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207A -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207A
KR20210077207A KR1020190168593A KR20190168593A KR20210077207A KR 20210077207 A KR20210077207 A KR 20210077207A KR 1020190168593 A KR1020190168593 A KR 1020190168593A KR 20190168593 A KR20190168593 A KR 20190168593A KR 20210077207 A KR20210077207 A KR 20210077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user
information
destin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698B1 (ko
Inventor
강봉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68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6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을 포함하는 이용자 취향 정보를 입력받아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사실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후 떠나기 전까지 머무르는 체류 시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체류 시간 데이터를 연동하고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과 관련된 이용자 취향 정보를 연계하여 상관성을 분석하고,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취향 정보와 위치 데이터의 상관성 및 특정 여행지의 평균 체류 시간과 이용자 취향 정보별 체류 시간을 비교하여 이용자 취향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포함하는 가공된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Method for providing travel contents including weighted preference based on user stay}
본 발명은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용자 체류 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용자 취향별 선호도와 관련된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여행은 일상에 변화를 주면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유년층과 젊은층에는 즐거움과 성장의 기회를, 중장년층에는 낭만과 휴식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여행의 대중화 이전에는 결혼, 졸업, 퇴직 등 특별한 날에 이루어지는 이벤트 행사에 불과했으나 교통수단 및 교통망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확장에 힘입어 최근에는 여행의 일상화, 생활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행지의 다변화도 눈여겨볼 만하다. 종래 일반적인 관광지로는 명산이나 계곡, 바닷가 등의 자연경관이나, 사찰, 박물관, 기념관 등의 명승지가 주였던 반면, 최근에는 도시지역의 번화가나 옛 전통거리, 작은 시골마을이나 개발되지 않은 오지에도 여행자의 발걸음이 늘고 있다.
여행 목적에 있어서도 단순 방문 위주의 여행에서 구체적인 체험이나 휴식을 동반한 감성 여행, 힐링 여행, 교육 목적이나 테마 여행 등으로 다양하게 변하고 있고, 이러한 결과로서 여행자의 '사후 여행 활동'이 빈번하고 중요하게 되었다. 사후 여행 활동의 대표적인 예는 인터넷망을 통해 여행 사진, 영상, 소감 메시지 등의 기록물을 공유하는 것인데, 과거에는 잡지나 신문 등의 활자 매체를 통해 특정 작가의 체험을 담은 여행 기사나 정보를 접하는 정도에 불과하였으나 개인의 느낌과 개성이 중시되는 트렌드와 사진과 영상의 공유가 용이해진 SNS 환경 덕분에 누구나 여행 콘텐츠 제작자가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여행사나 관광지 운영회사, 숙박업소, 음식점 등은 이러한 여행객의 취향 변화와 여행 콘텐츠 확대에 따라 특정 주제에 관련되거나 시기별로 특화된 여행 상품을 개발하기도 하고 자연환경과 체험이 접목된 새로운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행 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자발적 여행 콘텐츠 제작자에게만 의존하지 않고 전문 블로거나 포털사이트를 이용하여 여행 정보를 적극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교통과 숙박 중심의 여행 상품 제공에서 여행 목적을 고려하여 계절별 추천 여행지 안내 등 다양한 정보 위주의 여행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여행 관련 서비스는 여행객의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도를 찾는 여행객들은 특정 관광지에 편중되지 않고 개성과 필요에 맞게 제주도 전체 지역을 고루 방문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타지역에도 동일한 경향이 우세한데 반하여, 실제로는 단순 관광지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있을 뿐이고 극히 예외적으로 여행 후 설문조사 형식의 피드백을 수집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여행객이 원하는 여행 정보가 모두 다르며, 여행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여행자 취향 및 객관적인 여행 사실에 대한 수준 높은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개별 여행자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사이버 매체가 증가하고 있지만, 인터넷 블로그나 SNS 등을 통해 공유되는 여행 정보는 특정 지역의 고통편, 가격 정보, 인근 음식점 등에 대한 개인적인 취향이나 느낌을 전달하는데 불과하고, 여행자 선호도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또한, SNS가 여행업 관련자나 특정 여행지의 이해관계인 등이 홍보 위주의 편향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방편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어 여행자들이 낯선 여행지에서 본인의 개성을 감안한 여행 계획을 수립하고 의미있는 여행을 즐기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종래에 여행 및 관관과 관련된 기술로서, 추천 여행코스를 제공하고 투어플랜을 생성하는 한편 가상현실 사전 체험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등록특허 10-1611438),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광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관광 안내 시스템이 제안된바 있고(등록특허 10-1272368), 지리정보시스템(GIS)과 멀티모달 내비게이션 시스템(Multi-modal Navigation System)을 기반으로 관광지에서 투어 가이드, 스토리텔링, 큐레이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천 관광지 정보와 여행상품의 일정표를 제작하여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여행자의 객관적인 상황 및 주관적인 기호를 반영하여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여행지 또는 관광명소를 운영하는 기관이나 단체에서 변화하는 여행객의 선호도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관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부족하다.
여행이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률적인 여행 정보의 제공에서 탈피하여 여행객의 나이, 성별, 여행목적, 여행시기 등에 달라지는 여행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 선호도 변화를 실시간 반영하여, 여행객에게 맞춤형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여행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여행 상품의 수준을 높이고 여행 업계의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행객에게 맞춤형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여행 서비스에 대한 선호도 분석과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행자의 객관적인 상황 및 주관적인 기호가 반영된 고객 친화적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여행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행지 또는 관광명소를 운영하는 기관이나 단체에서 변화하는 여행객의 선호도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관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행 분석 방법 및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GPS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부, 가중치 정보 생성부, 및 여행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여행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을 포함하는 이용자 취향 정보를 입력받아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여행지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사실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후 떠나기 전까지 머무르는 체류 시간 데이터를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수신하여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의 데이터 분석부는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체류 시간 데이터를 연동하고,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과 관련된 이용자 취향 정보를 연계하여 상관성을 분석하고, 상기 서버의 가중치 정보 생성부는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취향 정보와 위치 데이터의 상관성 및 특정 여행지의 평균 체류 시간과 이용자 취향 정보별 체류 시간을 비교하여 이용자 취향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포함하는 가공된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 및 가공된 여행 콘텐츠는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 데이터를 반영하여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서의 GPS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며, 상기 체류 시간 데이터를 여행지의 일 지점의 위치로부터 반경 100m ~ 1km 범위의 영역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로부터 전달되는 매출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중치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가중치 정보 생성부는 이용자 취향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이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특정 여행지의 체류 시간을 기초로 연령대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객의 나이, 성별, 여행목적, 동반자 유무, 날씨, 여행시기 등에 달라지는 선호도 변화를 여행 관련 콘텐츠에 실시간 반영할 수 있다. 특히 일부 블로거나 특정 여행지의 이해관계인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편향적인 정보에서 벗어나 여행자 각자가 본인의 취향에 맞는 여행 상품을 선택하거나 여행자 스스로 여행 계획을 수립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은 또한, 일률적인 여행 정보의 제공에서 탈피하여 여행자의 객관적인 상황 및 주관적인 기호를 반영할 수 있고, 여행지와 여행자의 상호 관계 분석에 기반하여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고객 친화적 관광 정보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지방자치단체나 공공 관광기관, 여행지 또는 관광명소를 운영하는 사설기관이나 단체 등에서 변화하는 여행객의 선호도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관광 정책을 수립 및 여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진보된 여행 플랫폼을 구축하여 관광산업의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여행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
도 3은 위치 데이터와 취향 정보 상관성을 기초로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특정 여행지에 대해 가중치가 적용된 예
도 5는 가중치 적용 콘텐츠의 검색 화면
도 6a 및 6b는 가중치 적용 여행 콘텐츠 화면의 예
도 7은 예시적인 데이터베이스 연결구조
본 발명은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을 제안하며, 위치 정보를 활용한 특정 장소 체류 시간에 따른 여행 상품 또는 여행 서비스 관련 선호도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관광지 추천 정보 등의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콘텐츠가 생성되고 공유되는 여행 정보 플랫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및 관련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여행자의 취향 정보나 여행자의 위치 정보에 관한 자료를 수신하고, 이러한 자료를 분석함에 있어서 상호 의존성 내지 상관성에 기초한 분석을 실시하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가중치를 부여한 가공된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 및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자료 수신 및 분석에 관한 방법과 필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데이터베이스간의 연결 구조, 및 분석 프로세스와 가중치 도출 방식 등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수신 및 분석, 가중치 정보 및 여행 콘텐츠 생성을 위한 하드웨어로서 컴퓨터 형태의 서버를 포함하는다. 도 1은 서버(100)의 시스템 구성을 보인 것으로, 서버는 GPS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데이터 수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데이터 분석부(130), 가중치 정보 생성부(140), 및 여행 콘텐츠 생성부(150)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부는 유무선 통신에 필요한 장치와 수신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 취향 정보나 여행지 관련 정보, 이용자의 위치 정보, 정보 분석에 따라 생성되는 가중치 및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및 여행 콘텐츠 관련 플랫폼을 공유하는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200)는 일종의 클라이언트 관계에 있으며, 여행 콘텐츠 플랫폼(160)은 서버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 형태의 플랫폼으로서 이용자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송신되는 취향 정보 및 서버에서 제공하는 여행 콘텐츠를 공유하는 장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은 여행객의 나이, 성별, 여행목적, 여행시기 등의 변화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이들 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여행 콘텐츠에 대해 선호도 변화를 실시간 반영한다. 또한, 여행지와 여행자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얻어지는 가중치 정보 역시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며, 이에 더하여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여행 관련 앱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여행자의 동선 정보, 선택하는 여행지의 위치 정보, 특정 여행지의 체류 시간 정보를 생성해내고, 이러한 정보들을 외부의 시스템에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활용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고 GPS 기능에 의해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개인용 휴대형 단말기가 포함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라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또한, 실시간 수신되는 이용자 정보로서 특정 여행지에서의 소비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이용자로부터 수신하지 않고 특정 여행지의 관련 기관의 매출액 정보로 대체하거나 연계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취향 정보나 위치 정보 등을 송신하는 이용자, 예를 들어 본인의 모바일 기기에 여행 관련 앱을 탑재하여 이용하는 여행자에게는 정보 전달의 동기 부여를 위한 혜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한 혜택으로는 사이버 머니 제공, 관광지 입장권 할인, 관광지 이용상품이나 숙박업소, 음식점 등의 할인쿠폰 제공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특정 장소 체류 시간에 따른 여행 서비스 내지 상품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2는 여행 콘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이다.
서버는 여행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고(단계 S110), 또한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을 포함하는 이용자 취향 정보를 입력받아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120). 여행지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이용자 취향 정보는 이용자의 플랫폼 접속이나 여행지 이동 간에 실시간으로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여행 콘텐츠 제공과 관련한 실질적인 프로세스로서, 상기 서버는 여행지와 관련하여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사실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후 떠나기 전까지 머무르는 체류 시간 데이터를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수신하고(단계 S130),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위치 데이터는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서의 GPS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며, 상기 체류 시간 데이터는 여행지의 일 지점의 위치로부터 반경 100m ~ 1km 범위의 영역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수신을 위한 반경의 기준은 여행지가 산이나 폭포, 오름 등의 자연적 요소, 박물관이나 기념관, 미술관 등의 건축적 요소, 테마파크나 관광단지 등의 복합적 요소 등을 판단하여 정해질 수 있다.
단계 S110 ~ 단계 S130의 프로세스는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지만, 이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여행 관련 앱에 접속한 상태로 서버와의 송수신을 통해 실질적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의 데이터 분석부는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체류 시간 데이터를 연동하고,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과 관련된 이용자 취향 정보를 연계하여 상관성을 분석한다(단계 S140).
상관성 분석은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여행 이동 동선 정보, 특정 여행지의 도착 여부, 해당 여행지의 체류 시간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동선 및 도착 여부, 체류 시간 정보는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정보(동반인 수, 동반인 관계 등), 여행 목적 등의 취향 정보와 연계하여 각각의 분석 결과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여행지 A에 대하여 특정 날짜에 (1일 동안) 도착한 이용자들의 체류 시간을 분석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행지 A의 경우 각 연령대별로 고르게 방문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방문객 수는 젊은층(20 ~ 30대)에서 선호하지만, 체류 시간은 높은 연령대(50 - 60대)에서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결과로부터 여행지 A는 젊은층의 체류 시간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을 세우거나 중장년층의 방문 선호도를 높이는 홍보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령대 방문객 수 체류 - 1시간 미만 체류 - 1 ~ 2시간 체류 - 2시간 이상
20대 300 152 102 46
30대 250 200 50 0
40대 200 45 106 50
50대 100 0 80 22
60대 이상 150 0 105 45
또한, 여행지에 대하여 동반인 여부를 확인하고, 동반인 관계에 따른 체류 시간을 확인하여 여행지 이용 행태를 분석해볼 수 있다. 표 2는 20대 연령층을 대상으로 여행지 B에 도착한 이용자에 대하여 동반인 관계에 따른 체류 시간 정보를 분석한 것이다. 연인이나 가족 동반 이용자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전체적으로 체류 시간이 높지 않아 단순히 거쳐가는 여행지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나홀로 여행객이나 단체 여행객들의 선호도를 높이고 장시간 머무를 수 있는 여행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등의 대안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동반인 관계 체류 - 1시간 미만 체류 - 1 ~ 2시간 체류 - 2시간 이상
싱글족 10 15 5
친구 20 46 10
연인 125 30 16
가족 130 20 12
동호회 등 30 30 0
한편, 복수의 여행지가 예를 들어, 반경 10km 이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각각의 여행지에 대한 선호도뿐만 아니라 여행지들의 상호 관련성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표 3은 특정 날짜에 여행지 세 곳의 방문 여부를 기초로 체류 시간은 제외하고 연령대별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중장년층에서 각 여행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젊은층은 여행지별 선호도가 고르게 분포한 반면 장년층으로 갈수록 여행지 A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여행지 A의 경우 무릎이나 허리가 불편한 분들을 위한 휴식 공간, 계단 설계 등을 고려해 볼 수 있고, 각 여행지를 순환하는 셔틀버스 등의 대책도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연령대 방문객 수 여행지 A 여행지 B 여행지 C
20대 90 25 35 30
30대 152 54 50 48
40대 158 35 63 50
50대 178 36 70 72
60대 이상 170 30 65 75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의 취향 정보별로 위치 정보, 체류 시간 정보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 각 여행지에 대한 비용 지출 분석을 부가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매출액 정보는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이용자 개개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여행지별로 매출액 정보를 이용자의 성별이나 연령대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각종 분석을 통해 블로그나 SNS를 통해 노출되는 여행자의 주관적 의견이 아닌 객관적 지표로 분석하여 여행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여행지의 매력 요소를 발굴하거나 검증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 데이터의 분석을 바탕으로, 상기 서버의 가중치 정보 생성부는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취향 정보와 위치 데이터의 상관성 및 특정 여행지의 평균 체류 시간과 이용자 취향 정보별 체류 시간을 비교하여 이용자 취향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50).
가중치 정보는 이용자 취향 정보별로 위치 데이터를 연계하는 한편, 이용자 취향 별로 체류 시간 정보를 연계하는 2단계의 과정을 거쳐 산출된다. 즉, 특정 연령대나 성별, 동반자 여부, 여행 목적 등에 대하여 특정 여행지 방문 여부를 1차적으로 판별하고(제1가중치 정보), 해당 여행지에 방문한 이용자들의 평균 체류 시간 대비 이용자 취향 정보별로 체류 시간을 비교하여 정성적으로 또는 정량적인 지표로 산출한다(제2가중치 정보). 제1가중치 정보와 제2가중치 정보를 연계하여 최종 가중치 정보를 산출함에 있어서, 여행지 성격에 따라 제1가중치와 제2가중치의 적용 비율을 달리할 수도 있다. 표 4는 특정 여행지 세 곳에 대하여 특정 날짜에 방문한 이용자의 취향 정보를 토대로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여행지 A의 경우, 젊은층에서 친구나 연인과 함께 힐링 여행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여행지 B는 가족 여행에 특히 선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여행지 C의 경우 워크셥이나 단합대회 등의 단체 여행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취향 정보 여행지 A 여행지 B 여행지 C
성별 여자
남자

연령대
20대 - 30대
40대 - 50대
60대 이상

동반인
여부
친구, 연인
가족
동호회, 기타
싱글

여행목적
힐링 여행
가족 여행
팀웍, 단합 여행
한편, 서버의 가중치 정보 생성부는 가중치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이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특정 여행지의 체류 시간을 기초로 각 연령대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다르게 생성하고,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이용자의 연령대별 가중치 정보를 별도로 생성하거나 특정 여행지에 대한 통합적인 가중치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최종 가중치 정보에는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로부터 전달되는 매출액 정보를 수신하여 가중치 정보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중치 정보는 이용자 취향에 기초할 뿐만 아니라 해당 여행지에서의 이용자 활동을 반영함으로써 여행지에서의 활동 만족도 및 여행지별 매출 증가 요인 분석에도 활용할 수 있다.
가중치 정보는 이용자의 여행지 이용 행태와 이용자의 취향 정보를 연계하여 수치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고, 취향별 가중치의 총합이 100을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위치 데이터와 취향 정보 상관성을 기초로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구조도로서, 총 4가지 취향 정보(성별, 연령대, 여행목적, 동행자 여부)에 대해 특정 여행지 A 를 방문하고 체류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가중치를 산출하였으며, 이러한 적용 방법에 따라 특정 여행지에 대해 가중치가 적용된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체류 시간으로 파악할 때 여성은 40% 남성은 60% 이고, 연령대는 40대의 체류 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휴양 목적의 방문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동반자는 부모님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가중치를 근거로 예를 들어 30대 남자가 부모님과 함께 휴향을 하고자 할 경우 여행지 A에 대한 추천지수는 예를 들어 200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포함하는 가공된 여행 콘텐츠를 생성하고, 전술한 여행 콘텐츠 플랫폼 등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160).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을 통해 개인별 성향, 동반인 여부, 방문 목적 등의 조건을 고려한 성향 분석이 가능함은 물론, 이용자들의 여행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정보 및 가공된 여행 콘텐츠는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 데이터를 반영하여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5는 가중치 적용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여행 콘텐츠의 검색 화면이며, 가중치 적용 여행 콘텐츠 화면은 예를 들어 지도상에 가중치가 높은 여행지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도 6a), 특정 지역에 이용자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 가중치가 높은 순으로 여행지에 대한 콘텐츠를 나열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도 6b).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여행지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광지를 추천하기 위해서는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 데이터를 기초로 가중치 정보에 대해 딥러닝을 수행하며, 여행지별 특정일에 대한 기본 가중치값이 결정된 후 이용자 선호도에 따라 체류 시간 변화 정보를 반영하여 가중치가 계속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확한 선호도가 반영된 가중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여행지 데이터베이스 는 공공 관광기관의 오픈 API정보 (관광지, 입장료, 사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신규 생성 여행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별도로 구축한다. 또한, 이용자 취향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을 통해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 이외에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오픈 IP를 통하여 회원정보, 여행 관련 취향 정보(여행 목적, 기간, 동행자 등)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용자 취향 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치 정보 및 체류 시간 데이터베이스, 가중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가공된 여행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간의 연동을 통한 분석 프로세스의 효율화도 매우 중요하다. 도 7은 데이터베이스의 예 및 데이터베이스간 상호 연결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은 관광 홍보물 위주의 정보 제공이 아닌 여행 정보를 포함한 각 분야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공유하는 소통의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차별성이 있다. 또한, 여행자의 목적, 구성원, 기간, 날씨, 지역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맞춤형 여행 추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용자의 취향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를 통해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스마트 관광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서버 시스템 110:데이터 수신부
120:데이터베이스 130:데이터 분석부
140:가중치 정보 생성부 150:여행 콘텐츠 생성부
160:여행 콘텐츠 플랫폼 200: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5)

  1. GPS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전자기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데이터 수신부,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분석부, 가중치 정보 생성부, 및 여행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여행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상기 서버는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을 포함하는 이용자 취향 정보를 입력받아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사실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특정 여행지에 도착한 후 떠나기 전까지 머무르는 체류 시간 데이터를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수신하여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3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의 데이터 분석부는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체류 시간 데이터를 연동하고, 이용자의 성별, 연령대, 여행 동반인, 여행 목적과 관련된 이용자 취향 정보를 연계하여 상관성을 분석하고,
    상기 서버의 가중치 정보 생성부는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취향 정보와 위치 데이터의 상관성 및 특정 여행지의 평균 체류 시간과 이용자 취향 정보별 체류 시간을 비교하여 이용자 취향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중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여행지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포함하는 가공된 여행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 및 가공된 여행 콘텐츠는 이용자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해 실시간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 및 체류 시간 데이터를 반영하여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에서의 GPS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며, 상기 체류 시간 데이터는 여행지의 일 지점의 위치로부터 반경 100m ~ 1km 범위의 영역 내에 머무르는 시간을 기초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등록된 특정 여행지로부터 전달되는 매출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중치 정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가중치 정보 생성부는 이용자 취향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이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특정 여행지의 체류 시간을 기초로 연령대에 따른 가중치 정보를 다르게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KR1020190168593A 2019-12-17 2019-12-17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KR10232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93A KR102321698B1 (ko) 2019-12-17 2019-12-17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593A KR102321698B1 (ko) 2019-12-17 2019-12-17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207A true KR20210077207A (ko) 2021-06-25
KR102321698B1 KR102321698B1 (ko) 2021-11-04

Family

ID=7662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593A KR102321698B1 (ko) 2019-12-17 2019-12-17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19B1 (ko) * 2023-02-28 2023-10-24 주식회사 엠와이알오 사용자가 선택한 poi에서의 적절한 체류시간을 추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15A (ko)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관광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45834A (ja) * 2010-01-13 2011-07-28 Nifty Corp 旅行情報提供装置
KR101212057B1 (ko) * 2012-04-09 2012-12-13 장준호 관광객의 관광행동패턴 예측모델을 이용한 관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20914A (ko) * 2014-08-14 2016-0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 및 기후 요소를 고려한 관광매력도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60128901A (ko) * 2015-04-29 2016-11-08 한국국토정보공사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관광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80278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알플레이 여행지에 따른 유저의 기호를 예측하여 여행 앨범을 제공하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15A (ko) * 2007-05-03 2009-0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관광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45834A (ja) * 2010-01-13 2011-07-28 Nifty Corp 旅行情報提供装置
KR101212057B1 (ko) * 2012-04-09 2012-12-13 장준호 관광객의 관광행동패턴 예측모델을 이용한 관광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020914A (ko) * 2014-08-14 2016-02-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상 및 기후 요소를 고려한 관광매력도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60128901A (ko) * 2015-04-29 2016-11-08 한국국토정보공사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관광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80278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알플레이 여행지에 따른 유저의 기호를 예측하여 여행 앨범을 제공하는 여행 앨범 제공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19B1 (ko) * 2023-02-28 2023-10-24 주식회사 엠와이알오 사용자가 선택한 poi에서의 적절한 체류시간을 추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698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össling et al. Global trends in length of stay: implications for destination management and climate change
Mandić et al. Progress on the role of ICTs in establishing destination appeal: Implications for smart tourism destination development
Khoshnevis Yazdi et al. Tourism demand: A panel data approach
Leung et al. The perceived destination image of Hong Kong on Ctrip. com
Su et al. Characterizing geographical preferences of international tourists and the local influential factors in China using geo-tagged photos on social media
Moscardo et al. Understanding vacation destination choice through travel motivation and activities
Pearce et al. Developing the travel career approach to tourist motivation
JP2003523565A (ja) クライアントの旅行者を地理的に関連するデータに接続するインターネットシステム
KR20120081436A (ko) 여행 일정 디자인 시스템
CN104756143A (zh) 获得事件评论
Kim et al. The role of destination’s built environment on nonmotorized travel behavior: A case of Long Beach, California
Kawanaka et al. Gamified participatory sensing in tourism: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n tourist behavior and satisfaction
Greene-Roesel et al. BART perks: using incentives to manage transit demand
Khoshnood et al. Designing a recommender system based on social network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Tan et al. Electronic-word-of-mouth performance in different psychological distances and familiarity
Halkiopoulos et al. Implementation of digital marketing techniques in smart tourism
Rahman et al. Analysing tourists' intention to revisit Islamic tourism destinations
KR102321698B1 (ko) 이용자 체류 시간 기반의 가중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콘텐츠 제공방법
Nasution et al. Smart Tourism Development Post Earthquake and Covid 19 Pandemic in West Nusa Tenggara
Chvanova et al. The essence and structure of smart technology in mobile education
KR20120046530A (ko) 의료관광 자동 패키지 판매시스템
Tang Exploring the potential of hub airports and airlines to convert stopover passengers into stayover visitors: Evidence from Singapore
El Maazouzi The impact of official tourism websites on the destination image: The case of Morocco
CN108717640A (zh) 旅游信息的数据处理方法和电子设备
JP2019121200A (ja) 旅行支援装置並びに旅行者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