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184A - Led를 이용한 액자 - Google Patents

Led를 이용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184A
KR20210078184A KR1020190169993A KR20190169993A KR20210078184A KR 20210078184 A KR20210078184 A KR 20210078184A KR 1020190169993 A KR1020190169993 A KR 1020190169993A KR 20190169993 A KR20190169993 A KR 20190169993A KR 20210078184 A KR20210078184 A KR 20210078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ame
picture
led
transmit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균
Original Assignee
임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균 filed Critical 임태균
Priority to KR1020190169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8184A/ko
Publication of KR2021007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에서 방출되는 조명광를 이용하여 그림 및 액자 주변을 조명함으로써,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종래 액자형 조명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설치 가능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조명이 켜졌을 때 그림이 나타나도록 하고, 조명을 껐을 때 거울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하프미러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각각 이미지시트를 배치하여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전방 측에 배치된 이미지시트의 이미지만 표출되고,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는 두 이미지시트의 이미지가 중첩된 새로운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하여 조명 여부에 따라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LED를 이용한 액자{Picture frame using LED}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에서 방출되는 조명광를 이용하여 그림 및 액자 주변을 조명함으로써,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액자라 함은 주로 인테리어 소품용이나 광고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액자 내부에 설치된 이미지 시트의 후방에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시트에 인쇄된 이미지가 액자의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명액자는 시각적으로 표출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와 상기 이미지 시트를 조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크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액자의 경우 인쇄된 이미지의 한계상 항상 정지된 이미지만을 제공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시각적 효과가 단조로워서 관람자의 주목을 끌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인테리어 소품이나 광고판 등으로 사용되는 제품의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LCD나 PDP와 같은 전자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에서 표출되는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화시키거나 동적인 이미지를 구현하는 전자액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액자들의 경우 이미지가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화면에 표출되는 이미지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종래의 조명액자와 대비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수요자들이 간단한 인테리어 소품으로 구매하기 곤란한 문제점과 아날로그 감성을 추구하는 구매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770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7099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219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액자형 조명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설치 가능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조명이 켜졌을 때 그림이 나타나도록 하고, 조명을 껐을 때 거울로 활용할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프미러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각각 이미지시트를 배치하여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전방 측에 배치된 이미지시트의 이미지만 표출되고,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는 두 이미지시트의 이미지가 중첩되면서 새로운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하여 조명 여부에 따라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액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모듈과;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투광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부 내측의 상기 제1투광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고,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가 인쇄된 메인이미지시트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에 배치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게 형성된 제2투광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에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상기 메인이미지시트와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하프 미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인이미지시트에 인쇄된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와 함께 또 다른 그림 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표출될 수 있도록 보조 그림 또는 보조 문양 또는 보조 문구가 인쇄된 보조이미지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LED모듈을 점등시키고,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설정된 기준거리값보다 작으면서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LED모듈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상기 LED모듈에서 상기 프레임부 내부로 방출되는 빛을 받아 상기 프레임부 주변으로 전달하여 상기 프레임부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상기 조명부는 상기 LED모듈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LED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속하는 집속렌즈와, 상기 집속렌즈의 입사면과 대향되는 출사면 측에 구비된 광결합부와, 일 측이 상기 광결합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 주변으로 광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복수의 광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종래 액자형 조명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설치 가능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조명이 켜졌을 때 그림이 나타나도록 하고, 조명을 껐을 때 거울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하프미러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각각 이미지시트를 배치하여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전방 측에 배치된 이미지시트의 이미지만 표출되고,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는 두 이미지시트의 이미지가 중첩된 새로운 이미지가 표출되도록 하여 조명 여부에 따라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프레임부(10)와, LED모듈(20)과, 제1투광플레이트(30)와, 메인이미지시트(40)와, 제2투광플레이트(50)와, 자석부재를 구비한다.
프레임부(10)는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 결합되는 제1수직판(12) 및 제2수직판(13)과,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13)의 상단에 수평으로 배치 결합되는 상판(14)과, 바닥판(11)과 제1수직판(12) 및 제2수직판(13)과 상판(14)의 후단 측에 결합되는 후면커버(15)를 포함하며,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된다.
프레임부(10) 내측에는 프레임부(10) 전면 측의 개구부로부터 프레임부(10) 후면 측의 후면커버(15)를 향해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1투광플레이트(30)가 프레임부(10)의 후면커버(15) 측으로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더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다. 스토퍼(16)는 바닥판(11)과 제1수직판(12)의 경계, 바닥판(11)과 제2수직판(13)의 경계, 상판(14)과 제1수직판(12)의 경계, 상판(14)과 제2수직판(13)의 경계 지점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1)과 상판(14)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13)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으며, 바닥판(11)과 상판(14), 제1수직판(12)과 제2수직판(13)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부(10) 내측에는 LED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0), LED모듈(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드라이버 및 배터리(110) 및 구동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00)이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부(10)의 어느 일 측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LED모듈(20)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19)가 더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부(10)의 일 측에는 외부전원을 배터리(110)에 충전하거나 직접 LED모듈(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인터페이스(120)가 더 구비된다. 접속인터페이스(120)는 UBS접속단자 또는 5핀 접속단자, 8핀 접속단자 등 다양한 방식의 접속단자를 적용할 수 있다.
LED모듈(20)은 프레임부(10)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프레임부(10) 내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기판(21)과, 기판(21)상에 각각 실장되고 기판(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LED칩(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모듈(20)은 후술하는 제어모듈(100)에 접속되어 제어모듈(1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제1투광플레이트(30)는 프레임부(10)의 내측에 끼울 수 있게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 두께를 가지며,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1투광플레이트(30)는 투명 아크릴 또는 반투명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투광플레이트(30)는 프레임부(10) 내측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프레임부(10)의 수용공간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메인이미지시트(40)는 프레임부(10) 내측의 제1투광플레이트(30)의 전면에 밀착 배치되거나 전방에 배치되고, 얇은 두께를 가지며, 표면에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가 인쇄된다. 메인이미지시트(40)는 투명 소재 또는 백색 반투명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빛이 일정 부분 투과할 수 있는 백색 종이나, 백색의 섬유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투광플레이트(50)는 프레임부(10)의 전면 측에 배치 및 결합되고,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갖고,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다. 제2투광플레이트(50)는 투명 아크릴 또는 반투명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투광플레이트(50)는 프레임부(10)의 전면 측 가장자리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자석부재는 프레임부(10)의 전면 측에 제2투광플레이트(5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프레임부(10)와 제2투광플레이트(50)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프레임부(10)의 전면 측 가장자리에 일 측이 매설되게 설치된 복수의 제1자석(61)과, 제1자석(61)이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제2투광플레이트(50)의 가장자리에 일 측이 매설되게 설치된 복수의 제2자석(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프레임부(10)와, LED모듈(20)과, 제1투광플레이트(30)와, 메인이미지시트(40)와, 하프미러(70)와, 제2투광플레이트(50)와, 자석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하프미러(7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하프미러(70)는 메인이미지시트(40)와 제2투광플레이트(50) 사이에 개재된다. 하프미러(70)는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킨다.
프레임부(10) 내측의 LED모듈(20)이 꺼진 상태에서는 프레임부(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전달되는 빛은 거의 없는 상태이고, 프레임부(10) 외부에서 프레임부(10) 내측으로 진행하는 빛은 하프미러(70)에 의해 일부가 반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하프미러(70)를 통과하여 메인이미지시트(40) 전면에 도달한다. 메인이미지시트(40) 전면에 도달한 빛의 일부는 메인이미지시트(40) 표면에서 반사되어 하프미러(70)를 통과하게 되는데, 메인이미지시트(40)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일부가 다시 메인이미지시트(40) 측으로 반사되므로 하프미러(70)를 통과하는 빛은 거의 없다. 즉, 프레임부(10) 외부의 빛이 메인이미지시트(40)에 의해 프레임부(10) 외측으로 반사되는 빛이 거의 없다. 따라서, 제2투광플레이트(50) 외부에서는 메인이미지시트(40)의 메인이미지는 볼 수 없다.
반면, 프레임부(10) 내측의 LED모듈(20)에 켜진 상태에서는 LED모듈(20)에서 방출된 빛이 제1투광플레이트(30) 및 메인이미지시트(40)를 통과하며, 메인이미지시트(40)를 통과한 빛의 일부는 하프미러(70)에 의해 다시 메인이미지시트(40) 측으로 반사되고, 나머지 일부는 하프미러(70) 및 제2투광플레이트(50)를 통과하여 프레임부(10) 외부로 진행한다. 따라서, 제2투광플레이트(50) 외부에서는 메인이미지시트(40)의 메인이미지를 볼 수 있으며, LED모듈(20)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가 강할수록 또는 하프미러(70)의 투과율/반사율이 커질수록 메인이미지를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하프미러(70)와 제2투광플레이트(50) 사이에 보조이미지시트가 더 개재될 수 있다.
보조이미지시트는 메인이미지시트(40)와 같이 얇은 두께를 가지며, 투명 소재 또는 백색 반투명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빛이 일정 부분 투과할 수 있는 백색 종이나, 백색의 섬유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이미지시트에는 메인이미지시트(40)에 인쇄된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와 함께 또 다른 그림 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표출될 수 있도록 보조 그림 또는 보조 문양 또는 보조 문구가 인쇄된다.
이 경우, 프레임부(10) 내측의 LED모듈(20)이 꺼진 상태에서 프레임부(10) 외부에서는 보조이미지시트의 보조 그림 또는 보조 문양 또는 보조 문구만 볼 수 있고, 프레임부(10) 내측의 LED모듈(20)이 켜진 상태에서는 메인이미지시트(40)의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가 보조이미지시트의 보조 그림 또는 보조 문양 또는 보조 문구가 중첩되거나 연계하거나 관계하여 형성되는 또 다른 새로운 그림 또는 문양 또는 문구를 볼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프레임부(10)와, LED모듈(20)과, 제1투광플레이트(30)와, 메인이미지시트(40)와, 하프미러(70)와, 제2투광플레이트(50)와, 자석부재와, 조도센서(80)와, 거리센서(9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조도센서(80)와, 거리센서(9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조도센서(80)는 프레임부(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프레임부(1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조도센서(80)에서 측정된 조도정보는 제어모듈(100)에 즉시 송출된다.
거리센서(90)는 프레임부(10)의 전면 가장자리 측에 설치되어 프레임부(10) 및 제2투광플레이트(50)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실시간 측정한다. 거리센서(90)에서 측정된 거리정보는 제어모듈(100)에 즉시 송출된다.
제어모듈(100)은 조도센서(80)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보다 높으면 LED모듈(20)을 자동 소등시키고, 조도센서(80)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보다 낮으면 LED모듈(20)을 자동 점등시킨다. 여기서, 기준조도값은 늦은 오후 또는 저녁 시간대의 일반적인 가정 또는 회사 내의 조도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모듈(100)은 거리센서(9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설정된 기준거리값보다 작으면서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조도센서(80)에서 측정된 조도값에 관계없이 LED모듈(20)을 소등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프레임부(10) 전방 측에서 일정 시간동안 머물는 경우 사용자가 하프미러(70)를 통해 자신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거리센서(90)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설정된 기준거리값보다 작지만 설정된 기준시간 미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프레임부(10)와, LED모듈(20)과, 제1투광플레이트(30)와, 메인이미지시트(40)와, 하프미러(70)와, 제2투광플레이트(50)와, 자석부재와, 조명부(1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의 조명부(1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을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조명부(130)는 LED모듈(20)에서 프레임부(10) 내부로 방출되는 빛을 받아 프레임부(10) 주변으로 전달하여 프레임부(10) 주변을 조명하는 것으로서, 집속렌즈(131)와, 광결합부(132)와, 광전달부(133)를 구비한다.
집속렌즈(131)는 LED모듈(20)의 일 측 전방에 배치되어 LED모듈(20)에서 방출되는 빛을 집속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프레임부(10)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연장되어 있다.
광결합부(132)는 LED모듈(20)에서 방출되는 빛이 입사되는 집속렌즈(131)의 입사면과 대향되는 출사면 측에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집속렌즈(131)의 포커싱 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광결합부(132)는 광전달부(133) 즉, 복수의 광파이버로 구성된 광파이버 다발의 단부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게 통 구조로 형성된다.
광전달부(133)는 복수의 광파이버로 구성되며, 일 측이 광결합부(132)에 결합되고 타 측은 프레임부(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부(10)에는 광파이버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설치구멍이 형성된다.
광전달부(133)는 단부가 프레임부(10)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임부(10)의 상판(13), 제1수직판(12) 및 제2수직판(13)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전달부(133)는 프레임부(10)에 특정 패턴으로 배치되어 문구나 문양을 형상할 수 있고, 그 단부를 통해 방출되는 빛을 프레임부(10) 주변으로 전달하여 프레임부(10) 주변을 조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액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20 : LED모듈
30 : 제1투광플레이트
40 : 메인이미지시트
50 : 제2투광플레이트
61 : 제1자석
62 : 제2자석
70 : 하프미러
80 : 조도센서
90 : 거리센서
100 : 제어모듈
110 : 배터리
120 : 접속인터페이스
130 : 조명부
131 : 집속렌즈
132 : 광결합부
133 : 광전달부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형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내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LED모듈과;
    상기 프레임부 내부에 배치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게 형성된 제1투광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부 내측의 상기 제1투광플레이트의 전방에 배치되고,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가 인쇄된 메인이미지시트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에 배치되고, 빛이 투과할 수 있게 형성된 제2투광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측에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미지시트와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하프 미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액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 미러와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메인이미지시트에 인쇄된 메인 그림 또는 메인 문양 또는 메인 문구와 함께 또 다른 그림 또는 문양 또는 문구가 표출될 수 있도록 보조 그림 또는 보조 문양 또는 보조 문구가 인쇄된 보조이미지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액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부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제2투광플레이트 전방에 위치하는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LED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0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된 기준조도값보다 낮으면 상기 LED모듈을 점등시키고, 상기 거리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값이 설정된 기준거리값보다 작으면서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LED모듈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액자.
KR1020190169993A 2019-12-18 2019-12-18 Led를 이용한 액자 KR20210078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993A KR20210078184A (ko) 2019-12-18 2019-12-18 Led를 이용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993A KR20210078184A (ko) 2019-12-18 2019-12-18 Led를 이용한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184A true KR20210078184A (ko) 2021-06-28

Family

ID=7660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993A KR20210078184A (ko) 2019-12-18 2019-12-18 Led를 이용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818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09B1 (ko) 2006-08-03 2007-11-21 (주)에스티와이드 엘이디 조명 액자
KR20160112199A (ko) 2015-03-18 2016-09-28 김태분 도광 방식을 갖는 led 조명 액자
KR101970991B1 (ko) 2016-11-25 2019-05-03 주식회사 솔루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액자형 광고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09B1 (ko) 2006-08-03 2007-11-21 (주)에스티와이드 엘이디 조명 액자
KR20160112199A (ko) 2015-03-18 2016-09-28 김태분 도광 방식을 갖는 led 조명 액자
KR101970991B1 (ko) 2016-11-25 2019-05-03 주식회사 솔루팜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액자형 광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5420B1 (en) Edge illuminated display device with light guiding member
JP3056133B2 (ja) 表示装置
CN101042499B (zh) 液晶显示装置和用在液晶显示装置中的背光单元
JP6435974B2 (ja) 表示装置及び遊技機
SE9703428L (sv) Reflekterande presentationsenhet med frontbelysning
KR101213464B1 (ko) 다면 입체영상 장치
ATE192275T1 (de) Stereoskopisches bildanzeigesystem
JP416407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光源ユニット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US7826007B2 (en) Ligh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1996976B1 (en) Camera illumination for an electronic magnifier
US4818980A (en) Operator control panel
KR20210078184A (ko) Led를 이용한 액자
KR940017820A (ko) 색 표시 장치
KR101116223B1 (ko) 광고물?광고영상?조명의 트레블이펙트(Treble Effect)를 통한 다이나믹 광고장치
KR20190071127A (ko) 이미지 가변형 led 조명액자
US10222650B2 (en) Side light-emitting type display device having frame member
JP4366682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5189722A (ja) 表示装置
US20010033480A1 (en) LCD illuminating device
JP4607630B2 (ja) 自動販売機用表示装置
JP2008268826A (ja) 導光板式図画表示装置
KR101024657B1 (ko) 화면 분할이 가능한 이중 표시 타입 디스플레이장치
KR100640692B1 (ko) 바닥 조명 광고장치
JPH10268297A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236571A1 (en)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