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140A -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 - Google Patents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140A
KR20210076140A KR1020217015691A KR20217015691A KR20210076140A KR 20210076140 A KR20210076140 A KR 20210076140A KR 1020217015691 A KR1020217015691 A KR 1020217015691A KR 20217015691 A KR20217015691 A KR 20217015691A KR 20210076140 A KR20210076140 A KR 2021007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cal channel
direc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priorit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얄리 자오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04W7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를 제공한다. 해당 자원 할당 방법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31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20181128818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통신 응용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롱 텀 에볼루션) 시스템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LCP(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의 처리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Step 0: 목적지(destination)를 선택하며;
구체적으로, 현재 사용가능한 데이터(data available)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LC에 대응하는 destination을 선택한다.
2) 각각의 MAC(Medium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 PDU(Protocol Data Unit,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 대해:
Step 1: Step 0에서 선택한 destination에 대응하는 data available 및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LC를 위해 자원을 할당한다.
Step 2: 만약 나머지 자원이 존재한다면, Step 0에서 선택한 destination에 대응하는 data available의 LC에 대해 자원을 전부 사용 완료할 때까지 또는 모든 LC에 모두 자원을 할당하였을때까지 내림차순으로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NR(New Radio, 뉴 라디오) 시스템에 대해, Uu 인터페이스의 LCP 가 고려해야 할 인소는 LCP restrictions으로 칭할 수 있으며, 즉 LCP 제한이며, 구체적으로:
시간 지연 요구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allowed SCS-List);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최대 지속 시간(max PUSCH-Duration) - 최대 지속 시간은 시간 지연 요구를 구현하기 위한 것임 -;
URLLC에 사용되며 타입 1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프리 구성 그랜트(configured Grant Type1 Allowed);및
사용을 허용하는 세빙 셀(allowed Serving Cells) - 세빙 셀은 duplication에 의해 인입되지만, duplication에만 사용되도록 한정되지 않음 -; 을 포함한다.
NR 시스템에 대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어떻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LCP 과정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현재 상응한 방안이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를 제공하여, 단말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어떻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LCP 과정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단계;
또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그중,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이다.
그중,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에 응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기기가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그중,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단계,
또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이다.
그중,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제1 확정 모듈;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자원 할당 모듈; 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단말은,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제1 정보 리포팅 유닛;
또는,
상기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제2 정보 리포팅 유닛;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매핑 관계 획득 유닛; 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3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단말은,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4 확정 모듈;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이다.
그중,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유닛;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할당 모듈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제2 확정 유닛;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제3 확정 유닛;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유닛; 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2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기 위한 것;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제3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기 위한 것;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기 위한 것;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상기 자원 할당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자원 할당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노드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노드 기기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제1 구성 모듈;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제2 구성 모듈;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 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제1 구성 모듈은,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구성 유닛; 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자원 할당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상술한 기술방안은 적어도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기술 방안 중에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서,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 예시도 1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 예시도 1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듈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기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노드 기기의 모듈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서 해결하려는 기술과제,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며, 단계 101과 102를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한다.
본 단계에서, 선택적으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는 NR 시스템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단계 102에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기술 방안 중에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서,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e, SCS로 칭함)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로 칭함)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미리 구성한 자원은 Type 1 및 Type 2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지시자로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이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한다. 즉,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단말에서 자체적으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고층을 통하여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층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자원 제어)층을 통하여 고층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의 RRC층 또는 MAC층에서 자체적으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하면, 고층의 지시 정보는, 트래픽과 무선 액세스 기술의 대응 관계 및/또는 트래픽과 자원 할당 타입의 매핑 관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자원 할당 관리 노드는,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그룹 헤드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그룹 헤드는 구체적으로 단말일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단말에서 단말 통신 그룹까지의 군 그룹 중의 그룹 헤드이다. 단말의 Uu 인터페이스가 싱글 접속을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측 기기는 서비스 기지국일 수 있으며; 단말의 Uu 인터페이스가 멀티 접속을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측 기기는 임의의 하나의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으며, 예하면, 오직 MN(Master Node, 마스터 노드)만이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MN을 나타내며; 오직 SN(Secondary Node, 세컨더리 노드)만이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MN을 나타내며; 만약 MN과 SN이 모두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MN일 수도 있고, SN일 수도 있다.
단말에서 단말 통신 그룹까지는 적어도 두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 자원/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획득하거나, 또는,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이후,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 및 QoS 파라미터와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 부분은 단말에 의해 확정되며, 일부분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 의해 확정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와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파라미터는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파라미터와 상이하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 자원/브로드캐스트 자원을 멀티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나의 선택가능한 실현 방식으로서, 단계 101은 구체적으로: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나의 선택가능한 실현 방식으로서, 단계 102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본 단계에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선택한다.
선택적으로, 본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즉,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은 상기 제1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모든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을 만족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만약 LCP restrictions에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가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은 LCP restrictions이 구성한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만약 LCP restrictions에 자원 타입 리스트가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응하는 자원 타입은 LCP restrictions이 구성한 자원 타입 리스트 중에 포함되어 있으며;
만약 LCP restrictions에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TTI 길이가 구성되어 있다면,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응하는 TTI 길이는, 예하면 물리 사이드 링크 공유 채널의 지속 시간(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duration)은, LCP restrictions이 구성한 가장 큰 TTI 길이보다 작거나 또는 같으며;
만약 LCP restrictions에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미리 구성한 자원이 구성되어 있고, 예하면, 타입 1(Type 1) 자원이 구성되어 있고, 현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는 Type 1 자원이라면, LCP restrictions 중의 사용 가능한 해당 자원이 구성되어 있는 자원 상의 로직 채널만이 해당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본 단계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본 단계 중에서,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1 로직 채널 중에서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선택한다.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본 단계 중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각각의 로직 채널은 모두 하나의 식별자에 대응되며, 상이한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식별자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로직 채널 중에서 확정한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은 적어도 하나이다.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의 개수가 두개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또한 각자에 대응하는 식별자 중에 상이한 식별자가 존재할 때, 단말은 그중의 하나의 식별자를 타겟 식별자로 선택한다.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타겟 로직 채널은,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 이외의 해당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기타 로직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선택적으로, 본 단계는: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할당 방법에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서,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4개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개시의 자원 할당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중에서, 자원 할당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1: 단말이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한다.
여기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단말이 자체적으로 확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고층을 통하여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의 MAC층 또는 RRC층을 통하여 고층의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의 RRC층 또는 MAC층에서 자체적으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하면, 고층의 지시 정보는, 트래픽과 무선 액세스 기술의 대응 관계 및/또는 트래픽과 자원 할당 타입의 매핑 관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미리 구성한 자원은 Type 1 자원 및 Type 2 자원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지시자로 된다.
그중,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단계 b1: 단말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한다.
여기서, 단말이 자체적으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에 대해,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에서 직접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자원을 그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한다.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에 대해,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그룹 헤드)로부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할당받을 수 있다.
단계 c1: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하여, LCP 과정을 수행하고,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MAC PDU를 조직한다.
여기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하기의 단계에 따라 자원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c11: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로직 채널의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에 따라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을 선택한다.
여기서, 우선, 직접 단말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로직 채널을 확정한다.
그후,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로직 채널 중에서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로직 채널을 확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로직 채널은 해당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모든 LCP restrictions 제한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로직 채널은 해당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모든 LCP restrictions 제한을 만족해야 하는 구체적인 실현 과정은, 상술한 선택가능한 실현 방식 중의 단계 102의 구체적인 실현 단계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c12: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중에서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단계 c11에서 확정한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중에서,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선택하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고;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중에서 해당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각각의 로직 채널은 하나의 식별자에 대응되고, 상이한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식별자는 같을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중에서 확정한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은 적어도 하나이다.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의 개수가 두개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또한 각자에 대응하는 식별자 중에 상이한 식별자가 존재할 때, 단말은 그중의 하나의 식별자를 타겟 식별자로 선택한다.
단계 c13: 타겟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타겟 로직 채널은 우선 순위 레벨의 내림순 순서에 따라,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에 때해 자원을 소진할 때까지, 또는 해당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모든 로직 채널의 데이터에 모두 자원을 할당하였을 때까지,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중에서, 자원 할당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2: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다.
여기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완전히 자원 할당 관리 노드(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그룹 헤드)에서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직접 구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단계;
또는,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 또는,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여, 단말을 위해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다.
여기서,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미리 구성한 자원은 Type 1 자원 및 Type 2 자원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지시자로 된다.
그중,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단계 b2: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한다.
단계 c2: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LCP 과정을 수행하고,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MAC PDU를 조직한다.
상술한 단계 b2 및 단계 c2의 구체적인 실현 과정은 실시예 1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자원 할당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3: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다.
여기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완전히 자원 관리 노드(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그룹 헤드)에서 확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직접 구성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직접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QoS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한다.
여기서,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미리 구성한 자원은 Type 1 자원 및 Type 2 자원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지시자로 된다.
그중,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단계 b3: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한다.
단계 c3: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LCP 과정을 수행하고,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MAC PDU를 조직한다.
상술한 단계 b3 및 단계 c3의 구체적인 실현 과정은 실시예 1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중에서, 자원 할당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4: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고;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다.
여기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의 일부는 단말에 의해 확정되고, 일부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 의해 확정된다.
단말에 의해 확정된 제1 부분의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미리 구성한 자원은 Type 1 자원 및 Type 2 자원으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지시자로 된다.
그중,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제2 부분의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상술한 모든 파라미터 중에서 제1 부분의 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에서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며, 그 구체적인 실현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 1 중의 단계 a1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의 그 구체적인 실현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 2 중의 단걔 a2 또는 실시예 3 중의 단계 a3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단계 b4: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한다.
단계 c4: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 LCP 과정을 수행하고,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MAC PDU를 조직한다.
상술한 단계 b4 및 단계 c4의 구체적인 실현 과정은 실시예 1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에 응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단계 201 및 202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여기서, 노드 기기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 기기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노드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 또는 그룹 헤드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그룹 헤드는 구체적으로 단말일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은 단말에서 단말 통신 그룹까지의 군 그룹 중의 그룹 헤드이다. 단말의 Uu 인터페이스가 싱글 접속을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측 기기는 서비스 기지국일 수 있으며; 단말의 Uu 인터페이스가 멀티 접속을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측 기기는 임의의 하나의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으며, 예하면, 오직 MN(Master Node, 마스터 노드)만이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MN을 나타내며; 오직 SN(Secondary Node, 세컨더리 노드)만이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MN을 나타내며; 만약 MN과 SN이 모두 RRC 재구성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면,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MN일 수도 있고, SN일 수도 있다.
단말에서 단말 통신 그룹까지는 적어도 두개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는, 모두 노드 기기에서 구성하거나, 또는 노드 기기에서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며;
단계 202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한다.
여기서, 상기 매핑 관계는 단계 201과 대응되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이거나, 또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할당 방법에서,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고; 단말로 해당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LCP restrictions)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e, SCS로 칭함)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로 칭함)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진일보하여, 미리 구성한 자원은 Type 1 및 Type 2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지시자로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일부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단계 201로서,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 자원은 멀티 캐스트 자원으로 칭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단계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노드 기기는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에 기반하여,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한다.
단말은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자원 할당 방법에서,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고; 단말로 해당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메모리(320), 프로세서(300), 송수신기(310), 버스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300)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300)은 메모리(320) 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수행한다.
그중, 도 3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3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310)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300)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320)는 프로세서(500)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단계,
또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제1 확정 모듈(401);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자원 할당 모듈(4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은,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제1 정보 리포팅 유닛;
또는,
상기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제2 정보 리포팅 유닛;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매핑 관계 획득 유닛;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3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은,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4 확정 모듈;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제1 확정 모듈(401)은,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유닛;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자원 할당 모듈(402)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제2 확정 유닛;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제3 확정 유닛;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유닛; 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제2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기 위한 것;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제3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기 위한 것;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기 위한 것;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자원 할당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단말은, 제1 확정 모듈을 통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고, 자원 할당 모듈에서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함으로서,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세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은 도 1에 도시된 단말측에 응용되는 방법 실시예 중의 모든 실현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더 제공하며, 해당 노드 기기는 네트워크측 기기이며, 송수신기(510), 메모리(520), 프로세서(500)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5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그중,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0)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500)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가 작업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00)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노드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노드 기기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제1 구성 모듈(601);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제2 구성 모듈(602);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603);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노드 기기에서, 상기 제1 구성 모듈(601)은,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구성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노드 기기는, 제1 구성 모듈을 통하여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2 구성 모듈을 통하여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고; 피드백 모듈을 통하여 단말로 해당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로 하여금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패킷을 조직하여,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단계; 를 구현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세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2에서 도시하는 노드 기기측에 응용되는 방법 실시예 중의 모든 실현 방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 Device, 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기 기능의 모듈(예하면, 과정 또는 함수 등)로 본 개시의 상술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실행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각 실시예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각 단계의 번호 크기는 실행하는 순서를 뜻하지 않으며, 각 단계의 실행 순서는 기능 및 내재적인 로직에 따라 확정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실시 과정에 그 어떤 한정도 구성하지 않는다.
이상은 본 개시의 선택 가능한 실시방식이며, 지적해야 할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본 개시의 원리를 일탈하지 않는 전제하에 다양한 개진과 윤색을 진행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개진과 윤색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65)

  1. 단말에 응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단말이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거나, 또는,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단말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방법은,
    상기 단말이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인 것인,
    자원 할당 방법.
  10. 제2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1. 제2항, 제5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자원 할당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단말은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로직 채널을 제1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7. 노드 기기에 응용되는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 기기가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 기기에서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기기가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기기가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노드 기기가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자원 할당 방법.
  22.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
    를 구현하는 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말.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거나, 또는,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한 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인 것인,
    단말.
  31. 제23항, 제26항 및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32. 제23항, 제26항 및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단계;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는 단계;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단말.
  38. 단말에 있어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확정하는 제1 확정 모듈;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해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자원 할당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단말.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2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리포팅하는 제1 정보 리포팅 유닛;
    또는,
    상기 자원 할당 관리 노드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리포팅하는 제2 정보 리포팅 유닛;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매핑 관계 획득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3 확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로직 채널과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제4 확정 모듈; 및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구성한 로직 채널과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단말.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제2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중의 상기 제1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를 제외한 파라미터인 것인,
    단말.
  47. 제39항, 제42항 및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48. 제39항, 제42항 및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단말.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확정 모듈은,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단말이 자체로 선택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자원 풀 중의 타겟 자원을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유닛;
    만약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가 스케줄링된 자원 할당 모드를 사용한다면, 자원 할당 관리 노드에서 할당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5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모듈은,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 및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를 사용할 수 있는 제1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제2 확정 유닛;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기설정 조건을 만족하는 타겟 로직 채널을 확정하는 제3 확정 유닛; 및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을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중의 데이터 전송 수요가 있는 제2 로직 채널을 확정하기 위한 것; 및
    만약 상기 스케줄링 그랜트가 상기 제2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의 요구를 만족하면, 상기 제2 로직 채널이 제1 로직 채널임을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로직 채널 중의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을 확정하기 위한 것;
    상기 우선 순위 레벨이 가장 높은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타겟 식별자를 확정하기 위한 것; 및,
    제1 로직 채널 중의 상기 타겟 식별자에 대응하는 로직 채널을 타겟 로직 채널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로직 채널의 우선 순위 레벨의 높은 것에서 낮은 것으로의 순서에 따라, 상기 타겟 로직 채널 중의 각각의 로직 채널을 위해 순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것인;
    단말.
  5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55. 노드 기기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거나,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단계;
    를 구현하는 노드 기기.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
    를 더 구현하는 노드 기기.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노드 기기.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드 기기.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노드 기기.
  60. 노드 기기에 있어서,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제1 구성 모듈;
    또는,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와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제2 구성 모듈;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매핑 관계를 피드백하는 피드백 모듈;
    을 포함하는 노드 기기.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모듈은,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자원 타입을 수신하는 제1 수신 유닛;
    또는,
    상기 단말에서 리포팅한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 및 각각의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단말을 위해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의 로직 채널과 적어도 부분의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 사이의 매핑 관계를 구성하는 구성 유닛;
    을 포함하는 노드 기기.
  62.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채널 우선 순위 레벨 제한 파라미터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 리스트;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자원 타입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 리스트;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서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장 큰 전송 시간 간격 길이; 및
    직접 통신 인테페이스에 미리 구성한 자원의 사용을 허용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노드 기기.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기술은,
    4G LTE Rel-14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4G LTE Rel-15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및
    5G NR을 기반으로 하는 직접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액세스 기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드 기기.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타입은,
    유니캐스트 자원, 멀티캐스트 자원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과 멀티캐스트 자원의 집합 및 브로드캐스트 자원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트 자원 및 멀티캐스트 자원과 브로드캐스트 자원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노드 기기.
  6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15691A 2018-10-31 2019-10-30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 KR20210076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288189.3 2018-10-31
CN201811288189.3A CN111132351B (zh) 2018-10-31 2018-10-31 一种资源分配方法、终端及节点设备
PCT/CN2019/114342 WO2020088524A1 (zh) 2018-10-31 2019-10-30 资源分配方法、终端及节点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140A true KR20210076140A (ko) 2021-06-23

Family

ID=7046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691A KR20210076140A (ko) 2018-10-31 2019-10-30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22244A1 (ko)
EP (1) EP3876643A4 (ko)
KR (1) KR20210076140A (ko)
CN (2) CN116456500A (ko)
WO (1) WO2020088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11641A (es) * 2017-04-02 2019-12-05 Fg innovation co ltd Metodo de transmision de paquete de datos de canal logico y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10838899B (zh) * 2018-08-16 2021-12-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接通信链路资源分配方法及终端
CN111867082B (zh) * 2019-04-30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侧行链路逻辑信道的复用方法及装置
US11882588B2 (en) 2020-03-20 2024-01-23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sidelink transmission with relay
US11792770B2 (en) * 2020-03-20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restrictions for relayed sidelink communications
CN116419394A (zh) * 2021-12-22 2023-07-1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635A2 (en) * 2011-07-08 2013-01-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mponent carrier traffic mapping
EP3051736B1 (en) * 2015-01-30 2020-04-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ization in the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sidelink logical channels in ProSe direct communications
KR102492047B1 (ko) * 2015-04-01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D2d 통신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925995B (zh) * 2015-08-12 2020-10-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网络设备及数据传输方法
WO2017026667A1 (en) * 2015-08-12 2017-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206452B1 (en) * 2016-02-10 2019-10-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y-optimized sidelink data transfer in the case of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in lte prose communication
CN107241678B (zh) * 2016-03-28 2019-08-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通信配置的方法和设备
CN107241786B (zh) * 2016-03-28 2020-10-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通信配置的方法和设备
WO2017171251A1 (ko) * 2016-03-29 2017-10-0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pc5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633079A (zh) * 2017-03-24 2018-10-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逻辑信道优先级处理的方法和装置
EP3616459B1 (en) * 2017-04-24 2022-06-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profiles for nr
CN106961741B (zh) * 2017-05-04 2019-1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资源分配方法和装置
WO2019095230A1 (en) * 2017-11-16 2019-05-23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program
CN110461041B (zh) * 2018-05-07 2021-05-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操作控制方法、移动通信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10029720A1 (en) * 2018-06-21 2021-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transmitting data on prioritized logical channels
US11889514B2 (en) * 2018-06-28 2024-01-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s and scheduling requests for new radio vehicle sidelink shared channel data transmissions
CN110838899B (zh) * 2018-08-16 2021-12-2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直接通信链路资源分配方法及终端
US11659587B2 (en) * 2018-10-30 2023-05-23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overlapped transmission opportunities in mobil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22244A1 (en) 2022-01-20
CN111132351B (zh) 2023-04-07
WO2020088524A1 (zh) 2020-05-07
EP3876643A4 (en) 2021-12-29
EP3876643A1 (en) 2021-09-08
CN111132351A (zh) 2020-05-08
CN116456500A (zh)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6140A (ko) 자원 할당 방법, 단말 및 노드 기기
US11516820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sidelink and terminal
US20210127308A1 (en) Subband switc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23520065A (ja) リソース取得方法、リソース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及び端末
CN110139376B (zh) 载波集合的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001054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 풀을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266945A1 (en)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equipment
JP2018514989A (ja) アップリンクマルチユーザ伝送トリガフレーム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ステーション
US20180049254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CN111901785A (zh) 节能配置方法、节能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US20230262835A1 (en)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1539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7191962B2 (ja) パワーヘッドルーム報告処理方法、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EP4181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 channel selection
US112120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resource of logical channe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2023529377A (ja) ビーム障害回復方法、装置及び機器
EP3905809A1 (en) Resource allocation mode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14731725A (zh) 用户设备、调度节点、用于用户设备的方法和用于调度节点的方法
WO2022121726A1 (zh) 一种资源分配方法及装置
US2023008406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network node for small data transmission during random access applying a transport block size restriction
JP2019519989A (ja) 情報下り送信方法、データ送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6845310B2 (ja) アップリンクデータオペレ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2004124B2 (en) Resource allocation mode determin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3151466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CN111436032B (zh) 缓存状态报告的上报、接收方法、资源分配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