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283A -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283A
KR20210073283A KR1020190163939A KR20190163939A KR20210073283A KR 20210073283 A KR20210073283 A KR 20210073283A KR 1020190163939 A KR1020190163939 A KR 1020190163939A KR 20190163939 A KR20190163939 A KR 20190163939A KR 20210073283 A KR20210073283 A KR 2021007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location
user terminal
cell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041B1 (ko
Inventor
김선우
김종민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6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 - 복수의 슈퍼셀 각각은 메인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포함함 - 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고,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LOCATION MEASUREMENT SYSTEM AND LOCATION MEASUREMENT METHOD OF MEASURING LOCATION OF USER EQUIPMEN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은 현재까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및 위치 측정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다양한 위치 측정 인프라를 기반으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GPS 기술이 무료로 개방되고 세계 각국의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LBS는 이동통신 분야의 주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다.
사용자 단말에 LB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의 획득이 필수적이다. 전통적인 위치 정보 획득 방법에는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방법, 무선랜(wireless LAN) 등 고정된 물체에 대한 근접성을 이용하는 방법, 이동통신 환경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확도 면에서 이동통신 환경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정확하지만, GPS의 위성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곳이나 신호의 감쇄가 큰 경우에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무선랜을 이용하는 방법도 정확도 면에서 이동통신 환경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정확하고 기존의 무선 인터넷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지만, 무선랜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동통신 환경을 이용하는 방법은 GPS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방법과 무선랜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정확도면에서 비교적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생활 반경 대부분을 커버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셀들은 서비스하는 범위가 각각 존재하며, 이 중 공통으로 서비스하는 지역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주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신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이 존재하고, 부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은 노이즈로서 신호대 잡음비를 감소시키는 요소가 되어 다운로드 속도 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슈퍼셀을 적용하는 경우, 주 신호에 대응하는 셀은 슈퍼셀의 메인 셀로 설정되고 부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서브 셀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서브 셀의 커버리지에 위치하더라도 메인 셀로 인식하게 되고, 공통으로 서비스하는 지역에 위치하더라도 신호대 잡음비가 감소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E)의 주변에 복수의 셀(Cell_A 내지 Cell_I)이 존재하고, 셀(Cell_A 내지 Cell_C)이 제1 슈퍼셀로 설정되고, 셀(Cell_D 내지 Cell_F)이 제2 슈퍼셀로 설정되고, 셀(Cell_G 내지 Cell_I)가 제3 슈퍼셀로 설정되며, 셀(Cell_A, Cell_D 및 Cell_G)이 메인 셀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셀(Cell_A 내지 Cell_I) 중 사용자 단말(UE)에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주 신호)에 대응하는 셀이 "Cell_B"인 경우, 셀(Cell_F 및 Cell_I)은 부 신호에 대응하는 셀이 된다. 그러나, 슈퍼셀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셀(Cell_B)은 메인 셀인 셀(Cell_A)로 인식되고, 셀(Cell_F)는 메인 셀인 셀(Cell_D)로 인식되며, 셀(Cell_I)는 메인 셀인 셀(Cell_G)로 인식된다.
APP(Access Point Position)를 활용할 경우, 슈퍼셀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UE)에 실제로 서비스하고 있는 셀(Cell_B)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부 신호에 대응하는 셀(Cell_F) 및 셀(Cell_I)은 각각 메인 셀인 셀(Cell_D) 및 셀(Cell_G)로 인식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셀(Cell_B, Cell_D 및 Cell_G)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UE)의 위치를 측정하므로, 사용자 단말(UE)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시스템은,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 - 복수의 슈퍼셀 각각은 메인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포함함 - 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고,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는,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을 결정하고,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다른 슈퍼셀에 포함된 셀들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는, 산출된 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정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방법은,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 - 복수의 슈퍼셀 각각은 메인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포함함 - 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다른 슈퍼셀에 포함된 셀들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산출된 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슈퍼셀에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센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네트워크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210), eNB(evolved node B)(220) 및 위치 측정 센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LTE 네트워크 시스템(200)으로부터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10)은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정 대상에 해당하며,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단말(subscriber station) 또는 이동가입자 단말(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을 의미할 수 있다.
eNB(220)는 사용자 단말(210)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eNB(220)는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수락 제어, 동적 무선 자원 할당, 부하 제어(load balancing), 셀 간 간섭 제어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eNB(220)는 사용자 단말(210)과 무선 신호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측정 센터(230)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사용자 단말(210) 또는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를 사용자 단말(210)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eNB(220)과 유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센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측정 센터(230)는 LBSP(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310),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320), DGW(diameter gateway)(330), HSS(home subscriber server)(340), MME(mobile management entity)(350),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360) 및 ABAS(access base station administration system)(370)를 포함할 수 있다.
LBSP(310)는 위치 측정 대상이 되는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LBSP(310)는 가입자, 컨텐츠 제공자, 서비스 제공자 등의 위치 정보 요청자의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BSP(310)는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BSP(310)는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 위치 기반 광고, 위치 기반 보험 서비스, 위치 기반 재난 안내 서비스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LBSP(310)는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10)의 식별 정보는 위치 정보 요청자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기반 서비스 가입시에 수신될 수 있다. LBSP(310)는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GMLC(320)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GMLC(320)에 요청할 수 있다.
GMLC(320)는 교환망과 위치 정보 서버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GMLC(320)는 LBSP(31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GMLC(320)는 LBSP(31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위치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LBSP(310)로 전송할 수 있다.
DGW(330)는 사용자 단말(210)의 MME 정보를 HSS(340)에 요청하고, HSS(34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MM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DGW(330)는 GMLC(32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MME(350)에 요청할 수 있다.
HSS(340)는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 집중화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사용자 단말(210)의 등록/변경 관리, 사용자 단말(210)의 인증, 사용자 단말(210)의 로케이션(location), 세션 라우팅, 과금 등의 호 또는 세션 제어를 위한 가입자 정보를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HSS(340)는 DGW(330)로부터의 MME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MME 정보를 DGW(330)로 전송할 수 있다.
MME(350)는 사용자 단말(210)과 이동통신망의 연결을 관리하고, 이동통신망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10)의 이동성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MME(350)는 eNB(220)과 연결되며, eNB(220)와 사용자 단말(210)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MME(350)는 GMLC(32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E-SMLC(360)로 전송할 수 있다.
E-SMLC(360)는 MME(350)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정 요청을 MME(350)를 통해 eNB(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E-SMLC(360)는 eNB(2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ABAS(370)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E-SMLC(360)는 ABAS(370)로부터 LTE 기지국 정보 중 슈퍼셀(single frequency network, SFN)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10)을 서비스하고 있는 슈퍼셀에 대한 기지국 신호를 eNB(2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기지국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슈퍼셀 정보는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로 설정하고, 복수의 슈퍼셀 각각에 대해 메인 셀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설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슈퍼셀은 제1 메인 셀(Cell_A) 및 제1 서브 셀(Cell_B, Cell_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슈퍼셀은 제2 메인 셀(Cell_D) 및 제2 서브 셀(Cell_E, Cell_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슈퍼셀은 제3 메인 셀(Cell_G) 및 제3 서브 셀(Cell_H, Cell_I)를 포함할 수 있다.
ABAS(370)는 모든 기지국 정보를 관리하며, eNB(220)의 위치 정보를 E-SMLC(36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ABAS(370)는 LTE 기지국 정보 중 슈퍼셀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ABAS(370)는 데이베이스에 저장된 슈퍼셀 정보를 E-SMLC(36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2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슈퍼셀 각각은 메인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230)의 ABAS(370)는 데이베이스에 저장된 슈퍼셀 정보를 위치 측정 센터(230)의 E-SMLC(360)에 사전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210)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사용자 단말(210)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130)의 E-SMLC(360)는 ABAS(370)로부터 제공된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210)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사용자 단말(210)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130)의 E-SMLC(360)는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위치 정보는 LBSP(310) 또는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2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210)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130)의 E-SMLC(360)는 복수의 셀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가장 강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SMLC(3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셀(Cell_A 내지 Cell_I) 각각에 대응하는 신호를 비교하여 가장 강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는 셀(Cell_B)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E-SMLC(360)는 복수의 셀 각각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셀(Cell_A, Cell_B 및 Cell_C)은 제1 슈퍼셀에 포함되고, 셀(Cell_D, Cell_E 및 Cell_F)은 제2 슈퍼셀에 포함되고, 셀(Cell_G, Cell_H 및 Cell_I)는 제3 슈퍼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슈퍼셀의 셀(Cell_A)은 제1 메인 셀이고 셀(Cell_B 및 Cell_C)은 제1 서브 셀일 수 있다. 제2 슈퍼셀의 셀(Cell_D)은 제2 메인 셀이고, 셀(Cell_E, Cell_F)은 제2 서브 셀일 수 있다. 제3 슈퍼셀의 셀(Cell_G)은 제3 메인 셀이고 셀(Cell_H, Cell_I)은 제3 서브 셀일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230)의 E-SMLC(3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Cell_B)로부터, 다른 슈퍼셀에 포함된 셀들(Cell_D, Cell_E, Cell_F, Cell_G, Cell_H 및 Cell_I) 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230)의 E-SMLC(360)는 산출된 거리를 비교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Cell_F 및 Cell_I)을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셀로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위치 측정 센터(230)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측정 센터(230)의 E-SMLC(360)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Cell_B)과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셀(Cell_F, Cell_I)을 사용자 단말(21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로서 결정할 수 있다.
위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위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200: 위치 측정 시스템 210: 사용자 단말
220: eNB 230: 위치 측정 센터
310: LBSP 320: GMLC
330: DGW 340: HSS
350: MME 360: E-SMLC
370: ABAS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 - 상기 복수의 슈퍼셀 각각은 메인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포함함 - 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센터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센터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을 결정하고,
    상기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상기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센터는,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다른 슈퍼셀에 포함된 셀들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센터는, 상기 산출된 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선택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 센터는,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로서 결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6.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에서의 위치 측정 방법으로서,
    복수의 셀을 복수의 슈퍼셀 - 상기 복수의 슈퍼셀 각각은 메인 셀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셀을 포함함 - 로 설정하는 슈퍼셀 정보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셀 중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부신호에 대응하는 셀들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을 서비스하고 있는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슈퍼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상기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상기 복수의 셀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다른 슈퍼셀에 포함된 셀들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거리를 비교하여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장 강한 신호에 대응하는 셀과,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적어도 2개의 셀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셀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방법.
KR1020190163939A 2019-12-10 2019-12-10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KR102356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39A KR102356041B1 (ko) 2019-12-10 2019-12-10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39A KR102356041B1 (ko) 2019-12-10 2019-12-10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83A true KR20210073283A (ko) 2021-06-18
KR102356041B1 KR102356041B1 (ko) 2022-01-25

Family

ID=7662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939A KR102356041B1 (ko) 2019-12-10 2019-12-10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780A2 (ko) * 2009-06-10 2010-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셀 협력 통신 시스템 및 단말 장치
KR20170020015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3780A2 (ko) * 2009-06-10 2010-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셀 협력 통신 시스템 및 단말 장치
KR20170020015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41B1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1846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locality-based selection and routing of traffic to producer network functions (NFs)
CA2393046C (e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RU2617111C1 (ru) Сетевой объект,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для этого
US9113432B2 (en) Crowdsourcing based on base station almanac quality
US8463280B1 (en) Heterogeneous mobile networking
US113305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access edge computing (MEC) selection and load balancing
JP2005512363A (ja) 位置情報の提供
KR20010050257A (ko)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커버리지 판정 방법
WO2018090697A1 (zh) Lmu设备融合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00120924A (ko) 무선랜 단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ap의 위치정보 갱신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랜 단말
TWI767144B (zh) 用於無線通訊系統之威脅偵測裝置及其威脅偵測方法
KR101960288B1 (ko) 저전력 광역 통신망 환경에서 wlan 기반의 측위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3171993A1 (ja) 基地局測位装置、基地局測位方法及び基地局測位プログラム
KR20060062983A (ko) 위치정보요청 취소방법
RU225543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качества
KR102356041B1 (ko)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시스템 및 위치 측정 방법
WO2010072240A1 (en) Positioning a mobile terminal in a first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information from a second neighbour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051501B2 (en) User equipment, mobile hotspot equipment, backhaul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th loss model database
JP5597231B2 (ja) 電波強度閾値設定装置、電波強度閾値設定方法及び電波強度閾値設定プログラム
Regitha et al. Optimization of handoff delay and location prediction of mobile station using GPS integrated SIM module in cellular networks
WO2019031008A1 (ja) 位置算出装置、無線基地局、位置算出方法、および測位制御方法
WO2023206499A1 (en) Training and inference for ai-based positioning
KR20180086593A (ko) 무선 네트워크 전용망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GB2616907A (en) Method of operat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