킹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저장실(110a)의 타측(실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110a)을 개폐할 수 있는 실내측 도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70)는 상기 실내측(I)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식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개방하는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 및 상기 실내측 도어(170)는 상기 캐비닛(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상기 캐비닛(110)에 결합되는 힌지(181) 및 상기 캐비닛(110)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181)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래치(185)는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185)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래치(185)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 결합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전면에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개방을 위하여 가압할 수 있는 누름부(182)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182)는 상기 래치(185)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래치(185)에 가압력을 전달하며, 상기 래치(185)는 전달된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결합부(115)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push-up 버튼방식).
상기 실내측 도어(170)의 구성은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상기 실내측 도어(170)에도 힌지, 래치 및 누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전면에는, 배달되는 식품에 관한 정보를 판독할 수있는 코드 스캐너)(1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스캐너(184)는, 바코드 스캐너 또는 QR 코드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식품 배달자가 식품 또는 식품 용기에 구비되는 식품정보(코드 정보)를 상기 코드 스캐너(184)에 갖다대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배달 예정된 식품임을 인식하고,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배달자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고 식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에는 디스플레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사용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배달자를 위한 "안내 코멘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내 코멘트는, "식품의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코드 스캐너에 인식시켜 주세요"와 같은 코멘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비밀번호 또는 인증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표시될 수 있다. 배달자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된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부에 입력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정리하면, 배달자는 식품 코드를 코드 스캐너(184)에 인식시키거나 비밀번호 또는 인증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실외측 도어(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고, 실외측 도어(180) 개방 후 식품을 저장실(110a)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도어(D)를 관통하여 실내측(I)과 실외측(O)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 중 상기 실내측(I)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W2)은 상기 실외측(O)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의 전후방향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도어(D)로부터 실내측(I)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크고 상기 실외측(O)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작으므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가 임의의 사람들이 통행하는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 중 상기 실내측(I)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도어(D)의 외면에 지지되는 전면 지지부(119)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전면 지지부(119)는 상기 도어(D)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하부에는 냉기 공급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냉기 공급장치(200)의 전면부, 즉 상기 전면 지지부(119)가 상기 도어(D)에 지지 또는 부착되므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상기 도어(D)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내부 저장실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2개의 캐비닛측면부(111)와, 상기 2개의 캐비닛측면부(1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캐비닛상면부(113), 상기 캐비닛(110)의 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저면부(115), 및 캐비닛 후면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캐비닛저면부(115)의 전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D)의 후면에 지지 또는 부착되는 전면 지지부(11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면 지지부(119)의 후측에는 냉기 공급장치(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전면 지지부(119)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장실(110a)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장실저면부(11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캐비닛(110)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110)은 "ㄱ"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0)은, 육면체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1 케이스의 후방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가 설치되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케이스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측면부(111)의 하부에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의 방열부를 거친 외기가 배출되는 방열 배출부(255)가 형성된다. 상기 방열 배출부(255)에는, 배출 그릴(256)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양측에는 도어(170,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양측 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에 상기 도어(170,18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70,180)는, 상기 캐비닛(110)의 실외측 단부에 구비되는 실외측 도어(180) 및 실내측 단부에 구비되는 실내측 도어(17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측 도어(180)는 배달자가 개방할 수 있는 도어로서, 상기 배달자는 비밀번호 입력 또는 물품인식 후 상기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여 식품을 상기 저장실(110a)로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실내측 도어(170)를 개방하여 상기 저장실(110a)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실내측 도어(170)의 구조는 상기 실외측 도어(180)와 유사하다. 상기 실내측 도어(170)에는,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누름부(172)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172)를 눌러 상기 실내측 도어(170)를 개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내측 도어(170)는 실내측에 배치된 도어로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으므로 록킹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실외측 도어(180)의 개방을 위한 록킹 해제를 위한 작용(비밀번호 입력, 물품인식등)이 필요없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냉기 공급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는 상기 캐비닛측면부(111)의 하부 양측과, 캐비닛저면부(115)와, 전면지지부(119) 및 캐비닛후면부(116)가 이루는 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저면부(115)에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 유입부(25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의 방열팬(280) 및 히트 싱크(220)를 거쳐 상기 방열 배출부(25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부(252)에는 유입그릴(25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부(252) 및 상기 방열 배출부(255)는 캐비닛(110)의 외부 벽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0a)은 캐비닛(110)의 내부 벽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벽은, 식품이 놓여지는 안착면을 형성하는 저장실 하부벽(121)과,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저장실 측벽(123)과, 상기 저장실(110a)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저장실 측벽(123)의 상부를 연결하는 저장실 상부벽(126) 및 상기 저장실 측벽(123)의 후방부를 연결하는 저장실 후벽(125)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110a)은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 저장실 측벽(123), 저장실 상부벽(126) 및 상기 저장실 후벽(125)에 의하여 대략 육면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측벽(123)은 제 2 유로 덕트(105, 도 8 참조)의 일면을 형성한다.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리브(122)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122)는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가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리브(122)의 상측에 식품이 놓여, 상기 식품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에는, 상기 저장실(110a)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로 복귀시키기 위한 냉기 유입공(128)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냉기 유입공(128)은 상기 저장실 하부벽(12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측벽(123)에는,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저장실(110a)측으로 공급하는 냉기 배출공(129)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입공(128) 및 상기 냉기 배출공(129)의 구성에 의하여, 냉기 공급장치(200)에서 생성된 냉기는 저장실(110a)의 측면부에서 공급되고, 후방 하부를 통하여 상기 냉기 공급장치(200)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 상부벽(126)에는, 상기 저장실(110a)에 투입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1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에서, 냉기공급 및 방열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기 공급장치(200)는 캐비닛(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110a)의 하부에 구비되어 냉기유로 및 방열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 장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부품, 일례로 압축기와 같은 고소음 발생원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냉장고(100)의 구동중에 소음발생이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은 상대적으로 경량으로 구성되므로, 현관용 도어(D)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필요가 있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열전소자모듈(200)은 열전소자를 포함하며, 열전소자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냉각과 발열을 구현하는 소자를 가리킨다. 열전소자의 흡열측이 저장실(110a)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열전소자의 발열측이 냉장고(100)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면, 열전소자의 작동을 통해 저장실(110a)을 냉각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에는, 상기 열전소자가 결합되며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모듈 본체(210)와, 상기 모듈 본체(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실(110a)의 냉기와 열교환 하는 콜드 싱크(230) 및 상기 모듈 본체(210)의 g타측에 구비되어 외기와 열교환 하는 히트 싱크(220)가 포함된다.
상기 모듈 본체(210)의 일측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을 기준으로 저장실(110)을 향하는 방향, 즉 상측이며, 타측은 냉장고(10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콜드 싱크(230)는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히트 싱크(220)는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와 방열부는 면 접촉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반대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에서는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서 신속하게 방열이 이루어져야,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에서 충분한 흡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트 싱크(220)의 열교환 면적은 상기 콜드 싱크(230)의 열교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20) 및 상기 콜드 싱크(230) 각각은, 상기 열전소자에 접촉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열전달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은, 상기 콜드 싱크(230)와 상기 히트 싱크(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모듈 단열재(240)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모듈 단열재(240)는 4각 프레임의 형상을 가지고 열전소자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 모듈(20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실(110a)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저장실(110a)의 냉기 순환을 강제하는 냉기 순환팬(2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순환팬(270)은 상기 콜드 싱크(23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기 순환팬(270)은, 축방향으로 냉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저장실 내부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1),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이너 케이스(101)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재(10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상기 콜드 싱크(230)로부터 연장되어 냉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유로덕트(29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유로덕트(290)는 상기 콜드 싱크(230)의 양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덕트(290)의 내부에는 제 1 냉기유로(29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덕트(290)는 제 2 유로 덕트(10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1)의 양측에는 제 2 유로덕트(105)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유로덕트(105)는 상기 저장실 측벽(123)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유로덕트(105)의 상부에는 상기 냉기 배출공(129)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1)의 양측면과 상기 제 2 유로덕트(105)의 사이에는, 냉기가 유동하는 제 2 냉기유로(10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냉기유로(106)는 상기 제 1 냉기유로(29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순환팬(270)이 구동하면, 상기 저장실(110a)의 냉기는 상기 냉기 유입공(128)을 통하여 상기 냉기 순환팬(27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콜드 싱크(230)와 열교환 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기 순환팬(27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냉기유로(291)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냉기유로(291)의 냉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제 2 냉기유로(106)로 유입되며, 상기 냉기 배출공(129)을 통하여 상기 저장실(110a)의 양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0)는, 외기를 도입하여 열전소자의 방열부와 열교환시키는 방열팬(2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열팬(280)은 상기 캐비닛저면부(115)에 지지되며, 상기 외기 유입부(25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열팬(280)은, 축방향으로 냉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상기 히트 싱크(220)로부터 연장되어 외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며 내부에 방열유로(261)를 형성하는 방열 유로덕트(260)가 구비된다. 상기 방열 유로덕트(260)는 상기 히트 싱크(220)의 양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방열 배출부(25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278)이 구동하면, 외기는 상기 외기 유입부(252)를 통하여 상기 방열팬(28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히트 싱크(220)와 열교환 하여 가열된다. 가열된 냉기는 상기 방열팬(27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방열 유로덕트(260)를 거쳐 상기 방열 배출부(255)에서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현관용 냉장고(100)에 공급될 전력은 도어(D) 주변에 설치되는 인터폰이나 초인종, 또는 실내측 조명원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제어부(500)와, 전원 공급부(510), 입력부(520), 출력부(580), 온도 센서(560), 도어락(570), 및 인터페이스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520)는, 상기 제어부(500)로 사용자 또는 택배 기사를 포함하는 배달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520)는, 입력 버튼(521), 품품 정보 인식기(522), 통신 모듈(523), 터치 입력부(524), 이미지 촬영부(525), 마이크(526), 모션 신호 감지부(527), 근접 신호 감지부(528), 진동 신호 감지부(529), 및 생체 정보 감지부(53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주변에 설치되어, 사용자 또는 배달자가 손가락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조작하는 기계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입력 스위치 또는 피에조 센서를 이용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버튼(521)은 상기 실외측 도어(180) 뿐만 아니라 캐비닛(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물품 정보 인식기(522)는, 제품의 포장 박스에 인쇄 또는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스캐너(522a)와, QR 코드를 인식하는 QR코드 스캐너(522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523)은, 사용자의 휴대폰에 내장된 근거리 통신 모듈(NFC 모듈 :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NFC 신호 감지부(523a)와,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인식하는 리모컨 신호 감지부(523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523)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524)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 내에서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524)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화면에 접근하거나 닿으면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촬영부(525)는, 상기 저장실(110a)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118) 뿐만 아니라 실외측 도어(180)의 전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또는 배달원의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공되는 이미지 분석용 카메라(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용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신호 감지부(528)는, 적외선 송신부와 수신부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센서(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신호 감지부(529)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를 손으로 노크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나 음파를 감지하는 노크 신호 감지부(529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감지부(530)는, 사용자의 정맥 지도를 감지하는 정맥 정보 감지부(531),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는 홍채 정보 감지부(532), 및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인식하는 DNA 정보 감지부(5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58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5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81)는, 실외측 도어(18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50 : 도 1 참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580)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 미디어의 재생음 또는 안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5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음향 출력부의 일례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락(570)은, 상술한 래치(158)를 포함한 도어 잠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570)은, 상기 실내측 도어(170) 또는 실외측 도어(180)가 임의로 개방되거나, 승인받지 않은 자가 실외측 도어(180)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온도 센서(534)는 상기 저장실(110a) 내에 설치되어 저장실(110a) 온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는 인터페이스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50)는 다양한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기능한다. 일례로서, 상기 인터페이스부(550)는, 유에스비(USB) 또는 에스디 카드(SD card)를 포함한 데이터 저장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유무선 데이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의 앱서버(40) 및 쇼핑몰 서버(5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기는 인터넷을 통하여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부(5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세히, 사용자 단말기는, 컴퓨터(10)를 포함하는 고정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원 단말기(30)는 모바일 장치 또는 PDA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10) 또는 모바일 장치(20)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인터넷에 연결된 쇼핑 몰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전송되어, 메모리 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별도의 서버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쇼핑몰 서버에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 해당 쇼핑몰의 서버(50)에서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직접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쇼핑몰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할 때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야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는, 쇼핑몰 서버(50)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저장된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서 상기 앱서버(4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앱 서버(40)에서는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가 택배 회사의 서버로 전송되어 배달원 단말기(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는 암호화 코드, 예컨대 바코드 또는 QR 코드 형태로 택배 회사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택배 회사에서는 상기 암호화 코드를 구매 물품의 포장 박스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 관련 정보는 상기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와 함께 택배 회사의 서버로 전송된 후 최종적으로 배달원의 단말기(30)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고,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암호화 코드 및 인증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암호화 코드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를 직접 생성 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택배회사로부터 배달원의 단말기(30)의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암호화 코드 및 인증 관련 정보 및/또는 인증 관련 정보를 배달원의 단말기(30)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는 컴퓨터(10) 또는 모바일 장치(20)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사이트 또는 마트 사이트에 접속 또는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쇼핑몰 사이트 또는 마트 사이트로 접속 및 로그인하는 방법은, 해당 쇼핑몰 사이트의 주소로 직접 접속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뒤, 해당 쇼핑 몰 또는 마트 사이트에 접속 또는 로그인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여기서, 배달원의 단말기(30)는 해당 배달 업체 또는 우체국의 서버에 의하여 통제되므로, 배달원의 단말기(30)는 해당 배달 업체 또는 우체국의 서버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쇼핑몰에 접속하여 원하는 물품을 구매하면, 해당 쇼핑몰의 서버로부터 구매 물품 정보 인증 관련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물품 정보와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앱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품 정보와 인증 정보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50)로부터 상기 앱서버(40)로 직접 전송되거나, 상기 쇼핑몰 서버(50)로부터 상기 앱서버(40)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 및 배달 업체의 서버 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물품을 구매한 쇼핑몰의 서버로부터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쇼핑몰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할 때,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고유 번호 또는 고유 코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배달 업체의 배달원은 주문된 물품을 사용자의 현관용 냉장고(100) 앞까지 배달하고, 인증 정보를 현관용 냉장고(100)의 도어에 구비된 암호화 코드 스캐너(522a,522b)에 갖다대면, 현관용 냉장고(100)의 실외측 도어(180)가 개방되어, 물품의 저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내측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100)의 내측 도어(170)에는 상기 누름부(172) 외에, 알림등(173), 안면 촬영부(174), 압력 감지부(미도시), 가속도 센서(미도시), 및 래치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알림등(173)은, 물품의 입고를 완료하고 외측 도어(180)가 닫히면, 실내에 있는 사용자 또는 가족 구성원에게 현재 현관용 냉장고(100)의 저장실(110a)에 물품이 보관 중임을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알림등(173)은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발광 수단일 수 있고, 물품이 보관 중인 경우 켜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점멸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고장 상황 발생시 수행되는 고장 제어 알고리즘이고, 도 14 및 도 15는 상기 고장 제어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동안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 모습이며, 도 16은 현관용 냉장고의 고장 상황 발생시 배달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현관용 냉장고의 동작 에러가 발생하면(S110), 제어부(500)에서는 에러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되도록 한다(S120).
상세히, 상기 에러 안내 메시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의 종류를 의미하는 문자코드 또는 숫자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애프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전화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러의 종류는 "E1,E2,E3...En"와 같이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E1은 외측 도어의 개방 이상을 의미하고, E2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네트워크 이상을 의미하며, E3는 외측 도어(18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50)의 화면 이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러 코드 별로 정의되는 에러의 내용은 제품 매뉴얼 책자에 기재되어, 사용자가 참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제 발생한 작동 에러가 무엇인지 설명하는 안내 문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러 종류가 디스플레이부 화면 이상인 경우는 제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화면 이상인 경우에는 일례로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 메세지 형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에러 안내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에러 안내 메시지가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와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앱서버(100) 또는 모바일 장치로 에러 안내 메세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서 상기 앱서버(400)로 에러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400)에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32)로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서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에는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에러 안내 메세지가 출력되며, 상기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아니한 상태이면, 메세지 수신 알림 기능이 작동하여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가 상기 현관 냉장고(100)로부터 근거리에 있고, 블루투스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20)의 근거리 통신 모듈과 현관 냉장고(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동기화되어 있는 상태라면, 현관 냉장고(100)의 제어부에서 모바일 장치(20)로 직접 에러 안내 메세지가 전송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현관용 냉장고(100)의 동작 에러가 발생하면, 배달되는 물품이 냉장 또는 온장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서 배달업체의 서버로 에러 메세지를 포함한 요청 메세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쇼핑몰 서버로부터 주문 정보가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로 전송될 때 배달 업체의 서버 주소가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요청 메세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보관 또는 온장 보관이 어려울 가능성에 대비하여, 보냉 포장 또는 보온 포장을 하여 배송할 것을 요청하는 메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배달 업체에서는 제품 배달을 위한 포장 과정에서 이를 반영하여 배달 과정에서 보냉 또는 보온 기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서 상기 앱서버(400)로 에러 메세지를 전송하면, 상기 앱서버(400)에서는 에러의 종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배달 업체에 보냉 또는 보온 포장 요청 메세지를 보내야 하는 에러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앱서버(400)에서 배달 업체의 서버로 상기 요청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달 업체 서버에서는 배달원의 단말기(30)로 에러 메세지를 전송하여, 배달 장소에 설치된 현관용 냉장고(100)가 현재 고장 상태에 있다는 사실과, 보냉 또는 보온 포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은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의 강제 개방 시도가 발생한 경우에 수행되는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고, 도 18은 강제 개방 시도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메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의 강제 개방 시도가 감지되면(S210),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에서는 인증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0).
여기서, 도어의 강제 개방 시도라 함은, 외측 도어(180)가 잠겨 있는 상태에서, 외측 도어(180)를 강제로 열기 위하여 외측 도어(180)에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는 행위뿐만 아니라, 외측 도어(180)의 전면에 외력을 가하여 두드리는 행위를 포함한다.
또한, 외측 도어(180)를 강제로 잡아당기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일례로서, 일반 냉장고의 도어 개방 감지를 위해 도어의 배면과 접촉하는 냉장고 본체에 장착되는 누름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는 가속도 센서가 외측 도어(180)에 장착되어, 외측 도어(180)를 전방으로 잡아당길 때 발생하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가속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제어부(500)에서 외측 도어(180)의 개방 시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측 도어(180)의 전면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기 위해서 외측 도어(180)에 외력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력 감지 센서는, 일례로서 충격량 또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측 도어(180)가 잠긴 상태에서 외측 도어(180)의 개방 시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0)에서는 개방 시도 이전에 외측 도어(180) 개방을 위한 인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완료된 이력이 있는지 재판단하도록 한다(S220). 인증 절차의 수행 여부에 대해서 재판단하는 이유는, 도어 잠금 장치의 고장 또는 오작동으로 인하여 인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외측 도어(180)의 개방이 안되는 상황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증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이후에 도어 개방 시도가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500)에서는 도어 잠금 해제 동작을 재차 수행하도록 한다(S230).
반면에, 인증 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개방 시도가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하고(S221), 이와 동시에 앱 서버(400) 또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경고 메세지를 전송한다(S222).
상기 앱서버로 전송된 경고 메세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수신되고, 사용자에게 메세지 도착 알림 신호가 출력된다.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와 현관용 냉장고(100)의 제어부(5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라면, 현관용 냉장고(100)에서 직접 모바일 장치(20)로 경고 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로 전송되는 메세지는, 현재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려고 하는 시도가 확인된다는 메세지와 함께, 사용자가 추가로 취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용 냉장고(100)의 저장실(110a) 내에 설치된 카메라가 작동하여 저장실 내부 보기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외측 도어(180)의 일측에 안면 인식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안면 인식 카메라가 작동하여 도어 개방을 시도하는 사람의 안면을 촬영하여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하도록 하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관용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고, 도 20 내지 도 26은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 페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6을 함께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을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한다(S310).
어떤 명령도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현관용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50)는, 도 20에 보이는 바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하측에는 입고 버튼부(151)와 출고 버튼부(152)가 터치 버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입고 버튼부(151)는 배달 업체의 배달원을 위한 버튼이고, 출고 버튼부(152)는 사용자를 위한 버튼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이 대략 중앙부에는 냉장 모드 운전 표시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냉장 모드 운전 표시부(155)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어, 사용자 또는 배달원에게 현재 저장실(110a) 내부가 냉장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냉장 모드 운전 표시부(155)와 버튼부들(151,152) 사이 영역에는 현재 저장실(110a) 내부에 물품이 있는지 여부가 문자 또는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보관 상태 표시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의 상부 일측 모서리에는, 외측 도어(180)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잠금 상태 표시부(153)와, 저장실 내부 온도를 보여주는 내부 온도 표시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의 상부 타측 모서리에는 설정 메뉴 아이콘(156)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 메뉴 아이콘(156)을 터치하여 설정 메뉴 화면으로 넘어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 방법 설정 과정도, 사용자가 상기 설정 메뉴 아이콘(156)을 터치하여 설정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지점을 설정 시간 동안 누르고 있는 롱프레스(long press) 동작을 통하여 설정 메뉴 화면으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 터치 단계(S310)는, 사용자가 설정 메뉴 아이콘(156)을 직접 터치하거나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길게 누르는 롱프레스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면 설정 메뉴 화면으로 바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안을 위하여 중간에 비밀 번호 입력 단계(S320)를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을 최초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밀 번호는, 000000 또는 111111과 같이 제품 출시 때 설정되어 있던 번호일 수 있다.
비밀 번호 입력이 끝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330).
상기 설정 메뉴 화면에는 다수의 설정 메뉴가 리스트업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 메뉴는, 인증 방법 설정 메뉴(150a), 알림시간 설정 메뉴(150b), 네트워크 설정 메뉴(150c), 화면 설정 메뉴 (150d), 및 소리 설정 메뉴(150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방법 설정 메뉴(150a)를 선택하면(S340), 도 23에 보이는 바와 같은 등록 프로필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S350).
도 23을 참조하면, 등록 프로필 리스트는,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에 설치된 현관용 냉장고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자 프로필을 입력하여 저장하면, 입력된 프로필이 앱서버(400)를 거쳐 현관 냉장고(1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현관 밖에서 현관 냉장고(100)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터치하여 사용자 프로필을 입력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등록 프로필 리스트에는 사용자의 이름 또는 닉네임과 사용자로서 등록 여부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증 대상 프로필을 터치하여 선택하면(S360), 도 24에 보이는 바와 같은 인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인증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NFC 모듈이 켜진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를 디스플레이부에 갖다대어 인증 수단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S370). 그러면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문자 또는 음성 메세지가 출력되고(S380),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이 종료된다.
인증 수행 과정에서, 모바일 장치(20)를 이용한 NFC 인증에 더하여, 도 25에 보이는 바와 같은 비밀 번호 입력 과정을 더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밀 번호 입력 과정은, 사용자가 비밀 번호 설정을 위해 입력하는 제 1 과정과, 입력된 비밀 번호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재차 입력하는 제 2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밀 번호 입력 과정이 종료되면, 제품 출시 상태에서 설정되었던 비밀번호에서 새로운 비밀 번호로 변경이 되며, 사용자 인증 방법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음성이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150)에 문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새로운 사용자 인증을 위해서 다시 설정 메뉴를 터치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롱프레스 터치하여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변경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야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인증 방법 과정이 완료되면, 도 2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인증 대상 프로필의 옆에 표시된 "등록 안됨" 문자가 "등록됨" 문자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27은 현관용 냉장고의 외측 도어 개방을 위한 사용자 인증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측 도어(180)를 개방하여 보관된 물건을 출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상세히, 외측 도어(180)의 개방이 허용된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찾기 버튼을 터치하면, 본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의 NFC 인증을 통한 인증과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인증 방법 선택부(157)와, 해당 인증 방법의 상측에 인증 방법 안내부(158)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NFC 인증과 비밀 번호 인증 중 어느 하나만 표시되어, 하나의 방법으로만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인증 방법 선택부(157)에 표시된 터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원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로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NFC 인증 화면이 기본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모바일 장치(20)를 통한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고, 모바일 장치(20)를 통한 NFC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 비밀 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인증 과정을 통해서 외측 도어(180)의 개방이 허용된 등록자로 판단되면, 제어부(500)는 상기 외측 도어(180)가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저장 물품을 출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NFC 인증 방법과 비밀 번호 인증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방법 선택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버튼 형태로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 외에 다음의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NFC 인증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NFC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입력된 NFC 정보와 등록된 NFC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입력된 NFC 정보와 등록된 NFC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NFC 인증 절차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비밀번호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0)

  1. 현관 도어 또는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품 보관을 위한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외에 노출되는 실외측 도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실내에 노출되는 실내측 도어;
    상기 실외측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 및 상기 실내측 도어 또는 실외측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인증 방법 설정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 수단이 등록되도록 하고,
    물품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인증을 통과한 경우에만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를 감지하여 설정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인증 방법 설정 메뉴의 선택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등록 프로필 리스트를 출력하며,
    인증 대상 프로필이 선택되면, 인증 수단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인증 수단 등록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등록 완료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수단 등록 과정에서 등록되는 인증 수단은,
    모바일 장치의 NFC와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관용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고 명령이 입력된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NFC 정보 또는 비밀 번호와, 상기 인증 수단 등록 과정에서 등록된 NFC 정보 또는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고,
    인증 절차를 통과한 경우에만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고 명령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외측 도어의 개방 시도를 감지하면,
    경고음 출력과 함께 경고 메세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출고 명령의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외측 도어의 개방 시도를 감지하면,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외측 도어에 장착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외측 도어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경고 메세지와 함께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실 내부에 물품이 보관 중임을 알리는 알림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NFC 인증 방법과 비밀 번호 인증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 방법 선택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버튼 형태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NFC 인증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NFC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입력된 NFC 정보와 등록된 NFC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외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NFC 정보와 등록된 NFC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NFC 인증 절차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비밀번호 인증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용 냉장고.
KR1020190073169A 2019-02-25 2019-06-19 현관용 냉장고 KR20200144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169A KR20200144918A (ko) 2019-06-19 2019-06-19 현관용 냉장고
US17/433,341 US11980310B2 (en) 2019-02-25 2020-02-13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EP20762844.7A EP3933327A4 (en) 2019-02-25 2020-02-13 FRONT DOOR REFRIGERATOR
PCT/KR2020/002082 WO2020175836A1 (ko) 2019-02-25 2020-02-13 현관용 냉장고
CN202080016404.3A CN113474606A (zh) 2019-02-25 2020-02-13 玄关用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169A KR20200144918A (ko) 2019-06-19 2019-06-19 현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18A true KR20200144918A (ko) 2020-12-30

Family

ID=7408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169A KR20200144918A (ko) 2019-02-25 2019-06-19 현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9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3394A (ko) 2009-09-25 2011-03-31 조영택 현관문 및 대문에 부착되는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33327A1 (en) Refrigerator for entrance gate
EP393332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front door refrigerator using application installed in recording medium
EP3933320A1 (en) Refrigerator
KR102446635B1 (ko)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277552A1 (en) Smart delivery package storage container
US10769916B2 (en) Refrigerator and home automa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264564B1 (ko) 스마트 메일박스, 스마트 메일박스 시스템 및 관련 방법
US108786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KR20180004725A (ko) 패키지 수납 시스템 및 방법
US201900877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delivery and tracking of packages
US113285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receiving deliveries
KR20200142332A (ko) 기록 매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관용 냉장고의 제어 및 관리 방법
KR20200108709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8199A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20200144918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983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2510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72507A (ko) 현관용 냉장고
KR20210004253A (ko) 현관용 냉장고
KR102214524B1 (ko)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이중 도어 구조체
KR20220133422A (ko) 출입문에 설치되는 무인 택배함
KR20210077449A (ko) 스마트 도어 시스템
KR102503978B1 (ko) 빌트인 방식의 보안성이 강화된 택배함 제어방법
US11543801B2 (en) Access system for a structure
WO2023129470A1 (en) Demographic and identity verification for delivery restri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