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266A -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266A
KR20210076266A KR1020190166862A KR20190166862A KR20210076266A KR 20210076266 A KR20210076266 A KR 20210076266A KR 1020190166862 A KR1020190166862 A KR 1020190166862A KR 20190166862 A KR20190166862 A KR 20190166862A KR 20210076266 A KR20210076266 A KR 2021007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urrent
pull solenoid
pul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975B1 (ko
Inventor
노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9016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9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9Testing of circuits in sensor or actuat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5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in I.C.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는,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및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와 연결된 제1 션트 저항 및 제2 션트 저항, 및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상기 제1 션트 저항, 및 상기 제2 션트 저항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로 푸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션트 저항을 통해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로 풀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션트 저항을 통해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MEHTOD FOR DIAGNOSING PUSH PULL SOLENOI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구비되는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 속도, 스로틀 밸브의 개도율, 및 차량의 상태 조건(예: 유온, 냉각수온, 흡기온, 공기량 등)에 따라 자동 변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푸시풀 솔레노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자동 변속기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기반하여 자동 변속기의 안정성을 결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5692호(2003.11.03 등록, 가변력 솔레노이드 밸브의 고장 진단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광 센서(photo sensor)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별도의 센서가 추가됨에 따라,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안(solution)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전자 장치는,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및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와 연결된 제1 션트 저항 및 제2 션트 저항, 및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상기 제1 션트 저항, 및 상기 제2 션트 저항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로 푸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션트 저항을 통해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로 풀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션트 저항을 통해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션트 저항을 이용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전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작동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 변화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전류 및 제2 전류에 기반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 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는 전류 변화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 제1 션트 저항(150), 및 2 션트 저항(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회로 및/또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IG(ignition) ON 신호가 수신되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진단하기 위해, 푸시 제어 명령을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로 송신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가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제1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제1 션트 저항(150)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션트 저항(150)을 이용하여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한 이후,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진단하기 위해, 풀 제어 명령을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로 송신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가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제2 전류를 공급하는 동안, 제2 션트 저항(160)을 이용하여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제1 션트 저항(150)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제1 전류와 제2 션트 저항(160)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제2 전류에 기반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진단할 수 있다.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는, 정상 상태에서 프로세서(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이 도 2의 (a)와 같으며, 비정상 상태에서 프로세서(1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경우, 공급되는 전류의 파형이 도 2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되는 전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된 제1 전류에서 도 2의 (a)와 같이, 전류가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모니터링된 제2 전류에서 도 2의 (a)와 같이, 전류가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류와 제2 전류 모두에서 감소되는 부분이 있거나, 또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고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고,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고착 상태였다가 제어 명령에 따른 푸시풀 솔레노이드(170)의 동작에 의해 정상 상태로 돌아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도 2의 (b)와 같이, 제1 전류와 제2 전류 모두에서 감소되는 부분이 없거나 또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지만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비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지만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이물질에 의해 고착되어 비정상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류를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푸시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푸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신호(예: 전류)를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풀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신호(예: 전류)를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션트 저항(150)은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푸시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되는 제1 전류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소자로서, 일측이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에 연결되고, 타측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션트 저항(160)은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풀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되는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자로서, 일측이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에 연결되고, 타측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푸시 제어 명령을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예: 도 1의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IG ON 신호가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푸시 제어 명령을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푸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푸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전류를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120)는 푸시 제어 명령을 송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션트 저항(150)을 통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되는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푸시 제어 명령을 송신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1 션트 저항(150)을 통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되는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120)는 풀 제어 명령을 푸시풀 솔레노이드 IC(14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푸시 제어 명령을 송신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에 응답하여, 풀 제어 명령을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로 송신할 수 있다.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14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풀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푸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2 전류를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할 수 있다.
동작 307에서, 프로세서(120)는 풀 제어 명령을 송신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션트 저항(160)을 통해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풀 제어 명령을 송신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제2 션트 저항(160)을 통해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로 공급되는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 309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 및 제2 전류에 기반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된 제1 전류에서 도 2의 (a)와 같이, 전류가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모니터링된 제2 전류에서 도 2의 (a)와 같이, 전류가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류와 제2 전류 모두에서 감소되는 부분이 있거나, 또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고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모니터링된 제1 전류에서 도 2의 (a)와 같이, 전류가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모니터링된 제2 전류에서 도 2의 (a)와 같이, 전류가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도 2의 (b)와 같이, 제1 전류와 제2 전류 모두에서 감소되는 부분이 없거나 또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지만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비정상 상태로 진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푸시풀 솔레노이드(170)의 동작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푸시풀 솔레노이드(170)의 동작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풀 솔레노이드(170)를 진단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1 전류 및 제2 전류에 기반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3의 동작 309에서, 제1 전류가 와 제2 전류에 기반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동작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션트 저항(150)을 통해 모니터링한 제1 전류를 미분함으로써, 기울기를 산출하고, 음의 값을 갖는 기울기가 산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 이후,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션트 저항(160)을 통해 모니터링한 제2 전류를 미분함으로써, 기울기를 산출하고, 음의 값을 갖는 기울기가 산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동작 405를 수행하고,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동작 4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405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 및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지만,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고착 상태였다가 정상 상태로 돌아온 것으로 판단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정상 상태인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정상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120)는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 및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으나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이물질 등에 의해 고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푸시풀 솔레노이드(170)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 1의 전자 장치(1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 전자 장치 150 : 제1 션트 저항
120 : 프로세서 160 : 제2 션트 저항
130 : 메모리
140 :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Claims (9)

  1. 푸시풀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및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와 연결된 제1 션트 저항 및 제2 션트 저항; 및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 상기 제1 션트 저항, 및 상기 제2 션트 저항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로 푸시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션트 저항을 통해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로 풀 제어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션트 저항을 통해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및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푸시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가 푸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전류를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IC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풀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가 풀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전류를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푸시 제어 명령이 송신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전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풀 제어 명령이 송신된 시점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전류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진단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거나 또는 상기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고 상기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정상 상태로 진단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거나 또는 상기 제1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있고 상기 제2 전류에 감소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를 비정상 상태로 진단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결과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166862A 2019-12-13 2019-12-13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62A KR102307975B1 (ko) 2019-12-13 2019-12-13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62A KR102307975B1 (ko) 2019-12-13 2019-12-13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66A true KR20210076266A (ko) 2021-06-24
KR102307975B1 KR102307975B1 (ko) 2021-10-05

Family

ID=7660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862A KR102307975B1 (ko) 2019-12-13 2019-12-13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9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868A (ko) * 2001-06-01 2002-12-11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검사시스템
US20030191597A1 (en) * 2001-04-09 2003-10-09 Burgett, Inc. Method of estimating solenoid heat accumulation and compensating for solenoid force loss
US20080007270A1 (en) * 2006-07-05 2008-01-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olenoid test device
KR101817519B1 (ko) * 2017-01-06 2018-01-11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1597A1 (en) * 2001-04-09 2003-10-09 Burgett, Inc. Method of estimating solenoid heat accumulation and compensating for solenoid force loss
KR20020091868A (ko) * 2001-06-01 2002-12-11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 밸브의 검사시스템
US20080007270A1 (en) * 2006-07-05 2008-01-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Solenoid test device
KR101817519B1 (ko) * 2017-01-06 2018-01-11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975B1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325B1 (ko)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단락, 단선결함 검출방법
EP2216626B1 (en) Sensor Apparatus
JP2010004617A (ja) 車載電子制御装置の電源異常検出回路
US11801812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32022B1 (ko) Ecu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07975B1 (ko) 푸시풀 솔레노이드의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7186068A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1888630B1 (ko) 제어 시스템에서 결함 코드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JP6267232B2 (ja) 負荷駆動回路
JP4584095B2 (ja) モータ駆動回路
JP2007291989A (ja) 負荷駆動系の異常診断装置
US20210179058A1 (en) Parking release monitor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KR102225748B1 (ko) 교통 정체 상황을 고려한 지능형 isg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47935B1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액추에이터 진단장치 및 그 방법
JP2005163706A (ja) アクチュエータ駆動系の異常診断装置
JP4820679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03294129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KR101001268B1 (ko) 솔레노이드 구동회로 및 에러진단 방법
JP2006195739A (ja) 電子制御装置
KR102329631B1 (ko) 진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5361873B2 (ja) 電気コンポーネントの状態を内燃機関のエンジン制御装置にフィードバッ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40042951A1 (en) Vehicle-Mounted Control Device
KR20200081584A (ko) Awd시스템의 유압시스템 점검방법 및 장치
KR10236750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위한 각도 센서 진단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787719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hutoff device for a device, in particula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or an electric machine, as well as a shutoff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