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788A -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788A
KR20210075788A KR1020190167289A KR20190167289A KR20210075788A KR 20210075788 A KR20210075788 A KR 20210075788A KR 1020190167289 A KR1020190167289 A KR 1020190167289A KR 20190167289 A KR20190167289 A KR 20190167289A KR 20210075788 A KR20210075788 A KR 20210075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reflective film
dust concentration
sensor
concentration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복
Original Assignee
(주)파이버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버피아 filed Critical (주)파이버피아
Priority to KR102019016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788A/ko
Publication of KR2021007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11Sample conditioning
    • G01N33/0016Sample conditioning by regulating a physical variable, e.g. pressure o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미세먼지 입자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량을 센싱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미세먼지 입자에서 산란된 광을 상기 센서로 반사시키는 반사막과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내 온도를 향상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Equipped with a Heater to Improve the Circulation Rate of Fine Dust for Measurement}
본 발명은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미세먼지는 뇌에서 뇌졸중, 우울증, 편두통 및 뇌 혈관 질환, 눈에서는 염증 유발, 눈 질환, 코에서는 비염, 후두염, 피부에서는 아토피, 피부질환, 폐에서는 천식, 폐질환, 호흡기질환, 심장에서는 부정맥,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 및 태아성장 장애를 일으키는 등 많은 만성적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어느 정도되는지 정확히 측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직접 측정하는 중량 농도법,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베타선 흡수법 또는 광 산란법이 존재한다.
중량 농도법은 일정 시간동안 여과지에 시료를 채취하여 채취된 시료 내에서 크기가 일정 직경이하인 미세먼지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PM10 은 직경 10μm 이하인 입자들의 총 무게를, PM2.5는 직경 2.5μm 이하인 입자들의 총 무게를 나타낸다.
베타선 흡수법은 방사선인 베타선이 어떤 물질을 통과할 때, 그 물질의 질량이 클수록 더 많이 흡수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채취한 여과지에 흡수된 베타선 양을 측정하여 그 값으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술한 중량 농도법은 정확한 미세먼지의 측정은 가능하나, 일정 시간동안(통상 수 시간 ~ 24시간 정도 소모) 시료를 채취하여야 하기 때문에,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어,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량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베타선 흡수법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중량 농도법보다는 시료 채취시간이 적게 걸리긴 하나, 베타선 흡수법도 시료를 채취함에 있어 일정 시간이 소모되어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량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두 방법 모두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가격이 수천만원에 달해 널리 보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만 미세먼지의 측정이 이루어지며, 해당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는 측정된 지역을 토대로 추정만이 이루어질 뿐이다.
광 산란법은 물질에 빛을 쪼이면 충돌한 빛이 산란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산란된 빛의 양을 측정하여 그 값으로부터 미세먼지의 농도를 구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두 방식과는 달리, 비교적 저가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광 산란법은 미세먼지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산란광의 일부를 수신하여 수신한 산란광의 세기를 토대로 산란광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그러나 산란광의 일부만을 센서로 수신하여 산란광의 세기를 측정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동일한 농도라도 측정된 산란광의 세기가 달라질 수 있어 결과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인식에 따라, 최근 광 산란법으로 미세먼지를 측정함에 있어, 센서로 수신되는 산란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 산란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을 제공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미세먼지 입자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량을 센싱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미세먼지 입자에서 산란된 광을 상기 센서로 반사시키는 반사막과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내 온도를 향상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히터는 상기 반사막의 일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는 상기 몸체의 일 부분에 상기 몸체의 하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반사막을 고정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반사막은 상기 마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 산란법을 이용하더라도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량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10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 마운트(120) 및 반사막(130)을 포함한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100)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는 광원을 이용해 광을 조사하며, 미세먼지 입자로부터 산란된 산란광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인 구성과 동작방법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운트(12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의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반사막(130)을 고정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0)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의 특정 부분 상에 배치되고, 마운트(120) 상에 반사막(130)이 배치된다. 마운트(120)가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의 바닥면 또는 하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단차)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마운트(120)와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의 바닥면 또는 하면 간에는 이격이 발생한다. 미세먼지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100) 내로 유입되어 이격 부분으로 유출됨으로써, 장치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또한, 반사막(130)이 마운트(120) 상에 배치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반사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운트(120)는 반사막(130), 특히 반사막(130)과 접촉하는 부분(이하에서 '제1 부분'으로 약칭함)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막(130)이 상·하면이 뚫린 원뿔대 형상을 갖는 경우, 마운트(120)는 반사막(130)의 밑면의 형상과 같이 원형 형상을 갖는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며, 반사막(130)이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 마운트(120)는 반사막(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또한, 마운트(120)는 제1 부분에 중공(中空, 125)을 갖는다. 전술한 대로, 반사막(130)은 마운트(120) 상에 배치된다. 이때, 마운트(120)가 제1 부분에 중공(125)을 갖지 않는다면,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이 반사막(130)으로 도달하지 못하며, 반사막(130)에서 반사된 산란광이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입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산란광 또는 반사된 산란광이 반사막(130) 또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까지 입사될 수 있도록, 마운트(120)는 제1 부분에 중공(125)을 갖는다.
반사막(130)은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반사시킨다.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은 모든 방향으로 산란되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입사되는 산란광은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 이처럼, 극히 일부의 산란광만을 수신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게 되면,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의 정확도와 감도는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반사막(130)이 미세먼지 입자를 중심으로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 내 산란광을 수광하는 센서가 미세먼지 입자를 중심으로 하단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반사막(130)은 미세먼지 입자를 중심으로 상단에 배치된다. 반사막(130)이 이처럼 배치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입사되는 산란광량을 증가시킨다.
반사막(130)은 산란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상면 및 하면이 뚫린 원뿔대 또는 다각뿔대 형상을 갖는다. 미세먼지가 유입되어야 하므로 반사막(130)의 상면은 뚫려있어야 하며, 반사막(130)에 의해 반사된 산란광이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입사되어야 하므로 하면은 뚫려있어야 한다. 비록, 반사막(130)의 상면이 뚫려있기는 하나, 마운트(120)가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에 배치되고, 반사막(130)이 마운트(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측정을 위해 반사막(130)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반사막(130)의 상단에서 팬(미도시) 등의 장비가 배치될 수 있으며, 미세먼지가 반사막(130) 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유입될 수 있다.
반사막(130)의 옆면은 광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구현되며, 반사되는 산란광이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보다 많이 반사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반사막(130)의 옆면이 곡률을 가짐으로써, 반사막(130)에서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반사되는 산란광량이 증가한다.
반사막(130)의 옆면에는 히터(135)가 형성된다. 히터(135)는 반사막(130)의 옆면에서 반사막(130)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반사막(130)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킨다.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순환되지 못하는 미세먼지는 반사막(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내에서 머무르며, 실제 미세먼지가 공기 중에 포함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측정결과를 방해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히터(135)는 반사막(130) 내의 온도를 상승시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순환시킨다. 히터(135)가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는 광원(310), 단차(320), 중공(330), 센서(340), 프레임(3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광원(310)은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광을 미세먼지 입자로 조사한다. 광원(310)은 프레임(350)의 일 끝단에 고정되어, 미세먼지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단차(320)는 광원(310)이 배치된 방향으로 프레임(350) 일 부분에 형성된다. 프레임(350) 상에 단차(32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350)의 단차(320)로 마운트(1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단차(320) 상으로 마운트(120)가 배치되고, 마운트(120) 상으로 반사막(130)이 배치됨으로써, 반사막(130)이 프레임(350)과 일정부분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반사막(130)이 프레임(350)으로부터 일정부분 떨어져 배치되어야, 광원(310)의 광 조사 경로를 반사막(130)이 방해하지 않고,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로 미세먼지가 보다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차(320) 상에 마운트(120)가 배치됨에 따라, 마운트(120)와 프레임(350)의 단차 하면과는 이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사막(130)으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이격 부분으로 유출된다. 미세먼지의 유출·입은 히터(135)에 의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이처럼 원활한 미세먼지의 흐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감도는 보다 높아진다. 또한, 단차(320)가 프레임(350) 중 광원(310)이 배치된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마운트(120)와 반사막(130)이 미세먼지 입자로부터 산란되는 산란광을 반사시키기 적절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중공(中空, 330)은 프레임(35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산란광이 중공(330)을 거쳐 센서(340)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 센서(340)는 중공(33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데, 센서(340)가 미세먼지 입자로부터 산란된 산란광 및 반사막(130)에 의해 반사된 산란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프레임(350)는 중공(330)을 갖는다.
중공(330)은 센서(340)의 개수에 따라 프레임(350)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센서(340)가 한개만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검출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 센서(340)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센서(340)가 산란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각 센서의 상단에 중공(330)이 형성된다.
센서(340)는 산란광 또는 반사된 산란광을 수광하여, 산란되는 광량을 센싱한다. 미세먼지의 농도와 산란되는 광량은 정비례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센서(340)는 미세먼지 입자로부터 산란된 산란광 및 반사막(130)에 의해 반사된 산란광을 수신하여 산란광의 광량을 센싱함으로써,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센서(340)는 도 5에 도시된 회로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회로도이다.
다이오드(510)로 센싱한 전류가 인가된다. 이때, 수신되는 산란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는 아주 작기 때문에, 증폭이 필요하다.
다이오드(510)로 인가된 전류는 증폭기(520)를 거치며 증폭된다. 이때, 증폭되는 비율은 다이오드(510)의 내부저항과 저항(540)의 비율에 따라 정해진다.
다만, 제너 다이오드(530)가 저항(540)에 병렬로, 증폭기(520)에 부귀환(Negative Feedback) 형태로 추가로 연결됨으로써, 센서(340)의 감도(Sensitivity)가 현저히 상승하게 된다.
증폭기(520)를 거치며 증폭된 전류는 캐패시터(550)를 거치며 불필요한 노이즈 신호가 제거된다.
즉, 센서(340)는 증폭기(520)에 종래와 같이 저항들만을 연결하여 전류를 증폭하지 않고, 다이오드(510)를 사용하며 제너 다이오드(530)를 추가로 연결함으로써, 감도를 현저히 상승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센서(340)는 이처럼 센싱하여 증폭한 센싱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가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는 센서(340)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340)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미세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가 보다 상승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340)가 구비되는 경우, 각 센서(34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각 센서(34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수신되는 산란광을 센싱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가 각 센서(340)가 센싱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히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광원(310)을 제어하여, 센서(340)가 센싱한 센싱값을 토대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광원(310)이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광원(310)이 광을 1회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나,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광원(310)이 광을 복수 회 조사하고, 센서(340)가 매회 발생하는 산란광을 센싱함으로써, 보다 높은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원(310)은 유입되는 미세먼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센서(340)는 광원(310)이 광을 조사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배치되어, 산란광을 수광한다. 산란광은 상대적으로 광원(310)이 광을 조사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다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센서(340)는 해당 방향에 배치된다.
이때, 센서(340)가 배치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산란되는 산란광은 반사막(130)에 의해 반사된다. 전술한 대로, 반사막(130)은 유입된 미세먼지 입자를 중심으로 센서(340)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센서(340)가 배치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산란되는 산란을 센서(34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에 따라, 센서(340)가 수광하는 산란광량이 증가하게 되어, 보다 정확히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110)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110: 미세먼지 농도 측정부
120: 마운트
125, 330: 중공
130: 반사막
135: 히터
310: 광원
320: 단차
340: 센서
350: 프레임

Claims (4)

  1.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미세먼지 입자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량을 센싱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상기 센서가 배치되는 몸체;
    상기 미세먼지 입자에서 산란된 광을 상기 센서로 반사시키는 반사막;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내 온도를 향상시키는 히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반사막의 일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부분에 상기 몸체의 하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반사막을 고정하는 마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상기 마운트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KR1020190167289A 2019-12-13 2019-12-13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KR20210075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89A KR20210075788A (ko) 2019-12-13 2019-12-13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89A KR20210075788A (ko) 2019-12-13 2019-12-13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88A true KR20210075788A (ko) 2021-06-23

Family

ID=7659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289A KR20210075788A (ko) 2019-12-13 2019-12-13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57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104B (zh) 颗粒物传感器装置
CN106574898B (zh) 粒子检测传感器
EP3093660A1 (en) Hybrid environment sensor
US6639671B1 (en) Wide-range particle counter
CN104266947B (zh) 气溶胶粒子浓度传感器及其检测方法
KR101264075B1 (ko) 광학 입자 측정 장치
KR20190010587A (ko) 유동 및 버블 검출 시스템을 가지는 자동 전력 제어 액체 입자 계수기
US10816445B2 (en) Particle sensor and particle sensing method
JP2007057360A (ja) 粒子検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粒子検出方法
WO2017054098A1 (en) Optical particle counter
JP2012510627A (ja) シース流体を伴わないフローサイトメトリー方法及び装置
US20190212244A1 (en) Pm2.5 measurement device
US11047787B2 (en) And method for optical bench for detecting particles
JPH08159949A (ja) 粒子検出装置
EP3264065B1 (en) Particulate matter detector
KR102137163B1 (ko)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KR20210075788A (ko) 히터를 구비하여 측정을 위한 미세먼지의 순환율을 향상시킨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KR20210075786A (ko) 측정 감도 향상을 위해 팬을 구비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장치
CN106053303A (zh) 激光前向散射云滴谱探测系统
KR102065755B1 (ko) 오염인자 농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90023789A (ko) 미세먼지 측정 및 저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830084A (zh) 一种用于大气可吸入颗粒物浓度在线检测的传感器
JP4184176B2 (ja) 浮遊粒子状物質濃度測定装置
JP2636051B2 (ja) 粒子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792076A (ja) 粒子解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