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770A -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 Google Patents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770A
KR20210073770A KR1020190164371A KR20190164371A KR20210073770A KR 20210073770 A KR20210073770 A KR 20210073770A KR 1020190164371 A KR1020190164371 A KR 1020190164371A KR 20190164371 A KR20190164371 A KR 20190164371A KR 20210073770 A KR20210073770 A KR 2021007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earer
compression
blood circulation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212B1 (ko
Inventor
백학선
Original Assignee
(주)메디위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위너 filed Critical (주)메디위너
Priority to KR102019016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2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과 오금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밴드와, 상기 착용자의 발목 및 아킬레스건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밴드와, 상기 제1 밴드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착용자의 무릎과 발목 사이를 감싸는 중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연결통에 구비되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과 상기 장딴지근 양옆의 가자미근(soleus, 비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장딴지근(Castrocnemius)의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를 감싸는 종아리 피복 압착부;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자미근의 양옆과 하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상기 가자미근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Anterior tibial artery)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y)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는 메인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적절한 압박 강도로 하지를 감싸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KNITTED FABRIC FOR IMPROVING BLLOD CIRCULATION}
본 발명은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절한 압박 강도로 하지를 감싸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정맥은 동맥을 통해 우리 몸 곳곳으로 공급되었던 혈액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 길로서, 혈액의 역류를 막기 위해 정맥 안에 판막이 존재한다.
이러한 판막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피가 심장 쪽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역류되면 혈관이 늘어나게 되고 늘어난 혈관은 피부 밖으로 돌출되어 보이게 된다.
이러한 증상이 하지에 발생하여 다리 피부 밑에 있는 가느다란 정맥 혈관에 피가 고이고 늘어나서 구불구불하게 튀어나온 것이 하지정맥류이다.
나이가 들면 정맥의 탄력이 감소하고 정맥 내의 판막이 약해지게 되어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는 일이 어려워져, 혈액의 역류가 발생한다.
그 결과 정맥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정맥이 확장되어 정맥류가 생긴다.
하지정맥류의 증상은, 푸르스름한 혈관이 보이는 미용적 문제가 대부분일 것이다.
기타 증상으로는 오래 서있으면 다리가 무겁게 느껴지고 피로감이 올 수 있으며 장기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만성적으로 혈액이 저류되어 피부가 검게 착색되고 주변부의 피부염 또는 심한 경우에는 피부가 거칠고 딱딱해지며 피부궤양이 생기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33호의 "기능성 레깅스"(이하 선행기술)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크게 메인 겉감과 지지안감과 압박밴드와 골반밴드 및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인 겉감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면과 후면으로 나뉘어 바지 형태로 재단되는 부재이다.
지지안감은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벅지 측면과 엉덩이 밑 라인 부위를 따라서 덧대어 봉제되어 착용자의 허벅지 측면과 엉덩이 밑 라인 부위를 압박하는 부재이다.
압박밴드는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벅지와 종아리 부분에 나선형으로 중첩되게 봉제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아주어 근육의 균형을 조절하여 하체를 교정해주는 부재이다.
골반밴드는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골반부위에 봉제되어 골반을 강하게 압박하여 잡아주어 골반을 보정해주는 부재이다.
지지부재는 상기 메인 겉감 내측면의 허리부위 둘레를 따라 허리를 받쳐주어 지지해주는 복수 개의 부재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하체 전체의 보정 및 교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에 촛점이 맞춰진 것으로, 하지정맥류나 부종 등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및 해결 방안의 마련이 부족한 한계가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특수한 상황, 즉 운동시 착용하는 등의 특수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다양한 의류를 착용하고 외출하거나 활동하려는 착용자들마다 제각각인 욕구와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선행기술은 부종이 자주 발생하거나 정맥류 발생이 우려되는 착용자들에게는 불필요하게 과도한 비용의 지출이 불가피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대두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872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적절한 압박 강도로 하지를 감싸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과 오금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밴드와, 상기 착용자의 발목 및 아킬레스건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밴드와, 상기 제1 밴드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착용자의 무릎과 발목 사이를 감싸는 중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연결통에 구비되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과 상기 장딴지근 양옆의 가자미근(soleus, 비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장딴지근(Castrocnemius)의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를 감싸는 종아리 피복 압착부;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자미근의 양옆과 하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상기 가자미근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Anterior tibial artery)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y)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는 메인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는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는 1x1 메시 구조이며, 상기 메인 압박부는 1x1 내지 4x4 메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압박부의 압박 강도는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압박 강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압박부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는 최대이며, 상기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압박부로 갈수록 상기 압박 강도는 점차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메인 압박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밴드까지 연장되어 상기 착용자의 종아리 하부측과 발목 및 아킬레스 건을 압박하는 서브 압박부와, 상기 제1 밴드의 하단부 전방 및 양옆 바깥의 영역과,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와 상기 메인 압박부 및 상기 서브 압박부의 바깥 영역에 형성되어 통기를 허용하는 늑골조직(Rib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통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및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고,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압박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피부측과 마주보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지압 자극을 부여하는 복수의 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돌편은 황토분말과 토르말린분말 및 이산화티타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과 오금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밴드와, 착용자의 발목 및 아킬레스건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밴드와, 제1 밴드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무릎과 발목 사이를 감싸는 중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통을 포함하는 본체; 연결통에 구비되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과 장딴지근 양옆의 가자미근(soleus, 비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장딴지근(Castrocnemius)의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를 감싸는 종아리 피복 압착부;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가자미근의 양옆과 하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가자미근을 압박함으로써,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Anterior tibial artery)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y)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는 메인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착용자의 무릎 아래의 각 부위에 적절한 강도로 압박을 하여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양말이나 스타킹 또는 다리 토시의 형태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하체 전체에 걸쳐 착용해야 하는 선행기술의 레깅스와 같은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이 없이 착용과 활동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밴드와 제2 밴드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는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지되, 제1 밴드와 제2 밴드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는 1x1 메시 구조이며, 메인 압박부는 1x1 내지 4x4 메시 구조로 하고, 메인 압박부의 압박 강도는 제1 밴드와 제2 밴드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압박 강도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되, 본체에 있어서, 메인 압박부로부터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는 최대이며,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부터 메인 압박부로 갈수록 압박 강도는 점차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과 뒤정강동맥의 원활한 혈류를 촉진하고 혈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정맥류나 부종 등의 질환 발생을 극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는, 메인 압박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밴드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종아리 하부측과 발목 및 아킬레스 건을 압박하는 서브 압박부와, 제1 밴드의 하단부 전방 및 양옆 바깥의 영역과, 종아리 피복 압착부와 메인 압박부 및 서브 압박부의 바깥 영역에 형성되어 통기를 허용하는 늑골조직(Rib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통기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통풍을 통한 땀 흡수 및 배출을 촉진시켜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및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본체에 내장되는 면상발열체와, 면상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본체의 압박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더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혈류를 인위적으로 강제 촉진시켜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정맥류나 부종 등의 질환 발생을 극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피부측과 마주보는 면상발열체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고 황토분말과 토르말린분말 및 이산화티타늄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피부에 지압 자극을 부여하는 복수의 돌편을 더 구비함으로써, 면상발열체와 함께 착용자의 혈류를 더욱 촉진시켜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정맥류나 부종 등의 질환 발생을 극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종아리 피복 압착부(20) 및 메인 압박부(30)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본체(10)는 착용자의 무릎과 오금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밴드(11)와, 착용자의 발목 및 아킬레스건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밴드(12)와, 제1 밴드(11)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제2 밴드(1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무릎과 발목 사이를 감싸는 중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통(13)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아리 피복 압착부(20)는 연결통(13)에 구비되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과 장딴지근 양옆의 가자미근(soleus, 비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장딴지근(Castrocnemius)의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를 감싸는 것이다.
또한, 메인 압박부(30)는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가자미근의 양옆과 하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가자미근을 압박함으로써,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Anterior tibial artery)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y)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우선, 종아리 피복 압착부(20)는 제1 밴드(11)의 양옆과 후방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밴드(12)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2 밴드(12)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장딴지근을 덮어 감싸 압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메인 압박부(30)는, 이러한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하단부와, 전술한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하단부 양옆으로부터 제2 밴드(12)측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한편, 제1 밴드(11)와 제2 밴드(12)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는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밴드(11)와 제2 밴드(12)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는 1x1 메시 구조이며, 메인 압박부(30)는 1x1 내지 4x4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 메시 구조로 편직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1x1 및 4x4 메시에서 "1x1"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엮는 실의 갯수에 따라 1가닥 및 1가닥으로 엮어서 메시 구조로 만든 것을 1x1 메시 구조라 한다.
이때, 메인 압박부(30)의 압박 강도는 제1 밴드(11)와 제2 밴드(12)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압박 강도보다 크거나 같고, 메인 압박부(30)로부터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는 최대이며, 제2 밴드(12)의 상단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부터 메인 압박부(30)로 갈수록 압박 강도는 점차 증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박 강도의 점증(漸增) 구조는 가자미근 양옆과 하단부를 따라 종아리를 관통하는 앞정강동맥과 뒤정강동맥을 압박하여 혈류량과 혈류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부종 또는 정맥류의 발생을 지연 또는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메인 압박부(3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밴드(12)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종아리 하부측과 발목 및 아킬레스 건을 압박하는 서브 압박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제1 밴드(11)의 하단부 전방 및 양옆 바깥의 영역과,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와 메인 압박부(30) 및 서브 압박부(40)의 바깥 영역에 형성되어 통기를 허용하는 늑골조직(Rib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통기부(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서브 압박부(40)는, 크게 힘줄 압박대(41)와 압박 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힘줄 압박대(41)는 메인 압박부(3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밴드(12)의 후방 상단부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착용자의 발꿈치힘줄(Calcaneal tendon)을 압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압박 밴드(42)는 제2 밴드(1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힘줄 압박대(41)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목과 아킬레스건을 압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메인 압박부(30)는 4x4 메시 구조이며, 힘줄 압박대(41)는 2x2 내지 3x3 메시 구조이고, 압박 밴드(42)는 2x2 메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메인 압박부(30)로부터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대이며, 제2 밴드(12)의 상단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부터 메인 압박부(30)로 갈수록 압박 강도는 점차 증대되고, 다시말해 메인 압박부(30)로부터 압박 밴드(42)측으로 갈수록 압박 강도는 점차 감소되도록 편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압박 강도의 그라데이션은 앞정강동맥과 뒤정강동맥의 혈류량을 증대시키고 혈류 속도 또한 증대시킴으로써 하지정맥류나 부종 등과 같은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통기부(50)는, 크게 상, 하부 통기부(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통기부(51)는 제1 밴드(11)의 하단부 전방 및 양옆 바깥과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와 메인 압박부(30) 및 서브 압박부(40)의 바깥 영역에 형성되어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3x1 늑골조직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하부 통기부(52)는 상부 통기부(51)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서브 압박부(40)의 하부측에 형성된 압박 밴드(42) 사이에 배치되며, 4x1 내지 5x1 늑골조직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때, 3x1과 4x1 내지 5x1 늑골조직은 일명 3:1과 4:1 및 5:1 늑골조직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하부 통기부(52)는 상부 통기부(51)보다 압박 강도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압박부(30)로부터 서브 압박부(40)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박 강도에 따라 본체(10)부가 전체적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즉, 하부 통기부(52)는, 본체(10)부의 하부측에서 이러한 서브 압박부(40)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는 압박 강도의 그라데이션에 따른 강도 보상을 위해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강제적으로 착용자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면상발열체(60)와 압전소자(70)를 더 구비하여, 인위적으로 착용자의 혈류량을 증대시키고 혈류를 촉진시켜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면상발열체(60)는 그리고,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및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본체(10)에 내장되는 것으로, 그 종류 및 소재는 특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와 같은 것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압전소자(70)는 면상발열체(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일측에 내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본체(10)의 압박을 감지하여 미세전류를 생성하고 이러한 미세전류를 면상발열체(60)에 통전시켜 면상발열체(60)로 하여금 적절한 온도로 착용자의 비근 주변을 가열시켜줌으로써, 혈류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측과 마주보는 면상발열체(60)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지압 자극을 부여하는 복수의 돌편(65)을 더 구비함으로써,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복수의 돌편(65)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물질로 알려진 황토분말과 토르말린분말 및 이산화티타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면상발열체(60)와 함께 혈류 촉진 및 혈류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착용자의 무릎과 오금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밴드(11)와, 착용자의 발목 및 아킬레스건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밴드(12)와, 제1 밴드(11)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제2 밴드(1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착용자의 무릎과 발목 사이를 감싸는 중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통(13)을 포함하는 본체(10); 연결통(13)에 구비되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과 장딴지근 양옆의 가자미근(soleus, 비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장딴지근(Castrocnemius)의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를 감싸는 종아리 피복 압착부(20);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가자미근의 양옆과 하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가자미근을 압박함으로써,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Anterior tibial artery)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y)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는 메인 압박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착용자의 무릎 아래의 각 부위에 적절한 강도로 압박을 하여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밴드(11)와 제2 밴드(12)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는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지되, 제1 밴드(11)와 제2 밴드(12)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는 1x1 메시 구조이며, 메인 압박부(30)는 1x1 내지 4x4 메시 구조로 하고, 메인 압박부(30)의 압박 강도는 제1 밴드(11)와 제2 밴드(12) 및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압박 강도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되, 본체(10)에 있어서, 메인 압박부(30)로부터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는 최대이며, 제2 밴드(12)의 상단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부터 메인 압박부(30)로 갈수록 압박 강도는 점차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과 뒤정강동맥의 원활한 혈류를 촉진하고 혈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정맥류나 부종 등의 질환 발생을 극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메인 압박부(30)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2 밴드(12)까지 연장되어 착용자의 종아리 하부측과 발목 및 아킬레스 건을 압박하는 서브 압박부(40)와, 제1 밴드(11)의 하단부 전방 및 양옆 바깥의 영역과,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와 메인 압박부(30) 및 서브 압박부(40)의 바깥 영역에 형성되어 통기를 허용하는 늑골조직(Rib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통기부(50)를 더 구비함으로써, 통풍을 통한 땀 흡수 및 배출을 촉진시켜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및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본체(10)에 내장되는 면상발열체(60)와, 면상발열체(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0)의 일측에 내장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본체(10)의 압박을 감지하는 압전소자(70)를 더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혈류를 인위적으로 강제 촉진시켜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정맥류나 부종 등의 질환 발생을 극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착용자의 피부측과 마주보는 면상발열체(60)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고 황토분말과 토르말린분말 및 이산화티타늄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피부에 지압 자극을 부여하는 복수의 돌편(65)을 더 구비함으로써, 면상발열체(60)와 함께 착용자의 혈류를 더욱 촉진시켜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정맥류나 부종 등의 질환 발생을 극소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절한 압박 강도로 하지를 감싸 정맥류나 부종 등의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질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면상발열체(60)가 종아리 피복 압착부(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메인 압박부(30)나 서브 압박부(40)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 면상발열체(60) 및 돌편(65)을 추가하여 착용자의 다리쪽 피부의 더욱 넓은 면적에 걸친 혈류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본체
11...제1 밴드
12...제2 밴드
13...연결통
20...종아리 피복 압착부
30...메인 압박부
40...서브 압박부
41...힘줄 압박대
42...압박 밴드
50...통기부
51...상부 통기부
52...하부 통기부
60...면상발열체
65...돌편
70...압전소자

Claims (9)

  1. 착용자의 무릎과 오금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상단부를 형성하는 제1 밴드와, 상기 착용자의 발목 및 아킬레스건 각각의 주변부를 감싸는 하단부를 형성하는 제2 밴드와, 상기 제1 밴드부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착용자의 무릎과 발목 사이를 감싸는 중간부를 형성하는 연결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연결통에 구비되어 장딴지근(gastrocnemius muscle)과 상기 장딴지근 양옆의 가자미근(soleus, 비근)과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장딴지근(Castrocnemius)의 안쪽갈래(Medial head)와 가쪽갈래(Lateral head)를 감싸는 종아리 피복 압착부;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하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가자미근의 양옆과 하단부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상기 가자미근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가자미근을 통과하는 앞정강동맥(Anterior tibial artery)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rtey)의 혈류량을 증대시키는 메인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는 메시(mesh)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는 1x1 메시 구조이며,
    상기 메인 압박부는 1x1 내지 4x4 메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압박부의 압박 강도는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 및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압박 강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압박부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압박 강도는 최대이며,
    상기 제2 밴드의 상단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압박부로 갈수록 상기 압박 강도는 점차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메인 압박부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밴드까지 연장되어 상기 착용자의 종아리 하부측과 발목 및 아킬레스 건을 압박하는 서브 압박부와,
    상기 제1 밴드의 하단부 전방 및 양옆 바깥의 영역과,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와 상기 메인 압박부 및 상기 서브 압박부의 바깥 영역에 형성되어 통기를 허용하는 늑골조직(Rib structure)으로 이루어진 통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 피복 압착부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및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면상발열체와,
    상기 면상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내장되고,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상기 본체의 압박을 감지하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피부측과 마주보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대향면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지압 자극을 부여하는 복수의 돌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편은 황토분말과 토르말린분말 및 이산화티타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1020190164371A 2019-12-11 2019-12-11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10238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71A KR102381212B1 (ko) 2019-12-11 2019-12-11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71A KR102381212B1 (ko) 2019-12-11 2019-12-11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70A true KR20210073770A (ko) 2021-06-21
KR102381212B1 KR102381212B1 (ko) 2022-03-31

Family

ID=7660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71A KR102381212B1 (ko) 2019-12-11 2019-12-11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97A (ko) * 2021-08-13 2023-0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능성 바지
KR102537134B1 (ko) * 2022-05-18 2023-05-30 신동문 온도 상승으로 인한 혈액순환 및 붓기가 개선되는 단계적 차별 압박스타킹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5363B (en) * 2022-02-08 2024-02-14 Alexander Blake Nathan Sock desig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66A (ko) * 2003-06-21 2004-12-31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4729B1 (ko) * 2005-08-18 2007-04-06 김동욱 천연질감의 패턴형성이 용이한 고강도 내충격성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009542381A (ja) * 2006-07-07 2009-12-03 パウル ハルトマン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圧迫ストッキングあるいはサポートストッキング
KR20100118047A (ko) * 2009-04-27 2010-11-04 손광일 보행에 의한 냉난방장치
KR101581305B1 (ko) *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200487233Y1 (ko) 2016-12-29 2018-08-27 오윤경 기능성 레깅스
KR20190001045U (ko) * 2017-10-24 2019-05-03 이길자 다기능 발토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966A (ko) * 2003-06-21 2004-12-31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4729B1 (ko) * 2005-08-18 2007-04-06 김동욱 천연질감의 패턴형성이 용이한 고강도 내충격성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JP2009542381A (ja) * 2006-07-07 2009-12-03 パウル ハルトマン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圧迫ストッキングあるいはサポートストッキング
KR20100118047A (ko) * 2009-04-27 2010-11-04 손광일 보행에 의한 냉난방장치
KR101581305B1 (ko) * 2014-03-07 2015-12-30 (주)에스엔테크 발과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츠
KR200487233Y1 (ko) 2016-12-29 2018-08-27 오윤경 기능성 레깅스
KR20190001045U (ko) * 2017-10-24 2019-05-03 이길자 다기능 발토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97A (ko) * 2021-08-13 2023-02-2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기능성 바지
KR102537134B1 (ko) * 2022-05-18 2023-05-30 신동문 온도 상승으로 인한 혈액순환 및 붓기가 개선되는 단계적 차별 압박스타킹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212B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21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편직물
KR200487233Y1 (ko) 기능성 레깅스
RU2717591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носок
KR101465104B1 (ko) 기능성 레깅스
KR102656017B1 (ko) 원형 머신을 이용하여 제작된 탄성 삽입체를 가진 의류
JP4908025B2 (ja) 股付き衣類
US6012177A (en) Therapeutic sock with different knitted parts due to yarn and elasticity
KR20120050380A (ko) 장딴지의 근건막 펌프 강화를 위한 압박/봉쇄용 실측맞춤형 보조기구
KR101770617B1 (ko) 뒤틀림 방지용 기능성 양말
US20240090599A1 (en) Energizing garment
KR20080036581A (ko) 만성 정맥 부전증 치료를 위한 하지용 편직 압박 보조기
US20180021199A1 (en) Garment for improved foot and leg alignment and improved circluation
KR101728958B1 (ko) 기능성 레깅스
KR20130122608A (ko) 순차 압박 양말류
JP2008002014A (ja) 痩身衣類
US20060167493A1 (en) Therapeutic ring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KR102465422B1 (ko) 혈액순환 개선을 위하여 하지에 압박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밴드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JPH01214361A (ja) ベルト押さえ付膝蓋骨装具
KR101515757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TWM446508U (zh) 壓力襪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CN207322805U (zh) 一种糖尿病患者用理疗保健鞋
KR102482052B1 (ko) 압박용 풋웨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