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844A - 표시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844A
KR20210077844A KR1020190168966A KR20190168966A KR20210077844A KR 20210077844 A KR20210077844 A KR 20210077844A KR 1020190168966 A KR1020190168966 A KR 1020190168966A KR 20190168966 A KR20190168966 A KR 20190168966A KR 20210077844 A KR20210077844 A KR 20210077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pening
disposed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준혁
최범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7844A/ko
Priority to CN202011421174.7A priority patent/CN112992979A/zh
Priority to US17/119,404 priority patent/US11737334B2/en
Publication of KR2021007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0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01L27/322
    • H01L27/3244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10K59/80515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1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 상기 발광 패턴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중첩하는 분할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 패턴, 및 상기 분할 개구부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표시 개구부와 비 중첩하고,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전극 개구부가 정의된다.

Description

표시 패널{DISPLAY PANEL}
본 발명은 표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사용시 외부광이 표시 장치 내로 제공되는 경우 제공된 외부광이 표시 패널 내의 전극 등에서 반사되어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제공되는 광에 의한 반사도를 저감시켜 표시 장치의 표시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외광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 상기 발광 패턴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중첩하는 분할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 패턴, 및 상기 분할 개구부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비 중첩하는 전극 개구부가 정의된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 패턴과 중첩하는 제1 부분, 상기 분할 패턴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3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개구부는,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발광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 패턴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어느 하나의 일부는,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전극 개구부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노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할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표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검정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을 커버하는 봉지 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 및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적색 안료 또는 염료, 및 녹색 안료 또는 염료, 고분자 감광성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발광 패턴들의 면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 상기 발광 패턴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중첩하는 분할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 패턴, 및 상기 분할 개구부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 패턴과 중첩하는 제1 부분, 상기 분할 패턴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비 중첩하는 전극 개구부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개구부는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3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발광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 패턴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어느 하나의 일부는,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전극 개구부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노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분할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표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은 검정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적색 안료 또는 염료, 및 녹색 안료 또는 염료, 고분자 감광성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포함된 전극 중 광을 생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발광 영역들로 입사된 광에 의해 전극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일 영역을 확대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의 일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a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일 영역을 확대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 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S)는 표시면(IS)을 통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면(IS)이 제1 방향축(DR1) 및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S)의 표시면(IS)은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S)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 각각 이 지시하는 방향으로써 정의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에서 표시 장치(DS)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표시 장치(DS)는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스마트폰, 태블릿, 및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표시면(IS)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발광 영역(NDA)을 포함한다. 비발광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에는 영상(IM)의 일 예로 시계창 및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을 따라 정의된 평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영역(DA)의 형상과 비발광 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S)의 전면에 비발광 영역(NDA)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표시 장치(DS)는 일 방향을 따라 폴딩(f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S)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폴딩 축(FX)을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폴딩될 수 있다. 도 1b에는 예시적으로 표시면(IS)이 마주하는 인-폴딩(in-folding)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S)는 표시면(IS)과 대향하는 표시 장치(DS)의 배면이 마주하는 인-폴딩(in-folding) 상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폴딩 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S)는 일 영역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며 벤딩(bending)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컬러필터 부재(CFP)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DS)는 이미지 생성을 위한 계조 표시층이 배치될 수 있다. 계조 표시층은 표시 패널(DP)의 종류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전기영동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베이스층(BL) 상에 제공된 회로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E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층(BL), 회로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EL)은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표시 소자층(DP-OEL)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 베이스층(BL)은 유리기판, 금속기판, 플라스틱기판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층(BL)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유기층, 무기층, 또는 복합재료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층(DP-CL)은 베이스층(BL) 상에 배치되고, 회로층(DP-CL)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미도시)은 각각 제어 전극, 입력 전극, 및 출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층(DP-CL)은 후술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계조 표시층으로서의 표시 패널(DP)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 소자층(DP-OEL)은 회로층(DP-CL)과 연결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됨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를 차단할 수 있는 바,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DS)를 제공할 수 있다.
컬러필터 부재(CF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다. 컬러필터 부재(CFP)는 표시 장치(DS)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광에 의한 반사를 최소화하는 반사 방지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필터 부재(CFP)는 외부광 중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컬러필터 부재(CF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어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감소시키면서 휘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일 영역을 확대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표시 장치의 일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a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은 베이스층(BL), 회로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EL)을 포함할 수 있다. 미 도시 되었으나, 표시 소자층(DP-OEL)에 포함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는 회로층(DP-CL)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 각각은, 각각은 제1 전극(EL1), 제1 전극(EL1) 상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HTR), 정공 수송층(HTR)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EML), 발광 패턴(EML) 상에 배치된 전자 수송층(ETR), 및 전자 수송층(ETR) 상에 배치된 제2 전극(EL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전극(EL1)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표시 개구부(D-OP)가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정의막(PDL)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정의막(PDL)은 고분자 수지 이외에 무기물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L1)은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EL1)은 표시 개구부(D-OP)에 의해 화소 정의막(PDL)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1 전극(EL1)은 회로층(DP-CL)에 정의된 컨택홀(미도시)를 통해 회로층(DP-CL)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표시 개구부(D-OP)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패턴(EM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물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유기 발광 물질 또는 무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 사이의 전위 차이에 응답하여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발광 패턴(EML) 상에 배치된다. 제2 전극(EL2)은 제1 전극(EL1)과 대향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에 공통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 각각에 배치된 각각의 발광 패턴(EML)는 제2 전극(EL2)을 통해 공통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투과형 도전 물질 또는 반 투과형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패턴(EML)에서 생성된 광은 제2 전극(EL2)을 통해 제3 방향(DR3)을 향해 용이하게 출사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은 설계에 따라, 제1 전극(EL1)이 투과형 또는 반 투과형 물질을 포함하는 배면 발광 방식으로 구동되거나, 전면과 배면 모두를 향해 발광하는 양면 발광 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 각각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발광 패턴(EML) 또한 복수로 제공되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제2 전극(EL2)은 회로층(DP-CL)의 전 면에 배치되는 일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 패턴으로 제공된 제2 전극(EL2)에 의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은 공통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은 제1 전극(EL1)과 제2 전극(EL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층(미도시)의 유무, 보조층(미도시)의 두께 및 보조층(미도시)의 개수는 방출하는 광의 파장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조층(미도시)은 각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에서의 공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유기층일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 상에는 봉지 부재(TFE)가 배치될 수 있으며, 봉지 부재(TFE)는 제2 전극(EL2)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봉지 부재(TFE)는 제2 전극(EL2)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봉지 부재(TFE)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들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 부재(TFE)는 복수의 무기층들 및 상기 무기층들로부터 밀봉된 유기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봉지 부재(TFE)는 박막 봉지층일 수 있다. 봉지 부재(TFE)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 및 산소로부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들(OEL) 보호한다.
표시 장치(DS)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컬러필터 부재(CFP)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 부재(CFP)는 복수의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을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은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은 서로 비 중첩 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은 서로 이격되고,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 각각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CCF1)는 청색광을 투과하는 청색 컬러 필터이고, 제2 컬러 필터(CCF2)는 녹색광을 투과하는 녹색 컬러 필터이며, 제3 컬러 필터(CCF3)는 적색광을 투과하는 적색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 각각은 고분자 감광수지와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CF1)는 청색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고, 제2 컬러 필터(CCF2)는 녹색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며, 제3 컬러 필터(CCF3)는 적색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컬러 필터(CCF3)는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CF1)는 고분자 감광수지를 포함하고 안료 또는 염료를 미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CF1)는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CF1)는 투명 감광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컬러필터 부재(CFP)는 분할 패턴(BW) 및 유기층(O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할 패턴(BW)은 봉지 부재(TFE) 상에 배치된다. 분할 패턴(BW)은 화소 정의막(PDL)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패턴(BW)은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표시 개구부(D-OP)와 비 중첩한다. 이에 따라, 분할 패턴(BW)은 발광 패턴(EML)과 비 중첩한다. 분할 패턴(BW)은 표시 개구부(D-OP)와 중첩하는 분할 개구부(BW-OP)가 정의된다.
분할 개구부(BW-OP)의 면적은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에서 생성된 광이 인접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혼색되지 않고 출광 될 수 있는 최대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상에서 분할 패턴(BW)이 배치된 영역은 비발광 영역(NPXA)으로 정의되고, 분할 개구부(BW-OP)와 대응되는 영역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에서 생성된 광이 제공되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로 정의될 수 있다.
분할 패턴(BW)은 블랙 색상을 갖는 패턴으로, 블랙 매트릭스일 수 있다. 분할 패턴(BW)은 블랙 성분(black coloring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성분은 블랙 염료,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랙 성분은 카본 블랙, 크롬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패턴(BW)에 형성되는 분할 개구부(BW-OP)는 분할 패턴(BW)의 광학 성질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가시광선의 전 파장대를 대부분 차단하는 분할 패턴(BW)에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대응하는 개구부(BW-OP)가 정의된다. 그러나, 특정 컬러광(예컨대, 적색광, 녹색광, 또는 청색광)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투과시키는 분할 패턴(BW)에는 더 적은 개수의 분할 개구부(BW-OP)가 정의될 수 있다.
유기층(OC)은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유기층(OC)은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의 요철을 감싸고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 부재(CFP)에서 유기층(OC)은 평탄화층일 수 있다. 유기층(OC)은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과 분할 패턴(BW) 사이를 충전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컬러필터 부재(CFP)의 상부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유기층(OC)은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을 보호하는 보호층일 수 있다. 유기층(OC)은 투명한 것일 수 있다. 유기층(OC)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유기층(OC)은 고분자 수지 이외에 기능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층(OC)은 광흡수제, 산화 방지제 등의 기능성 물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기층(OC)은 산란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 패턴(BW)에 정의된 분할 개구부(BW-OP)의 면적에 따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에서 제공된 광의 출사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에서 제공된 광이, 분할 패턴(BW)과의 간섭이 최소화 될수록 발광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표시 개구부(D-OP)의 면적보다, 분할 개구부(BW-OP)의 면적이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제2 전극(EL2) 중 발광 패턴(EML)과 비 중첩하는 제2 전극(EL2)은 외부 광을 반사 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는 컬러필터 부재(CFP)에 포함된 분할 패턴(BW)과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및 비발광 영역(NPXA)의 관계를 도시하였다. 분할 패턴(BW)이 배치된 영역은 비발광 영역(NPXA)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분할 패턴(BW)에 정의된 분할 개구부(BW-OP)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전극(EL2)은, (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부분 중 발광 패턴(EML)과 비 중첩하는 부분이 패터닝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EL2)은 표시 분할 개구부(BW-OP)와 중첩하고 표시 개구부(D-OP)와 비 중첩하는 전극 개구부(EL2-OP)을 포함한다. 전극 개구부(EL2-OP)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EL2)은 평면상에서 분할 패턴(BW)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고, 발광 패턴(EML)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영역, 즉 분할 개구부(BW-OP)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전자 수송층(ETR)의 일부는 전극 개구부(EL2-OP)에 의해 제2 전극(EL2)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영역, 즉 분할 개구부(BW-OP)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정공 수송층(HTR), 화소 정의막(PDL) 중 어느 하나의 일부는, 상부에 배치된 구성들이 생략됨에 따라, 전극 개구부(EL2-OP)에 의해 제2 전극(EL2)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평면상에서 제2 전극(EL2)과 중첩하는 영역들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EL2)은 제1 부분(CE-P), 제2 부분(CE-W) 및 제3 부분(CE-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CE-P), 제2 부분(CE-W) 및 제3 부분(CE-C)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제2 전극(EL2) 형성하는 구성들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 부분(CE-P)은 발광 패턴(EML)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전극(EL2)의 제1 부분(CE-P)은 대응되는 제1 전극(EL1)과 함께 발광 패턴(EML)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으로써, 광의 생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CE-P)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CE-W)은 분할 패턴(BW)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전극(EL2)의 제2 부분(CE-W)은 제2 전극(EL2)이 회로층(CL)의 전 면에 형성됨에 따라 인접한 분할 패턴(BW)이 배치되는 비발광 영역(NPXA)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부분(CE-C)은 제1 부분(CE-P)에서 제2 부분(CE-W)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제1 부분(CE-P)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비발광 영역(NPXA)과 중첩하는 제2 부분(CE-W)과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제1 부분(CE-P)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CE-P)의 면적은 제3 부분(CE-C)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전극 개구부(EL2-OP)는 제2 전극(EL2) 중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에 배치된 제1 부분(CE-P) 및 제3 부분(CE-C)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과 중첩하는 제2 전극(EL2) 중 광을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으로 입사된 광이 불필요한 제2 전극(EL2)으로부터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인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일 영역을 확대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EL2-1)은 제1 부분(CE-P1), 제2 부분(CE-W1) 및 제3 부분(CE-C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CE-P1)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CE-W1)은 비발광 영역(NPXA)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부분(CE-C1)은 제1 부분(CE-P1)에서 제2 부분(CE-W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부분(CE-C1)은 하나의 발광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부분(CE-C1)은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C1, C2, C3, C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C1, C2, C3, C4) 각각은 하나의 발광 영역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C1, C2, C3, C4) 각각은 제1 부분(CE-P1)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제2 부분(CE-W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부분(CE-C1)이 복수 개로 제공됨에 따라, 전극 개구부(EL2-OP) 또한 이에 대응되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발광 영역 내에서 복수의 전극 개구부들(EL2-OP)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부분(CE-C1)이 복수의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C1, C2, C3, C4)을 포함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1 내지 제4 연결부들(C1, C2, C3, C4)이 제1 부분(CE-P1)과 단선되더라도, 나머지 연결부들이 제1 부분(CE-P1)과 제2 부분(CE-W1)을 연결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 도 5 참조)를 구동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EL2-2)은 제1 부분(CE-P2), 제2 부분(CE-W2) 및 제3 부분(CE-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CE-P2)은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CE-W2)은 비발광 영역(NPXA)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부분(CE-C2)은 제1 부분(CE-P2)에서 제2 부분(CE-W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부분(CE-C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부분(CE-P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연결부들(C1, C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부분(CE-P2)과 제2 부분(CE-W2)을 연결하는 것이면, 제3 부분(CE-C2)의 형상 및 개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CE-P2)의 제1 방향(DR1)에서의 면적과 제2 방향(DR2)에서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CE-P2)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에 따라 분할 개구부(BW-OP)에 대응되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의 면적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표시 개구부(D-OP)의 면적 및 제1 부분(CE-P2)의 면적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분할 개구부(BW-OP)에 대응되는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은 펜타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펜타일 구조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진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이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EL2-3) 중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에 배치된 제2 전극(EL2-3)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 개구부(BW-OP) 및 표시 개구부(D-OP)의 면적 또한, 발광 영역들(PXA-R, PXA-G, PXA-B) 마다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A)는 베이스층(BL), 회로층(DP-CL), 표시 소자층(DP-OEL), 감지 센서(TSU), 및 컬러필터 부재(CF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감지 센서(TSU)는 표시 소자층(DP-OEL)과 컬러필터 부재(CF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감지 센서(TSU)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표시 장치(DS)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표시 장치(DS)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 센서(TSU)는 복수의 절연층들 및 절연층들 사이에 배치된 도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들은 유기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도전층들은 예를 들어, 자기 정전 용량식(self-capacitance type) 또는 상호 정전 용량식(mutual capacitance type)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전층들은 방식에 부합하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배치 및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입력을 감지 할 수 있으면,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S-B)는 베이스층(BL), 회로층(DP-CL), 표시 소자층(DP-OEL), 및 컬러필터 부재(CF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PDL-B)은 검정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B)은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검정색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검정색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화소 정의막(PDL-B)은 블랙-화소정의막을 구현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B) 형성 시 검정색 안료 또는 염료로는 카본 블랙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의 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는 제1 전극(EL1), 제1 전극(EL1) 상에 배치된 정공 수송층(HTR), 정공 수송층(HTR)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EML), 발광 패턴(EML) 상에 배치된 전자 수송층(ETR), 및 전자 수송층(ETR) 상에 배치된 제2 전극(EL2)을 포함하며, 정공 수송층(HTR)은 정공 주입층(HIL) 및 정공 수송층(HTL)을 포함하고, 전자 수송층(ETR)은 전자 주입층(EIL) 및 전자 수송층(ELR)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를 구성하는 제1 전극(EL1)은 도전성을 갖는다. 제1 전극(EL1)은 금속 합금 또는 도전성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L1)은 애노드(anode)일 수 있다. 제1 전극(EL1)은 화소 전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OEL)에서 제1 전극(EL1)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L1)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 등일 수 있다. 제1 전극(EL1)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1 전극(EL1)은 Ag, Mg, Cu,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예시된 물질로 형성된 반사막이나 반투과막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L1)은 다층 금속막일 수 있으며 ITO/Ag/ITO의 금속막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정공 수송층(HTR)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공 수송층(HTR)은,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들의 구조를 갖거나, 제1 전극(EL1)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된 정공 주입층(HIL)/정공 수송층(HTL), 정공 주입층(HIL)/정공 수송층(HTL)/버퍼층(미도시), 정공 주입층(HIL)/버퍼층(미도시), 정공 수송층(HTL)/버퍼층(미도시) 또는 정공 주입층(HIL)/정공 수송층(HTL)/전자 저지층(미도시)들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공 수송층(HTR)은 정공 주입층(HIL) 및 정공 수송층(HTL)을 포함할 수 있고, 정공 주입층(HIL)과 정공 수송층(HTL)에는 각각 공지의 정공 주입 물질과 공지의 정공 수송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정공 수송층(HTR)은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개구부(OH) 내에서 제1 전극(EL1) 상에 배치되고 화소 정의막(PDL) 상부로 연장되어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공 수송층(HTR)은 개구부(OH) 내부에 배치되도록 패터닝되는 것일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정공 수송층(HTR) 상에 제공된다. 발광 패턴(EML)은 단일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 패턴(EML)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광 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패턴(EML)은 호스트 및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패턴(EML)은 화소 정의막(PDL)에 정의된 표시 개구부(D-OP)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층(ETR)은 발광 패턴(EML) 상에 제공된다. 전자 수송층(ETR)은, 정공 저지층(미도시), 전자 수송층(ELR) 및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수송층(ETR)이 전자 주입층(EIL) 및 전자 수송층(ELR)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주입층(EIL) 및 전자 수송층(ELR)에는 각각 공지의 전자 주입 물질과 공지의 전자 수송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전자 수송층(ETR) 상에 제공된다. 제2 전극(EL2)은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일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금속 합금 또는 도전성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투과형 전극,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EL2)이 투과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EL2)은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EL2)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EL2)은 Ag, Mg, Cu,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예시된 물질로 형성된 반사막이나 반투과막 및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전극(EL2)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을 포함할 경우에도, 발광 영역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광을 생성하기 위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제거됨에 따라, 외부 광에 의한 외광 반사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5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표시 장치(DS)에 포함된 컬러필터 부재(CFP)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컬러필터 부재(CFP)는 복수의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을 포함하며, 복수의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 중 적어도 하나는 산란제(S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CCF2)와 제3 컬러 필터(CCF3)는 산란제(SP)를 포함하고, 제1 컬러 필터(CCF1)는 산란제(SP)를 미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제3 컬러 필터(CCF3)는 산란제(SP)를 포함하고, 제1 컬러 필터(CCF1)와 제2 컬러 필터(CCF2)는 산란제(SP)를 미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컬러 필터들(CCF1, CCF2, CCF3)은 고분자 감광수지로 형성된 매트릭스부(MR)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산란제(SP)는 매트릭스부(MR)에 분산된 것일 수 있다. 매트릭스부(MR)는 고분자 감광수지 이외에 안료 또는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컬러 필터(CCF2)와 제3 컬러 필터(CCF3)의 매트릭스부(MR)는 안료 또는 염료를 더 포함하고, 제1 컬러 필터(CCF1)는 고분자 감광수지를 포함하고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 컬러 필터(CCF1)는 고분자 감광수지 및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한 매트릭스부(MR)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산란제(SP)는 TiO2, ZnO, Al2O3, SiO2, 중공 실리카, 폴리스티렌 입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산란제(SP)는 TiO2, ZnO, Al2O3, SiO2, 중공 실리카, 및 폴리스티렌 입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TiO2, ZnO, Al2O3, SiO2, 중공 실리카, 및 폴리스티렌 수지로 형성된 폴리스티렌 입자 중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물질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컬러필터 부재(CFP)는 산란제(SP)로 TiO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산란제(SP)는 구형의 입자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란제(SP)는 타원구형이거나, 무정형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S: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CFP: 컬러필터 부재
CCF1, CCF2, CCF3: 컬러 필터들
SP: 산란제
OC: 유기층
EL2: 제2 전극
CE-P: 제1 부분
CE-W: 제2 부분
CE-C: 제3 부분
BW-OP: 분할 개구부
D-OP: 표시 개구부
EL2-OP: 전극 개구부

Claims (24)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
    상기 발광 패턴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중첩하는 분할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 패턴; 및
    상기 분할 개구부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비 중첩하는 전극 개구부가 정의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 패턴과 중첩하는 제1 부분, 상기 분할 패턴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3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개구부는,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발광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 패턴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어느 하나의 일부는,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전극 개구부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노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표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정의막은 검정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정의막과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을 커버하는 봉지 부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부재 및 상기 컬러 필터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적색 안료 또는 염료, 및 녹색 안료 또는 염료, 고분자 감광성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패턴은 복수로 제공되고,
    상기 발광 패턴들의 면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을 노출하는 표시 개구부가 정의된 화소 정의막;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발광 패턴;
    상기 발광 패턴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중첩하는 분할 개구부가 정의된 분할 패턴; 및
    상기 분할 개구부에 배치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발광 패턴과 중첩하는 제1 부분, 상기 분할 패턴과 중첩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고, 상기 표시 개구부와 비 중첩하는 전극 개구부가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개구부는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3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발광 패턴 사이에 배치되는 정공 수송층 및 상기 발광 패턴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수송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어느 하나의 일부는,
    상기 분할 개구부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상기 전극 개구부에 의해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노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표시 개구부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정의막은 검정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는 적색 안료 또는 염료, 및 녹색 안료 또는 염료, 고분자 감광성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168966A 2019-12-17 2019-12-17 표시 패널 KR20210077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66A KR20210077844A (ko) 2019-12-17 2019-12-17 표시 패널
CN202011421174.7A CN112992979A (zh) 2019-12-17 2020-12-08 显示设备
US17/119,404 US11737334B2 (en) 2019-12-17 2020-12-11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66A KR20210077844A (ko) 2019-12-17 2019-12-17 표시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844A true KR20210077844A (ko) 2021-06-28

Family

ID=7631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66A KR20210077844A (ko) 2019-12-17 2019-12-17 표시 패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37334B2 (ko)
KR (1) KR20210077844A (ko)
CN (1) CN112992979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679B1 (ko) 2005-12-27 2013-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23727B1 (ko) 2012-03-29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134681B (zh) 2014-06-17 2018-0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掩膜板
CN106158909B (zh) * 2015-04-28 2019-04-26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453420B1 (ko) 2015-04-30 2022-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6853B1 (ko) 2015-10-30 2024-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91493B1 (ko) 2016-08-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78669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515812B1 (ko) * 2018-03-20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변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6941B1 (ko) * 2018-05-31 2023-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51221B1 (ko) * 2018-09-03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49929A (ko) * 2018-10-29 2020-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83955A1 (en) 2021-06-17
CN112992979A (zh) 2021-06-18
US11737334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299B1 (ko)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CN108987451B (zh)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和显示装置
KR102539196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1029382A (zh) 显示面板、多区域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201624792A (zh) 包含灰色濾光器的顯示器
US10971557B2 (en) Display device having color filter with scattering agent
US20220085114A1 (en) Color transformation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KR10255387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630727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EP3800667A1 (en) Display device
US20220121301A1 (en) Display device
KR20220110409A (ko) 표시 장치
WO2018188354A1 (zh) 光源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8689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103590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069748A1 (en) Display device
KR10211500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882725B2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77844A (ko) 표시 패널
KR20210028803A (ko) 표시 장치
US20230284486A1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12798A1 (en) Display device
US20240188325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152184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23006063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