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036B1 -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 Google Patents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036B1
KR100307036B1 KR1019980017853A KR19980017853A KR100307036B1 KR 100307036 B1 KR100307036 B1 KR 100307036B1 KR 1019980017853 A KR1019980017853 A KR 1019980017853A KR 19980017853 A KR19980017853 A KR 19980017853A KR 100307036 B1 KR100307036 B1 KR 100307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in
connection
code signal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8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87156A (en
Inventor
히로꼬 고와타리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8008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0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On-board control or communication system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주 열차와 종 열차로 구성되는 열차에서 주 열차의 맨 마지막 차량과 종 열차의 맨 앞 차량 사이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감시하기 위한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는 차량에 미리 설정된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 신호를 전송 라인을 통하여 입력하기 위한 코드 신호 입력 회로와, 주 열차의 맨 마지막 차량으로부터의 연결 검출 신호와 코드 신호 입력 회로로부터의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 입력 신호를 받고 연결 검출 신호 및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 신호에 의거해서 연결 조작 또는 분리 조작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종 열차의 차량 종류를 판단하도록 연결된 조작/종류 판단 회로를 포함하는 중앙 감시 장치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nection operation and a disconnect operation between the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and the front vehicle of the slave train in a train consisting of the main train and the slave train. The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code signal input circuit for inputting a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set in advance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a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nd a code signal input circuit from the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It is connected to receive the vehicle type code input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operation or disconnection operation is properly performed based o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and to determine the vehicle type of the slave train. It consists of a central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peration / type determination circuit.

Description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열차 연결/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일본의 신깐센 등의 열차를 철도 조차장에서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되는 열차 연결/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device used when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rains, such as Shinkansen, Japan, in a railway yard.

근년에, 아끼다 신깐센이 개통되어 신깐센 열차로 토쿄와 아끼다 사이를 정기적으로 왕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경우에는, 열차의 연결 또는 분리 작업이 후꾸시마에서 수행된다. 이 연결/분리 작업이 수행될 때, 검사자는 이들 작업의 규정된 검사 포인트를 점검한다.In recent years, the Shinkansen bullet train has been opened, allowing the Shinkansen train to make regular round trips between Tokyo and Akida. In this case, the connecting or disconnecting work of the train is performed in Fukushima. When this connect / disconnect operation is performed, the inspector checks the prescribed inspection points of these operations.

검사자는 감시장치를 사용하여 연결 또는 분리 작업이 확실하게 수행되는지를 확인한다. 도 3은 종래의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두 열차가 연결되거나 분리될 때, 만약 두 열차간에 주종관계가 성립될 경우에 운전실을 갖춘 맨 앞 차량이 제어권한을 가지며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 열차를 "주열차"라고 부른다. 반면에 맨 앞 차량이 운전실을 갖추나 제어권한이 없으며 종속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열차를 "종열차"라고 부른다.The inspector uses a monitoring device to verify that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is performed reliably.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Here, when two trains are connected or separated, the main vehicle with the cab has the control and the main role train is called the "main train" if the master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etween the two trains. On the other hand, a train with a driver's cab but no control and a subordinate role is called a "train."

주 열차는 1호 ~ N호 차량으로 구성된다. 1호 차량은 운전실과 제어권한을 갖는 맨 앞 차량이다. N호 차량은 운전실을 갖는 맨 마지막 차량이며 맨 앞 차량(1호 차량)의 반대쪽 끝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종 열차는 N+1호 ~ N+M호 차량으로 구성된다. N +1호 차량은 운전실을 갖는 맨 앞 차량이지만 제어권한은 없다. N+M 호 차량은 운전실을 갖는 맨 마지막 차량이며 맨 앞 차량(N+1호 차량)의 반대쪽 끝에 연결된다. 두 열차는 주 열차의 맨 마지막 차량인 N호 차량에 설치된 연결기(1)와 종 열차의 맨 앞 차량인 N+1호 차량에 설치된 연결기(2) 간을 연결 또는 분리한다.The main train consists of vehicles 1 to N. Vehicle 1 is the front vehicle with a cab and control. Vehicle N is the last vehicle with a cab a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front vehicle (car No. 1). Similarly, longitudinal trains consist of N + 1 to N + M vehicles. The N + 1 vehicle is the front vehicle with a cab but no control. The N + M vehicle is the last vehicle with a cab and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front vehicle (N + 1 vehicle). The two trains connect or disconnect the coupler (1) installed in the N vehicle, the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and the coupler (2) installed in the N + 1 vehicle, the front vehicle of the slave train.

1호 ~ N+M호의 차량의 각각에는 단말 모니터(3)가 설치된다. 또한 운전실을 갖는 1호, N , N+1 및 N+M의 차량의 각각에는 단말 모니터(3) 외에 중앙 감시 장치(4)와 감시 표시장치(5)가 설치된다. 단말 모니터(3)는 각 차량에 설치된 장치의 운전 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며 1호 차량의 중앙 감시 장치(4)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각 차량의 단말 모니터(3)와 1호 차량의 중앙 감시 장치(4)는 전송 라인(6)을 통해서 연결된다.Each of the vehicles of Nos. 1 to N + M is provided with a terminal monitor 3. In addition, each of vehicles No. 1, N, N + 1 and N + M having a cab is provided with a central monitoring device 4 and a monitoring display device 5 in addition to the terminal monitor 3. The terminal monitor 3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driving status of the device installed in each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4 of the first vehicle. Here, the terminal monitor 3 of each vehicle and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of vehicle 1 are connected via the transmission line 6.

또한 1호, N호, N+1호 및 N+M호 차량의 각 중앙 감시 장치(4)에는 제어권한 전환 스위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오직 1호 차량의 중앙 감시 장치(4)의 제어권한 전환 스위치만이 ON 위치에 설정되며, N호, N+1 및 N+M 차량의 제어권한 전환 스위치는 OFF 위치에 각각 설정된다. 여러가지 신호가 폴링(Poolling) 전송에 의해 1호 차량의 중앙 감시 장치(4)와 각 차량의 단말 모니터(3) 사이에 교환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authority changeover switch (not shown) is provided in each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4 of No. 1, N, N + 1, and N + M vehicles. Only the control authority changeover switch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of the No. 1 vehicle is set to the ON position, and the control authority changeover switches of the N, N + 1 and N + M vehicles are set to the OFF position, respectively. Various signals are exchanged between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terminal monitor 3 of each vehicle by polling transmission.

또한 연결기(1)와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 사이에는 두 연결 검출 신호 라인(7a, 7b)이 연결된다. 연결 조작이 이루어지면, 연결 검출 신호의 ON 정보가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에 전송되며, 또한 1호 차량의 중앙 감시 장치(4)에 전송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예에서는 종열차의 종류에 두 가지 종류의 차량이 있으며, 따라서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의 수도 두 라인이 된다. 예를 들어, 종 열차의 차량의 종류가 시스템 A 일 때는 연결 검출신호는 연결 검출신호 라인(7a)을 통과하며, 종 열차의 차량의 종류가 시스템 B 일 때는 연결 검출신호는 연결 검출신호 라인(7b)을 통과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 검출신호는 연결 검출신호 라인(7a, 7b)중의 하나를 통과해서, 연결기(1)로부터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에 전송된다.In addition, two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7a and 7b ar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or 1 and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When the connection operation is made, the O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and also to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4 of the No. 1 vehicle. In this conventional example, there are two kinds of vehicles in the kind of vertical train, and thus the number of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is two lines. For example,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7a when the type of the vehicle of the slave train is the system A, and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when the type of the vehicle of the slave train is the system B. Pass 7b).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passes through one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7a and 7b and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or 1 to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감시 장치의 조작을 연결 작업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종열차가 주 열차에 연결되면, 연결기(1)로부터의 연결 검출 신호의 ON 정보가 연결 검출신호 라인(7a 또는 7b) 중의 하나를 통과하여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에 전송된다. 그리고 검사자는 1호 차량의 운전실에 승차하여 감시 표시장치(5)를 조작한다. 연결 검출신호가 연결 검출신호 라인(7a)을 통해서 전송되면,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는 종열차의 차량 종류가 시스템 A임을 1호 차량의 중앙 감시장치(4)에 통보한다. 마찬가지로, 연결 검출신호가 연결 검출 신호 라인(7b)을 통과해서 전송되면,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는 종 열차의 차량 종류가 시스템 B임을 1호 차량의 중앙 감시장치(4)에 통보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monitor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aking the connection operation as an example. When the train is connected to the main train, the ON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connector 1 is transmitted through one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7a or 7b to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Then, the inspector rides in the cab of the first vehicle and operates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7a,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notifies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4 of the No. 1 vehicle that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 is system A. Similarly,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7b,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notifies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4 of the No. 1 vehicle that the vehicle type of the slave train is system B. do.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의 이러한 정보에 의거해서 1호 차량의 중앙 감시 장치(4)는 감시 표시장치(5)에 종열차의 차량 종류를 표시한다. 검사자는 감시 표시장치(5)의 화면을 보면서, 시스템 A 또는 시스템 B 의 종열차가 주열차에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Based on thi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vehicle N,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4 of the vehicle 1 displays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 on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The inspector can confirm that the train of System A or System B is connected to the main train while watching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연결 작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행한다. 분리 작업의 경우에는, 중앙 감시 장치(4)는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 전송된 연결 검출 신호가 OFF 정보로 변경될 때, 시스템 A 또는 시스템 B 의 종 열차가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linking operation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disconnection operation,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can confirm that the slave train of the system A or the system B is disconnected whe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is changed to OFF information. have.

근년에는 많은 차량 제조업자의 존재하게 되고 열차의 제조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차량 종류가 출현하기 때문에 차량 종류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검사자가 감시 표시장치(5)의 표시 화면을 보면서 차량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에 연결된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을 차량 종류의 수와 동일하게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vehicle type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existence of many vehicle manufacturers and the development of new vehicle types with the development of train manufacturing technology. Therefore, in order for the inspector to check the type of the vehicle while viewing the display screen of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as the number of vehicle types. There is.

그렇지만 차량 종류의 수와 동일한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의 추가 설치 작업은 실제로는 용이하지가 않다. 배선 작업이나 그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의 점검 작업은 차량실 등의 정해진 장소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운행중인 차량을 임시로 정차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하여도 시간표에 따른 열차 운행에 크게 차질이 생긴다. 또한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을 많은 노력을 들여 증가한다 하여도, 그후에 차량 종류의 수가 더 증가하면,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의 수를 그만큼 증가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차량 종류의 수가 더욱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따라서 차량 종류의 수의 증가와 함께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을 증가시키기가 곤란해졌다.However,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equal to the number of vehicle types is not really easy. The wiring work and the check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should be carried out at a fixed place such as a vehicle compartment. However, even if the vehicle currently in operation stops temporarily, the operation of the train according to the timetable greatly occurs. Further, even i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are increased with a great deal of effort, if the number of vehicle types further increases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by that much.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types of vehicles has tended to increase further, and therefore, it has become difficult to increase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with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ypes of vehicles.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차량 종류의 수가 증가할지라도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을 증가할 필요가 없는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의 배선 작업 등을 위해 열차를 정차하여 시간표대로의 열차 운행의 차질을 피하도록 하는데 있다.According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that does not need to increase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even if the number of vehicle types increases, thereby stopping the train for wiring work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and so on. It is to avoid the disruption of trains on the street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의 주요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차량 조작/종류 판단 회로(9)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감시 표시장치(5)의 표시 내용을 테이블 형식으로 나타낸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display contents of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operation / type determination circuit 9 in a table form.

도 3은 종래의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은 주열차와 종열차로 구성되는 열차의, 주열차의 맨 마지막 차량과 종열차의 맨 앞 차량 사이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을 감시하기 위한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이 열차 연결/분리 감시장치는 차량에 미리 설정된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 신호를 전송라인을 통해서 입력하기 위한 코드신호 입력 회로와, 주열차의 맨 마지막 차량으로부터의 연결 검출신호와 코드신호 입력회로로부터의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받아서 연결 검출신호 및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에 의거해서 연결 또는 분리 작업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종열차의 차량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 1차종 판단회로를 포함하는 중앙 감시장치로 구성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and the front vehicle of the train of the train consisting of the main train and the sub train. This can be achieved by. The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comprises a code signal input circuit for inputting a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set in advance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a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nd code signal input circuit from the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Receiving whether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peration is properly performed based o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by receiving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of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 It is composed of a central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vehicle type determination circuit.

본 발명과 그에 부수되는 많은 이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y advantages associated with it, it i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이하,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낸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like parts are indic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in part of the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서, 1호 차량의 중앙 감시장치(4)는 코드신호 입력회로(8), 동작/차종 판단 회로(9) 및 표시 제어 회로(10)를 갖는다. 1호 ~ N호 및 N0. N+1 ~ N+M호 차량의 각 단말 모니터(3)로부터의 차량 번호별 차량코드신호는 코드신호 입력회로 (8)에 입력된다. 이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는 각 차량에 할당된 고유번호를 나타내는 신호이며, "0" 신호와 "1" 신호의 조합으로 3 비트 또는 4 비트 정보량이다. 이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는 각 차량의 각 단말 모니터(3)에 설치된 스위치로 용이하게 세성할 수가 있다. 이 스위치는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딥 스위치(dip switch)로 구성된다.In FIG. 1,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4 of the vehicle 1 has a code signal input circuit 8, an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and a display control circuit 10. As shown in FIG. No. 1 to N and N0. The vehicl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from each terminal monitor 3 of N + 1 to N + M vehicles is input to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8.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is a signal indicating a unique number assigned to each vehicle, and is a 3-bit or 4-bit information amount in combination of a "0" signal and a "1" signal.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can be easily generated by a switch provided in each terminal monitor 3 of each vehicle. This switch is constituted, for example, by a preset dip switch.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와 연결기(1)는 단지 한 개의 연결 검출신호 라인 (7)으로 연결된다. 연결기(1)와 다른 열차의 연결기(2)의 연결을 통보하는 연결 검출 신호는 이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에 전송된다. 또한 이 연결 검출신호는 이 단말 모니터(3)로부터 1호 차량의 중앙 감시장치(4)의 동작/차종 판단 회로(9)에 전송된다. 동작/차종 판단회로(9)는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 연결 검출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수신하며, 또한 코드신호 입력회로(8)로부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수신한다.The terminal monitor 3 and the connector 1 of the vehicle N are connected by only on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7.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for notify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 and the connector 2 of another trai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This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also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monitor 3 to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of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of the first vehicle.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receives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s digit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and receives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from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8.

동작/차종 판단회로(9)는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의 연결 검출신호와 코드신호 입력회로(8)로부터의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에 의거해서, 종 열차가 적절하게 연결되는지와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를 표시 제어 회로(10)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 회로(10)는 이 판단 결과를 감시 표시장치(5)의 화면상에 표시한다.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properly connects the trains based on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and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from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8. And the type of the vehicle are determined,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is output to the display control circuit 10. The display control circuit 10 displays this determination result on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다음에 도 1 에 나타낸 감시 장치의 조작을 설명한다. 종열차를 주열차에 연결한 후에, 1호 차량의 운전실에 승차한 검사자는 중앙 감시장치(4)의 전원을 켠다. 중앙 감시장치(4)는 각 차량의 각 단말 모니터(3)에 대하여 폴링(polling) 전송을 개시한다. 코드신호 입력회로(8)는 각 차량으로부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입력하고, 그것을 동작/차종 판단회로에(9) 출력한다. 동작/차종 판단 회로(9)는 이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코드신호 입력회로(8)로부터 입력함과 동시에,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 연결 검출신호를 디지털 정보로 수신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fter connecting the train to the main train, the inspector who boarded the cab of the first vehicle turns on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initiates polling transmission for each terminal monitor 3 of each vehicle.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8 inputs a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from each vehicle, and outputs it to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receives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from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8 and receives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s digit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

동작/차종 판단회로(9)는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의 연결 검출신호만에 의해 어떤 종열차가 연결된 것을 알 뿐이지만, 코드신호 입력회로(8)로부터의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에 의해 연결된 종열차의 차량 종류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N+1호 ~ N+M호 차량의 모든 차량 종류 코드신호의 입력에 의거하거나, 지정 번호의 차량(예를 들어, 연결기 2 가 설치된 N+1호 차량)의 한 차량 종류 코드신호만에 의거해서, 종열차의 차량 종류를 특정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모든 차량 종류 코드신호의 입력에 의거한 종열차의 차량 종류의 지정은 동작/차종 판단 회로(9)를 구성하는 CPU의 부하를 증가시켜서 처리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컴퓨터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최근의 CPU를 동작/차종 판단 회로(9)에 사용한 경우에, 이 정도의 부하 증가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작/차종 판단회로(9)에 상당히 오래된 CPU를 사용하여 그 부하 증가량으로 인하여 처리 속도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한편 종열차의 차량 종류가 한 종류의 차량 종류 코드신호만에 의거해서 지정될 때에는, N+1호 차량, 즉 지정된 번호의 차량 주변의 전송 장치 또는 전송 라인에 고장이 발생하면 차량의 종류를 지정하기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실 및 연결기(2)가 설치된 N+1호 차량과 운전실이 설치된 N+M호 차량의 두 종류의 차량 종류 코드신호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종열차의 차량 종류를 특정할 수 있도록 열차 연결/분리 감시장치를 구성한다.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only knows that a certain train is connected only by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but the vehicle type by vehicle number from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8.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s connected by the code signal can be specified. Here, one vehicle type code signal based on the input of all vehicle type code signals of N + 1 to N + M vehicles or of a vehicle having a designated number (for example, N + 1 vehicle having connector 2 installed). Based on the bay,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 can be specified. However, the designation of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 based on the input of all vehicle type code signals can increase the load of the CPU constituting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and thereby reduce the processing speed. Due to the quantum leap in computer technology, this increase in load is not a problem at all when the recent CPU is used for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However, a fairly old CPU is used in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processing speed due to the load increase amou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type of a train is designated based on only one type of vehicle type code signal, the type of vehicle is designate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N + 1 vehicle, that is, the transmission device or transmission line around the vehicle of the designated number. It becomes impossible to do.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in connec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vehicle type of the train can be specified by at least one of two kinds of vehicle type code signals of the N + 1 vehicle having the cab and the connector 2 and the N + M vehicle having the cab. Configure a separate monitoring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제어 회로(10)는 동작/차종 판단회로(9)에 의한 종열차와의 연결 조작의 적절한 수행 여부 및 종열차의 차량의 종류에 대한 판단 결과의 내용을 감시 표시장치(5)에 표시한다. 검사자는 이 표시 화면을 보면서, 연결 작업의 확실한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연결 작업이 완료된 열차는 담당 조작자에게 인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control circuit 10 monitors the contents of the determination result regarding whether the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sub train by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is properly performed and the type of the vehicle of the sub train. ). The inspector checks this display screen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work is completed, and the train that has completed the connection work is turned over to the operator in charge.

도 2 는 동작/차종 판단회로(9)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테이블 형식에 감시 표시장치(5)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며, 이것은 검사자에 의해 점검된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차종 판단회로(9)가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 연결 검출 신호를 입력하면, " 이 연결 중"이라는 문자가 표시된다. 계속해서 동작/차종 판단회로(9)가 중앙 감시장치(4)와 각 차량의 단말 모니터(3) 사이의 폴링 전송에 의해 N+1호 또는 N+M호 차량 중 어느 하나의 차량 종류 코드 신호를 입력하면, 종열차가 시스템 A 일 때는 "시스템 A가 연결중"의 문자가 표시되며 또는 종열차가 시스템 B 일 때는 "시스템 B가 연결중"의 문자가 표시된다.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display contents of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in a table form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which is checked by the inspector. As shown in this figure, when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inputs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the character " in this connection " is displayed. Subsequently,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receives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of either the N + 1 or N + M vehicle by polling transmission between the central monitoring unit 4 and the terminal monitor 3 of each vehicle. Is displayed, the character "System A is connecting" is displayed when the train is System A, or the character "System B is connecting" is displayed when the train is System B.

그렇지만 만약 동작/차종 판단 회로(9)가 연결 검출신호만 입력하고 N+1호 또는 N+M호 차량중 어느 하나의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 연결 중"의 문자만이 초기 5 초 동안 표시되고, 그 이후에 "시스템 A가 연결 중"의 문자가 표시되며 또한, 전송 시스템에 이상이 있음을 통보하는 디폴트(default)가 표시된다. 이 경우에 "시스템 A가 연결 중"의 문자는 말할 필요도 없이 종 열차의 실제의 차량 종류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f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inputs only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nd does not input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of either the N + 1 or N + M vehicles, only the character of "this connection" is initialized. It is displayed for 5 seconds, after which the character " System A is connecting " is displayed, and also a default for notifying that the transmission system is abnormal.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xt "System A is connecting" does not indicate the actual vehicle type of the train.

이 디폴트가 표시될 때에는 검사자는 감시 표시장치(5)의 화면을 다른 채널로 전환하여 이상의 내용을 상세하게 조사한다. 그렇지만 디폴트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에 전송의 이상이 어떤 이유로 인해 회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디폴트 표시가 사라지고 종 열차가 시스템 A 일 때는 "시스템 A가 연결 중";의 문자만이 표시되고, 종 열차가 시스템 B 일 때는 "시스템 B가 연결 중"의 문자만이 표시된다. 또한 연결 검출 신호를 입력한 후에는 초기에 적절하게 지정된 차량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는 연결 검출 신호의 입력이 그 이후에 OFF될 때까지 동작/차종 판단회로 (9)내에 보존된다.When this default is displayed, the inspector switches the screen of the monitoring display device 5 to another channel and examines the above contents in detail. However, while the default is being displayed, anomalies in transmission may be recovered for some reason. In this case, the default display disappears and only the letters "System A are connecting"; when the slave train is System A, only the letters "System B are connecting" are displayed when the slave train is System B. In addition, after inputting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type of vehicle suitably designated initially is stored in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9 until the input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is subsequently turned off.

도 1 에 나타낸 구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 연결/분리 감시장치에 의하면,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와 연결기(1) 사이에 연결된 연결 검출신호 라인(7)은 하나의 라인뿐이다. 차량 종류의 수가 증가할지라도, 단지 각 새로운 차량의 각각에 있는 단말 모니터(3)에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새로운 차량마다 순서대로 등록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종전과 같이 연결 검출신호 라인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디폴트 표시가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어떤 이유로 인해서 전송시스템에 어떤 이상이 발생할지라도 연결 작업이 정확히 실행된 것만을 표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전송 시스템이 이상상태로부터 회복되면 디폴트 표시에서 정상 표시로 표시를 복귀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7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monitor 3 and the connector 1 of the N-car is one line. It is only. Although the number of vehicle types increases, it is only necessary to register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in order for each new vehicle on the terminal monitor 3 in each of each new vehicl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dditional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s as before. In addition, since the default display is predetermined, it is possible to display only that the connection operation has been executed correctly, even if some abnormality occurs in the transmission system for some reason. When the transmission system recovers from the abnormal state, the display can be returned from the default display to the normal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차 연결 조작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분리 조작도 연결 조작과 거의 동일하다. 즉 도 1 에서, 분리 조작을 수행할 때는, N호 차량의 단말 모니터(3)로부터 차량 조작/종류 판단 회로(9)에 출력하는 연결 검출 신호를 OFF 하면, 이것이 "분리 검출 신호"로서 기능한다. 다른 조작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aking the train connection operation as an example, the disconnect ope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connection operation. That is, in Fig. 1, when performing the disconnect operation, i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monitor 3 of the N-number vehicle to the vehicle operation / type determination circuit 9 is turned off, this functions as a "separation detection signal". . Since other operation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록 차량 종류의 수가 증가할지라도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을 증가할 필요가 없는 열차의 연결/분리 감시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연결 검출 신호 라인의 배선 작업 등으로 인해 열차를 정지함으로써 시간표에 따른 열차 운행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number of vehicle types increa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for a train that does not need to increase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isruption of the tra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imetable by stopping the train due to wiring work of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line.

상기한 취지에 비추어 본 발명의 여러가지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내에서는 특히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이외의 실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Therefo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herein above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주열차와 종열차로 구성되는 열차에서 상기 주열차의 맨 마지막 차량과 상기 종열차의 맨 앞 차량 사이의 연결 조작 및 분리 조작을 감시하기 위한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는, 차량에 미리 설정된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 신호를 전송라인을 통해서 차량에 입력하기 위한 코드 신호 입력 회로; 및 상기 주열차의 상기 맨 마지막 차량으로부터의 연결 검출신호와 상기 코드 신호 입력회로로부터의 상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연결 검출신호 및 상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연결 조작 또는 상기 분리 조작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종열차의 차량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동작/차종 판단 회로를 포함하는 중앙 감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A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for monitoring a connection operation and a disconnect operation between a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and the first vehicle of the sub train in a train consisting of a main train and a sub train, the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The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code signal input circuit for inputting a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preset in the vehicle to a vehicle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a connection detection signal from the last vehicle of the main train and a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from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to receive the connec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And a central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onnection operation or the separation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appropriately and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vehicle of the train.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동작/차종 판단 회로는, 상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로서, 상기 코드신호 입력회로부터 상기 종열차의 특정 번호의 차량에 미리 설정된 상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is a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and is preset in a vehicle of a specific number of the train from the code signal input cycle.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차종 판단 회로에서, 상기 종열차의 상기 특정 번호의 차량은 상기 종열차의 상기 맨 앞 차량과 맨 마지막 차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3. The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of claim 2, wherein in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the vehicle of the specific number of the trai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last vehicle of the train. monito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감시장치는 상기 연결 조작 또는 상기 분리 조작이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기 동작/차종 판단회로에 의해 판단된 상기 종열차의 상기 차량의 종류를 감시 표시장치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4. The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operation or the disconnect operation is properly performed and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Train connection / disconnection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display device control circuit for displaying the type of the monitoring displa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동작/차종 판단 회로는 상기 차량 번호별 차량 종류 코드신호가 상기 코드신호 입력회로로부터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연결 조작 또는 상기 분리 조작이 적절하게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지만, 상기 종열차의 상기 차량의 종류는 판단하지 않으며, 상기 중앙 감시장치는, 상기 동작/차종 판단 회로에 의해 판단된 상기 연결 동작 및 상기 분리 조작의 적절한 수행 여부와 미리 정해진 디폴트 표시를 감시 표시장치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연결/분리 감시 장치.4. The vehicl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nection operation or the disconnect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vehicle type code signal for each vehicle number is not input from the code signal input circui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properly performed, but does not determine the type of the vehicle of the train, the central monitoring unit, whether the connection operation and the disconnect operation determined by the operation / vehicle determination circuit is properly performed And a display control circu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default display on the monitoring display.
KR1019980017853A 1997-05-20 1998-05-18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KR1003070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29466 1997-05-20
JP129466 1997-05-20
JP12946697A JP3310195B2 (en) 1997-05-20 1997-05-20 Vehicle split / merge monito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156A KR19980087156A (en) 1998-12-05
KR100307036B1 true KR100307036B1 (en) 2001-11-30

Family

ID=1501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853A KR100307036B1 (en) 1997-05-20 1998-05-18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10195B2 (en)
KR (1) KR10030703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86B1 (en) 2009-02-04 2011-01-17 현대로템 주식회사 A circuit of controlling automatic vehicle coupler
KR101071887B1 (en) 2010-03-12 2011-10-11 현대로템 주식회사 Separation controlling circuit for railway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020B2 (en) * 2005-02-28 2011-08-03 株式会社東芝 Railway vehicle transmission equipment
KR101110497B1 (en) * 2007-11-30 2012-02-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Train formation recognition system and train formation recognition apparatus
JP5496053B2 (en) * 2010-10-15 2014-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Vehicle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of vehicle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KR102074144B1 (en) * 2017-08-14 2020-02-07 현대로템 주식회사 Tail car enable control system
CN109334685B (en) * 2018-10-15 2020-09-08 湖南中车时代通信信号有限公司 Vehicle-mounted signal system control method for on-line reconnection of tra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86B1 (en) 2009-02-04 2011-01-17 현대로템 주식회사 A circuit of controlling automatic vehicle coupler
KR101071887B1 (en) 2010-03-12 2011-10-11 현대로템 주식회사 Separation controlling circuit for railway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22801A (en) 1998-12-04
KR19980087156A (en) 1998-12-05
JP3310195B2 (en) 200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4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switching over to a back-up bus in a redundant trainline monitor system
US6405110B1 (en) Failure diagnosis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of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system
CN102085874A (en) Control system for CBTC train
US7433766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from a central station to a track-bound vehicle
KR100307036B1 (en) Train connection / separation monitoring device
GB2580925A (en) Train protection system
KR900004372B1 (en) Checking machine in automobile
MY130877A (en) Apparatus for diagnosing and indicating operational failure in automobiles
US4901025A (en) Fault diagnosis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on automobiles
JP2001074615A (en) Automatic tester for rolling stock
US4807160A (en) Method of testing rigged distributing cable for train monitor
JP3460951B2 (en) Automatic vehicle test equipment
JP2986022B2 (en) Duplex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KR870000316B1 (en)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for a car
JP3378928B2 (en) Exchange sign device
KR870000295B1 (en) Information transmitter of vehicle
JP4277991B2 (en) Signal transmission device and train control device
JP3447808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system for train cabin display
KR0137390B1 (en) Information managing system for automatic fault detection of railway car
JP3392938B2 (en) Double system equipment
KR20170119371A (en) Circuit Tester for Electric Connector of Trunk line Electric Car
JPS62131704A (en) Vehicle borne testing device on train
JPS6011175A (en) Input and output state monitor system of controller on vehicle
JPH0443137A (en) Trouble diagnosis device for automobile
JP2002019611A (en) Train traffic control system and inter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