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739A -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739A
KR20210073739A KR1020190164293A KR20190164293A KR20210073739A KR 20210073739 A KR20210073739 A KR 20210073739A KR 1020190164293 A KR1020190164293 A KR 1020190164293A KR 20190164293 A KR20190164293 A KR 20190164293A KR 20210073739 A KR20210073739 A KR 20210073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tcms
camera
interface information
c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8802B1 (en
Inventor
김성진
이강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802B1/en
Publication of KR2021007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includes: a receiving part enabl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a remote input/output unit (Remote I/O), a PLC distribution board, a PLC distribution board MMI, a train control management system (TCMS) or a train monitoring system (TMS), and a TCMS screen unit (TCMS DU), and receiving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electronic units to the other electronic units;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front part, an operator room, and a distribution board of a train to record the situation of a train ahead, a master controller situation of the operator room, an input/output situation of a master desk of the operator room, an operator display screen situation of the TCMS/TMS, and a PLC distribution board MMI situation as images during the running of the train; a control part stor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electronic unit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part an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s by synchronizing the same with time; and a storage part stor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of the electronic units an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each of the camera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Description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차 내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toring interface information in a train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terface information in a train using the same.

최근 전동차량은 차량내 전장장치의 전자화를 통한 시스템 모듈화, 경량화 및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한 통합 제어 및 전장장치의 감시 및 진단을 추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통신인터페이스를 갖춘 CCTV, 승객안내시스템과 같은 승객용 서비스 장치를 추가하고 있다. 기존의 경우 이러한 통신인터페이스를 갖춘 장치들을 시험하기 위해 현차 시험전 전동차의 운행환경을 가상으로 구현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제작하고, 시뮬레이터는 각 장치의 신호를 모의로 발생시켜 다수의 장치들과 연계 동작하게 하고 장치의 타당성 및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수의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한다.Recently, electric vehicles are promoting integrated control and monitoring and diagnosis of electronic devices through system modularization, weight reduction, and communication interfaces such as ethernet through electronic devices in the vehicle. To this end, we are adding service devices for passengers such as CCTV with communication interface and passenger guidance system. In the existing case, in order to test devices equipped with such a communication interface, a simulator is produced to virtually implement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train before the current vehicle test, and the simulator generates signals from each devic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number of devices. and store and analyze interface information with multiple device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the device.

그러나, 실제 열차가 운행중이거나 현차시험시에 열차내 일부 전장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이더넷으로 변경하거나, 또한 통신인터페이스를 갖춘 차량에서 차량 수량 변경과 2중 이상의 가변 편성, 일부 전동차량 내 부분적 서비스 장치 변경 등 가변적으로 구성하여 운영중인 경우 실험실의 시뮬레이터를 실차에 설치하여 장치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기는 힘든 실정이다.However, when the actual train is in operation or during the current vehicle tes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f some electric devices in the train is changed to Ethernet, or the number of vehicles is changed in a vehicl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he configuration of two or more, and partial service devices in some electric vehicles are changed.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the device by installing a laboratory simulator in a real vehicle when it is configured and operated variably.

이와 유사하게 기존 시스템의 경우 열차내 장치들의 장애를 기록 및 저장하는 이벤트 레코더 장치와, 영상정보를 포함하여 열차내 장치에서 생성 및 획득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열차 장치들의 작동정보를 획득, 통합 판단제어부에서 판단된 정보들을 저장 관리하는 열차 블랙박스 장치 같은 경우에는 이를 통해 단순히 장애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실시간으로 열차내 다수의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차량내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 영상정보와 동기화하여 저장 및 재생하지 못한다. 특히, 현차시험시 장치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발명이 필요하다.Similarly,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ystem, an event recorder device that records and stores failures of in-train devices and receives data generated and acquired from in-train devices, including image information, to acquire operation information of train devices, and integrated decision control unit In the case of a train black box devic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determined in the train, it is possible to simply solve the problem through this, but the interface information that is transmitted from multiple devices in the train to other devices in real time can be combined with the video information of multiple cameras installed in the vehicle. It cannot be synchronized to save and pla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need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the device in the current vehicle test.

종래의 시스템들은 열차가 운행 종료후에 다수의 차량장치에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차량장치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내려받아 장치별로 분류된 정보들을 판독하여 각 장치들의 상태를 판단한다. 그러나 필요한 다수의 차량장치를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내려받는 것과 원하는 이벤트 시점이나 원하는 시간대에 데이터를 기준 시각에 따라 취합 및 평가, 진단하는 것은 힘든 것이 현실이다.Conventional systems individually connect to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after the train is running, download log data from the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read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device, and determine the status of each device. However, in reality, it is difficult to download data by individually connecting a number of necessary vehicle devices, and to collect, evaluate, and diagnose data according to the reference time at the desired event time or desired time period.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20441호(발명의 명칭: 열차 종합 감시 시스템)에 개시된 열차 종합 감시 시스템은 열차탑재장치들 각각에서 생성 및 획득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열차탑재장치들의 작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열차에 설치되는 통합수신부와 통합 신호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각 장치별로 분류하고, 장치별로 분류된 정보들을 판독하여 각 장치들의 상태를 감시하여 각 장비별 작동상태 및 열차의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통합 판단제어부와 열차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 후방 및 열차 차제의 외관 상황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통합 신호수신부에서 수신된 각 장치별 정보 및 통합 판단제어부에서 판단된 정보들 및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열차 블랙박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장치들이 별도의 통합신호수신부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별도의 통합제어판단부의 판단 정보를 블랙박스시스템이 취합하여 저장하게 되어 있어서 별도의 장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For example, the trai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020441 (Title of the Invention: Comprehensive Train Monitoring System) receives data generated and acquired from each of the train-mounted devices and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mounted device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receiver installed on the train and the integrated signal receiver is classified by each device so that it can be acquired, and the information classified by device is read and the status of each device is monitored to determine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equipment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rain. An integrated judgment 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condi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a photographing device installed on the train to take pictures of the front, rear, and exterior conditions of the train when the train is running, and the information and integration of each device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signal recei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in black box device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ecision control unit an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However, in this system, each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to a separate integrated signal receiving unit, and the black box system collects and stores the judgment information of a separate integrated control panel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additionally need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56534 호(발명의 명칭: 열차 제어 감시시스템 및 그 철도차량)에 개시된 열차 제어 감시시스템은 열차 운행 중에 차상신호 영역에서 차량 영역으로 보내지는 로그 데이터 및 통신 데이터를 차상신호 영역에 구비된 슈퍼비전부에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장애 및 열차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차상신호 영역과 차량 영역 간 주고받는 데이터의 상이함을 해결하고 또는 단순 장애 기록 저장보다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발명의 경우, 차상신호장치의 로그 데이터 및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그 외 전장장치의 통신 데이터를 저장하지는 않으며, 데이터를 저장만할 뿐이고, 이를 동기화하여 통합하고 이를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56534 (Title of the invention: 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and its railroad vehicle) records log data and communication data sent from the on-board signal area to the vehicle area during train operation. The supervisory unit provided in the signal area monitors and stores the function, and when fault and train monitoring is requi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exchanged between the on-board signal area and the vehicle area is resolved or in real time rather than simply storing fault records. Means for monitoring are disclo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log data and communication data of the on-board signal device are stored, but communication data of other electric devices is not stored, only data is stored, and it is not disclosed by synchronizing and integrating them.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5982 (발명의 명칭: 전동차 운용 데이터 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된 시스템은 지상 신호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운행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차 운행을 위한 데이터로 연산을 수행하는 ATP와, ATP에서 수행된 데이터에 의해 속도를 자동 제어하고, ATP에 의한 현재 열차속도와 운행 정보 및 고장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ATO와, ATP 및 ATO로부터 차량의 운행 정보 및 고장 정보를 수신 받아 실시간으로 화면에 현시하고, 지상 신호장치에 의한 운행 정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 및 고장 정보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ATP와 ATO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HMIDB 보드가 필요하고, PC가 주기적으로 트레이드 데이터를 HMIDB에 요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95982 (Title of the invention: Train oper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uses the ope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ground signal device to perform calculations with data for train operation, and , ATO that automatically controls speed based on data performed by ATP and transmits data on current train speed and operation information and failure information by ATP, and receives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and failure information from ATP and ATO in real ti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op by the ground signal device,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memory together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failure information of the vehicl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HMIDB board is required to receive and analyze data from ATP and ATO, and the PC must periodically request trade data to the HMIDB.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027459 호 (발명의 명칭: 트램용 안전운행시스템)에 개시된 시스템은 트램의 전방 및 측면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운행정보와 결합하여 트램을 운행하는 것으로서, 전방카메라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화각을 조절하여 저장하고, 측면 카메라는 정차후 출발시 차량의 문이 닫힌 후 갑작스럽게 차량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차량의 운행 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In addition, the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27459 (Title of the invention: Safe operation system for trams) operates a tram by combining images taken from cameras installed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tram with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front camera adjusts and stores the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side camera monitors an object that suddenly approaches the vehicle after the vehicle door is closed when starting after stopping and provides it to the driver for visual confirmation. do. However,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combining images captured by each camera and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not disclosed.

본 발명을 통해 기능시험, 조합 시험 또는 전장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이더넷기반으로 변경했을 경우 전장장치의 열차정보와 카메라의 영상정보가 시각동기화 및 통합되어 분석 및 검증을 단기간의 시험시간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시험시간 및 기간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f the function test, the combination test, or the electronic device is changed to Ethernet-based, the trai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are synchronized and integrated, so that analysis and verification are possible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test time and dura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차 차량내 각종 전장장치를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하고, 카메라를 통해 각 전장장치의 상태를 촬영하고,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집된 정보와 촬영된 영상을 통합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various electric devices in a train vehicle through a communication interface, photographing the state of each electric equipment through a camera, and capturing information and photograph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that stores and manages images in an integrated manner.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task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task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task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시스템은 핸들의 위치 또는 노치에 따라 차량의 추진 및 제동을 하기 위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thernet 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열차 데스크의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으로 받고 열차 데스크의 램프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원격 입출력장치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배전반의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 상태를 입력으로 받는 I/O 모듈과 상기 I/O 모듈과 직렬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I/O 모듈의 입력상태에 따라 PLC 프로그램에 의한 로직에 의해 직렬통신망으로 I/O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PLC 배전반, PLC 배전반의 상태 및 I/O 모듈에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의 온/오프 상태와 전압,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PLC 배전반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열차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 (TCMS Display Unit; 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각 전장 장치들에서 타 전장 장치로 각각 전송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열차의 전방 및 운전실, 배전반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상황, 운전실의 주간제어기 상황, 운전실의 주간 데스크의 입력 및 출력상황, TCMS/TMS의 운전자 표시화면 상황, PLC배전반 MMI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각 전장 장치 별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based main controller (Ethernet based Master) for propulsion and brak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notch of the handle. Controller; E-MASCON), a number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of the train desk, and a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that can turn on/off the lamp of the train desk by receiving the on/off status of the wiring breaker as input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the terminal terminal of the switchboard, the relay, the magnetic contactor, the I/O module that receives the contact state of the wiring breaker as input, and the I/O module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are connected to the input state of the I/O module. PLC switchboard that controls the output of I/O module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by logic by PLC program according to the status of PLC switchboard and terminal terminal connected to I/O module, relay, magnetic contactor, on/off contact of wire breaker PLC switchboard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that displays off status, voltage and current,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TMS, which comprehensively monitors and controls trains,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TCMS Display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CMS or TMS. , installed on the switchboard and recording the train front condition, the daytime controller condition of the cab,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 of the day desk of the cab, the condition of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TCMS/TMS, and the MMI condition of the PLC switchboard when the train is running. The camera,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received from the receiver, an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are synchronized in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rol unit and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each camera.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은 핸들의 위치 또는 노치에 따라 차량의 추진 및 제동을 하기 위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thernet 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열차 데스크의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으로 받고 열차 데스크의 램프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원격 입출력장치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배전반의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 상태를 입력으로 받는 I/O 모듈과 상기 I/O 모듈과 직렬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I/O 모듈의 입력상태에 따라 PLC 프로그램에 의한 로직에 의해 직렬통신망으로 I/O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PLC 배전반, PLC 배전반의 상태 및 I/O 모듈에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의 온/오프 상태와 전압,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PLC 배전반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열차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 (TCMS Display Unit; 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각 전장 장치들에서 타 전장 장치로 각각 전송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열차의 전방 및 운전실, 배전반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상황, 운전실의 주간제어기 상황, 운전실의 주간 데스크의 입력 및 출력상황, TCMS/TMS의 운전자 표시화면 상황, PLC배전반 MMI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각각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각 전장 장치 별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pulsion and brak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notch of the steering wheel. Remote input/output that can receive the on/off status of the communication-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multiple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of the train desk, and the circuit breaker as input and turn on/off the lamp of the train desk Device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the terminal terminal of the switchboard, the relay, the magnetic contactor, the I/O module that receives the contact state of the wiring breaker as input, and the I/O module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are connected to the PLC switchboard that controls the output of the I/O module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logic of the PLC program according to the input status of the I/O module, the status of the PLC switchboard and the terminal terminal connected to the I/O module, relay, magnetic contactor , PLC switchboard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that displays the on/off status of the contact point of the wiring breaker, voltage and current,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that comprehensively monitors and controls trains, or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Trai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TMS), TCMS or TCMS Display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MS, and receives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electric device to other electric devices. to do; It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train, in the cab, and in the switchboard to show the front condition of the train, the daytime controller condition of the cab,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 of the day desk of the cab, the condition of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TCMS/TMS, and the MMI condition of the PLC switchboard during train operation Receiving each captured image from a plurality of cameras recorded as and storing the received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열차의 각 전장 장치에서 수신되는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전장 장치의 동작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가 각 전장 장치별로 시간에 동기화되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te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electric device of the train an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can be synchronized with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and efficiently managed. .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전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능시험, 조합 시험 또는 전장장치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이더넷기반으로 변경했을 경우 전장장치의 열차정보와 카메라의 영상정보가 시각동기화 및 통합되어 분석 및 검증을 단기간의 시험시간으로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시험시간 및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at a glance through one interface screen. And, when the function test, combination test, or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f the electric device is changed to Ethernet-based, the trai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are time synchronized and integrated to enable analysis and verific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time and dura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각종 전장장치 및 카메라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cameras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output through a display unit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in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is present between the two member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10)은 핸들의 위치 또는 노치에 따라 차량의 추진 및 제동을 하기 위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thernet 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열차 데스크의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으로 받고 열차 데스크의 램프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원격 입출력장치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배전반의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 상태를 입력으로 받는 I/O 모듈과 상기 I/O 모듈과 직렬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I/O 모듈의 입력상태에 따라 PLC 프로그램에 의한 로직에 의해 직렬통신망으로 I/O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PLC 배전반, PLC 배전반의 상태 및 I/O 모듈에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의 온/오프 상태와 전압,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PLC 배전반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열차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 (TCMS Display Unit; 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각 열차 장치들 각각에서 타 장치들 각각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00), 열차의 전방 및 운전실, 배전반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상황, 운전실의 주간제어기 상황, 운전실의 주간 데스크의 입력 및 출력상황, TCMS/TMS의 운전자 표시화면 상황, PLC배전반 MMI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복수의 카메라(140) 및 수신부(100)로부터 수신된 각 장치에서 전송하는 정보 및 카메라(140)로부터 기록된 영상정보를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10 is a communication-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for propulsion and brak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notch of the handle, a plurality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of the train desk ,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that can receive the on/off status of the wiring breaker as input and turn on/off the lamp of the train desk, terminal terminal of the switchboard, relay, magnetic contactor, wiring The I/O module that receives the contact state of the breaker as an input and the I/O module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are connected, and according to the input state of the I/O module, the output of the I/O module is output to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logic by the PLC program. PLC switchboard that controls the PLC switchboard, the status of the PLC switchboard, and the on/off status of the terminal terminals connected to the I/O module, relays, magnetic contactors, and wiring breaker contacts, and the PLC switchboard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that displays the voltage and current ), a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that comprehensively monitors and controls trains, or a TCMS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CMS or TMS. ; TCMS DU) and the receiving unit 100 for receiving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train device to each other device, installed in the front, cab, and switchboard of the train, the front situation of the train when the train is running , the state of the weekly controller of the cab, the input and output state of the weekly desk of the cab, the state of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TCMS/TMS, and a plurality of cameras 140 that record the MMI state of the PLC switchboard as an image, and each received from the receiver 100 and a controller 110 for synchronizing with tim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vice and image information recorded from the camera 14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신부(100)는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MASCON), 하나 이상의 원격 입출력장치(Remote I/O), PLC 배전반, PLC 배전반 MMI,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이러한 각 열차의 전장 장치들로부터 이더넷기반으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각 전장 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부(120)에 저장한다.In this way, the recei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based main controller (E-MASCON), one or more remote input/output devices (Remote I/O), a PLC switchboard, a PLC switchboard MMI, a train comprehensive control management system (TCMS) or a train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TMS), TCMS or TCMS display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MS, and receives interface information based on Ethernet from the electric equipment of each train, and each electric equipment Stor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torage unit (120).

카메라(140)는 이들 각 전장장치의 동작 상태를 촬영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camera 140 captures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se electric devices,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S. 2 and 3 .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각종 전장장치 및 카메라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arrangement of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cameras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0)는 열차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을 주시하여 전방 운행상황을 촬영하는 전방주시 카메라(141)와, 열차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열차의 주간제어기를 주시하여 견인/제동 핸들의 위치와 다수의 푸쉬 버튼 입력 상황을 촬영하는 주간제어기 카메라(142)와, 열차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운전실 데스크를 주시하여 운전실에 위치한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No Fuse Breaker; NFB)의 입력 상황 및 표시등의 동작상태를 촬영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143)와, 열차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열차의 열차종합제어감시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의 운전자 표시화면(Display Unit; DU)을 주시하여 열차내 다수의 차량장치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TCMS/TMS DU 카메라(14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camera 140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train and looks forward to photograph the forward driving situation, and is installed in the cab of the train to keep an eye on the daytime controller of the train. A daytime controller camera 142 that captures the position of the towing/braking handle and a number of push button input situations, and a number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located in the cab installed in the cab of the train and watching the cab desk, and a circuit breaker for wiring (No A driver of a cab desk camera 143 that captures the input situation of Fuse Breaker (NFB)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dicator light, and a train comprehensiv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train monitoring system (TMS) installed in the cab of a train It may include a TCMS/TMS DU camera 144 that watches a display screen (Display Unit; DU) and shoots a screen displaying the control and monitoring status of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in the train.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40)는 열차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배전반 표시화면(Man Machine Interface; MMI)을 주시하여 열차내 배전반의 터미널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 및 스위치, 릴레이의 접점의 on/off상태와 전압과 전류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145)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camera 140 is installed in the cab of the train and watches the switchboard display screen (Man Machine Interface; MMI) of wiring, switches, and relay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of the switchboard in the train. It includes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145 that shoots a screen displaying the on/off state of the contact and voltage and current.

각각의 카메라(141~145)에서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120)로 수집되어 저장된다. The images captured by each of the cameras 141 to 145 ar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

그리고, 제어부(110)는 수신부(100)를 통해 수신한 각 열차의 전장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카메라(141~145)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각 전장 장치별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각 전장 장치별로 인터페이스 정보가 수신되는 시점에 각 전장 장치의 동작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므로, 실차 실험에 따른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synchronizes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device of each train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100 and the image captured by each camera 141 to 145 in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storage unit 120 . save to Accordingly, sinc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is matched and stored at the time when the interface information is received for each electric device, the time required for the actual vehicle test can be reduced.

저장부(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20)는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 외에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orage unit 120 collectively refers to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continuously maintain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maintain the stored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120 may perform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10 . Here, the storage unit 12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in addition to the volatile storage device requiring power to maintain stored inform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limited.

한편, 표시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인터페이스 정보 또는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형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various types of interf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0 or images captured by each camera through an output interface. Such a displa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module of various typ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 reflective display, and an OLED displa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output through a display unit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 인터페이스는 영상 재생 여부 또는 재생 상태를 조절하는 슬라이드바(131), 수신부(100)를 통해 수집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MASCON), 하나 이상의 원격 입출력장치(Remote I/O), PLC 배전반, PLC 배전반 MMI,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TCMS DU)가 각각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내 전장장치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부(132), 전방주시 카메라(141)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영상 표시부(133), 주간제어기 카메라(142)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주간 제어기 카메라 영상 표시부(134),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143)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영상 표시부(135), TCMS/TMS DU 카메라(144)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TCMS/TMS DU 카메라 영상 표시부(136), PLC배전반 MMI카메라(145)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 영상 표시부(137)를 포함한다.As shown, the output interfac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is a slide bar 131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play an image or a playback state, a communication-based weekly controller (E-MASCON) collect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100, one TCMS display device (TCMS)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remote input/output devices (Remote I/O), PLC switchboard, PLC switchboard MMI, train comprehensiv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or train monitoring system (TMS), TCMS or TMS DU) to output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n-trai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132, the forward-looking camera image display unit 133 for display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forward-looking camera 141, and the daytime controller camera 142 The daytime controller camera image display unit 134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cab camera image display unit 135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cab desk camera 143, the image taken by the TCMS / TMS DU camera 144 It includes a TCMS / TMS DU camera image display unit 136 for displaying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image display unit 137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PLC switchboard MMI camera 145 .

앞서 제어부(110)를 통해 각각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과 각 열차의 전장 장치가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정보가 시각에 따라 동기화하여 저장되므로, 열차내 전장장치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부(132)를 통해 출력되는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카메라 영상 표시부(133~137)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상태로 출력된다. Since the image captured by each camera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electric device of each train are synchroniz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ime, each electric field output through the in-train electric equipment inte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132 is stored.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the device and the images output through the respective camera image display units 133 to 137 are output in a time-synchronized stat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in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수신부(100)는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MASCON), 하나 이상의 원격 입출력장치(Remote I/O), PLC 배전반, PLC 배전반 MMI,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이러한 각 열차의 전장 장치들로부터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한다(S210).First, the receiver 100 is a communication-based weekly controller (E-MASCON), one or more remote input/output devices (Remote I/O), a PLC switchboard, a PLC switchboard MMI, a train comprehensive control management system (TCMS) or a train comprehensive monitoring device ( TMS), TCMS or a TCMS display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he TMS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nd interf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ic devices of each train (S210).

다음으로, 열차의 전방 및 운전실, 배전반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상황, 운전실의 주간제어기 상황, 운전실의 주간 데스크의 입력 및 출력상황, TCMS/TMS의 운전자 표시화면 상황, PLC배전반 MMI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각각의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S220).Next, installed in the front, cab, and switchboard of the train, the front status of the train, the daytime controller status of the cab, the input and output status of the day desk of the cab, the status of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TCMS/TMS, the PLC switchboard MMI when the train is running Each captured image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that record the situation as an image (S220).

이때,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열차의 전방 운행상황을 촬영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열차의 주간제어기를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견인/제동 핸들의 위치와 다수의 푸쉬 버튼 입력 상황을 촬영하는 주간제어기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운전실 데스크를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운전실에 위치한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 상황 및 표시등의 동작상태를 촬영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열차의 열차종합제어감시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의 운전자 표시화면을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열차내 다수의 차량장치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TCMS/TMS DU 카메라 및 열차의 운전실에 배전반 표시화면(Man Machine Interface; MMI)을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열차내 배전반의 터미널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 및 스위치, 릴레이의 접점의 상태, 전압 및 전류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to look at the daytime controller of the train in the cab of the train and the forward-looking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peration situation of the train, and take the position of the traction/braking handle and the state of input of a plurality of push buttons Control camera, cab desk camera installed to keep an eye on the cab desk in the cab of the train, a number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located in the cab, and a cab desk camera that records the input status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icator light, the train in the cab of the train A TCMS/TMS DU camera that is installed to watch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a comprehensiv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a comprehensive train monitoring system (TMS), and takes a screen showing the control and monitoring status of a number of vehicle devices in the train; It is installed to watch the switchboard display screen (Man Machine Interface; MMI) in the cab of the train, and takes pictures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voltage and current of wiring, switches, and relay contact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of the switchboard in the train. PLC switchboard includes MMI camera.

이때, 앞선 단계(S210)와 단계(S220)는 각각의 단계가 서로 독립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구분된 것이며, 시간적으로 선후 관계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동시에 병렬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receding steps ( S210 ) and ( S220 ) are separated to indicate that each step occur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does not have to be temporally preceded and preceded, and may occur simultaneously in parallel.

이와 같이 수신된,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는 각 전장 장치 별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된다(S230).The received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are stored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S230).

한편, 이와 같이 저장된 각각의 정보는 앞서 설명한 표시부(130)의 출력 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즉, 출력 인터페이스는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MASCON), 하나 이상의 원격 입출력장치(Remote I/O), PLC 배전반, PLC 배전반 MMI,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TCMS DU)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내 전장장치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부, 전방주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영상 표시부, 주간제어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주간 제어기 카메라 영상 표시부,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영상 표시부, TCMS/TMS DU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TCMS/TMS DU 카메라 영상 표시부, PLC배전반 MMI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각 전장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카메라 영상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상태로 출력되도록 한다.Meanwhile, each information stored in this way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output interface of the display unit 13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output interface is a communication-based main controller (E-MASCON), one or more remote input/output devices (Remote I/O), a PLC switchboard, a PLC switchboard MMI, a train comprehensive control management system (TCMS), or a trai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TMS). , an in-trai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that outputs inte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TCMS screen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CMS or TMS, a forward-looking camera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forward-looking camera; Daytime controller camera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daytime controller camera, cab desk camera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b desk camera, TCMS/TMS DU camera image that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TCMS/TMS DU camera It includes a display unit,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taken by the PLC switchboard MMI camera, and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output through each camera image display unit are output in a synchronized state in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have.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
100: 수신부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0: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100: receiver
110: control unit
120: storage
130: display unit

Claims (6)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시스템에 있어서,
핸들의 위치 또는 노치에 따라 차량의 추진 및 제동을 하기 위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thernet 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열차 데스크의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으로 받고 열차 데스크의 램프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원격 입출력장치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배전반의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 상태를 입력으로 받는 I/O 모듈과 상기 I/O 모듈과 직렬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I/O 모듈의 입력상태에 따라 PLC 프로그램에 의한 로직에 의해 직렬통신망으로 I/O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PLC 배전반, PLC 배전반의 상태 및 I/O 모듈에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의 온/오프 상태와 전압,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PLC 배전반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열차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 (TCMS Display Unit; 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각 전장 장치들에서 타 전장 장치로 각각 전송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열차의 전방 및 운전실, 배전반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상황, 운전실의 주간제어기 상황, 운전실의 주간 데스크의 입력 및 출력상황, TCMS/TMS의 운전자 표시화면 상황, PLC배전반 MMI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복수의 카메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각 전장 장치 별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시스템.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Communication-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for propulsion and brak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notch of the steering wheel, a number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on the train desk, and the on/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for wiring A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that can turn on/off the lamp of the train desk, I/ that receives the contact status of the terminal terminal of the switchboard, relay, magnetic contactor, and wiring breaker as input PLC switchboard connected to the O module and the I/O module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O module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logic by the PLC program according to the input status of the I/O module, the status of the PLC switchboard and PLC switchboard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that displays the on/off status of the contacts of terminal terminals, relays, magnetic contactors, and wiring breakers connected to I/O modules, voltage, and current, and comprehensively monitors and controls trains.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TMS, and the TCMS Display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CMS or TMS. A receiver for receiving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devices to other electric devices,
It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train, in the cab, and in the switchboard to show the front condition of the train, the daytime controller condition of the cab,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 of the day desk of the cab, the condition of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TCMS/TMS, and the MMI condition of the PLC switchboard when the train is operating Multiple cameras that record with
a controller for synchronizing and stor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received from the receiver an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and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each came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열차의 전방 운행상황을 촬영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열차의 주간제어기를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견인/제동 핸들의 위치와 다수의 푸쉬 버튼 입력 상황을 촬영하는 주간제어기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운전실 데스크를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운전실에 위치한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 상황 및 표시등의 동작상태를 촬영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열차의 열차종합제어감시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의 운전자 표시화면을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열차내 다수의 차량장치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TCMS/TMS DU 카메라; 및
열차의 운전실에 배전반 표시화면(Man Machine Interface; MMI)을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열차내 배전반의 터미널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 및 스위치, 릴레이의 접점의 상태, 전압 및 전류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인 열차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ameras
Forward-looking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orward running condition of the train;
A daytime controller camera installed to watch the train's daytime controller in the cab of the train, photographing the position of the traction/braking handle and a plurality of push button input situations;
A cab desk camera installed to watch the cab desk in the cab of the train, photographing the input status of a plurality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the wiring breaker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icator lights located in the cab;
It is installed in the cab of the train to watch the driver's display screen of the train's Comprehensive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Train Monitoring System (TMS), and captures a screen that displays the control and monitoring status of multiple vehicle devices in the train. TCMS/TMS DU Camera; and
It is installed to watch the switchboard display screen (Man Machine Interface; MMI) in the cab of the train, and takes pictures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voltage and current of wiring, switches, and relay contact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of the switchboard in the train. A 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comprising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장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전장 장치에 대하여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집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MASCON), 하나 이상의 원격 입출력장치(Remote I/O), PLC 배전반, PLC 배전반 MMI,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TCMS DU)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내 전장장치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부, 상기 전방주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주간제어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주간 제어기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TCMS/TMS DU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TCMS/TMS DU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PLC배전반 MMI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전장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카메라 영상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인 열차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electric device and an image photographed for each electric device,
The display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based weekly controller (E-MASCON), one or more remote input/output devices (Remote I/O), a PLC switchboard, a PLC switchboard MMI, a train comprehensiv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TCMS) or train comprehensive monitoring, collected through the receiver. In-trai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nte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device (TMS), TCMS or TCMS display device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he TCMS or TMS, the front that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forward looking camera A gaze camera image display unit, a daytime controller camera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daytime controller camera, a cab desk camera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b desk camera, and an image captured by the TCMS/TMS DU camera Through an output interface including a TCMS/TMS DU camera image display unit to display, and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imag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 captured by the PLC switchboard MMI camera,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each camera image display unit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 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that allows the images to be output in a time-synchronized state.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핸들의 위치 또는 노치에 따라 차량의 추진 및 제동을 하기 위한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thernet 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열차 데스크의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으로 받고 열차 데스크의 램프를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원격 입출력장치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배전반의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 상태를 입력으로 받는 I/O 모듈과 상기 I/O 모듈과 직렬 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I/O 모듈의 입력상태에 따라 PLC 프로그램에 의한 로직에 의해 직렬통신망으로 I/O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PLC 배전반, PLC 배전반의 상태 및 I/O 모듈에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 계전기, 전자접촉기, 배선차단기의 접점의 온/오프 상태와 전압, 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PLC 배전반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열차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 (TCMS Display Unit; TCMS DU)와 데이터통신 가능하며 각 전장 장치들에서 타 전장 장치로 각각 전송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열차의 전방 및 운전실, 배전반에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시 열차의 전방상황, 운전실의 주간제어기 상황, 운전실의 주간 데스크의 입력 및 출력상황, TCMS/TMS의 운전자 표시화면 상황, PLC배전반 MMI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각각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각 전장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각 전장 장치 별로 시간에 동기화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
A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in a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Communication-based master controller (E-MASCON) for propulsion and brak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notch of the steering wheel, a number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on the train desk, and the on/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for wiring A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nput and Output unit; Remote I/O) that can turn on/off the lamp of the train desk, I/ that receives the contact status of the terminal terminal of the switchboard, relay, magnetic contactor, and wiring breaker as input PLC switchboard connected to the O module and the I/O module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I/O module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network by the logic by the PLC program according to the input status of the I/O module, the status of the PLC switchboard and PLC switchboard MMI (PLC Man Machine Interface) that displays the on/off status of the contacts of terminal terminals, relays, magnetic contactors, and wiring breakers connected to I/O modules, voltage, and current, and comprehensively monitors and controls trains.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the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TMS, and the TCMS Display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CMS or TMS. receiving interfa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devices to other electric devices;
It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train, in the cab, and in the switchboard to show the front condition of the train, the daytime controller condition of the cab, the input and output condition of the day desk of the cab, the condition of the driver display screen of TCMS/TMS, and the MMI condition of the PLC switchboard when the train is operating Receiving each captured image from a plurality of cameras recorded as and
Storing the received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synchronization with time for each electric devic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열차의 전방 운행상황을 촬영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열차의 주간제어기를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견인/제동 핸들의 위치와 다수의 푸쉬 버튼 입력 상황을 촬영하는 주간제어기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운전실 데스크를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운전실에 위치한 다수의 푸쉬 버튼과 캠 스위치,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 상황 및 표시등의 동작상태를 촬영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열차의 운전실에 열차의 열차종합제어감시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의 운전자 표시화면을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열차내 다수의 차량장치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TCMS/TMS DU 카메라; 및
열차의 운전실에 배전반 표시화면(Man Machine Interface; MMI)을 주시하도록 설치되어, 열차내 배전반의 터미널 유닛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 및 스위치, 릴레이의 접점의 상태, 전압 및 전류를 표시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cameras
Forward-looking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orward running condition of the train;
A daytime controller camera installed to watch the train's daytime controller in the cab of the train, photographing the position of the traction/braking handle and a plurality of push button input situations;
A cab desk camera installed to watch the cab desk in the cab of the train, photographing the input status of a plurality of push buttons and cam switches, the wiring breaker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dicator lights located in the cab;
It is installed in the cab of the train to watch the driver's display screen of the train's Comprehensive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TCMS) or Train Monitoring System (TMS), and captures a screen that displays the control and monitoring status of multiple vehicle devices in the train. TCMS/TMS DU Camera; and
It is installed to watch the switchboard display screen (Man Machine Interface; MMI) in the cab of the train, and takes pictures of the screen displaying the status, voltage and current of wiring, switches, and relay contact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of the switchboard in the trai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that includes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장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전장 장치에 대하여 촬영한 영상을 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기반 주간제어기(E-MASCON), 하나 이상의 원격 입출력장치(Remote I/O), PLC 배전반, PLC 배전반 MMI, 열차종합제어관리장치(TCMS) 또는 열차종합감시장치(TMS), TCMS 또는 TMS의 상태 및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TCMS 화면장치(TCMS DU)로부터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열차내 전장장치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부, 상기 전방주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전방주시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주간제어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주간 제어기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운전실 데스크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TCMS/TMS DU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TCMS/TMS DU 카메라 영상 표시부, 상기 PLC배전반 MMI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PLC배전반 MMI카메라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전장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와 각 카메라 영상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인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저장 시스템에서의 열차내 인터페이스 정보 처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Displaying the inte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photographed for each electric device through an output interface,
The output interface is the communication-based main controller (E-MASCON), one or more remote input/output devices (Remote I/O), a PLC switchboard, a PLC switchboard MMI, a train comprehensive control management system (TCMS) or a trai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TMS) , an in-trai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information display unit that outputs inte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TCMS screen unit (TCMS DU) that displays the status and information of TCMS or TMS, and a forward-looking camera image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forward-looking camera , a daytime controller camera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captured by the daytime controller camera, a cab desk camera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mages captured by the cab desk camera, TCMS/TMS/TMS for displaying images captured by the DU camera TMS DU camera image display unit, including a PLC switchboard MMI camera imag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PLC switchboard MMI camera,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 the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so that the interface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the image output through each camera image display unit are output in a time-synchronized state.
KR1020190164293A 2019-12-11 2019-12-11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2278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293A KR102278802B1 (en) 2019-12-11 2019-12-11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293A KR102278802B1 (en) 2019-12-11 2019-12-11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39A true KR20210073739A (en) 2021-06-21
KR102278802B1 KR102278802B1 (en) 2021-07-20

Family

ID=7659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293A KR102278802B1 (en) 2019-12-11 2019-12-11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8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47B1 (en) * 2023-02-07 2023-05-30 (주)위드샤인코리아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switchboard for railway vehic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59A (en)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현태 Non-contact type master controller of the railway veh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670A (en) * 2008-02-19 2009-08-24 김창래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for a conventional electric railcar automatically
JP2011098705A (en) * 2009-11-09 2011-05-19 Toshiba Corp Car ins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20110095642A (en) * 2010-02-19 2011-08-25 김봉택 Comprehensive diagnosing and managementing system of a railcar
KR20110097143A (en) * 2010-02-24 2011-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he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configuration plan in urban railroad environment
KR20120020441A (en) * 2010-08-30 2012-03-08 김봉택 System for monitoring the total train
JP2012129907A (en) * 2010-12-17 2012-07-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Train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670A (en) * 2008-02-19 2009-08-24 김창래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rain control monitoring system for a conventional electric railcar automatically
JP2011098705A (en) * 2009-11-09 2011-05-19 Toshiba Corp Car insid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20110095642A (en) * 2010-02-19 2011-08-25 김봉택 Comprehensive diagnosing and managementing system of a railcar
KR20110097143A (en) * 2010-02-24 2011-08-3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he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configuration plan in urban railroad environment
KR20120020441A (en) * 2010-08-30 2012-03-08 김봉택 System for monitoring the total train
JP2012129907A (en) * 2010-12-17 2012-07-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Train monitor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47B1 (en) * 2023-02-07 2023-05-30 (주)위드샤인코리아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switchboard for railway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802B1 (en)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802B1 (en)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rain interfa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EP2133256B1 (en) On-board computer system for train management
EP2147844B1 (en) Device for monitoring an area in particular in the vicinity of or within a vehicle
EP2290979B1 (en) In-train monitor system
US20170013237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10462427B2 (en) Securing remote video transmission for the remote control of a vehicle
RU2586815C2 (en) Cab of the locomotive driver
US10237069B2 (en) On-car-data recording apparatus and in-train-image data managing system
US9794524B2 (en) In-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in-vehicle monitoring method
JP6845306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CN109343438A (en) Network integr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CN111123739A (en) Network control system semi-physical simulation experiment platform used in full-automatic unmanned driving mode
KR102212959B1 (en) Integrated switchboard system for railway vehicles
JP5634848B2 (en) Train monitoring system and train monitoring method
CN111541869A (en) Motor train unit compartment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network equipment
CN110015320B (en) Monitoring image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rail transit
CN110262363A (en) A kind of monitoring system of Vehicle Controller electrical cabinet
KR101758008B1 (en)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video of subway in relation to fire detection
JP6091279B2 (en) Home monitoring device
JP2012085158A (en) In-train monitoring system
US20200007790A1 (en) Operating Method for a Camera Display System, Camera Display System, and Vehicle
WO2015050413A1 (en) Image data of vehicle black box and gis interworking service method
US9875585B2 (en) Vehicle video display verification system
JP2011201426A (en) Entraining image processing system
KR100307036B1 (en)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