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998A -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998A
KR20210073998A KR1020190164880A KR20190164880A KR20210073998A KR 20210073998 A KR20210073998 A KR 20210073998A KR 1020190164880 A KR1020190164880 A KR 1020190164880A KR 20190164880 A KR20190164880 A KR 20190164880A KR 20210073998 A KR20210073998 A KR 20210073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multiple sclerosis
preventing
tissu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엽
박덕성
홍상용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6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998A/ko
Publication of KR2021007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2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 A61K31/4725Non-condensed isoquinolines, e.g. papaver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체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 1]
0.3(mL/g tissue) ≤ B/P ratio ≤ 3.0(mL/g tissue)
상기 식 1에서, B/P ratio는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8시간 후의 혈장(Plasma)에서의 농도(ng/mL)에 대한 브레인 셀(Brain cell)에서의 농도(ng/g tissue)이다.

Description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S1P(sphingosine-1-phosphate)는 세포내 세라미드 경로(intracellular ceramide pathway)를 통해서 생성되며, 이러한 합성 경로의 출발물질인 세라미드는 두 가지 생성 경로, 즉 de novo 생합성 경로와 세포막 구성물질인 스핑고미엘렌(sphingomyelin)의 분해(degradation)을 통해서 세포 내에 생성된다. 각 조직에서의 S1P level은 두 개의 생합성 스핑고신 키나제(sphingosine kinases; SphKs)와 두 개의 생분해 S1P 포스파타제(S1P lyase와 lysophospholipid phosphatases)에 의해 조절되는데, 스핑고신이 스핑고신 키나제에 의해 인산화(phosphorylation)되면서 생성되는 물질인 S1P는 세포의 증식(proliferation), 세포골격 조직 및 이동(cytoskeletal organization and migration), 부착-(adherence-) 및 tight junction assembly, 그리고 형태발생 (morphogenesis)과 같은 다양한 세포반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혈장에서 알부민을 비롯한 다른 혈장 단백질에 결합된 형태로 높은 농도(100~1000 nM)로 존재하는 반면 조직에서는 낮은 농도로 존재하고 있다.
S1P는 G-단백질 커플링된 수용체인 S1P 수용체에 결합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S1P 수용체의 서브-타입은 S1P1~S1P5의 5 가지로 이들은 각각 내피 분화 유전자 수용체(endothelial differentiation gene (EDG) receptor) 1, 5, 3, 6 및 8로 명명된다. 이러한 S1P 수용체들은 백혈구 재순환(leukocyte recirculation), 신경 세포 증식(neural cell proliferation), 형태 변형(morphological changes), 이동(migration), 내피 기능(endothelial function), 맥관긴장조절(vasoregulation) 및 심장혈관계발생(cardiovascular development)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에서는, 이들 수용체를 통한 S1P 신호전달과정이 염증반응과 수복(repair) 과정을 포함한 다발성 경화증과 관계된 일련의 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으며, 실제로 비선택적인 S1P1 효능제가 최근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S1P 수용체들은 다발성 경화증 유발과 관계된 많은 세포에서 동일하게 널리 발현되는데, 특히 S1P1 수용체는 면역체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S1P1 수용체는 T세포 및 B세포와 같은 림프구(lymphocyte) 표면에서 주로 발현되며, S1P와 반응하여 림프구의 재순환에 관여하게 된다. 정상 상태에서 S1P 농도는 림프양 조직 (lymphoid tissue) 보다 체액에서 더 높기 때문에 림프구는 S1P 농도차에 따라 림프양 조직으로부터 떠나 원심성 림프(efferent lymph)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S1P1 효능제에 의해서 림프구의 S1P1 수용체가 하향-조절(down-regulation)되면 림프양 조직으로부터 림프구의 이탈(egress)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결국 CNS로 염증과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자가공격성(autoaggressive) 림프구의 침윤이 감소하게 되어 다발성 경화증에 치료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경구용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로 허가 받은 비선택적인 S1P1 효능제인 fingolimod의 경우, S1P1 수용체에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역설적으로 수용체가 림프구 표면으로부터 내재화(internalization) 또는 분해(degradation)되어 기능적인 S1P1 길항(antagonism)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4376호
본 발명은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에 대한 작용 효능이 뛰어나며,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자가면역 장애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체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 1]
0.3(mL/g tissue) ≤ B/P ratio ≤ 3.0(mL/g tissue)
상기 식 1에서, B/P ratio는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8시간 후의 혈장(Plasma)에서의 농도(ng/mL)에 대한 브레인 셀(Brain cell)에서의 농도(ng/g tissue)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체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식 1의 특징을 만족하는 화합물은 우수한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 역할을 하여, 재발성-완화성 다발성 경화증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면역 조정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우수한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 역할을 하여, 재발성-완화성 다발성 경화증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이와 같은 면역 조정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장(Plasma) 내 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단회 투여 후 시간에 따른 림프구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2주 반복 투여시 EAE 모델에서의 약효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EAE 모델에서의 투여 중지 후 약효 효능 감소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희석제, 담체 등과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물체 내로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carrier)”란 세포 또는 조직 내로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상기 “희석제(diluent)”란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 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인간 용액의 염 형태를 모방하고 있는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pharmaceutically acceptable)”이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담체, 희석제 등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약제학적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활성성분, 구체적으로, 식 1을 만족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treatment), 또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성체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경구용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공지된 제약용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되어 단위 용량 형태 또는 다용량 용기에 내입될 수 있다. 제제의 형태는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의 분산제,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 사용하는 건조 분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코코아버터 또는 기타 글리세리드와 같은 통상의 좌약기제를 이용하여 좌약형으로 제제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입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용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수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결합제 등과 같은 담체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기타의 약제, 예를 들어, 다른 면역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성별,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0.1 내지 500 ㎎ 범위가 통상적이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회 투여량으로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0.1 내지 300 ㎎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치료”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을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예방”이란 발병 증상을 보이지는 않지만 그러한 위험성이 높은 객체에 사용될 때 발병 징후를 중단 또는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체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식 1]
0.3(mL/g tissue) ≤ B/P ratio ≤ 3.0(mL/g tissue)
상기 식 1에서, B/P ratio는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8시간 후의 혈장(Plasma)에서의 농도(ng/mL)에 대한 브레인 셀(Brain cell)에서의 농도(ng/g tissue)이다.
상기 B/P ratio는 브레인(Brain)으로의 약물 이행률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기 B/P ratio가 0.3(mL/g tissue) 미만일 경우 약효가 현저히 떨어지며, 3.0(mL/g tissue) 초과할 경우 CNS 부작용 및 기회감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B/P ratio가 0.5 내지 2.0(mL/g tissue)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mL/g tissu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S1P1 수용체 효능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상기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24시간 이후 혈장(plasma) 내 농도가 초기 투여 농도의 3% 이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24시간 이후 혈장(plasma) 내 농도가 초기 투여 농도의 5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pK가 길게 유지됨으로써 약효 효능을 길게 유지하고, 투여 빈도를 줄일 수 있다.
[ 실험예 1: B/P ratio 평가 ]
하기 실시예 1, 비교예 1~3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사용하여 B/P ratio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SD 쥐에 각각 3mg/kg의 용량으로 하기 실시예 1, 비교예 1~3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각각 경구 투여 후 8시간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 채취가 끝난 쥐를 경추파열법(cervical dislocation)으로 죽인 후 적절한 위치에서 절개하여 브레인(brain) 조직을 얻었다. 얻은 조직은 증류수로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둥근 바닥 튜브(round bottom tube)에 넣어둔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위에서 측정된 무게(g)의 4배 볼륨(volume, mL)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넣고 균질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장기를 물리적으로 균질화(homogenation)시켜 주었다. 조직 호모제네이트(homogenate)의 2배 볼륨에 해당하는 유기 용매로서 내부표준(internal standard) 물질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넣어 제단백 후 플레이트를 3600p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LC-MS/MS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로 정량된 농도와, 동일 타임 포인트(time point)에서 채취되었던 혈액에서부터 정량의 농도의 비로부터 해당 타임 포인트(time point), 해당 조직에서의 B/P ratio를 구할 수 있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S1P1 효능제 화합물 구조 혈장(Plasma) 농도(ng/mL) 브레인 셀(Brain cell) 농도(ng/g tissue) B/P ratio (mL/g tissue)
실시예1
Figure pat00003
462.8 461.4 1.0
비교예1
Figure pat00004
295.0 170.8 0.6
비교예2
Figure pat00005
224.6 LOQ
(limit of quantification)
측정불가
비교예3
Figure pat00006
153.1 61.8 0.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3의 경우 B/P ratio가 1.0 미만으로 낮은 반면에, 실시예 1의 경우 B/P ratio가 1.0으로 높아 브레인(Brain)으로의 약물 이행률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장(Plasma) 내 농도 프로파일]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은 실시예 1, 비교예 1~2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SD 쥐에 각각 3mg/kg의 용량으로 하기 실시예 1, 비교예 1~3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할 SD 쥐는 16시간 전부터 절식시키고, 물은 자유롭게 공급해주며 실험 당일 실험물질 투여 1시간 전에 실험 동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경구 투여의 경우 준비해 둔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3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물을 존대에 연결시키고 각각 10초에 걸쳐서 투여하는데, 1분 간격으로 한 마리씩 투여해 나갔다. 투여 간격은 실험이 가능한 정도로 적절히 띄우며, 투여 시간을 정확하게 기록하도록 하였다. 이후 쥐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을 하고 안와채혈을 실시하였다. 채혈 시 채혈량은 약 30㎕로 하였다. 단, 전체 시간 동안 채혈량이 체중의 10% 미만이 되도록 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기에 13,000rpm, 상온에서 1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eppendorf tube에 담았다. 위에서 취한 상층액(혈장)의 4배 볼륨(volume)에 해당하는 유기 용매로서 내부표준(internal standard) 물질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넣어 제단백 후 플레이트를 3,6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하여 LC-MS/MS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구 투여한 SD 쥐는 약물을 투여한 4시간 후부터는 사료를 공급해 주었으며, 3시간 후, 6시간 후, 24시간 후 채혈을 실시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예 1~2의 경우 투여 후 10시간 이전까지만 S1P1 효능제 화합물의 혈장(Plasma) 내 농도가 측정되는 반면에, 실시예 1의 경우 투여 후 24시간 이상까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단회 투여 후 시간에 따른 림프구 감소 효과]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은 실시예 1, 비교예 1~2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Male SD 쥐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비교예 1~2의 S1P1 효능제에 의한 혈액 내 림프구(lymphocyte) 감소 효능을 평가하였다. 약 250g의 쥐를 1주일 간 사육 시설에 적응시킨 후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2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각각 3mg/kg의 용량으로 단회 투여하고 투여 후 3시간, 6시간, 24시간 째 꼬리 미정맥에서 채혈하여 약 200㎕의 혈액을 응고되지 않게 EDTA 튜브에 담아 혈액 내 림프구(lymphocyte) 수를 측정하였다. 림프구(lymphocyte) 수는 혈액학적 검사기기인 Hemo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FTY-720은 Reference로서 S1P 효능제 화합물인 Fingolimod(상품명: Gilenya)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2의 경우 투여 후 6시간 이후부터 림프구가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의 경우 FTY-720와 유사하게 투여 후 24시간 이상까지 림프구 감소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4: EAE 모델에서의 약효 평가]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약효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 모델인 EAE(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모델을 확립하여 장기 투여에 의한 약효를 평가하였다. EAE 모델은 사람의 다발성 경화증의 유사한 모델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모델은 중추신경계(CNS)에서 염증세포의 침윤과 탈수초화가 특징이며, EAE의 진행은 CNS로의 자가반응성(autoreactive) T세포의 이주가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진 T 림프구 매개성 질환 모델이다. EAE 모델은 사용하는 시험종과 strain 및 면역원(immunogen)에 따라 질환의 유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내부 약리 시험에서는 만성적인 EAE 모델인 Lewis Rat EAE 모델을 사용하였다.
7주령의 female C57BL/6 마우스를 사육 공간에서 약 1~2주일간 적응시킨 후 EAE를 유도하기 위해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MOG, 200㎍; Peptron, Korea)과 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400㎍; Difco, USA)를 함유한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Difco, USA)를 동일량을 혼합한 것을 면역원으로 사용하여 마우스당 양쪽 옆구리에 각각 50㎕, 총 100㎕을 주사하였다. 그리고 pertussis toxin 200ng (List Biological Laboratories, USA)을 면역일과 면역 후 2일째 복강주사하였다. 면역한 마우스는 매일 체중과 임상 증상을 측정하였다.
통상 면역 후 약 7일 후부터 EAE가 유발되어 14~19일 사이에 증상의 peak가 나타난 후 유지되기 때문에, 시험 물질에 의한 약효 평가는 EAE 유도 후 17~21일 사이에 증상의 peak 시점에서 군분리 후 시험물질을 투여하였으며, 투여 기간은 통상 2주 반복 투여하여 약효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은 실시예 1, 비교예 1, 3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사용하여 2주 반복 투여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예 1에서와 같은 실시예 1의 S1P1 효능제 화합물을 사용하여 2주 반복 투여하고 투여 중지 후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에서 FTY-720은 Reference로서 S1P 효능제 화합물인 Fingolimod(상품명: Gilenya)를 의미한다.
EAE의 진행 정도는 특징적 임상 증상에 따라 하기 표 2의 10단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Score Clinical Sign Method of detection Observation
0.5 부분적 축 늘어진 꼬리(patially limp tail) - 쥐 꼬리를 잡아봄
- 원통형 물체를 쥐 꼬리에 접촉시켜 wrap 유무 관찰
- 걸음걸이(gate) 관찰(철망 위에 올려놓아 걸음걸이 관찰)
- 꼬리 잡고 들었을때: 뒷다리 extended
- 꼬리: drop 또는 wrap 못함
- 걸음걸이 정상, 거꾸로 잘 매달림
1 축 늘어진 꼬리(a limp tail) - 꼬리 잡고 들었을때: 뒷다리 extended
- 꼬리: drop 및 wrap 못함
- 걸음걸이 정상, 거꾸로 잘 매달림
1.5 축 늘어진 꼬리(a limp tail) 한쪽 weakness - 꼬리 잡고 들었을때: 뒷다리 extended
- 꼬리: drop 및 wrap 못함
- 걸음걸이 정상, 거꾸로 매달림(한쪽 발가락 부자연스러움)
2 움직임 이상
뒷다리 부전(paresis)
- 쥐 꼬리를 잡아봄
- 걸음걸이(gate) 관찰(철망 위에 올려놓아 걸음걸이 관찰)
- Toe pinch 수행
- 뒷다리 contract
- 꼬리 limp
- 움직임 이상(철망 뒷다리 빠짐), 거꾸로 못 매달림
- Toe pinch: 뒷다리 reflex
2.5 뒷다리 심한 부전(severe paresis) - 한쪽 뒷다리 drags
- 꼬리 limp
- 철망에서 양쪽 뒷다리 빠짐: drag 양상
- Toe pinch: 뒷다리 reflex
3 한쪽 뒷다리 마비 - 한쪽 뒷다리 drags
- 꼬리 limp
- 한쪽 Toe pinch: 뒷다리 반응X
3.5 두 뒷다리 마비 - 두 뒷다리 drags
- 꼬리 limp
- 양쪽 Toe pinch: 반응 X
- 앞발로 앞으로 이동가능
4 두 뒷다리 마비
앞다리 weakness
- 두 뒷다리 drag하나 앞다리만으로 몸을 당기기 힘듬
- Toe pinch: 앞다리 reflex
4.5 앞다리 마비 - 쥐 못 움직임
- Toe pinch: 앞다리 반응 X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3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약효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FTY-720와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 투여 중지 후 1주일 안에 약효 효능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FTY-720의 경우 투여 중지 후 약효 효능이 사라지는데 2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Claims (7)

  1.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체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식 1]
    0.3(mL/g tissue) ≤ B/P ratio ≤ 3.0(mL/g tissue)
    상기 식 1에서, B/P ratio는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8시간 후의 혈장(Plasma)에서의 농도(ng/mL)에 대한 브레인 셀(Brain cell)에서의 농도(ng/g tissue)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에 있어서, B/P ratio가 0.5 내지 2.0(mL/g tissue)인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24시간 이후 혈장(plasma) 내 농도가 초기 투여 농도의 3% 이상인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SD 쥐에 3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 후 24시간 이후 혈장(plasma) 내 농도가 초기 투여 농도의 5 내지 10%인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은 S1P1 수용체 효능제인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agonist)인 화합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체를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KR1020190164880A 2019-12-11 2019-12-11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10073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80A KR20210073998A (ko) 2019-12-11 2019-12-11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80A KR20210073998A (ko) 2019-12-11 2019-12-11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98A true KR20210073998A (ko) 2021-06-21

Family

ID=7660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80A KR20210073998A (ko) 2019-12-11 2019-12-11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9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376A (ko)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376A (ko)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스핑고신-1-인산 수용체 효능제,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37298A (ja) ラキニモドおよびフィンゴリモドを組み合わせた多発性硬化症の治療
US10004744B2 (en) Therapeutic approaches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KR20160067103A (ko) 신경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토라세미드 및 바클로펜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6456583B (zh) 用于治疗神经障碍的巴氯芬、阿坎酸和中链甘油三酯的组合
UA122063C2 (uk)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бінація, що містить селективний агоніст рецептора s1p1
MX2012007778A (es) Diazoxido para su uso en el tratamiento o prevencion de una enfermedad desmielinizante autoinmunitaria del sistema nervioso central (snc).
KR20160062222A (ko) 샤르코-마리-투스 질환 관련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필로카핀 및 메티마졸 조합
CZ355897A3 (cs) Způsob léčení mánie a bipolárních poruch
US1007110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treatment or delay of Alzheimer's disease or dementia containing G protein-coupled receptor 19 agent as active ingredient
JP2014530835A (ja) S1p受容体モジュレーターまたはs1p受容体アゴニストのための投薬量レジメン
JP5786714B2 (ja) 神経障害性疼痛の治療剤又は予防剤
RU2770307C2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или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отив периферических невропатий
KR20210073998A (ko)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MXPA05000791A (es) Compuestos de 1-fenil-2-dimetilaminometil ciclohexano para la terapia de sintomas depresivos, dolor e incontinencia.
Dam et al. Carbamazepine: a clinical biopharmaceutical study
US11304923B2 (en) Use of a benzoate containing composition to treat glycine encephalopathy
CA2003572A1 (en) Use of benzomorphanes for cytoprotection
US20180296564A1 (en) Method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 iii
US9192602B2 (en) Indication of anthra[2,1,c][1,2,5]thiadiazole-6,11-dione compound in alleviating pain
RU2604132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гипертриглицеридемии или вызванных гипертриглицеридемией заболеваний
CN112843065B (zh) 一种用于认知障碍的药物及其制备方法
CA3061243C (en) Idalopirdine-based combinatorial therapies of alzheimer's disease
US9284281B2 (en) Indication of naphtho[2,3-F]quinoxaline-7,12-dione compound in alleviating pain
WO2022008966A1 (en) N - [4 - (trifluoromethoxy) benzylidene) nicotinohydrazide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WO1999011266A1 (fr) Remedes contre la sclerose en pla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