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78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783A
KR20210075783A KR1020190167273A KR20190167273A KR20210075783A KR 20210075783 A KR20210075783 A KR 20210075783A KR 1020190167273 A KR1020190167273 A KR 1020190167273A KR 20190167273 A KR20190167273 A KR 20190167273A KR 20210075783 A KR20210075783 A KR 20210075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helf
support protrusion
contact
inn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용
김병수
박상혁
임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783A/ko
Priority to EP20900498.5A priority patent/EP4010641A4/en
Priority to PCT/KR2020/017995 priority patent/WO2021118239A1/en
Priority to US17/119,159 priority patent/US11397045B2/en
Publication of KR2021007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7Profiled cabinet walls with grooves or protuberances for supporting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30Insulation with respect to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선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지지 돌기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내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선반의 측단이 놓이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놓인 선반의 측면이 상기 내상의 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상의 측면과 상기 선반의 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측면과 상기 내상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반 접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지지 돌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데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실은 그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평상시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저장실은 격벽에 의해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획되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냉장실과 냉동실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복수개로 구획하고 분리 가능하게 냉장실과 냉동실 내부에 장착되는 선반이 배치된다.
선반은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측면과 이격 공간이 있을 수 있다. 냉장실과 냉동실은 냉각에 의한 수축, 도어 개폐에 의한 진동, 냉기공급장치의 구동에 의한 진동 등으로 흔들림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흔들림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 내면은 선반과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선반의 측면이 지지되지 않아서 선반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경우 냉장실과 냉동실의 흔들림에 따라 선반의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반과 내상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선반 지지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반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선반 지지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내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선반의 측단이 놓이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놓인 선반의 측면이 상기 내상의 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상의 측면과 상기 선반의 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측면과 상기 내상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하면이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선반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내상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돌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보조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일단이 상기 저장실의 전방에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일단이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내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상기 돌출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반의 좌측단이 놓이도록 내상의 좌측면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선반의 우측단이 놓이도록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닥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닥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 중 하나는 상기 내상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내상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닥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닥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선반이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이 접촉되는 복수의 바닥 지지 돌기가 마련된 제1 돌출부,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로서, 상기 선반의 하면이 접촉되는 복수의 바닥 지지 돌기가 마련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에 놓인 상기 선반의 좌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을 갖는 제1 측면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놓인 상기 선반의 우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을 갖는 제2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 중 하나는 상기 내상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내상의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제3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제4 측면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돌기 각각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도록 상기 내상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측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선반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선반 접촉부와, 상기 선반의 하면과 접촉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선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기는 제1 선반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상과 연결되는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선반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바닥 지지 돌기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선반의 측면을 지지하여 선반과 내상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측면 지지 돌기가 마련된다. 따라서, 측면이 저장실의 내면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선반이 선반의 측면과 내상 사이의 이격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게 하여 선반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 선반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반을 냉장고의 냉장실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 배치된 선반이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돌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돌출부와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돌출부와 측면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돌출부와 측면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상면에서 바라본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돌출부와 지지 돌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상면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돌출부와 지지 돌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서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 선반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선반을 냉장실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 배치된 선반이 지지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를 포함한다.
본체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팬과, 냉기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4)가 발포된다.
저장실(20)은 격벽(13)에 의해 냉장실(21)과 냉동실(22)로 구획되며, 냉장실(21)과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와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30)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가드(35)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저장실(20)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40)이 마련되어 냉장실(21)과 냉동실(22)을 각각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다.
선반(40)은 저장실(20)에 마련되는 돌출부(5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50)은 내상(11)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0)은 내상(1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에는 선반(50)을 지지하도록 측면 지지 돌기(200)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지지 돌기(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실(21)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러한 설명은 냉동실(22)에도 동일하게 해당될 수 있다.
냉장실(21)은 내상(11)의 일부인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후면에 의해 내면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전면은 개방되어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돌출부(50)는 냉장실(21)의 좌측면(11a)과 우측면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0)는 같은 높이에서 냉장실(21)의 좌우측면에 하나씩 마련되어 한 쌍을 이루는 돌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2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여러 쌍의 돌출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0)는 냉장실(21)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돌출된 부분을 지칭할 수 있고, 냉장실(21)의 내면과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실(21)의 좌측면(11a)에 형성되는 돌출부(50)를 기준으로 설명하므로 내상의 측면 또는 냉장실의 측면은 냉장실의 좌측면(11a)을 지칭할 수 있고, 선반(40)의 측면은 선반(40)의 좌측면을 지칭할 수 있다.
냉장실(21)의 좌측면(11a)에 형성되는 돌출부(50)를 기준으로 한 설명은 냉장실(21)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50)에도 동일하게 해당될 수 있고, 이 경우 냉장실(21)의 측면은 냉장실(21)의 우측면을 지칭할 수 있고, 선반(40)의 측면은 선반(40)의 우측면을 지칭할 수 있다.
선반(40)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고, 냉장실(21)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반(40)은 개방된 냉장실(21)의 전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선반(4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한 쌍의 돌출부(50)에 의해 지지되어 냉장실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1)의 측면(11a)에는 선반(40)이 돌출부(50)에 놓인 경우 선반(40) 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측면 지지 돌기(200)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는 돌출부(5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는 선반(40)의 측면과 저장실의 측면(11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는 내상(1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상(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돌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돌출부와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측면 지지 돌기(200)는 선반(4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선반(4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선반 접촉부(210)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반 접촉부(210)는 저장실(20)의 측면(11a)으로부터 선반(40)의 측면 방향으로 볼록한 3차원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반 접촉부(210)가 평면인 경우보다 곡면인 경우 선반(40)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선반 접촉부(210)는 평면인 선반(40)의 측면과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한 평면과 냉장실(21)의 하면과 나란한 평면이 곡면인 선반 접촉부(210)와 만나는 경우 하나 또는 두개의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는 선반(40)의 측면이 냉장실(21)의 측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선반(40)의 측면은 냉장실(21)의 측면(11a)으로부터 이격 거리(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냉각에 의한 냉장실의 수축, 도어 개폐 시 냉장실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한 냉장실의 변형, 도어 개폐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냉기공급장치의 구동에 의한 진동 등으로 인하여, 냉장실의 측면(11a)과 선반(40)의 측면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고, 냉장실의 측면과 선반(40)의 측면은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측면 지지 돌기는 선반(40)의 측면이 냉장실의 측면(11a) 대신에 선반 접촉부(210)와 충돌할 수 있게 하여 충돌 시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충돌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지지 돌기(200)가 있는 경우 선반(40)이 흔들림에 의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 거리(D2)는 측면 지지 돌기가 없는 경우의 이동 가능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냉장실(21)이나 선반(40)의 흔들림에 의해 선반(40)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돌출부(50)에는 선반(40)이 돌출부(50)에 놓인 경우 선반(4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바닥 지지 돌기(30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지지 돌기(300)는 선반(40)의 하면과 돌출부(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닥 지지 돌기(300)는 돌출부(50)을 형성하는 내상(1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 지지 돌기(300)는 돌출부(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내상(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지지 돌기(300)는 선반(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선반(4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는 선반 접촉부(310)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반 접촉부(310)는 돌출부(50)로부터 선반(40)의 하면 방향으로 볼록한 3차원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반 접촉부(310)가 평면인 경우보다 곡면인 경우 선반(40)과의 접촉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선반 접촉부(310)는 평면인 선반(40)의 하면과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한 평면과 냉장실(21)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이 곡면인 선반 접촉부(310)와 만나는 경우 하나 또는 두개의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 지지 돌기(300)는 선반(40)의 하면이 돌출부(50)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에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하여 선반(40)이 위아래로 흔들리더라도 바닥 지지 돌기(300)는 선반(40)의 하면이 돌출부(50) 대신에 선반 접촉부(310)와 충돌할 수 있게 하여 충돌 시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충돌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는 바닥 지지 돌기(30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 냉장실(21)의 측면(11a)에 형성되고 바닥 지지 돌기(300)는 돌출부(50)에 형성되어, 냉장실(21)의 측면과 돌출부(50)가 이어지는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1)의 측면(11a)과 돌출부(50)는 서로 수직이므로 측면 지지 돌기(200)와 바닥 지지 돌기(300)는 서로 직교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돌기(100)는 측면 지지 돌기(200)와 바닥 지지 돌기(300)가 일체로 연결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측면 지지 돌기(200)와 바닥 지지 돌기(300)가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한 번의 성형 공정으로 측면 지지 돌기(200)와 바닥 지지 돌기(30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면 지지 돌기(200)와 바닥 지지 돌기(300)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 지지 돌기(200)와 바닥 지지 돌기(300)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하고 측면 지지 돌기(200)를 포함하는 평면상에 바닥 지지 돌기(300)가 배치될 수도 있지만,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돌출부와 측면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돌출부와 측면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실(21)에는 측면 지지 돌기(200)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40)의 측면은 측면 지지 돌기(200)에 의해 지지되고 선반(40)의 하면은 돌출부(5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반(40)의 측면은 측면 지지 돌기(200)에 의해 지지되고 선반(40)의 하면은 이하에서 상술하는 보조 지지 돌기(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냉장실(21)의 측면(11a)에는 측면 지지 돌기(200)가 형성되고 돌출부(50) 상에는 보조 지지 돌기(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측면 지지 돌기(200)에 의한 소음 저감효과를 도모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바닥 지지 돌기(300)를 생략하여 생산 공정을 줄이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부(50)에는 선반(40)이 돌출부(50)에 놓인 경우 선반(4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지지 돌기(400)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선반(40)의 하면과 돌출부(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돌출부(50)를 형성하는 내상(11)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 지지 돌기(400)는 돌출부(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내상(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의 높이는 바닥 지지 돌기(300)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지지 돌기(400)와 바닥 지지 돌기(300)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40)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돌출부(50)의 폭과 같은 너비를 갖는 턱의 형상일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라운딩 처리되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지지 돌기(400)는 선반(40)의 하면과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선반(40)의 하면과 선접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 지지 돌기(300)와 같은 형상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바닥 지지 돌기(300)와 같은 이유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상을 가지므로 생산이 용이하며, 식품이 보관되어 무거워진 선반(40)의 하중을 바닥 지지 돌기(300)와 분산할 수 있다.
돌출부(50) 상에는 지지 돌기(100)와 보조 지지 돌기(400)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보조 지지 돌기(400)는 지지 돌기(1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조 지지 돌기(400)는 생략될 수 있다.
지지 돌기(100)는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하고 지지 돌기(100)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에 대하여 면대칭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측면 지지 돌기(200)의 중심을 지나는 선과 바닥 지지 돌기(300)의 중심을 지나는 선은 직교하며 두 선은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한 평면상에 놓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지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돌기(100)는 냉장실(21) 후면과 나란한 평면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다. 즉, 측면 지지 돌기(200)의 선반 접촉부(210)와 바닥 지지 돌기(300)의 선반 접촉부(310)가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한 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냉장실(21)의 상하방으로 연장되고 돌출부(50)와 직교하는 직선에 대하여 측면 지지 돌기(200)의 중심선(a)은 냉장실(21)의 후방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즉, 측면 지지 돌기(200)의 끝단이 냉장실(21)의 후방 측으로 치우쳐, 냉장실(21)의 후방에 가장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21)의 측면에 수직인 직선에 대하여 바닥 지지 돌기(300)의 중심선(b)은 냉장실(21)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즉, 바닥 지지 돌기(300)의 끝단이 냉장실(21)의 전방 측으로 치우쳐, 냉장실(21)의 전방에 가장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 지지 돌기(200)의 중심선(a)이 냉장실(21)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지고 바닥 지지 돌기(300)의 중심선(b)이 냉장실(21)의 후방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40)이 돌출부(50)에 놓여질 때 측면 지지 돌기(200)의 선반 접촉부(210)와 바닥 지지 돌기(300)의 선반 접촉부(310)는 선반(40)과 동시에 접촉되지 않고 어느 하나가 접촉된 후 나머지 하나가 접촉되게 되므로, 선반(40)의 이동은 덜 방해받고 선반(40)은 용이하게 돌출부(5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은 상면에서 바라본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돌출부와 지지 돌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면에서 바라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돌출부와 지지 돌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선반(40)은 4개의 지지 돌기(100)에 의해 지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실(21)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선반(40)의 좌우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돌기(100)가 마련될 수 있고, 냉장실(21)의 후면 측에 배치되어 선반(40)의 좌우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 돌기(100)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21)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지 돌기(1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실(21)의 좌측면(11a)에 형성되는 하나의 지지 돌기(100)와, 냉장실(21)의 우측면(11b)에 형성되는 하나의 지지 돌기(100)는 한 쌍을 형성할 수 있고, 냉장실(21)의 후면과 나란한 한 평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냉장실(21)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2개의 지지 돌기(100)도 이와 마찬가지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 돌기(10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도 10에는 두 쌍의 지지 돌기(100)가 도시되어 있으나 한 쌍 또는 세 쌍 이상의 지지 돌기가 냉장실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지지 돌기(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측면 지지 돌기(200)가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보조 지지 돌기(400)와 측면 지지 돌기(200)가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지지 돌기(100)가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점 지지를 통해 선반(40)의 냉장실(21) 전방 측 좌우면과 냉장실(21) 후방 측 좌우면이 냉장실(21)의 측면(11a,11b)과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반(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선반(40)은 2개의 지지 돌기(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장실(21)의 전방 측에 하나의 지지 돌기(100)가 배치되어 선반(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하나를 지지하고, 냉장실(21)의 후방 측에 하나의 지지 돌기(100)가 배치되어 선반(4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지지되지 않은 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2개의 지지 돌기(100)는 선반(40)을 냉장실(21)의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각선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지지 돌기(100)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측면 지지 돌기(200)가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보조 지지 돌기(400)와 측면 지지 돌기(200)가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지지 돌기(100)가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돌기(100)가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지지 돌기(100)로 선반(40)의 앞부분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지지 돌기로 선반(40)의 뒷부분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2개의 지지 돌기(100)만이 요구되므로 제작이 용이해지고 성형 공정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본체
11; 내상
11a; 좌측면
12; 외상
13; 격벽
14; 단열재
20; 저장실
21; 냉장실
22; 냉동실
30; 도어
31; 냉장실 도어
32; 냉동실 도어
35; 도어가드
40; 선반
50; 돌출부
100; 지지 돌기
200; 측면 지지 돌기
210; 선반 접촉부
300; 바닥 지지 돌기
310; 선반 접촉부
400; 보조 지지 돌기

Claims (20)

  1.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내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선반의 측단이 놓이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놓인 선반의 측면이 상기 내상의 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상의 측면과 상기 선반의 측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측면과 상기 내상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반 접촉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하면이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상기 선반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반 접촉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내상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돌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보조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일단이 상기 저장실의 전방에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일단이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가장 근접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내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돌기는 상기 돌출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반의 좌측단이 놓이도록 내상의 좌측면에 마련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선반의 우측단이 놓이도록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마련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제2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닥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닥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되는 냉장고.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 중 하나는 상기 내상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내상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1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바닥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 하면이 상기 제2 돌출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선반 하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바닥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바닥 지지 돌기는 일체로 마련되는 냉장고.
  15.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선반이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이 접촉되는 복수의 바닥 지지 돌기가 마련된 제1 돌출부;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로서, 상기 선반의 하면이 접촉되는 복수의 바닥 지지 돌기가 마련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에 놓인 상기 선반의 좌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을 갖는 제1 측면 지지 돌기; 및
    상기 제2 돌출부에 놓인 상기 선반의 우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반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곡면을 갖는 제2 측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 중 하나는 상기 내상의 전방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내상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상의 좌측면에 형성되는 제3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내상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제4 측면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제2 측면 지지 돌기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측면 지지 돌기는 상기 제1 측면 지지 돌기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 지지 돌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측면 지지 돌기 각각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
  19. 외상;
    외상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저장실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반;
    상기 선반이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마련되도록 상기 내상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상기 복수의 돌출부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측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선반의 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선반 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선반 접촉부와, 상기 선반의 하면과 접촉되고 상기 선반의 하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선반 접촉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제1 선반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내상과 연결되는 측면 지지 돌기와, 상기 제2 선반 접촉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바닥 지지 돌기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190167273A 2019-12-13 2019-12-13 냉장고 KR20210075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73A KR20210075783A (ko) 2019-12-13 2019-12-13 냉장고
EP20900498.5A EP4010641A4 (en) 2019-12-13 2020-12-10 FRIDGE
PCT/KR2020/017995 WO2021118239A1 (en) 2019-12-13 2020-12-10 Refrigerator
US17/119,159 US11397045B2 (en) 2019-12-13 2020-12-1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73A KR20210075783A (ko) 2019-12-13 2019-12-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83A true KR20210075783A (ko) 2021-06-23

Family

ID=7631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273A KR20210075783A (ko) 2019-12-13 2019-12-13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97045B2 (ko)
EP (1) EP4010641A4 (ko)
KR (1) KR20210075783A (ko)
WO (1) WO2021118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957B1 (ko) * 2018-12-1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6603A1 (de) * 1992-08-11 1994-02-17 Bosch Siemens Hausgeraete Tragteil für in den Innenraum eines Möbels einbringbare Zwischenböden
US5893620A (en) * 1993-07-26 1999-04-13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shelf support system in common refrigerator liner
KR0120643Y1 (ko) 1995-07-26 1998-08-01 김광호 냉장고용 선반의 고정구조
KR19980013820U (ko) 1996-08-31 1998-06-05 배순훈 냉장고의 야채실
KR19980060560U (ko) 1997-03-13 1998-11-05 김광호 냉장고의 용기 개폐장치
KR19990002767U (ko)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냉장고의 와이어선반 장.탈착구조
JPH11132649A (ja) * 1997-10-31 1999-05-2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KR200180237Y1 (ko) * 1997-11-26 2000-05-01 윤종용 냉장고
KR200167098Y1 (ko) 1999-08-13 2000-02-15 손인영 회전식 선반을 갖는 냉장고
KR100534476B1 (ko) 2004-05-18 2005-12-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선반
DE102005045326A1 (de) * 2005-09-22 2007-03-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geteilter Abstellplatte
JP2008039263A (ja) 2006-08-03 2008-02-21 Sharp Corp 冷蔵庫
KR101269760B1 (ko) * 2006-09-28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서랍 장착구조
KR101362311B1 (ko) * 2006-11-06 2014-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바스켓의 출납구조
KR20090121030A (ko) 2008-05-21 200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DE102012222857A1 (de) * 2012-12-12 2014-06-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Fachboden
KR102519048B1 (ko) 2016-07-1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6766633A (zh) * 2016-12-21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搁物架安装结构及具有其的冰箱
US10634420B2 (en) * 2018-05-25 2020-04-2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er supported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7045B2 (en) 2022-07-26
US20210180854A1 (en) 2021-06-17
EP4010641A1 (en) 2022-06-15
WO2021118239A1 (en) 2021-06-17
EP4010641A4 (en)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0703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19911B2 (en) Refrigerator
KR100933635B1 (ko) 냉장고
US8438869B2 (en) Refrigerator with ice making room
US9810477B2 (en) Refrigerator
WO2013084584A1 (ja) 冷蔵庫
KR20210075783A (ko) 냉장고
JP5882808B2 (ja) 冷蔵庫
JP2007071521A (ja) 冷蔵庫
US20230332828A1 (en) Refrigerator
US20230221062A1 (en) Refrigerator
KR102615061B1 (ko) 냉장고
KR20170085335A (ko) 냉장고
JP7247284B2 (ja) 冷蔵庫
WO2018189808A1 (ja) 冷蔵庫
WO2013084582A1 (ja) 冷蔵庫
JP7122087B2 (ja) 冷蔵庫
KR100903976B1 (ko) 용적 가변형 냉장고
KR20160054888A (ko) 냉장고
JP6386274B2 (ja) 冷蔵庫
JP6681781B2 (ja) 冷却貯蔵庫
KR102516834B1 (ko) 냉장고
US20210239390A1 (en) Refrigerator
KR100884955B1 (ko) 용적 가변형 냉장고
JP6793340B2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