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347A -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 Google Patents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347A
KR20210076347A KR1020190167414A KR20190167414A KR20210076347A KR 20210076347 A KR20210076347 A KR 20210076347A KR 1020190167414 A KR1020190167414 A KR 1020190167414A KR 20190167414 A KR20190167414 A KR 20190167414A KR 20210076347 A KR20210076347 A KR 20210076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ois
elastic body
ois carri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0030B1 (en
Inventor
김희승
한민석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9016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030B1/en
Priority to PCT/KR2020/009239 priority patent/WO2021125481A1/en
Publication of KR2021007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Abstract

An actuator for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OIS carrier positioned on an upper part of a base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IS carri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OIS carrier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OIS carrier positioned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and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S carri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IS carri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OIS carrier in the second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has an asymmetric shape on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stable driving performance.

Description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탄성 지지 구조를 이용하여 손떨림 보정 등을 구현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 camera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uator for a camera that implements handshake correction using an improved elastic support structure.

영상 처리에 대한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고 영상 촬영 등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독립된 카메라 장치는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등에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As hardware technology for image processing develops and user needs for image shooting increase, autofocus (AF, Auto Focus) is applied to camera modules installed in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etc., as well as independent camera devices. Functions such a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re being implemented.

오토포커스(자동초점조절) 기능은 렌즈 등이 탑재된 캐리어를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후단에 구비된 이미지센서(CMOS, CCD 등)에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The autofocus (autofocus control) function adjusts the focal length with the subject by moving the carrier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linear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create a clear image on the image sensor (CMOS, CCD, etc.)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ens. means function.

또한, 손떨림 보정 기능은 손떨림에 의하여 렌즈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그 흔들림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렌즈가 탑재된 캐리어를 적응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영상의 선명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improving image sharpness by adaptively moving a carrier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in a direction to compensate for the shake when the lens shakes due to hand shake.

오토포커스 또는 OIS 기능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이동체(캐리어)에 마그네트(코일)를 설치하고 고정체(하우징, 또는 다른 형태의 캐리어 등)에 코일(마그네트)을 설치한 후,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체를 광축 방향 또는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autofocus or OIS function is to install a magnet (coil) on a moving body (carrier), install a coil (magnet) on a fixed body (housing or other type of carrier, etc.), and then install the coil and magnet It is a method of moving the moving object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by generating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m.

AF와 OIS 기능이 통합된 장치(카메라 모듈 또는 액추에이터 등)의 경우, AF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OIS는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AF 및 OIS 캐리어들이 상호 적층되는 복합한 물리적 구조를 가지며, 나아가 AF 또는 OIS의 구동을 위한 개별적인 마그네트들과 코일들이 복합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므로 이들 구성요소를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In the case of a device (camera module or actuator, etc.) in which AF and OIS functions are integrated, AF must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OIS must mov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refore, a complex physical structure in which AF and OIS carriers are stacked is created. Furthermore, since individual magnets and coils for driving AF or OIS must be arranged in a complex manner, a space for these components must be additionally secured.

그러므로 종래 장치의 경우 상당히 복잡한 구조와 비대해진 사이즈를 가지게 되므로 소형화 내지 슬림화 경향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vic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has a fairly complicated structure and an enlarged size, and thus does not meet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r slimming.

또한, 이동체를 이원화시켜 광축과 수직한 각 방향별 이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도 일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종래 장치의 경우 이원화된 각 이동체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구성만을 적용하고 있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이동체가 이동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여 이동체의 각 방향별 선형 이동의 정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ome devices have been disclosed in which a moving object is dualized so that movement in eac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performed independently.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device, only a configuration that physically supports each dualized moving object is applied, so an unintended direction As a result, it cannot effectively suppress the movement or flow of the movable body,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cision of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in each direction is lowered.

나아가 종래 장치의 경우 광축한 수직한 각 방향별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성이 약한 탄성체에 의하여 이동체가 지지되는데, 이 경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부 충격이 그대로 탄성체에 집중적으로 전달되어 탄성체 자체의 물리적 소손 내지 변형 등이 발생되므로 장치 자체의 정상적인 구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m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evice, the movable body is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with weak rigidity so that movement in eac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he external impact is intensively transmitted to the elastic body as i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rmal operation of the device itself cannot be achieved because physical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device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공간적 활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분산시키는 구조적 개선을 통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 방향별 이동의 정밀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not only can space utilizatio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but also improves durability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that effectively absorbs and disperses external shocks, as well as eac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uator for a camera capable of more effectively improving the precision of movement in each directio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claims and the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용 액추에이터는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OIS캐리어;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OIS캐리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OIS캐리어의 제1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 상기 제1OIS캐리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와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OIS캐리어; 및 일단이 상기 제1OS캐리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OIS캐리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OIS캐리어의 제2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제1탄성체 또는 제2탄성체 중 하나 이상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ctuator for a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the first OIS carrier moving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IS carri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movement of the first OIS carri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OIS carri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OIS carrier and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S carrier,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IS carri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OIS carrier in the second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asymmetric shape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OIS캐리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 및 상기 AF캐리어 및 제2OIS캐리어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F캐리어의 광축 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AF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OIS carrier, the AF carrier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n AF elastic body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F carrier and the second OIS carri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AF carri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1OIS캐리어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제2OIS캐리어에 구비되는 제2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의 외측과 대면하는 제1OIS코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2마그네트의 외측과 대면하는 제2OIS코일; 및 상기 AF캐리어의 외주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의 내측과 대면하는 AF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gnet provided in the first OIS carrier; a second magnet provided on the second OIS carrier; a first OIS coil provided on the base and fa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magnet; a second OIS coil provided on the base and fac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magnet; and an AF coil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F carrier and facing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단부; 상기 제1OIS캐리어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부보다 외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제2단부; 및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제1레인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rst elastic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nd fixed to the base; a second end fixed to the first OIS carrier and fixed to a position biased outward than the first end; and a first rain part including one or more bent parts and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또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OIS캐리어에 고정되는 제3단부; 상기 제2OIS캐리어에 고정되되, 상기 제3단부보다 내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제4단부; 및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부와 제4단부를 연결하는 제2레인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body includes a third end fixed to the first OIS carrier; a fourth end fixed to the second OIS carrier and fixed to a position biased inward than the third end; and a second lane part including one or more bent parts and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ends.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2탄성체의 제3단부는 상기 제1탄성체의 제2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AF탄성체는 상기 AF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탄성체의 제3단부 또는 제4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ird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in this case, the AF elastic bod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F coil, It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nd or the fourth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 또는 상기 제1OIS캐리어의 하부 중 하나에 구비되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 또는 상기 제1OIS캐리어의 하부 중 상기 제1돌출부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or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the first protrus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first accommoda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or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where the first protrusion is not provided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part.

실시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OIS캐리어의 상부 또는 상기 제2OIS캐리어의 하부 중 하나에 구비되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OIS캐리어의 상부 또는 상기 제2OIS캐리어의 하부 중 상기 제2돌출부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on one of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OIS carrier or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IS carrier and having a shape protruding based o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art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or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OIS carrier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is not provided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상술된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상기 AF캐리어에 탑재되는 렌즈조립체; 및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조립체 후방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tuator for a camera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lens assembly mounted on the AF carrier; and an image senso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ens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AF 및 OIS를 구현하는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배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구조와 형상을 더욱 공간 집약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모바일 단말의 소형화 등에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the magnet and the coil implementing AF and OIS, the overall structure and shape of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a more space-intensive form, thereby minimizing the overall size. Of course, it can be further optimized for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이동체를 물리적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 형상 및 구조의 개선을 통하여 각 방향별 탄성 지지에 대한 탄성 계수가 차등화되도록 함으로써 각 방향별 선형 이동이 더욱 독립적으로 구현됨은 물론, 각 방향별 선형 이동의 정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elastic body that physically elastically supports the moving body, the elastic modulus for the elastic support in each direction is differentiated, so that the linear movement in each direction is more independen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precision of linear movement in each direction.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체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장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더욱 안정적인 구동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external shock transmitted to the elastic body, thereby improving device durability and providing more stable driving performanc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 제1OIS캐리어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탄성체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1OIS캐리어, 제2OIS캐리어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2탄성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OIS캐리어, AF캐리어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AF탄성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외부의 전원이 내부의 AF코일로 인가되는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마그네트들과 코일들 사이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돌출부 및 수용부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se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the matters.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ctuator for a camera and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 base, a first OIS carrier, and a first elastic body interconnect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 first OIS carrier, a second OIS carrier, and a second elastic body interconnect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OIS carrier, an AF carrier, and an AF elastic body interconnect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in which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an internal AF coil;
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magnets and coils;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the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이하 '액추에이터'라 지칭한다)(100)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OIS 및 AF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ctu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ctuator') 100 for a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amera module 1000 including the same. 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ir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nd specific embodiments of OIS and A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 및 카메라 모듈(1000)은 OIS와 AF가 함께 구현된 실시예이나,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 등은 실시형태에 따라서 OIS만을 위한 액추에이터(100)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ctuator 100 and camera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an embodiment in which OIS and AF are implemented together, but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etc. is an actuator 100 for only O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as

도 1 등에 도시된 Z축 방향은 렌즈조립체(50)로 빛이 유입되는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AF캐리어(140)가 진퇴 이동하는 방향에 해당한다.The Z-axis direction shown in FIG. 1 is an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ntroduced into the lens assembly 50 and correspond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AF carrier 14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1 등에 도시된 X축 및 Y축은 광축(Z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상의 두 방향으로서 손떨림에 의한 흔들림이 보상되도록 OIS 구동에 의하여 렌즈조립체(50)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에서 X축 방향을 제1방향으로, Y축 방향을 제2방향으로 지칭하나, 이는 상대적 관점에 따른 하나의 예시일 뿐,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이 제1방향이며 나머지 하나의 방향이 제2방향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X-axis and Y-axi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are two directions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Z-axis) direction, and the lens assembly 50 is moved by OIS driving to compensate for shaking caused by hand shake.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X-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ccording to a relative point of view, and any one of the X-axis and the Y-axis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Of course, one direction may be the second direction.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는 베이스(110), 제1OIS캐리어(120), 제2OIS캐리어(130), AF캐리어(140), 제1탄성체(200), 제2탄성체(300) 및 AF탄성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10, a first OIS carrier 120, a second OIS carrier 130, an AF carrier 140, a first elastic body 200, a second elastic body 300 and the AF elastic body 150 may be included.

베이스(110)는 본 발명에 의한 액추에이터(100)의 기본 프레임 구조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조립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110-1) 및 하우징으로 기능하는 가이드 베이스(110-2)로 이원화될 수 있으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단일 객체인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쉴드 캔(shield can)으로 기능하는 케이스(192)가 베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ase 110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frame structure of the actu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ssembly process, as shown in FIG. 1 , the guide serves as the main base 110-1 and the housing. It may be dualized as the base 110 - 2 ,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object, which is an integral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course, the case 192 functioning as a shield can may be coupled to the bas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F캐리어(140)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진퇴 이동하는 이동체로서 AF캐리어(14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액추에이터(100) 후단(광축 방향 기준)에 구비된 CCD(Charged-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촬상소자(미도시)와 렌즈조립체(50) 사이의 초점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자동 초점 기능이 구현된다.The AF carrier 140 is a moving object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the AF carrier 140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CCD (Charged-coupled Device), CMOS (Charged-coupled Devic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actuator 100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 autofocus function is implemented by adjusting a focal length between an imag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and the lens assembly 50 .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가 OIS만을 구현하는 경우 렌즈조립체(50)는 후술되는 제2OIS캐리어(130)에 탑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가 AF 및 OIS를 함께 통합적으로 구현하는 경우 렌즈조립체(50)는 AF캐리어(140)에 탑재될 수 있다.When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only OIS, the lens assembly 50 may be mounted on a second OIS carrier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AF and OIS together. In this case, the lens assembly 50 may be mounted on the AF carrier 14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F캐리어(140)는 제2OIS캐리어(130)와 AF탄성체(150)를 통하여 상호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탄성 지지되며, AF캐리어(14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구동부(160)의 구동이 종료되면 판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AF탄성체(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As shown in FIG. 1, the AF carrier 14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being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OIS carrier 130 and the AF elastic body 150, and the AF driving unit ( When the driving of 160) is finished, it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F elastic body 150 having a leaf spring shape.

본 발명의 제1OIS캐리어(120)는 제1방향의 OIS가 구동되는 경우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점에서 제1OIS캐리어(120)는 이동체에 해당하며,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베이스(110)는 고정체에 해당한다.The first OIS carri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when the OIS in the first direction is driven. In this respect, the first OIS carrier 120 corresponds to a movable body, and in a corresponding point of view, the base 110 corresponds to a fixed body.

제1OIS구동부(170)는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제1OIS캐리어(120)를 제1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외부제어신호 또는 감지된 신호 체계 등을 이용하여 제1OIS캐리어(120)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 압전소자, 초소형 정밀 기계 시스템(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등 다양한 적용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OIS driving unit 170 is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first OIS carrier 120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and the first OIS carrier 120 is driven using an external control signal or a sensed signal system. Of course, if it can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hape memory alloy (SMA), piezoelectric element, and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다만, 장치 소형화, 소비전력, 소음 억제, 공간 활용, 선형적 이동 특성, 정밀 제어 등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제1OIS구동부(170)는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적용하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되는 제2OIS구동부(180) 및 AF구동부(160) 또한, 이와 같다.However,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device miniaturization, power consumption, noise suppression, space utilization, linear movement characteristics, precision control, etc., the first OIS driving unit 17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pply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coil. desirable. The second OIS driving unit 180 and AF driving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are also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1OIS구동부(170)는 이동체인 제1OIS캐리어(120)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171) 및 고정체인 베이스(110) 측에 구비되는 제1OIS코일(17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OIS driving unit 17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magnet 171 provided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as a moving body and a first OIS coil provided at the side of the base 110 as a fixed body ( 172) may be included.

실시형태에 따라서 홀센서 등과 같은 감지 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홀센서 등과 같은 감지 센서(미도시)가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 방향과 그 크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 드라이버(미도시)로 전송하면 구동 드라이버(미도시)는 이에 대응하는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제1OIS코일(172)에 인가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such as a Hall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in this case,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such as a Hall sensor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size of movement due to hand shake to the driving driver ( When transmitted to the first OIS coil 172 ), the driving driver (not shown) controls power of the corresponding magnitude and direction to be applied to the first OIS coil 172 .

제1OIS코일(172)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OIS코일(172)은 제1OIS캐리어(120)에 설치된 제1마그네트(171)에 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제1OIS캐리어(12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한다. 홀센서의 감지 및 구동드라이버의 프로세싱은 피드백 제어를 통하여 순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OIS coil 172, the first OIS coil 172 generates a magnetic force in the first magnet 171 installed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first OIS carrier 120 is formed by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move in the first direction. Of course, the sensing of the hall sensor and the processing of the driving driver may be cyclically performed through feedback control.

본 발명의 제2OIS캐리어(130)는 제2방향의 OIS가 구동되는 경우 제1OIS캐리어(120)를 기준으로 제2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2OIS캐리어(130)는 이동체에 해당하며,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제1OIS캐리어(120)는 고정체에 해당한다. Since the second OIS carrie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OIS carrier 120 when the OIS in the second direction is driven, the second OIS carrier 130 corresponds to a movable body, and a corresponding viewpoint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corresponds to the fixed body.

본 발명의 제1OIS캐리어(120)는 이러한 점에서 베이스(110)와의 관계에서는 이동체에 해당하나, 제2OIS캐리어(130)와의 관계에서는 고정체에 해당한다.In this regard, the first OIS carri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movable body in relation to the base 110 , but corresponds to a fixed body in relation to the second OIS carrier 130 .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1OIS구동부(170)의 구동에 의하여 제1OIS캐리어(120)가 이동하는 경우 제2OIS캐리어(130)는 제1OIS캐리어(120)에 탑재되어 있고 해당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물리적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OIS캐리어(130) 또한, 제1OIS캐리어(120)와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OIS carrier 120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first OIS driving unit 170, the second OIS carrier 130 is mounted on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movemen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suppressed. Since the physical guide is formed, the second OIS carrier 130 also moves together with the first OIS carrier 120 in the first direction.

그러나 제2OIS캐리어(130)는 제1OIS캐리어(120)를 기준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이므로 제2OIS캐리어(13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OIS캐리어(120)는 이동하지 않는다.However, since the second OIS carrier 130 is a movable body that moves with respect to the first OIS carrier 120 , when the second OIS carrier 13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OIS carrier 120 does not move.

한편, 렌즈조립체(50)가 탑재되는 AF캐리어(140)가 제2OIS캐리어(130)에 설치되는 실시예의 경우, AF캐리어(140)는 제2OIS캐리어(130)를 기준으로 광축 방향으로만 독립적으로 이동하므로 제1 또는 제2방향의 OIS가 구동되는 경우 렌즈조립체(50) 또한,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AF carrier 140 on which the lens assembly 50 is mounted is install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 the AF carrier 140 is independent on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OIS carrier 130 . Therefore, when the OIS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is driven, the lens assembly 50 also moves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제2OIS구동부(180)는 제1OIS캐리어(120)를 기준으로 제2OIS캐리어(130)를 선형 이동시키는 구성으로서, 앞서 제1OIS구동부(17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이유로 제2마그네트(181)와 제2OIS코일(18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OIS driver 180 is configured to linearly move the second OIS carrier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OIS carrier 120 , and for the same reason as described in the first OIS driver 170 , the second magnet 181 and the second OIS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coil (182).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OIS코일(172), 제2OIS캐리어(130) 등은 가이드 베이스(110-2) 등에 결합되는 회로기판(193)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OIS coil 172 , the second OIS carrier 130 , etc.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being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93 coupled to the guide base 110 - 2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베이스(110)를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OIS캐리어(120) 및 관련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related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본 발명의 제1OIS캐리어(120)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OIS캐리어(120)에는 제1OIS구동부(170)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마그네트(171)가 구비된다.The first OIS carri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the base 110, moves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nd constitutes a first OIS driving unit 170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One or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171 are provid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71)는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상의 제1요크프레임(173)을 통하여 제1OIS캐리어(12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물리적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1마그네트(171)의 외측 및 내측 모두가 노출되는 상태로 제1마그네트(171)가 제1OIS캐리어(120)에 탑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first magnet 17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first OIS carrier 120 through the first yoke frame 173 having an open center portion. Through this configuration, physical durability can be increased, and the first magnet 171 can be mounted on the first OIS carrier 120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irst magnet 171 are exposed.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1마그네트(171)는 그 외측방향으로 베이스(110)에 구비되는 제1OIS코일(172)에 물리적 장애물 없이 더욱 근접하여 대면할 수 있고, 그 내측 방향으로는 AF캐리어(140)에 구비되는 AF코일(161)에 물리적 장애물 없이 더욱 근접하여 대면할 수 있어 구동 효율성을 동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magnet 171 can face the first OIS coil 172 provided on the base 110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out a physical obstacle, and face the AF carrier ( It is possible to face the AF coil 161 provided in 140 in closer proximity without a physical obstacle, thereby simultaneously improving driving efficiency.

후술되는 바와 같이 AF캐리어(140)의 외주에는 AF코일(161)이 권선되는 형태 등으로 구비되며 AF코일(161)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AF캐리어(140) 외측에 위치하는 제1마그네트(171)와의 관계에서 구동력이 발생하여 AF캐리어(140)가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F coil 161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F carrier 140 in such a way that it is wound, and when power of an appropriate size an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AF coil 161, the AF coil 161 is located outside the AF carrier 140 . A driving force is generated in relation to one magnet 171 so that the AF carrier 140 is linearly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러한 점에서 제1마그네트(171)는 제1OIS구동부(170)로서의 기능과 AF구동부(160)로서의 기능을 동시적으로 구현한다. 후술되는 제2마그네트(181) 또한, 그러하다.In this respect, the first magnet 171 simultaneously implements the function as the first OIS driving unit 170 and the function as the AF driving unit 160 . The second magnet 181 to be described later is also the s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마그네트(171) 및 제2마그네트(181)를 OIS기능과 AF기능 모두를 구현하는 공통 객체로 활용함으로써, OIS를 위한 마그네트와 AF를 위한 마그네트를 각각 구비해야 하는 종래 장치와 대비하여 공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first magnet 171 and the second magnet 181 as a common object implementing both the OIS function and the AF function, so that a magnet for OIS and a magnet for AF must be provided respectively. By contrast, space utiliz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제1탄성체(200)는 전체적으로 입설(立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베이스(110)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1OIS캐리어(120)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OIS캐리어(120)의 제1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한다.The first elastic bod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all standing shape, one end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1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first OIS It elastically supports movement of the carrier 120 in the first direction.

제1탄성체(200)는 제1OIS캐리어(120)와 베이스(110) 사이의 물리적 탄성 지지력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2개의 쌍[(200-1, 200-2),(200-3, 200-4)]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200 has two pairs [(200-1) provided on each side facing each other as exemplified in FIG. 2 so that the physical elastic support force between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base 110 is effectively implemented. , 200-2), (200-3, 200-4)].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1탄성체(200)는 전체적으로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10)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1단부(210), 상기 제1OIS캐리어(120)에 고정되는 제2단부(220) 및 이들 제1단부(210) 및 제2단부(220)를 상호 연결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230-A, 230-B, 230-C)를 포함하는 제1레인파트(first lane part)(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elastic body 2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all thin plate shape, a first end 210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10, and the first OIS carrier 120 . The second end 220 fixed to the , and the first end 210 and the second end 220 interconnecting the first including at least one bent portion (230-A, 230-B, 230-C)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ane part 230 .

또한, 제1탄성체(200)는 자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광축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탄성체(200)의 제2단부(220)는 제1단부(210)보다 외측으로 편향된 위치(D1)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body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overall shape is asymmetrical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furthermore, the second end 22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is the second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position D1 biased outward than the first end 210 .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1OIS캐리어(120)의 제1방향(X축 방향) 이동에 대한 탄성 지지는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1OIS캐리어(120)가 제2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유동하는 현상은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support for the movement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i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can be induced to be smooth and flexibl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OIS carrier 120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or The flow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즉, 상기와 같이 제1탄성체(200)의 형상과 구조를 구현하는 경우 제1방향의 이동에 대한 탄성계수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최소화될 수 있으며 제2방향 등의 이동에 대한 탄성계수는 더욱 강화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are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odulus for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minimized within an appropriate range, and the elastic modulus for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is further strengthened. can be

이러한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도록 각 측면에 구비되는 제1탄성체(200) 쌍(200-1, 200-2)은 광축과 대응되는 방향 축을 기준으로 서로 상반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is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astic body 200 pairs 200-1 and 200-2 provided on each side have opposite shape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xis.

조립 공정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1탄성체(200)의 제1단부(210)에 형성된 통공(211)은 베이스(110)에 형성된 돌기(111)에 끼움 결합되며, 제1탄성체(200)의 제2단부(220)에 형성된 통공(221)은 제1OIS캐리어(120)에 형성된 돌기(121)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11 formed in the first end 21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is fitted to the protrusion 111 formed in the base 110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ssembly process, etc., and the first elastic body 200 of the The through hole 221 formed in the second end 220 may be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protrusion 121 formed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OIS캐리어(120)를 기준으로 광축(Z축) 및 상기 제1방향(X축 방향) 모두와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2OIS캐리어(130) 및 관련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mov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optical axis (Z-axis) and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OIS carrier 120 . The second OIS carrier 130 and relat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2OIS캐리어(130)는 제1OIS캐리어(120) 상부(광축 기준)에 위치하며, 제2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에 해당한다. The second OIS carrier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the first OIS carrier 120 (based on the optical axis), and corresponds to a movable body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제2OIS구동부(180)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2마그네트(181)가 제2OIS캐리어(130)에 구비되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방향별 자기력의 상호 간섭 등과 같은 상호 영향력이 최소화되도록 제2마그네트(181)는 제1마그네트(171)와 직교하는 방향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or a plurality of second magnets 181 constituting the second OIS driving unit 180 are provid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and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mutual influence such as mutual interference of magnetic forces in each direction is minimized. The second magnet 181 is preferably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agnet 171 .

본 발명의 제2마그네트(181)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앞서 기술된 제1마그네트(171)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형상의 제2요크프레임(183)을 통하여 제2OIS캐리어(130)에 탑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agnet 18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4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OIS carrier 130 through the second yoke frame 183 having an open shape in the middle like the first magnet 171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to be mounted.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2마그네트(181)는 그 외측방향으로 베이스(110)에 구비되는 제2OIS코일(182)에 물리적 장애물 없이 더욱 근접하여 대면할 수 있고, 그 내측 방향으로는 AF캐리어(140)에 구비되는 AF코일(161)에 물리적 장애물 없이 더욱 근접하여 대면할 수 있어 구동 효율성을 동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magnet 181 can face the second OIS coil 182 provided on the base 110 in an outward direction without a physical obstacle, and face the AF carrier ( It is possible to face the AF coil 161 provided in 140 in closer proximity without a physical obstacle, thereby simultaneously improving driving efficiency.

그러므로 제1마그네트(171)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제2마그네트(181) 또한, 제2OIS구동부(180)로서의 기능과 AF구동부(160)로서의 기능을 동시적으로 수행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magnet 171 , the second magnet 181 also performs the function as the second OIS driving unit 180 and the function as the AF driving unit 160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제2탄성체(300)는 일단이 상기 제1OIS캐리어(120)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2OIS캐리어(130)의 측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OIS캐리어(130)의 제2방향(Y축 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한다.The second elastic bod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IS carrier 130 . It elastically supports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제2탄성체(300) 또한, 제1탄성체(200)와 같이 제1OIS캐리어(120)와 제2OIS캐리어(130) 사이의 물리적 탄성 지지력이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2개의 쌍[(300-2, 300-3),(300-1, 300-4)]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body 300 also, like the first elastic body 200, each side facing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4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physical elastic support force between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second OIS carrier 130 . It can be implemented as two pairs [(300-2, 300-3), (300-1, 300-4)] provided in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탄성체(300)는 전체적으로 얇은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OIS캐리어(1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3단부(310), 상기 제2OIS캐리어(130)에 고정되는 제4단부(320) 및 이들 제3단부(310) 및 제4단부(320)를 상호 연결하며 하나 이상의 절곡부(330-A, 330-B, 330-C)를 포함하는 제2레인파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elastic body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in plate-like shape as a whole, and a third end 310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the second OIS carrier ( A fourth end 320 fixed to 130 and interconnecting the third end 310 and the fourth end 320 and including one or more bent portions 330-A, 330-B, 330-C The second lane part 330 may be included.

또한, 제2탄성체(300)는 자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광축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가 상호 비대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제2탄성체(300)의 제4단부(320)는 제3단부(310)보다 내측으로 편향된 위치(D)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body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verall shape thereof is asymmetric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further, the fourth end 320 of the second elastic body 300 is the first It can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position (D) biased inward than the third end (310).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2OIS캐리어(130)의 제2방향(Y축 방향) 이동에 대한 탄성 지지는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2OIS캐리어(1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유동하는 현상은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support for the second direction (Y-axis direction) movement of the second OIS carrier 130 may be induced to be smooth and flexible,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OIS carrier 130 may move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flow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more effectively.

조립 공정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제2탄성체(300)의 제3단부(310)에 형성된 통공(311)은 제1OIS캐리어(120)에 형성된 돌기(121)에 끼움 결합되며, 제2탄성체(300)의 제4단부(320)에 형성된 통공(321)은 제2OIS캐리어(130)에 형성된 돌기(131)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311 formed in the third end 310 of the second elastic body 300 is fitted to the projection 121 formed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ssembly process, and the second elastic body 300 ), the through hole 321 formed in the fourth end 320 may be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protrusion 131 form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제2OIS캐리어(130), AF캐리어(140)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AF탄성체(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AF캐리어(14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6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OIS carrier 130, the AF carrier 140, and the AF elastic body 150 interconnecting th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F carri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e lik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F캐리어(140)는 제2OIS캐리어(130)의 내측 공간에서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구성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6 , the AF carrier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linearly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OIS carrier 130 .

본 발명의 AF탄성체(150)는 외측에 구비된 파트 중 일부가 상기 제2OIS캐리어(13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내측에 구비된 파트 중 일부가 상기 AF캐리어(14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AF캐리어(140)의 광축 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한다.In the AF elastic body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arts provided on the outside ar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IS carrier 130 , and some of the parts provided on the inside ar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F carrier 140 .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AF carrier 140 .

AF캐리어(140)의 외주 부분에는 AF코일(161)이 구비되며, 이 AF코일(161)에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AF코일(161)의 바깥 둘레 방향에 위치하는 제1마그네트(171)(제1OIS캐리어(120)에 구비) 및 제2마그네트(181)(제2OIS캐리어(130)에 구비)와 AF코일(161) 사이에 자기력이 발생되어 AF캐리어(14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An AF coil 161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F carrier 140, and when power of an appropriate size and direction is applied to the AF coil 161, a first magnet position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F coil 161 ( 171) (provided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second magnet 181 (provid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and the AF coil 161,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AF carrier 1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ll move

AF캐리어(140)의 물리적 탄성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광축 방향 선형 이동이 효과적으로 유도되도록 AF캐리어(140)와 제2OIS캐리어(130)를 상호 연결하는 AF탄성체(150)는 상부AF탄성체(150-1) 및 하부AF탄성체(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F elastic body 150 interconnecting the AF carrier 140 and the second OIS carrier 130 to improve the physical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AF carrier 140 and to effectively induce linear movem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an upper AF elastic body 150-1. and a lower AF elastic body 152 .

하부AF탄성체(152)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하부AF탄성체(152-1) 및 제2하부AF탄성체(152-2)로 이원화될 수 있다. The lower AF elastic body 152 may be dualized into a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and a second lower AF elastic body 152-2, as will be described later.

조립 공정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부AF탄성체(151) 및 하부AF탄성체(152)에 형성된 제1홀(153)을 제2OIS캐리어(130)에 형성된 제1결합부(137)에 결합시키고 상부AF탄성체(151) 및 하부AF탄성체(152)에 형성된 제2홀(155)을 AF캐리어(140)에 형성된 제2결합부(147)에 끼움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AF탄성체(150)를 AF캐리어(140)와 제1OIS캐리어(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assembly process, etc., the first hole 153 formed in the upper AF elastic body 151 and the lower AF elastic body 15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37 form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and the upper AF is performed. The AF elastic body 150 is connected to the AF carrier 140 by fitting the second hole 155 formed in the elastic body 151 and the lower AF elastic body 152 to the second coupling part 147 formed in the AF carrier 140 . ) and the first OIS carrier 120 .

도 6에 도시된 참조부호 194는 일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제2OIS캐리어(130)에 구비되는 제1인서트프레임이며, 참조부호 159-1은 제1하부AF탄성체(152-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접속부이며, 참조부호 159-2는 제2하부AF탄성체(152-2)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2접속부이다.Reference numeral 194 shown in FIG. 6 denotes a first insert frame provid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with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reference numeral 159-1 denotes a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It is a first connection part formed at one end, and reference numeral 159-2 denotes a second connection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ower AF elastic body 152-2.

이하에서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외부의 전원이 내부의 AF코일(161)로 인가되는 전기적 연결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internal AF coil 16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like.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탄성체(200)는 베이스(110)와 제1OIS캐리어(120)를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며, 제1탄성체(200)의 제1단부(210)는 액추에이터(100)의 가장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베이스(110)와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bod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ase 110 and the first OIS carrier 120 , and the first end 21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is the actuator 100 . ) is coupled to the base 110 located at the lowest part of the.

그러므로 상기 제1탄성체(200)의 제1단부(210)와 외부 전원을 인터페이싱하는 경우 전기적 연결을 위한 특별한 구조를 추가하지 않고도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case of interfacing the first end 21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is possible without adding a special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한편, 제1탄성체(200)의 제2단부(220)는 제1OIS캐리어(120)에 고정되는 파트이며, 본 발명의 제2탄성체(300) 중 제3단부(310) 또한, 제1OIS캐리어(120)에 고정되는 파트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nd 22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is a part fixed to the first OIS carrier 120, the third end 310 of the second elastic bod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the first OIS carrier ( 120) is a part that is fixed to the

그러므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부(220) 또는 제3단부(310) 중 하나 이상을 절곡된 형상 등으로 구현하는 경우 제1탄성체(200) 제2단부(220)와 제2탄성체(300)의 제3단부(310)를 자연스럽게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mplemen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end 220 or the third end 310 in a bent shape, etc. as shown in FIGS. 4 and 7 , the first elastic body 200, the second end 220 and the second end The third end 310 of the two elastic body 300 may be natur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부AF탄성체(152-1)의 일단에는 절곡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접속부(159-1)가 구비되므로 이 제1접속부(159-1)와 제2탄성체(300)의 제3단부(310) 또는 제4단부(320)를 상호 대접하게 구성하는 경우 제1하부AF탄성체(152-1)와 제2탄성체(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a first connection part 159-1 having a bent shap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so the first connection part 159-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re provided. When the third end 310 or the fourth end 320 of 300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entertaining,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1하부AF탄성체(152-1)의 안쪽 부분은 AF캐리어(14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AF캐리어(140)에는 AF코일(161)이 권선되어 있으므로 제1하부AF탄성체(152-1)와 AF코일(161)은 간단한 배선 구조만으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inn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AF carrier 140, and the AF coil 161 is wound around the AF carrier 140, so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 and the AF coil 1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with a simple wiring structure.

전기적 연결에 대한 구조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순서로 설명하면, 외부 전원 → 제1탄성체(200)의 제1단부(210) → 제1탄성체(200)의 제2단부(220) → 제2탄성체(300)의 제3 또는 제4단부(310, 320) → 제1하부AF탄성체(152-1)의 제1접속부(159-1) → 제1하부AF탄성체(152-1) → AF코일(161)의 순서가 된다.When the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described in ord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external power source → the first end 21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 the second end 22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 the second elastic body ( 300) of the third or fourth ends 310 and 320 → the first connection part 159-1 of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 AF coil 161 ) is the order of

실시형태에 따라서 액추에이터(100)의 내구성 증진 등을 위한 인서트 구조체가 추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인서트프레임(194-1)의 끝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이 노출된 부분을 제2탄성체(300)의 제4단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 insert structure for enhancing durability of the actuator 100 may be added.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insert frame 194-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exposed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elastic body.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end 320 of the 300 .

그러므로 제1인서트프레임(194-1)이 추가되는 실시형태의 경우, 전기적 연결은 외부 전원 → 제1탄성체(200)의 제1단부(210) → 제1탄성체(200)의 제2단부(220) → 제2탄성체(300)의 제3단부(310) → 제2탄성체(300)의 제4단부(320) → 제1인서트프레임(194-1)의 단부 → 제1하부AF탄성체(152-1)의 제1접속부(159-1) → 제1하부AF탄성체(152-1) → AF코일(161)의 순서가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insert frame 194-1 is adde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external power → the first end 21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 the second end 22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 → the third end 310 of the second elastic body 300 → the fourth end 320 of the second elastic body 300 → the end of the first insert frame 194-1 →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 The first connection part 159-1 of 1) → the first lower AF elastic body 152-1 → the AF coil 161 is in the order.

이러한 전기적 연결 구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제1탄성체(200)의 제2단부(220)와 제2탄성체(300)의 제3단부(310)는 제1OIS캐리어(120)의 동일한 모서리 부분에 함께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is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the second end 220 of the first elastic body 200 and the third end 310 of the second elastic body 300 are at the same corner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together.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so that it is arranged.

위에서 설명된 전기적 연결구조와 대응되는 구조를 이원화시킴으로써 AF코일(161)과 양-전원 및 음-전원(그라운드 전원)은 하나의 폐회로(closed circuit/loop)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By dualizing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AF coil 161 and the positive-power and negative-power (ground power) can form a single closed circuit/loop.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트들과 코일들 사이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magnets and co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100)에서 가장 외곽 부분에는 제1OIS구동부(170)를 구성하는 제1OIS코일(172) 및 제2OIS구동부(180)를 구성하는 제2OIS코일(182)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전원 연결이 요구되는 구성이 가장 바깥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싱이 더욱 간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outermost part of the actu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IS coil 172 constituting the first OIS driving unit 170 and the second OIS coil 182 constituting the second OIS driving unit 180 are formed. this is plac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figuration requiring power connection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portion, interfacing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more easily implemented.

X축 방향(제1방향)의 손떨림 보정은 제1OIS코일(172)과 제1마그네트(171) 사이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구현되며, Y축 방향(제2방향)의 손떨림 보정은 제2OIS코일(182)과 제2마그네트(181) 사이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구현된다.The hand shake correction in the X-axis direction (first direction) is implement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OIS coil 172 and the first magnet 171, and the hand shake cor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second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OIS coil. It is implement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182) and the second magnet (18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내측에 위치한 AF캐리어(140)에 AF코일(161)이 위치하며, 앞서 기술된 제1OIS코일(172) 및 제2OIS코일(182)과 AF코일(161) 사이에 제1마그네트(171) 및 제2마그네트(181)가 위치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AF coil 161 is positioned in the innermost AF carrier 140, and the first OIS coil 172 and the second OIS coil 182 and the AF coil 161 described above. A first magnet 171 and a second magnet 181 are positioned.

AF는 AF코일(161)과 제1 및 제2마그네트(171, 181) 사이의 자기력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71) 및 제2마그네트(181)는 각각 X축 방향의 OIS 및 Y축 방향의 OIS를 구현하는 객체임과 동시에 AF를 구동하는 객체에 해당한다.Since the AF is driven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AF coil 161 and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171 and 181, the first magnet 171 and the second magnet 181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OIS and It is an object that implements OIS in the Y-axis direction and an object that drives A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OIS 및 AF를 구현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코일들 사이에 마그네트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OIS 및 AF의 구현을 위하여 마그네트들이 공유되도록 함으로써 전자계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 등에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magnets are disposed between different types of coils implementing OIS and AF, and by allowing the magnets to be shared for implementation of OIS and AF, the electromagnetic field configuration can be more simply implemented, such as device miniaturization, etc. can be further optimiz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돌출부(123, 125) 및 수용부(113, 126)에 대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ojections (123, 125) and the receiving portion (113, 126)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OIS캐리어(120)는 제1탄성체(200)에 의하여 베이스(110)에 탄성 지지되며, 제2OIS캐리어(130)는 제2탄성체(300)에 의하여 제1OIS캐리어(120)에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first OIS carrier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base 110 by the first elastic body 200 , and the second OIS carrier 13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first OIS carrier 120 by the second elastic body 300 . It has a supported structure.

그러므로 제1OIS캐리어(120)는 베이스(110)와 물리적으로 대면하되 이격되어 있고, 제2OIS캐리어(130)는 제1OIS캐리어(120)와 물리적으로 대면하되 이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first OIS carrier 120 physically faces the base 110 but is spaced apart, and the second OIS carrier 130 physically faces the first OIS carrier 120 bu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즉, 제1OIS캐리어(120)는 제1탄성체(200)에 의하여, 제2OIS캐리어(130)는 제2탄성체(300)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이 제1탄성체(200) 또는 제2탄성체(300)에 가해져 제1탄성체(200) 또는 제2탄성체(300)에 물리적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정상적인 기능이 구현되기 어렵게 된다.That is, since the first OIS carrier 120 is phys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body 200 and the second OIS carrier 130 is phys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body 300 , external shocks or vibrations are prevented from the first elastic body. (200) or the second elastic body 300 is applied to the physical deformation occurs in the first elastic body 200 or the second elastic body 300, it becomes difficult to implement a normal function.

본 발명의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제1OIS캐리어(120)와 베이스(110) 사이의 대면 부분 및/또는 제2OIS캐리어(130)와 제1OIS캐리어(120) 사이의 대면 부분에 오목/볼록 등과 같은 물리적 구조를 통하여 외부 충격 등이 제1탄성체(200) 및 제2탄성체(300)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is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IS carrier 120 and the facing portion between the base 110 and / or the second OIS carrier 130 and the first OIS carrier 120 in the facing portion between the concave / convex, etc. Through the same physical structure,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ffect of external impact on the first elastic body 20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300 is minimized.

이를 위하여 베이스(110)의 상부 또는 제1OIS캐리어(120)의 하부 중 하나에는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돌출부(123)가 구비되며 이 경우, 베이스(110) 또는 제1OIS캐리어(120) 중 제1돌출부(123)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는 제1돌출부(123)와 대면하거나 또는 제1돌출부(123)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부(113)가 구비된다.To this end, a first protrusion 123 having a shape protru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110 or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 In this case, the base 110 or the first OIS carrier 120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3 facing the first protruding part 123 o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ding part 123 is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120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first protruding part 123 .

대응되는 관점에서 제1OIS캐리어(120)의 상부 또는 제2OIS캐리어의 하부 중 하나에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부(125)가 구비되며 이 경우 제1OIS캐리어(120)의 상부 또는 제2OIS캐리어(130)의 하부 중 상기 제2돌출부(125)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는 제2돌출부(125)와 대면하거나 제2돌출부(12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부(135)가 구비된다.From a corresponding point of view, a second protrusion 125 having a shape protru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IS carrier. 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OIS carrier 120 is provided. Alternatively,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facing the second protrusion 125 o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125 in the other one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OIS carrier 130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second protrusion 125 ( 135) is provided.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서, 광축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제1OIS캐리어(120)에 제1돌출부(123) 및 제2돌출부(125) 모두가 구비된 실시예이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is, in which both the first protrusion 123 and the second protrusion 125 are provided in the first OIS carrier 120 position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Yes.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돌출부(123)와 대면하거나 제1돌출부(1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부(113)가 베이스(110)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125)와 대면하거나 제2돌출부(125)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부(135)가 제2OIS캐리어(130)에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3 facing the first protrusion 123 o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123 is formed on the base 110 side, and the second protrusion 125 ) facing o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sion 125 is formed in the second OIS carrier 13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낙하 등에 의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돌출부(123, 125)에 Z축 방향의 외력이 먼저 도달하여 외부 충격이 흡수 내지 분산되므로 동일한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입설된 형상의 제1탄성체(200) 및 제2탄성체(3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외부 응력이 누적되는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by falling, etc., the external force in the Z-axis direction first reache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23 and 125 protruding in the Z-axis direction, so that the external shock is absorbed or dispersed, so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overcome a phenomenon in which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elastic body 20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Z-axis direction or external stress is accumulat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123, 125)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므로 이 부분에 액상 댐퍼가 도포되는 경우 일종의 물리적 차단벽으로 기능하여 액상 댐퍼가 분산되거나 흩어지는 등의 현상이 억제되는 효과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23 and 125 have a protruding shape, when the liquid damper is applied to this portion, it functions as a kind of physical barrier to prevent the dispersion or dispersal of the liquid damper. Effects can also be provid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only instrumental terms used to relatively distinguish between components, so they are used to indicate a specific order, priority, etc.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term that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ing examples thereof may be shown in a somewhat exaggerated form in order to emphasize or highlight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matters shown in the drawings, etc. It should be construed as apparent that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 application examples are possibl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this.

1000 :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100 : 액추에이터
110 : 베이스 110-1 : 메인베이스
110-2 : 가이드 베이스 113 : 제1수용부
120 : 제1OIS캐리어 123 : 제1돌출부
125 : 제2돌출부 130 : 제2OIS캐리어
135 : 제2수용부 140 : AF캐리어
150 : AF탄성체 151 : 상부AF탄성체
152 : 하부AF탄성체 160 : AF구동부
170 : 제1OIS구동부 171 : 제1마그네트
172 : 제2OIS코일 180 : 제2OIS구동부
181 : 제2마그네트 182 : 제2OIS코일
200 : 제1탄성체 210 : 제1단부
220 : 제2단부 230 : 제1레인파트
300 : 제2탄성체 310 : 제3단부
320 : 제4단부 330 : 제2레인파트
1000: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actuator
110: base 110-1: main base
110-2: guide base 113: first receiving part
120: first OIS carrier 123: first protrusion
125: second protrusion 130: second OIS carrier
135: second receiving unit 140: AF carrier
150: AF elastic body 151: upper AF elastic body
152: lower AF elastic body 160: AF driving part
170: first OIS driving unit 171: first magnet
172: 2nd OIS coil 180: 2nd OIS driving part
181: second magnet 182: second OIS coil
200: first elastic body 210: first end
220: second end 230: first rain part
300: second elastic body 310: third end
320: fourth end 330: second rain part

Claims (10)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광축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OIS캐리어;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OIS캐리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OIS캐리어의 제1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체;
상기 제1OIS캐리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광축 및 상기 제1방향 모두와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OIS캐리어; 및
일단이 상기 제1OS캐리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OIS캐리어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OIS캐리어의 제2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체 또는 제2탄성체 중 하나 이상은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가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 first OIS carrier positioned on the base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IS carri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movement of the first OIS carrier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OIS carrier positioned above the first OIS carrier and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optical axis and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second elastic body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OS carrier,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OIS carri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movement of the second OIS carrier in a second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second elastic body is an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symmetric shape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OIS캐리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 및
상기 AF캐리어 및 제2OIS캐리어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AF캐리어의 광축 방향 이동을 탄성 지지하는 AF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an AF carrier provided inside the second OIS carrier and mov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actuator for a camera further comprising an AF elastic body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F carrier and the second OIS carri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AF carri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OIS캐리어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제2OIS캐리어에 구비되는 제2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1마그네트의 외측과 대면하는 제1OIS코일;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2마그네트의 외측과 대면하는 제2OIS코일; 및
상기 AF캐리어의 외주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의 내측과 대면하는 AF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magnet provided on the first OIS carrier;
a second magnet provided on the second OIS carrier;
a first OIS coil provided on the base and facing the outside of the first magnet;
a second OIS coil provided on the base and facing the outside of the second magnet; and
The actuator for a camera,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F carrier and further comprises an AF coil facing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제1단부;
상기 제1OIS캐리어에 고정되되, 상기 제1단부보다 외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제2단부; 및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레인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elastic body,
a first end fixed to the base;
a second end fixed to the first OIS carrier and fixed to a position biased outward than the first end; and
An actuator for a camera comprising one or more bent parts and a rain part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제1OIS캐리어에 고정되는 제3단부;
상기 제2OIS캐리어에 고정되되, 상기 제3단부보다 내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제4단부; 및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부와 제4단부를 연결하는 레인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elastic body,
a third end fixed to the first OIS carrier;
a fourth end fixed to the second OIS carrier and fixed to a position biased inward than the third end; and
An actuator for a camera comprising one or more bent parts and a rain part connecting the third and fourth end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의 제3단부는,
상기 제1탄성체의 제2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hird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An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AF탄성체는,
상기 AF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탄성체의 제3단부 또는 제4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F elastic body,
The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F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nd or the fourth end of the second elastic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 또는 상기 제1OIS캐리어의 하부 중 하나에 구비되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 또는 상기 제1OIS캐리어의 하부 중 상기 제1돌출부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rotrusion provided on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and having a shape protrud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actuator for a camera,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accommodating part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or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OIS캐리어의 상부 또는 상기 제2OIS캐리어의 하부 중 하나에 구비되며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OIS캐리어의 상부 또는 상기 제2OIS캐리어의 하부 중 상기 제2돌출부가 구비되지 않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on one of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OIS carrier or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IS carrier and having a shape protrud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IS carrier or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OIS carrier where the second protrusion is not provided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ccommodating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otruding part. actuator.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상기 AF캐리어에 탑재되는 렌즈조립체; 및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조립체 후방에 구비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n actuator for a camer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9;
a lens assembly mounted on the AF carrie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image senso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ens assembly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KR1020190167414A 2019-12-16 2019-12-16 Actuator for camera KR102290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14A KR102290030B1 (en) 2019-12-16 2019-12-16 Actuator for camera
PCT/KR2020/009239 WO2021125481A1 (en) 2019-12-16 2020-07-14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14A KR102290030B1 (en) 2019-12-16 2019-12-16 Actuator for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47A true KR20210076347A (en) 2021-06-24
KR102290030B1 KR102290030B1 (en) 2021-08-17

Family

ID=7647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414A KR102290030B1 (en) 2019-12-16 2019-12-16 Actuator for camera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0030B1 (en)
WO (1) WO2021125481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685A (en) * 2013-07-17 2015-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50118005A (en) * 2014-04-11 2015-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60059564A (en) * 2014-11-18 2016-05-27 (주)옵티스 Ois camera module
KR20160089557A (en) * 2015-01-19 2016-07-28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Combined plate spring and camera lens module capable of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7492A (en) * 2011-06-09 2013-06-27 Panasonic Corp Lens actuator
KR102305996B1 (en) * 2014-08-14 2021-09-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991468B1 (en) * 2017-03-22 2019-09-3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Actu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685A (en) * 2013-07-17 2015-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50118005A (en) * 2014-04-11 2015-10-21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60059564A (en) * 2014-11-18 2016-05-27 (주)옵티스 Ois camera module
KR20160089557A (en) * 2015-01-19 2016-07-28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Combined plate spring and camera lens module capable of optical image stabilization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030B1 (en) 2021-08-17
WO2021125481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2611B2 (en) Lens driv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
KR102006946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CN105324711B (en) Camera module
CN105824168B (en) Lens moving device
KR102128839B1 (en) Camera module
KR20170007263A (en)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Terminal with Camera
KR102144490B1 (en) Camera module
CN209198746U (en) OIS actuator with integrated yoke
TW201804195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device
KR102524224B1 (en) Camera module with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eature
KR20170109767A (en) Lens driving device
KR20170076123A (en) Optical integrated actuator
KR102596542B1 (en) Camera module
KR102290030B1 (en) Actuator for camera
KR102302461B1 (en)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KR101609351B1 (en) Actuator for ois
KR102592911B1 (en) Camera Module
KR102265681B1 (en) Actuator for camera and camera module including it
KR102521104B1 (en) Camera module
KR102637776B1 (en) Camera module
CN218446243U (en) Optical system
CN214375732U (en) Lens driving mechanism
KR20170109766A (en) Lens driving device
KR20200102974A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