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366A -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366A
KR20210075366A KR1020190166337A KR20190166337A KR20210075366A KR 20210075366 A KR20210075366 A KR 20210075366A KR 1020190166337 A KR1020190166337 A KR 1020190166337A KR 20190166337 A KR20190166337 A KR 20190166337A KR 20210075366 A KR20210075366 A KR 2021007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assessment index
prediction system
typ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704B1 (ko
Inventor
박환표
한재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7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에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실제 현장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실제 현장에 대응하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와 더불어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the construction safety risk prediction system based process and the method for as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장비 및 자재의 운용 및 간섭 등의 물리적인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위험도 예측에서 탈피하여, 각 공종과 공정별 특성을 감안한 기온이라는 변수에 대한 정성적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전문가 설문을 통한 가중치로 처리하여 수치적으로 건설관리자 및 기능자에게 교육하고 경고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설현장 안전관리는 단순히 눈에 보이는 장비 및 자재의 운용 및 간섭 등의 물리적인 위험요소만을 고려하여 주먹구구식으로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 건설현장의 경우 각 공종과 공정별 특성에 따라 위험요소가 다른 양상을 보이며,
계절 및 기온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정성적인 위험요소가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건설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장비 및 자재의 운용 및 간섭 등의 물리적인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위험도 예측에서 탈피하여, 각 공종과 공정별 특성을 감안한 기온이라는 변수에 대한 정성적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전문가 설문을 통한 가중치로 처리하여 수치적으로 건설관리자 및 기능자에게 교육하고 경고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7273호 ‘미청구공사의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평가 장치’, 2018년12월04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6027호 ‘RTLS 기반의 야간 교량 공사 및 교면 포장 공사장에서 노무자 위험 알림 시스템’, 2017년11월30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건설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장비 및 자재의 운용 및 간섭 등의 물리적인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위험도 예측에서 탈피하여, 각 공종과 공정별 특성을 감안한 기온이라는 변수에 대한 정성적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전문가 설문을 통한 가중치로 처리하여 수치적으로 건설관리자 및 기능자에게 교육하고 경고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에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실제 현장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실제 현장에 대응하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와 더불어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장비 및 자재의 운용 및 간섭 등의 물리적인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위험도 예측에서 탈피하여, 각 공종과 공정별 특성을 감안한 기온이라는 변수에 대한 정성적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전문가 설문을 통한 가중치로 처리하여 수치적으로 건설관리자 및 기능자에게 교육하고 경고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로그인 화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회원가입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대시보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현장별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공정관리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안전사고 유형분석 화면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위험도 관리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에서 날씨정보와 연계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정보 관리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기대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9의 등록 및 수정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가중치(위험도)의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Ⅰ.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의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과거 안전사고 및 당해 건설현장의 특성 등 통계데이터를 활용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건설현장 안전관리 위험도 평가지수 및 공정 스케줄, 실시간 날씨정보, 예측 날씨정보, 사업장 기본정보, 근로자 출역정보 연계를 통한 공정기반의 건설현장 안전사고 위험예측시스템을 웹 기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데 주력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개발 내용 및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시설물, 공종별, 건설현장 사고사례 조사·분석 자료의 DB화
- 시설물, 공종별, 건설현장 사고사례 조사·분석 자료를 DB화 하고, 이후 지속적인 DB 축척과 관리를 위해 웹에서 자료 등록,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2) 공종별 작업인원 투입비율, 위험특성별 가중치, 공사규모, 날짜, 날씨(온도, 바람), 요일, 층수 위험요인의 건설안전사고 영향 가중치 DB화
- 건설안전사고 영향 가중치를 DB화 하고, 변경되는 가중치 관리를 위해 웹에서 자료의 등록,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3) 과거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계산
- DB화된 사고사례 조사·분석 자료와 공종별 작업인원 비율로 과거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한다.
4) 실시간 및 예측 날씨정보 수집을 위한 외부시스템 연계
- 날씨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와 연계해 실시간 날씨정보를 1시간 간격으로 수집하며, 예측 날씨정보는 현시간 이후 67시간까지의 3시간 간격 날씨정보를 가져와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에 사용한다.
5) 현장관리시스템(PMIS)등 외부시스템 연계
- 공정 정보, 근로자 출역현황, 현장 기본정보 사용을 위한 현장관리시스템 (PMIS)등의 외부시스템 연계를 위한 표준안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에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실제 현장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실제 현장에 대응하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와 더불어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해당 공종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팝업 문자를 포함한 전송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자의 스마트폰의 GPS정보와 연동되어,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해당 공종이 시행되는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팝업 문자를 포함한 전송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실제 현장에 설치된 전광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로그인 화면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회원가입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시스템 사용을 위해 회원가입을 해야 하며, 통상적인 성명, 이메일, 휴대폰 번호, 비밀번호 등의 정보를 입력 후 이용약관에 동의하면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대시보드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위험도 평가는 오늘(현재시간 기준)의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예측정보와 함께 내일, 모레의 날씨예보를 기반으로 예측정보를 표출한다.
예측정보는 작업투입인원비율 대비 재해자 비율, 안전사고비율 대비 재해자 비율, 위험강도와 위험빈도 산출(
Figure pat00001
)의 3가지 안에 프로젝트의 위험특성 가중치를 적용해 도출된 조회 일자 기준의 투입 공종의 등급을 도출한다.
내일과 모레의 위험도 평가지수 예측을 위한 날씨예보 정보활용은 기온과 풍속 정보를 활용하며, 기온은 11월부터 2월까지는 최저온도, 3월부터 10월까지는 최고온도를 가지고 예측한다.
도 5의 넘버링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사업장 정보를 조회한다.(사업장 명, 종류, 규모)
② 조회일의 날씨정보와 3시간 간격의 날씨 예측 정보를 조회한다.
③ 조회일 기준으로 내일과 모레의 최저온도 또는 최고온도와 최대 풍속을 조회한다.(3월 ~ 10월은 최고온도 기준, 11월 ~ 2월은 최저온도 기준)
④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예측은 오늘, 내일, 모레로 예측 조회한다.
⑤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예측은 3가지 안으로 조회한다. 3가지 안으로 오늘 투입되는 공종 정보의 1레벨과 2레벨의 공종별로 지수와 등급을 조회한다.
⑥ 프로젝트의 위험특성별 가중치는 오늘, 내일, 모레 조회 시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예측과 함께 데이터가 조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현장별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그인 후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건설현장 정보를 입력 후 개설이 가능하다. 건설현장 종류, 사업장 규모, 주소, 사업 기간을 입력하고, 입력된 사업장 주소로 위도·경도 정보가 자동 검색되며, 위도·경도 정보는 날씨정보를 조회하는 위치정보로 사용된다. 추가정보로 현장관리시스템(PMIS)의 URL 정보를 입력하면, 발급된 사업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공정관리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공정관리를 시스템에서 간단하게 등록·관리할 수 있다.
공정단계는 3단계까지 등록 가능하며, 시작 일자와 종료 일자를 등록 및 실행 공정율과 선후 관계를 관리할 수 있다. 등록된 공정 정보는 위험도 평가지수 계산시 건설안전사고 영향 가중치로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거 공종별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정보를 작업투입인원비율 대비 재해자 비율, 안전사고비율 대비 재해자 비율, 위험강도와 위험빈도 산출의 3가지 평가지수 안을 조회한다.
(1) 1안 : 작업투입인원비율 대비 재해자 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사망자 + 부상자 수) 발생 비율 ÷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사망자 + 부상자 수) 발생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사망자 수 + 부상자 수) 발생건수 ÷ 총 안전사고(사망자 수 + 부상자 수) 발생 건수
-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 = 공동주택 작업투입인원 실사자료와 LH 표준작업 투입비율을 근거
- 예) 1등급: 지수 < 19.59, 2등급: 19.59 <= 지수 < 39.18, 3등급: 39.18 < 지수
(2) 2안 : 안전사고비율 대비 재해자 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사망자 + 부상자 수) 발생 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 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비율(%) =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건수 ÷ 총 안전사고 발생 건수
- 예) 1등급: 지수 < 0.64, 2등급: 0.64 <= 지수 < 1.28, 3등급: 1.28 < 지수
(3) 3안 : 위험강도와 위험빈도 산출
위험도 평가지수 =
Figure pat00002
- 위험강도 =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사망자 + 부상자 수) 발생 비율 ÷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
- 위험빈도 = 공종별 안전사고 발생비율(%) ÷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
※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는 상대 위험도 평가지수 값으로 기하평균값을 적용
- 상대위험강도 및 상대 위험빈도는 공종별 위험강도 값의 가장 최대값을 100으로 환산
- 예) 1등급: 지수 < 4.71, 2등급: 4.71 <= 지수 < 9.43, 3등급: 9.43 < 지수
도 9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안전사고 유형분석 화면이고,
도 16은 도 9의 등록 및 수정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설물, 공종별, 건설현장 사고사례 조사·분석 자료를 DB로 구성하고, 관리자가 등록·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사용자는 사고사례를 공종별로 조회하거나 각 사고사례를 상세 조회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시설물, 공종별, 건설현장 사고사례 조사·분석 자료를 DB화 하고, 이후 추가되는 자료의 등록과 기존 자료의 수정을 할 수 있다. 공정별로 사고사례 조회가 가능하며, 등록된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사고사례는 공사명, 발생 일자, 재해 구분, 사망자 수, 부상자 수, 주소, 규모, 재해 내용 항목으로 관리되며, 첨부파일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위험도 관리 화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서 가중치(위험도)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공종별 건설 안전 위험도 평가지수는 과거 안전사고 재해자(사망자 수 및 부상자 수) 발생비율과 공종별 작업투입 인원 비율을 가지고 산출하며, 위험특성별 가중치를 관리한다.
그리고 공사종류, 규모, 날짜(월), 온도, 요일, 층수, 바람(풍속) 등 위험요인의 세부 가중치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에서 날씨정보와 연계되는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국의 기지국 인프라를 활용해서 구축된 기상관측망을 통해 수집된 정밀한 기상정보와 함께 기상청의 데이터를 가공해서 제공하는 날씨 정보 제공 플랫폼 업체를 통해 시간 단위로 제공받는 실시간 날씨 정보와 예측 날씨 정보를 연계한다. 날씨는 현재 날씨(시간별)와 1시간 간격으로 매일 24회 제공하는 날씨 정보를 위험 특성요인 중 온도와 바람 정보에 적용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정보 관리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 변경시 직접 정보 수정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참여한 사업장 확인이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기대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Ⅱ.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
본 발명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상기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장비 및 자재의 운용 및 간섭 등의 물리적인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위험도 예측에서 탈피하여, 각 공종과 공정별 특성을 감안한 기온이라는 변수에 대한 정성적인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전문가 설문을 통한 가중치로 처리하여 수치적으로 건설관리자 및 기능자에게 교육하고 경고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9)

  1.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서버와 인터넷상에서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에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용자가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원하는 실제 현장의 상세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실제 현장에 대응하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를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상기 과거 공종별 위험도 평가지수 결과와 더불어 날씨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해당 공종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팝업 문자를 포함한 전송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자의 스마트폰의 GPS정보와 연동되어,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해당 공종이 시행되는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의 스마트폰으로 팝업 문자를 포함한 전송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실제 현장의 공종별 위험도는 실제 현장에 설치된 전광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6. 제2항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
  7. 제3항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4항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5항의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것으로,
    (1) 상기 서버가 공종별 안전사고 재해자 발생 비율을 공종별 작업 투입인원 비율로 나눈 식에 의해 위험도 평가지수를 산출하는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단계;
    (2) 상기 위험도 평가지수 중 과거의 위험도 평가지수에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를 곱하여 현재 프로젝트의 안전 위험도를 산출하는 위험도 산출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현재 프로젝트의 위험 특성 가중치는 공사정보, 날씨정보를 포함한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90166337A 2019-12-13 2019-12-13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335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37A KR102335704B1 (ko) 2019-12-13 2019-12-13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337A KR102335704B1 (ko) 2019-12-13 2019-12-13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366A true KR20210075366A (ko) 2021-06-23
KR102335704B1 KR102335704B1 (ko) 2021-12-07

Family

ID=7659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337A KR102335704B1 (ko) 2019-12-13 2019-12-13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70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16B1 (ko) * 2021-07-28 2022-06-22 박덕근 건설 현장의 작업자 안전도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CN115239206A (zh) * 2022-09-21 2022-10-25 山东鲁中公路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公路施工现场安全管控系统
CN115796388A (zh) * 2023-01-29 2023-03-14 北京迈道科技有限公司 针对施工安全的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6090815A (zh) * 2022-12-05 2023-05-09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非开挖气动新建管道的施工监测系统
KR102532684B1 (ko) * 2022-10-12 2023-05-17 주식회사 제이케이윈드엔지니어링 건설현장 실시간 기상 관측 경보 시스템
CN116797029A (zh) * 2023-08-16 2023-09-22 北京和信安诚风险管理技术有限公司 一种idi全生命周期风险数字化管理方法、系统
KR102592412B1 (ko) * 2022-12-02 2023-10-20 항공안전기술원 항공안전 위해요인 위험도 평가시스템
CN117172542A (zh) * 2023-09-05 2023-12-05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施工现场巡查管理系统
CN117610938A (zh) * 2024-01-18 2024-02-27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建筑风险评估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20B1 (ko) * 2022-04-06 2023-02-16 김용희 디지털트윈을 이용한 bim기반 건설현장 관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11Y1 (ko) * 2006-04-24 2006-12-28 최요한 유비쿼터스 통신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산업재해 예측솔루션
KR101806027B1 (ko) 2016-05-31 2017-1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tls 기반의 야간 교량 공사 및 교면 포장 공사장에서 노무자 위험 알림 시스템
KR101927273B1 (ko) 2017-01-10 2019-03-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청구공사의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평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811Y1 (ko) * 2006-04-24 2006-12-28 최요한 유비쿼터스 통신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산업재해 예측솔루션
KR101806027B1 (ko) 2016-05-31 2017-12-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Rtls 기반의 야간 교량 공사 및 교면 포장 공사장에서 노무자 위험 알림 시스템
KR101927273B1 (ko) 2017-01-10 2019-03-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미청구공사의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및 평가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316B1 (ko) * 2021-07-28 2022-06-22 박덕근 건설 현장의 작업자 안전도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시스템
CN115239206A (zh) * 2022-09-21 2022-10-25 山东鲁中公路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公路施工现场安全管控系统
CN115239206B (zh) * 2022-09-21 2022-11-22 山东鲁中公路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公路施工现场安全管控系统
KR102532684B1 (ko) * 2022-10-12 2023-05-17 주식회사 제이케이윈드엔지니어링 건설현장 실시간 기상 관측 경보 시스템
KR102592412B1 (ko) * 2022-12-02 2023-10-20 항공안전기술원 항공안전 위해요인 위험도 평가시스템
CN116090815A (zh) * 2022-12-05 2023-05-09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非开挖气动新建管道的施工监测系统
CN116090815B (zh) * 2022-12-05 2023-10-03 苏州中恒通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非开挖气动新建管道的施工监测系统
CN115796388A (zh) * 2023-01-29 2023-03-14 北京迈道科技有限公司 针对施工安全的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6797029A (zh) * 2023-08-16 2023-09-22 北京和信安诚风险管理技术有限公司 一种idi全生命周期风险数字化管理方法、系统
CN116797029B (zh) * 2023-08-16 2023-11-07 北京和信安诚风险管理技术有限公司 一种idi全生命周期风险数字化管理方法、系统
CN117172542A (zh) * 2023-09-05 2023-12-05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施工现场巡查管理系统
CN117172542B (zh) * 2023-09-05 2024-02-20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施工现场巡查管理系统
CN117610938A (zh) * 2024-01-18 2024-02-27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建筑风险评估方法及系统
CN117610938B (zh) * 2024-01-18 2024-04-19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建筑风险评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704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704B1 (ko) 공정기반의 건설안전 위험 예측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US10977593B1 (en) Predictive models for electric power grid maintenance
van der Molen et al. Interventions to prevent injuries in construction workers
JP6937113B2 (ja) 作業現場管理システム
US8521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ather mapping to road segments
US20130060582A1 (en) Underwriting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with a civic improvement platform
KR101330519B1 (ko) 도심재생 종합 사업관리 시스템
Hatry Results-based budgeting
Dowling et al. Incorporating travel-time reliability into the congestion management process: a primer.
Okere An evaluation of a predictive conceptual method for contract time determination on highway projects based on project types
Yeung et al. Developing a holistic fire risk assessment frame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sites in Hong Kong
Hallmark et al. Synthesis of work-zone performance measures.
Schmidt et al. Requirements for the use of impact-based forecasts and warnings by road maintenance services in Germany
Tarko et al. Hazard Elimination Program-Manual on Improving Safety of Indiana Road Intersections and Sections; Volume 1: Research Report and Volume 2: Guidelines for Highway Safety Improvements in Indiana
de la Garza et al. A framework for monitoring performance-based road maintenance contracts
Oh et al. Costs and benefits of MDOT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deployments.
JP2019067386A (ja) 管理システム
KR20150053313A (ko) 맞춤형 정보 수집 및 효율적 소통을 위한 방법
Ullman et al. Guidance on data needs, availability, and opportunities for work zone performance measures.
Kuhn et al. Research on Asset Management for Safety and Operations
Al-Mahrooqi Developing the most significant and suitable smart city indicators for smart city pilot in Knowledge Oasis Muscat (KOM), Sultanate of Oman
US201401885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Characterizing, Addressing and Quantifying Disturbances to Transit System Operation
Margiotta et al. Operation Performance Management Primer: From Performance Measures to Performance Management
Bledsoe et al. Asset Management for Mobility and ITS
Strouth Quantitative life-loss risk evaluation for landsl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