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805A -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 Google Patents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805A
KR20210076805A KR1020200029421A KR20200029421A KR20210076805A KR 20210076805 A KR20210076805 A KR 20210076805A KR 1020200029421 A KR1020200029421 A KR 1020200029421A KR 20200029421 A KR20200029421 A KR 20200029421A KR 20210076805 A KR20210076805 A KR 20210076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le
hydraulic cylinder
retaining wall
pressu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093B1 (ko
Inventor
민병찬
Original Assignee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0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면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는 흙막이와, 상기 흙막이 전면에 설치는 띠장 사이의 틈새를 메움하는 선행하중잭에 관한 것으로서, 띠장의 전면플랜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로부터 신장하여 흙막이의 엄지말뚝을 가압하여 가지지하는 가압로드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면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대체하여 상기 엄지말뚝을 본지지하는 지지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PRE-LOADING JACK TO FILL THE GAP BETWEEN THE WALE AND THE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굴착면 배면의 토압을 지지하는 흙막이와, 상기 흙막이 전면에 설치되어 흙막이에 작용하는 배면토압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띠장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메움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을 진행하는 경우 흙막이를 설치하여 배면토압을 지지함으로써 굴착 내부에서의 안전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흙막이는 통상적으로 강널말뚝을 지중에 박아 설치하거나, H형강을 엄지말뚝으로 하여 지중에 박고 엄지말뚝 사이에 가로널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끼워넣는 방식으로 구축되며, 특히 역타공법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H형강의 엄지말뚝을 삽입한 CIP말뚝으로 연속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이러한 흙막이의 배면토압은 버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버팀부재는 통상적으로 흙막이 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띠장과, 흙막이에 수직이 되도록 띠장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지보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띠장은 흙막이 배면의 토압을 받아 균등하게 지보재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 바, 흙막이와 띠장은 밀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흙막이를 일직선으로 설치하여 띠장과 밀착될 수 있도록 직진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예컨대 하중을 지지하는 H형강을 지중에 박거나 천공홀 내부에 삽입시켜 엄지말뚝을 형성시키는 경우 이들 각 엄지말뚝의 전면은 일직선의 면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띠장과 엄지말뚝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게 될 여지가 많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흙막이벽과 띠장 사이에 유압잭이나 스크류잭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토압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유압잭은 통상적으로 그 규모가 크기 때문에 엄지말뚝과 띠장의 좁은 간격에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설령 그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더라도 장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유압손실에 의해 지지능력을 상실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도 쉽지 않으므로 구조적인 신뢰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스크류잭은 유압잭에 비하여 좁은 간격에 사용 가능하나, 엄지말뚝과 띠장 사이를 가압하기 위하여 스크류잭의 핸들을 회전시킬때 해머 등으로 핸들을 타격해야 됨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많다. 아울러 일단 설치된 스크류잭은 흙막이와 띠장의 양측으로부터 큰 압력을 받고 있어 버팀부재의 지지상태 해지를 위한 스크류잭의 제거도 쉽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48409호의 가설 흙막이 공법이 제한된 바 있다.
상기 등록번호 10-0648409호의 가설 흙막이 공법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목(20)에 연결되면서 받침대(14)의 상면에 놓여진 횡가목(16, 띠장)과 H형강의 수직파일(10) 사이에 유압잭(26)을 설치하여 상기 수직파일(10)을 가압한 후,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파일(10)과 횡가목(16) 사이에 강재나 시멘트몰탈의 간격유지부재(28)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26)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등록번호 10-0648409호의 가설 흙막이 공법은 가압부재인 유압잭과, 수직파일과 횡가목 사이를 장시간 지지하는 간격유지부재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유압잭이 설치된 곳에는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쉽지 않아 충분한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간격유지부재를 강재로 구성하는 경우 다양한 간격을 가지는 수직파일(10)과 횡가목(16) 사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양한 두께의 강재를 준비해야 함은 물론 정밀한 규격을 가지게 하는 것이 쉽지 않고, 간격유지부재를 시멘트몰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양생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648409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원리를 달리하는 가지지(假支持)와 본지지(本支持)의 각 수단을 함께 구비하면서, 이들 가지지와 본지지의 상호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게 함으로써, 구조계산의 용이성과 지지구조의 신뢰성 및 작업의 용이성 등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 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띠장과 흙막이 사이의 틈새를 메움하여 상기 흙막이를 가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 띠장의 전면플랜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로부터 신장하여 흙막이의 엄지말뚝을 가압하여 가지지하는 가압로드 및,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면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로드를 대체하여 상기 엄지말뚝을 본지지하는 지지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이 제공된다..
이때 지지관체의 전후방 이동이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유압실린더의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지지관체의 내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관체의 전방에 지지관체 선단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확장지지체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는 바, 상기 확장지지체는, 한 쌍의 분할확장편과, 이들 분할확장편의 적어도 어느 일측을 연결하는 조립봉으로 이루어져 로드관통홀의 규모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고, 로드관통홀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단일체로 이루어진 말굽형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압로드에 의한 가지지와 지지관체에 의한 본지지가 동일한 지점에서 이루어지므로, 띠장과 흙막이 사이의 틈새 메움에 의한 지지의 구조설계 내지 계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지지관체에 의한 본지지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지지관체의 지지력이 상실될 여지가 전혀 없으므로 틈새 메움에 의한 지지구조에 높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몰탈 충진 또는 간격유지부재의 끼움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하나의 유압실린더에 설치된 가지지 장치(가압로드)와 본지지 장치(지지관체)를 순차로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흙막이 지지구조의 구축이 완료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되었던 선행하중잭은 다른 현장에서 반복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로드로 흙막이에 선행하중을 가하여 이를 가지지한 상태에서 본지지를 위한 지지관체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므로, 해머 등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손으로 지지관체를 흙막이에 밀접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어, 비숙련자도 쉽게 작업할 수 있고 해머 등 공구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체결방식에 의한 지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우 높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시간 존치되어도 지지력이 상실될 여지가 전혀 없으므로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흙막이 구조의 종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행하중잭을 사용하여 띠장과 흙막이 사이의 틈새를 메움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선행하중잭에 관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선행하중잭을 이용하여 흙막이 지지구조를 구축하는 과정의 각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선행하중잭을 위한 확장지지체에 관한 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는 상기 확장지지체를 매개로 하여 흙막이 지지구조를 구축하는 과정의 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행하중잭(100)을 사용하여 띠장(300)과 흙막이(200) 사이의 틈새(△)를 메움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선행하중잭(100)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띠장(300)과 흙막이(200) 사이의 틈새(△)중에서 본 발명의 선행하중잭(100)에 의해 메움되는 위치는 흙막이(200)의 주된 하중 작용점과 띠장(300) 사이의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흙막이(200)가 연속된 강판널말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선행하중잭(100)이 강판널말뚝과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0)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흙막이가 CIP말뚝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에는 선행하중잭(100)이 CIP기둥 내의 H형강 엄지말뚝(210)과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선행하중잭(100)이 띠장(300)과 상기 엄지말뚝(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행하중잭(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10)와, 상기 유압실린더(110)로부터 신장하여 엄지말뚝(210)의 전면을 가압하여 선행하중을 가할 수 있는 가압로드(120)와, 엄지말뚝(210)을 최종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관체(130)로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110)는 가압로드(120)를 신장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0)에 고정되어 지지관체(130)와 결합하여 엄지말뚝(210)과 띠장(300) 사이의 틈새(△)를 최종적으로 메움하면서 흙막이(20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가압로드(120)는 유압실린더(110)와 함께 상기 틈새(△)를 1차적으로 메움하면서 흙막이(200)의 가지지 구조를 이루고, 지지관체(130)는 유압실린더(110)와 함께 상기 틈새(△)를 최종적으로 메움하면서 흙막이(200)의 본지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유압실린더(110)는 후단이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가압로드(120)를 신장시켜 엄지말뚝(210)을 가압하면서 가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그 구조를 제한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유압실린더(110)의 중앙 후방에 가압로드(120)의 신장을 위한 유압실(114)이 위치한 구조의 것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공중에 설치 고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114)이 링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가압로드(120)의 구성을 내부가 빈 관체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함으로써 선행하중잭(100)의 자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선행하중잭(100)의 유압실린더(110)는, 후단이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0)에 접하게 되는 내관(111)과, 상기 내관(111)이 삽입되는 외관(112) 및, 가압로드(120)를 안내하면서 그의 신장을 제한하는 안내관(113)으로 이루어진다.
내관(111)의 외면과 외관(112)의 내면 사이에는 밀폐된 유압실(114)을 형성하여 가압로드(120)의 작동을 위한 유체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로드(120)는 상기 유압실(114)의 전면에 위치하여 유압실(114)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안내관(113)은 내관(111) 선단의 외면과 함께 개구를 형성하여 가압로드(120)의 출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관(112)의 선단 내측에 위치한다.
아울러 안내관(113)의 후방에는 멈춤턱(113a)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로드(120)의 후단부에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로드(120)는 걸림턱(122)이 멈춤턱(113a)에 걸림되는 지점까지만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지지관체(130)는 유압실린더(110)의 외면을 타고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지지한 상태의 가압로드(120)를 대체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띠장(300)과 엄지말뚝(210) 사이의 틈새(△)에 설치되면서 흙막이(200)에 대한 본지지의 기능을 한다.
유압실린더(110)의 외면에서 지지관체(13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수단은, 지지관체(130)의 전방이동이 완료된 후 흙막이(200) 배면토압에 의해 후퇴하지 않도록 유압실린더(110)와 지지관체(130) 사이에 충분히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족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그 구조를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의 나사체결방식에 의한 경우에는 지지관체(1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거리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띠장(300)과 여러 엄지말뚝 사이의 다양한 틈새(△) 간격에 모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띠장(300)과 흙막이(200) 사이 틈새(△) 메움에 대한 시공의 정밀성을 도모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나사산이 상호 물림되어 있어 유압실린더(110)와 지지관체(130) 사이에 높은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지구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유압실린더(110)와 지지관체(130) 사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고 해머 등의 공구없이 수작업만으로도 쉽게 작업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압실린더(110)의 외면에는 수나사(115)가 형성되고, 지지관체(130)의 내면에는 암나사(131)가 형성된다.
엄지말뚝의 전면에 접하게 되는 지지관체(130)의 선단에는 확장면부(121)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확장면부(121)는 지지관체(130)보다 단면이 증가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지지관체(130)와 엄지말뚝(210)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보다 안정적인 지지구조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 4은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선행하중잭을 이용하여 띠장(300)과 흙막이(200)의 엄지말뚝(210)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메움하는 작업과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띠장(300)과 엄지말뚝(210) 사이의 틈새(△)에 선행하중잭(100)을 설치한 후{도 4의 (a)}, 유압실린더(110)를 작동시켜 가압로드(120)로 하여금 엄지말뚝(210)을 가압함으로써 흙막이(200)에 선행하중이 작용하도록 한다{도 4의 (b)}. 이에 의해 띠장(300)과 흙막이(200) 사이에는 임시적인 가지지 구조가 이루어진다.
가압로드(120)에 의한 가지지 구조가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지지관체(1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이 엄지말뚝의 전면에 밀착시킨다{도 4의 (c)}. 이러한 지지관체(130)의 전방 이동은 흙막이(200)의 배면 토압이 가압로드(1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다른 힘을 가지지 않고도 쉽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작업자가 손으로 지지관체(130)을 나사체결방식으로 단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지지관체(130)의 선단을 엄지말뚝의 전면에 쉽게 밀착시킬 수 있다.
지지관체(130)의 선단이 엄지말뚝의 전면에 밀착되면, 유압실린더(110)의 유압을 제거하여 가압로드(120)를 후방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가압로드(120)에 의한 가지지 구조가 지지관체(130)에 의한 본지지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4의 (d)}.
가압로드(120)와 지지관체(130) 사이의 상기한 유기적인 작동관계는 선행하중잭(100)의 제거작업에도 그대로 적용됨으로써 이를 매우 용이하게 한다.
선행하중잭(100)의 제거작업은 설치와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지지관체(130)가 엄지말뚝(21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압로드(120)를 신장시켜 엄지말뚝(210)을 가압함으로써 지지관체(130)에 의한 지지가 가압로드(120)에 의한 지지로 대체시킨 후, 지지관체(130)를 나사체결방식으로 후퇴시키고, 이어서 가압로드(120)를 후퇴시킴으로써 선행하중잭(100)에 의한 지지 구조는 해제되는 바, 선행하중잭(100)은 쉽게 제거된다.
한편 확장면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엄지말뚝(210)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하중분산에 의한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가지게 하는 바, 이를 대신하여 지지관체(130)와 분리된 별도의 확장지지체(14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확장지지체(140)는 지지관체(1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확장면부(121)와 마찬가지로 지지관체(130) 선단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이러한 확장지지체(14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장지지체(140)는 한 쌍의 분할확장편(141)과 이들 분할확장편(141)을 연결하는 조립봉(142)으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분할확장편(141)은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로드관통홀(143)이 형성되도록 각 분할확장편(141)의 일측면 중앙에는 반원홈부(143a)가 형성되고, 상하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체결공(144)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조립봉(142)은 한 쌍의 분할확장편(141)에 구비된 각 체결공(144)을 관통하여 너트(145)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분할확장편(141)이 일체로 된 하나의 확장지지체(140)가 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압로드(120)가 엄지말뚝(210)을 가지지한 상태에서 이들 분할확장편(141)을 조립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너트(145)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로드관통홀(143)의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가압로드(120)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로드관통홀(143)의 규모를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어느 일측에만 체결공(144)과 조립봉(142)에 의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반대쪽의 타측은 한 쌍의 분할확장편(141)이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분할확장편(14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실시예의 확장지지체(140)는 로드관통홀(143)의 하부를 개방시키면서 단일체로 이루어져 말굽의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말굽 형상의 확장지지체(140)는 하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엄지말뚝(210)을 가지지하고 있는 가압로드(120)가 로드관통홀(143)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나 하부가 개방된 상기의 말굽 형상의 확장지지체(140)는 가압로드(120)에 걸쳐진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이탈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로드관통홀(143)의 상면에 회전방지자석(146)을 구비시켜 확장지지체(140)가 가압로드(120)에 부착되게 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지지체(140)의 상단부에 회전방지자석(146)을 구비시켜 확장지지체(140)가 엄지말뚝(210)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확장지지체(140)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분리구조의 확장지지체(140)는 상술한 하중분산의 기능외에도,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0)와 엄지말뚝(210)의 전면 사이가 지나치게 큰 틈새(△)가 발생하여 지지관체(130)만으로 지지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관체(130)의 선단을 엄지말뚝(210)에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전방으로의 이동을 크게 해야 하고, 이로 인하여 유압실린더(110)와의 나사체결 길이가 필요한 만큼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 그 간격의 일부를 메움하여 지지관체(130)의 전방 이동의 정도를 줄여 상기한 나사체결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게 한다.
도 6는 상기한 확장지지체(140)를 매개로 하여 띠장(300)과 흙막이의 엄지말뚝 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메움하는 작업과정을 각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압로드(120)가 엄지말뚝(210)를 가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6의 (a)}, 상기 가압로드(120)에 확장지지체(140)를 설치하고{도 6의 (b)}, 지지관체(1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그 선단을 확장지지체(140)의 후면에 밀착 시킨 후{도 6의 (c)}, 가압로드(120)를 후퇴시켜 지지관체(130)가 확장지지체(140)를 매개로 하여 흙막이(200)를 본지지하면서 띠장(300)과 엄지말뚝(210) 사이의 틈새(△)를 메움할 수 있도록 한다{도 6의 (d)}.
상기와 같이 확장지지체(140)가 설치된 경우에도 선행하중잭(100)의 제거작업은 앞서 설명한 선행하중잭(100)의 제거작업과 마찬가지로 그 설치의 역순으로 쉽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선행하중잭 111; 내관
112; 외관 113; 안내관
114; 유압실 115,172a; 수나사
120; 가압로드 121; 확장면부
122; 걸림턱 130; 지지관체
131; 암나사 140; 확장지지체
141; 분할확장편 142; 조립봉
143; 로드관통홀 143a; 반원홈부
144; 체결공 145; 너트
146; 회전방지자석 200; 흙막이
210; 엄지말뚝 300; 띠장
310; (띠장의)전면플랜지

Claims (7)

  1. 띠장(300)과 흙막이(200) 사이의 틈새(△)를 메움하여 상기 흙막이(200)를 가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
    띠장(300)의 전면플랜지(310)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10)와, 유압실린더(110)로부터 신장하여 흙막이(200)의 엄지말뚝(210)을 가압하여 가지지하는 가압로드(120) 및,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외면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로드(120)를 대체하여 상기 엄지말뚝(210)을 본지지하는 지지관체(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10)의 외면에는 수나사(11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체(130)의 내면에는 암나사(131)가 형성되어,
    지지관체(130)의 이동은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10)는, 후단이 버팀부재(300)에 접하게 되는 내관(111)과, 상기 내관(111)이 삽입되어 내관(111) 외면과의 사이에 밀폐된 유압실(114)을 형성하는 외관(112)과, 상기 외관(112)의 선단 내측에 위치하여 가압로드(120)를 안내하면서 후방에 멈춤턱(113a)이 구비되어 가압로드(120)의 신장을 제한하는 안내관(1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130)의 선단에는 단면이 증가된 확장면부(121)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130)의 전방에는 지지관체(130) 선단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가지는 확장지지체(140)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지체(140)는, 로드관통홀(143)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단일체로 이루어진 말굽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지체(140)의 상단부에는 회전방지자석(14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하중잭.
KR1020200029421A 2019-12-16 2020-03-10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KR10229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21A KR102298093B1 (ko) 2019-12-16 2020-03-10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28A KR102212670B1 (ko) 2019-12-16 2019-12-16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KR1020200029421A KR102298093B1 (ko) 2019-12-16 2020-03-10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28A Division KR102212670B1 (ko) 2019-12-16 2019-12-16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05A true KR20210076805A (ko) 2021-06-24
KR102298093B1 KR102298093B1 (ko) 2021-09-03

Family

ID=745590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28A KR102212670B1 (ko) 2019-12-16 2019-12-16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KR1020200029421A KR102298093B1 (ko) 2019-12-16 2020-03-10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28A KR102212670B1 (ko) 2019-12-16 2019-12-16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2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23Y1 (ko) * 2003-12-02 2004-03-0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KR100648409B1 (ko) 2002-07-27 2006-11-24 김정민 가설 흙막이 공법
KR2011001805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045932B1 (ko) * 2010-11-10 2011-07-01 장인준 합성 강널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09B1 (ko) 2002-07-27 2006-11-24 김정민 가설 흙막이 공법
KR200344123Y1 (ko) * 2003-12-02 2004-03-09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버팀보 지지용 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구조
KR20110018053A (ko) * 2009-08-17 2011-02-23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띠장용 마그네틱 홈메움재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045932B1 (ko) * 2010-11-10 2011-07-01 장인준 합성 강널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70B1 (ko) 2021-02-05
KR102298093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060B1 (ko) 지지면 보정기능을 가진 흙막이벽 띠장용 선행하중잭
DE2021734B2 (de) Wanderabstuetzungsgeruest fuer den ausbruch und/oder die fertigausbauschalung von stollen, tunneln, schaechten oder dergleichen langgestreckten bauwerken
CN108104821B (zh) 大断面切眼施工及其支护方法
CN107989042B (zh) 一种植桩机的施工方法
KR101222026B1 (ko) 가압로드를 이용한 길이조절 가압 스트러트 및 그를 이용한 버팀보 시공방법
KR102298093B1 (ko) 띠장과 흙막이 사이 틈새 메움을 위한 선행하중잭
JP4317322B2 (ja) アーチ支持構造
KR100648409B1 (ko) 가설 흙막이 공법
KR100637279B1 (ko) 실린더식 하중잭
KR102425064B1 (ko) 흙막이 공법
JP2022026691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
KR102431162B1 (ko) 흙막이벽 지지용 선행하중잭
CN114045840B (zh) 软土深基坑组合支护结构及施工方法
KR20200091114A (ko) 지하터널 형성용 구조물 설치공법
KR102212671B1 (ko) 선행하중잭을 이용한 rc조 지하건축물의 역타공법
JP2022049699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プレスバーおよびストラット
US313893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iving a tunnel through and supporting earth structure
DE3151856A1 (de) Vorrichtung zum zentrischen einbringen einer verbaustuetze in ein erdbohrloch
JP2022049234A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用ストラット
JPH1143960A (ja) 支保工架設地下構築工法
CN107869139B (zh) 一种具有监测功能的植桩机
KR0182612B1 (ko) 완충지면에 사용하는 터널굴착용 아치형부재 지지장치 및 지지방법
AT396604B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tranges aus einzelelementen unter wasser
KR100874719B1 (ko) 스크류 잭
ES2325953T3 (es) Metodo de construccion de un sotano bajo un edificio exist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