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947A - 매립 클리트를 갖는 크램폰 - Google Patents

매립 클리트를 갖는 크램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947A
KR20210076947A KR1020217014322A KR20217014322A KR20210076947A KR 20210076947 A KR20210076947 A KR 20210076947A KR 1020217014322 A KR1020217014322 A KR 1020217014322A KR 20217014322 A KR20217014322 A KR 20217014322A KR 20210076947 A KR20210076947 A KR 20210076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rampon
cleat
harness
cramp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선 강
Original Assignee
힐사운드 이큅먼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힐사운드 이큅먼트 인크. filed Critical 힐사운드 이큅먼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76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1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cleats, ice-cree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20Heel-less 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8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glacier crampons, mountain climbing ir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크램폰(crampon)은 신발이나 부츠 등의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를 포함한다. 하네스는 크램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리벳을 사용하여 크램폰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하네스와 크램폰 베이스는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획정한다. 크램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클리트 베이스가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다.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가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된다.

Description

매립 클리트를 갖는 크램폰
본 개시는 크램폰(crampon) 및 크램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램폰은 사용자의 신발이나 부츠 위로 장착되고, 특히 빙판 또는 눈 덮인 지역에서 향상된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크램폰은 사용자의 신발류 아래에 장착하도록 된 베이스, 및 사용자의 신발류에 베이스를 부착하기 위한 스트랩과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트랙션 및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이스 하면에 클리트(cleat)가 제공된다.
크램폰은, 산에서 걸어다닐 때 눈과 얼음 위에서 걷는 어려움을 견디도록 설계된 등산용 크램폰부터 좀 더 도시적인 환경에서 트랙션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더 단순한 디바이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로 제공된다. 착용자에게 향상된 트랙션 및 그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크램폰에 대한 경쟁적인 욕구를 고려하면, 이러한 이점들 사이의 균형을 충족시키는 개선된 크램폰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남아 있다.
본 개시는 기존의 크램폰에 대한 개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 및 크램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크램폰 베이스와 함께 획정하는 하네스를 포함하는 크램폰이 제공된다. 크램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는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 클리트 베이스; 및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갖는다.
클리트 베이스는 십자형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는 한 쌍의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트 베이스는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파이크는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의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클리트 베이스는, 인접한 아암에 직각으로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네 개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파이크는 아암들 중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아암에 의해 획정된 선에 대해서 각을 이룰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는 아암들 중 대향하는 아암들의 단부들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스파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파이크는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선형 부분 및 선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만곡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 중 하나의 스파이크는 만곡 부분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클리트 베이스는 그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네스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크램폰 베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구는 하나 이상의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램폰 베이스는 각각 하네스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의 두께가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의 단부를 향해 증가될 수 있다.
크램폰은 하네스의 대향 측부들에 부착되고 신발류 물품 주위에 하네스를 조이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는 벨크로(Velcro®)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램폰 베이스는 신발류 물품의 밑창에 장착하도록 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heel)에 장착하도록 된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램폰 베이스는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다섯 개의 클리트,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네 개의 클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은 크램폰 베이스를 하네스에 부착하는 각각의 베이스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의 베이스 스트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이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의 베이스 스트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과 오버랩될 수 있다.
크램폰 베이스는 클리트 베이스 주위에 몰딩될 수 있다.
크램폰 베이스가 제1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하네스가 제1 탄성중합체와 상이한 제2 탄성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중합체는 제2 탄성중합체보다 내구성이 크거나 및/또는 가요성이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크램폰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각각 클리트 베이스 및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클리트를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가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되도록 하나 이상의 클리트 주위에 크램폰 베이스를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크램폰 베이스를 몰딩하는 단계는,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의 상부면 위에 상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을 배치하는 단계; 및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의 저부면에 대해 하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은 하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보다 더 경질일 수 있다.
방법은 크램폰 베이스에 하네스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네스와 크램폰 베이스는 부착된 경우,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획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가 제공된다. 크램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는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 클리트 베이스; 및 크램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갖는다. 크램폰 베이스는 신발류 물품의 밑창에 장착하도록 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heel)에 장착하도록 된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부품들의 키트가 제공된다. 부품들의 키트는, 하네스;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는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 클리트 베이스; 및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크램폰 베이스; 및 크램폰 베이스에 하네스를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구를 포함하며, 하네스와 크램폰 베이스는 서로 부착되는 경우,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획정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크램폰용 클리트가 제공된다. 클리트는, 중앙 부분 및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들을 갖는 클리트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스파이크는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아암에 의해 획정된 선에 대해 각을 이룬다.
이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크램폰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크램폰 베이스의 전방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크램폰 베이스의 후방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하네스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클리트들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 2 및 도 3의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의 저면도이다.
본 개시는 개선된 크램폰 및 이러한 크램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아래에 설명되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실시형태의 변형물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또는 "갖는"이라는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단어 "일" 또는 "하나"는 "한 개"를 의미할 수 있으나, 또한 내용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 "적어도 하나"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의미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다른"이라는 단어는 내용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적어도 두 번째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합된", "결합하는" 또는 "연결된"은 이러한 용어가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여러 상이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결합하는 또는 연결된이라는 용어는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암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합된, 결합하는 또는 연결된이라는 용어는, 특정 문맥에 따라, 두 개의 요소 또는 디바이스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전기적 요소, 전기적 신호 또는 기계적 요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 또는 디바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점을 나타낼 수 있다.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크램폰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 신발류 물품에 부착된 상태에서, 크램폰의 사용자가 이러한 용어를 해석하는 바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크램폰(100)이 도 1에 도시된다. 크램폰(100)은 일반적으로, 하네스(30)로 지칭될 수 있은 상측 부분에 연결된, 크램폰 베이스(10)로 지칭될 수 있은 하측 부분을 포함한다. 다수의 클리트(50)(도 1에 완전히 도시되지 않음)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크램폰 베이스(10) 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크램폰 베이스(10)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클리트(50)는 크램폰(100)의 사용자에게 개선된 트랙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눈과 얼음과 같은 고르지 않거나 미끄러운 표면 위에서 더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집합적으로, 크램폰 베이스(10)와 하네스(30)는 사용자가, 신발 또는 부츠 등의 신발류 물품을 삽입할 수 있은 공간 또는 부피를 획정한다. 그러면, 크램폰(100)은 하네스(30)의 좌측 측부(72)와 우측 측부(74) 사이에서 연장되는 고정 디바이스(70)에 의해 신발류 물품 주위에서 고정되거나 조여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고정 디바이스(70)는 벨크로(Velcro®) 스트랩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고정 디바이스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스트랩은 하네스(30)의 좌측 측부(72) 및 우측 측부(74) 각각에서 후크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교체될 수 있다. 후크는 크램폰(100) 내에 도입된 신발류 물품 주위에 하네스(30)를 조이기 위해 하네스(30)의 좌측 측부와 우측 측부(72, 74)를 서로 보다 근접시킴으로써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램폰 베이스(10)의 가요성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가요성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이 도시된다.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은 중앙 부분(16)을 포함하며, 이로부터 다수의 전방 베이스 스트랩(18)이 연장된다. 특히,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은 중앙 부분(16)의 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전방 베이스 스트랩(18a), 중앙 부분(16)의 좌측 및 우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 및 중앙 부분(16)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전방 베이스 스트랩(18c)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은 중앙 부분(20)을 포함하며, 다수의 후방 베이스 스트랩(22)이 이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은 중앙 부분(20)의 전방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베이스 스트랩(22a) 및 중앙 부분(20)의 후방의 각각의 코너로부터 연장되는 후방 베이스 스트랩(22b)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전방 및 후방 베이스 스트랩(18, 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은, 크램폰 베이스(10)가 단일의 일체형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은 바와 같이,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은 램프(ramp) 형상의 두꺼운 부분(19)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19)은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의 두께가 중앙 부분(16)으로부터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의 단부를 향해 증가하게 한다. 두꺼운 부분(19)은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의 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의 굴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내에 형성된 리세스(13)를 포함한다. 또한, 두꺼운 부분(19)은 사용자의 발로부터 부착 지점을 이격시킴으로써 전방 베이스 스트랩(18b)이 하네스(30)에 부착되는 지점과 사용자의 발 사이의 긴장(tension)을 완화시킨다.
각각의 전방 베이스 스트랩(18) 및 각각의 후방 베이스 스트랩(22)의 단부에는 구멍 또는 아일릿(eyelet)(24)이 위치한다. 작은 스터드(stud) 등의 그립(grip) 구조(11)는 중앙 부분(16) 및 중앙 부분(20) 각각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그립 구조(11)는 크램폰 베이스(10)와 크램폰(100) 내에 수용된 신발류 물품 사이에 증가된 마찰을 제공하여, 신발류 물품과 크램폰 베이스(10) 사이의 그립을 개선한다. 또한, 전방 베이스 스트랩(18a)들은 전방 베이스 스트랩(18a)들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 스트랩(2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발가락 상자(toe box) 구멍(28)이 크램폰(100) 내에 수용된 신발류 물품의 전방 또는 발가락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서 획정되게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하네스(30)의 평면도 및 저면도가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하네스(30)는 대체로 타원(oval) 형상의 구조체를 포함하며, 이의 주변부를 따라 다수의 구멍 또는 아일릿(32)이 형성된다. 하네스(30) 내의 아일릿(32)의 수는 크램폰 베이스(10) 내의 아일릿(24)의 수에 대응된다. 하네스(30)의 전방 주변부는 연속한 아일릿(32)들 사이에 오목한 에지를 포함한다. 하네스(30)의 좌측 측부(72) 및 우측 측부(74)에서, 하네스(30)는 고정 디바이스(70)의 벨크로(Velcro®) 스트랩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34)을 포함한다. 하네스(30)는 하네스(30)의 굴곡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네스(3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조를 더 포함한다. 특히, 하네스(30)는 하네스(30)의 상면 상에 다수의 오목한 영역(39)을 포함한다(도 4a). 하네스(30)의 하면에서(도 4b), 하네스(30)는 역시 하네스(30)의 굴곡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네스(3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그 내에 형성된 오목부의 벌집 구조체, 및 하네스(30)의 후방 부분 내에 형성된 구멍(37)을 포함한다. 하네스(30)의 굴곡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크램폰(100) 내에 사용자의 발을 삽입할 때 하네스(30)를 신장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크램폰(100)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클리트(50)의 상부측 및 저부측이 도시된다. 클리트(50)는, 중앙 허브(53), 제1 부재(52a), 및 제1 부재(52a)에 수직으로 배치된 제2 부재(52b)를 포함하는 대체로 십자형의 클리트 베이스(52)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직사각형 클리트 베이스와 대조적으로, 클리트 베이스(52)의 십자형은 사용자에게 개선된 안정성을 제공한다. 각각의 부재(52a, 52b)는 중앙 허브(5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선형 부분(54)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부재(52b)는 선형 부분(54)으로부터 연장되는 만곡 부분(55)을 포함한다. 각각의 만곡 부분(55)의 단부에서, 스파이크(56)가 제2 부재(52b)로부터 아래로 돌출된다. 특히, 만곡 부분(55)에 의한 각각의 제2 부재(52b)의 굴곡으로 인해, 각각의 스파이크(56)는 제1 부재(52a)에 의해 획정된 선(L)에 대해 소정 각도로 아래로 돌출된다. 각각의 스파이크(56)는 아래로 돌출되는 부분 및 이의 말단에 뾰족한 단부(57)를 포함한다. 클리트 베이스(52)는 그 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58)을 더 포함한다.
도 5b는 크램폰(1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은 대안적 또는 추가적 클리트(60)를 도시한다. 클리트(50)와 달리, 클리트(60)는 클리트 베이스(62)로부터 연장되는 세 개의 프롱(prong) 또는 스파이크(61)를 갖는다. 클리트 베이스(52)와 마찬가지로, 클리트 베이스(62)는 중앙 허브(63) 및 중앙 허브(63)로부터 연장하는 세 개의 스포크(spoke) 또는 부재를 포함한다. 클리트 베이스(62)는 또한 그 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6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클리트(50)의 스파이크(56)들의 이격 거리는 약 2 cm이다. 또한, 세 개 이상의 스파이크를 갖는 경우와 대조적으로, 클리트(50) 상에 단지 두 개의 스파이크(56)만을 가짐으로써, 클리트(50)는 클리트(60)보다 눈덩이가 커질 우려, 즉 눈이나 얼음이 클리트 베이스(52)에 들러붙을 우려(크램폰의 일반적인 문제일 수 있음)가 더 낮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6a 내지 도 6d는 크램폰 베이스(10)의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을 제조하기 위한 몰딩 프로세스에서 취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d의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은 도 2의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과 정확히 같은 형상이 아니지만,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단계는 도 2의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a에서, 클리트(50)는, 스파이크(56)가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위치 및 미리 정해진 배향으로 몰드(미도시)에 배치된다. 도 6b에서, 탄성 중합체 패드(65)가 클리트(50)의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52)의 상부를 덮도록 패드(65)가 클리트(50) 위에 제공된다. 패드(65)는 몰드에 대해 클리트(50)를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고,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의 경우, 두 개의 수평 스트립(67)에 의해 양분된 수직 스트립(66)을 포함한다. 클리트(50)들은 스트립(66 및 67)의 단부의 하면 상에 배치된다. 패드(65)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재료로 확장된다.
도 6c에서, 전방 베이스 스트랩(18)을 비롯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중합체(68)가 몰드 안으로 주입된다. 몰드의 형상으로 인해, 각각의 클리트(50)의 클리트 베이스(52)가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내에 매립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클리트(50)의 클리트 베이스(52)는 패드(65)와 주입된 탄성중합체(68)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따라서, 단지 스파이크(56)만이 도 6d에서 알 수 있은 바와 같이,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52) 내에 형성된 구멍(58)은 주입된 탄성중합체(68)로 채워지고, 따라서 각각의 클리트(50)는, 클리트 베이스(52)가 구멍(58)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보다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내에 더 견고하게 매립된다. 이 프로세스는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에 대해 반복된다.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에 사용되는 상측 탄성중합체 패드의 형상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68)는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그러나, 패드(65)는 크램폰(100)을 사용하는 동안 클리트(50)를 지지하기 때문에, 패드(65)는 탄성중합체(68)보다 더 단단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의 하면이 도시된다. 스파이크(56)의 뾰족한 단부(57)는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리세스(69)가 탄성중합체(68)의 몰드에서 각각의 클리트(50)의 위치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리세스(69)는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이 사용 중에 굴곡되게 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크램폰(100)은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 및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을 다수의 부착 지점에서 하네스(30)에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특히, 각각의 전방 베이스 스트랩(18) 및 각각의 후방베이스 스트랩(22)의 아일릿(24)들은 하네스(30)의 대응되는 아일릿(32)들과 정렬된다. 정렬될 때, 리벳(75)과 같은 고정 디바이스가 아일릿(24, 32) 내에 삽입되어, 하네스(30)를 크램폰 베이스(10)에 고정시킨다. 다른 형태의 고정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지만, 리벳(75)은, 리벳(75)이 전통적인 링크보다 더 내구성 있는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리벳(75)은 크램폰(100)을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발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의 전방 베이스 스트랩(18c)은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의 후방 베이스 스트랩(22a)과 오버랩된다. 오버랩은,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2)을 뒤로 당기고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14)을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크램폰(100)을 사용자의 발에 대해 긴장 상태로 되게 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으며, 크램폰(100)을 제위치에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크램폰 베이스(10)는 하네스(30)보다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있는 반면, 하네스(30)는 더 유연하여 사용자가 크램폰(100) 내에 발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네스(30)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반면, 크램폰 베이스(1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된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 및 이러한 실시형태의 변경, 수정 및 변형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임의의 양태 또는 실시형태의 임의의 부분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임의의 다른 양태 또는 실시형태의 임의의 부분과 함께 구현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고려된다.

Claims (29)

  1. 크램폰(crampon)에 있어서,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 및
    상기 크램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상기 크램폰 베이스와 함께 획정하는 하네스
    를 포함하며,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cleat)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트는,
    상기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 클리트 베이스; 및
    상기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
    를 포함하는, 크램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베이스가 십자형인, 크램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는 한 쌍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크램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베이스는 중앙 부분 및 이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파이크는 상기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크램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베이스는, 인접한 아암에 직각으로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네 개의 아암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파이크는 상기 아암들 중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아암에 의해 획정된 선에 대해 각을 이루는, 크램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는 상기 아암들 중 대향하는 아암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크램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파이크는 상기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크램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선형 부분 및 이 선형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만곡 부분을 포함하는, 크램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 중 하나의 스파이크는 상기 만곡 부분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크램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 베이스는 그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크램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는 하나 이상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상기 크램폰 베이스에 부착되는, 크램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구는 하나 이상의 리벳을 포함하는, 크램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각각 상기 하네스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스트랩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베이스 스트랩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의 두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의 단부를 향해서 증가되는, 크램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의 대향 측부들에 부착되고 상기 신발류 물품 주위에 상기 하네스를 조이도록 구성된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크램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벨크로(Velcro®) 스트랩을 포함하는, 크램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상기 신발류 물품의 밑창에 장착하도록 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heel)에 장착하도록 된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는, 크램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상기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다섯 개의 클리트, 및 상기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네 개의 클리트를 포함하는, 크램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은 상기 크램폰 베이스를 상기 하네스에 부착하는 각각의 베이스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의 상기 베이스 스트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이 상기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의 상기 베이스 스트랩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스트랩과 오버랩되는, 크램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상기 클리트 베이스 주위에 몰딩되는, 크램폰.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제1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네스는 상기 제1 탄성중합체와 상이한 제2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크램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중합체는 상기 제2 탄성중합체보다 내구성이 크거나 및/또는 가요성이 작은, 크램폰.
  22. 크램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리트 베이스 및 상기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클리트를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가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클리트 주위에 상기 크램폰 베이스를 몰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를 몰딩하는 단계는,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의 상부면 위에 상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을 배치하는 단계; 및
    각각의 클리트 베이스의 저부면에 대해 하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을 몰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은 상기 하측 크램폰 베이스 부분보다 더 경질인,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네스를 상기 크램폰 베이스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크램폰 베이스와 상기 하네스는 부착된 경우에,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획정하는, 방법.
  26.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는,
    상기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 클리트 베이스; 및
    상기 크램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
    를 포함하는, 크램폰 베이스.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상기 신발류 물품의 밑창에 장착하도록 된 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및 상기 신발류 물품의 뒤꿈치에 장착하도록 된 후방 크램폰 베이스 부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크램폰 베이스.
  28. 부품들의 키트에 있어서,
    하네스;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하면에 장착하도록 된 크램폰 베이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클리트는,
    상기 크램폰 베이스 내에 매립된 클리트 베이스; 및
    상기 클리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상기 크램폰 베이스; 및
    상기 크램폰 베이스에 상기 하네스를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네스와 상기 크램폰 베이스는 서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신발류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획정하는, 부품들의 키트.
  29. 크램폰용 클리트에 있어서,
    중앙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들을 갖는 클리트 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
    를 포함하며, 각각의 스파이크는,
    상기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아암들 중 한 쌍의 서로 대향하는 아암에 의해 획정된 선에 대해서 각을 이루는, 크램폰용 클리트.
KR1020217014322A 2018-10-18 2019-10-15 매립 클리트를 갖는 크램폰 KR20210076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7315P 2018-10-18 2018-10-18
US62/747,315 2018-10-18
PCT/CA2019/051461 WO2020077448A1 (en) 2018-10-18 2019-10-15 Crampon with embedded cle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947A true KR20210076947A (ko) 2021-06-24

Family

ID=7028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322A KR20210076947A (ko) 2018-10-18 2019-10-15 매립 클리트를 갖는 크램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617421B2 (ko)
EP (1) EP3866638A4 (ko)
JP (1) JP2022512018A (ko)
KR (1) KR20210076947A (ko)
CN (1) CN112969380A (ko)
CA (1) CA3116420A1 (ko)
WO (1) WO2020077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16420A1 (en) * 2018-10-18 2020-04-23 Hillsound Equipment Inc. Crampon with embedded cleats
EP3827691A1 (en) * 2019-12-01 2021-06-02 Kahtoola, Inc. Footwear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D1003584S1 (en) * 2021-07-28 2023-11-07 Guangyao Shao Crampon for shoes
WO2023248263A1 (en) * 2022-06-23 2023-12-28 Bestgrip S.R.L. Multi-purpose and multi-size crampon and spike for such crampon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0450A (en) * 1961-02-23 1962-06-26 Fred C Phillips Baseball shoe spikes
US3461576A (en) * 1967-10-30 1969-08-19 Ruth Florin Hubbard Spiked shoe sole
US3838528A (en) * 1973-02-01 1974-10-01 G Johnson Anti-skid device for boots and shoes
US4306360A (en) * 1980-01-23 1981-12-22 Hagger Leonard D Receptacle for molded material
US5029405A (en) * 1989-06-02 1991-07-09 Abbott-Interfast Corporation Cleat for boot sole and the like
USD327975S (en) 1989-06-20 1992-07-21 Asics Corporation Spike for a shoe
USD341704S (en) 1991-05-02 1993-11-30 Asics Corporation Spike for a shoe
USD342151S (en) 1991-05-22 1993-12-14 Asics Corporation Spike for a shoe
USD341480S (en) 1991-07-09 1993-11-23 Asics Corporation Spike for a shoe
USD342152S (en) 1992-05-11 1993-12-14 Asics Corporation Spike
USD341705S (en) 1992-05-11 1993-11-30 Asics Corporation Spike
USD341938S (en) 1992-05-11 1993-12-07 Asics Corporation Spike
FR2699375B1 (fr) 1992-12-21 1996-12-13 Jean Nadaud Semelle amovible anti-derapante.
US5689901A (en) * 1996-02-15 1997-11-25 Michael Bell Footwear with two-piece sole
USD399647S (en) 1997-03-07 1998-10-20 Asics Corporation Spike for baseball shoes
USD405249S (en) 1997-03-07 1999-02-09 Asics Corporation Spike for baseball shoes
US6256908B1 (en) * 1998-01-21 2001-07-10 Tubbs Snowshoe Company Llc Terrain-engaging cleat for traction enhancement
WO2002013643A1 (en) * 2000-08-10 2002-02-21 Black Diamond Equipment, Ltd. Inc. Anti-balling system
US6742286B2 (en) 2001-01-23 2004-06-01 Kahtoola, Inc. Flexible traction system for common shoes
DE20200954U1 (de) 2002-01-23 2002-05-02 Kahtoola Inc Flexibles Zugreibungssystem für normale Schuhe
US20040045190A1 (en) 2002-09-07 2004-03-11 Washburn David K. Footwear traction assist
US7461467B2 (en) 2004-10-14 2008-12-09 Wookyung Tech Co., Ltd. Safety crampon with generality put on
KR100696245B1 (ko) 2004-10-14 2007-03-20 우경테크주식회사 착용 범용성을 갖는 안전 아이젠
KR20060079956A (ko) * 2005-01-04 2006-07-07 김철한 신발에 착용하는 미끄럼 방지구
US7707749B2 (en) 2006-01-12 2010-05-04 Kahtoola, Inc. Modular snow travel system for common footwear
US8061062B2 (en) 2006-01-12 2011-11-22 Kahtoola Inc. Modular snow travel system for common footwear
WO2008056906A1 (en) 2006-11-06 2008-05-15 Wookyung Tech Co., Ltd. Crampon for golf shoes and climbing irons
US20080301973A1 (en) 2007-06-06 2008-12-11 Pei-Yi Lee Tsai Non-slip shoe cover for various slippery conditions such as snow, golf, fishing and the like
JP2012515617A (ja) * 2009-01-21 2012-07-12 カ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個人用の静止摩擦具
KR100916492B1 (ko) * 2009-06-11 2009-09-08 이영숙 체인형 아이젠 눈차단판
US9565890B2 (en) 2009-12-30 2017-02-14 Brendan Walsh Retaining device and spike devices for shoes
USD655903S1 (en) * 2010-02-11 2012-03-20 Hillsound Equipment Inc. Crampons
US10136702B2 (en) 2012-01-16 2018-11-27 Kahtoola, Inc. Footwear accessory binding system
FR2990831B1 (fr) * 2012-05-22 2014-06-13 Salomon Sas Crampon pour chaussure
US20140196320A1 (en) 2013-01-17 2014-07-17 Sure Foot Corporation Anti-Slip Overshoe with Flexible Cleats and Method of Gripping Natural Surfaces
WO2014157873A1 (ko) * 2013-03-29 2014-10-02 Kim Sung Shik 아이젠
FR3007949B1 (fr) * 2013-07-04 2015-12-11 Salomon Sas Crampon pour chaussure
US20150143719A1 (en) 2013-11-22 2015-05-28 Jon Fosbrook Temporary Footwear Modification Device
KR20150070983A (ko) * 2013-12-17 2015-06-25 카툴라, 인크. 소프트 바디 재료에 견고한 연결을 만들기 위한 신발 마찰 장치, 시스템 및 기구
USD732275S1 (en) * 2014-01-07 2015-06-23 Hillsound Equipment Inc. Peak for crampon
USD732276S1 (en) 2014-01-07 2015-06-23 Hillsound Equipment Inc. Peak for crampon
USD732274S1 (en) 2014-01-07 2015-06-23 Hillsound Equipment Inc. Peak for crampon
KR101910223B1 (ko) 2014-11-06 2018-10-19 이선영 아이젠
US20160144266A1 (en) * 2014-11-20 2016-05-26 Louis Garneau Sports Inc. Harness and snowshoe frame
TWM508933U (zh) * 2015-06-23 2015-09-21 Meng-Yuan Ke 可增加抓著力之防滑鞋套結構
KR200484179Y1 (ko) 2015-09-22 2017-08-09 이정희 체인형 아이젠의 눈차단부재 장착장치
FR3044206B1 (fr) 2015-12-01 2020-11-13 Salomon Sas Equipement pour permettre a un utilisateur de pratiquer une activite physique et utilisation d'un tel equipement
US20180070680A1 (en) * 2016-09-15 2018-03-15 Tingley Rubber Corporation Traction Studs And Outsoles
CA3116420A1 (en) * 2018-10-18 2020-04-23 Hillsound Equipment Inc. Crampon with embedded clea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12018A (ja) 2022-02-01
US11617421B2 (en) 2023-04-04
WO2020077448A1 (en) 2020-04-23
CA3116420A1 (en) 2020-04-23
EP3866638A4 (en) 2022-06-22
EP3866638A1 (en) 2021-08-25
US20230210221A1 (en) 2023-07-06
CN112969380A (zh) 2021-06-15
US20210337936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6947A (ko) 매립 클리트를 갖는 크램폰
US4680835A (en) Sport shoe lacing device
US900999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acting member
US4107857A (en) Athletic shoe construction
US8661708B2 (en) Crampon for golf shoes and climbing irons
US8250779B2 (en) Overshoe
US7222440B2 (en) Resilient strap-on sole cover
US2801478A (en) Auxiliary soles
CN104023578A (zh) 带有鞋前部辅助鞋钉的鞋类物品
US20090249653A1 (en) Interchangeable slip-on golf overshoe
US20020178618A1 (en) Slip-on moccasin-style golfing shoe
US3914882A (en) Creeper attachment
US20180055149A1 (en) Crampons provided with spikes
RU181879U1 (ru) Съемная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ая накладка обуви с подошвой, имеющей подковообразную выемку
EP0644729A1 (en) Footwear accessory
CN100411561C (zh) 通用安装的安全鞋底钉
US6810607B2 (en) Anti-balling system
US2532485A (en) Antislip tread
US10786047B2 (en) Footwear system
US8291613B2 (en) Ready cleat
KR20100084103A (ko) 등산용 보조신발
JP2593140Y2 (ja) 靴の滑止め具
US20230067999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footwear tongue
KR100823683B1 (ko) 아이젠
JPS624464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