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156A -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156A
KR20210073156A KR1020190163675A KR20190163675A KR20210073156A KR 20210073156 A KR20210073156 A KR 20210073156A KR 1020190163675 A KR1020190163675 A KR 1020190163675A KR 20190163675 A KR20190163675 A KR 20190163675A KR 20210073156 A KR20210073156 A KR 2021007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ordering
inventory
service server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암석
강병철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도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도울정보기술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156A/ko
Publication of KR2021007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되, 발주자 단말기 및 수주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발주사와 수주사 간의 수주 및 발주 정보관리를 위한 수주/발주관리모듈과, 발주사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 재고량을 산출 및 측정하는 안전재고관리모듈과, 수주사의 납품 현황 등 출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출하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발주 정보가 입력되어 오더가 내려지면, 지능형 발주 시스템에 따라 해당 부품을 생산하는 수주사로 기준에 맞는 발주 오더를 송신하게 되므로 작업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Ordering system using AI}
본 발명은 발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을 기반으로 적정 재고수준을 도출하고, 재고에 영향을 미치는 소요량 변이와 리드타임 변이를 관리하여 자동으로 발주 오더를 내리는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부품 발주는 부품을 구입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발주사가 생산 상황과 부품의 납품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고, 부품을 공급하는 수주사에 일방적으로 부품을 발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발주관리를 할 시, 발주사는 생산 상황 및 발주량을 산출하기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비되며, 수주사는 발주사의 일방적인 발주에 따라 부품을 생산 계획을 수립해야 하므로 생산량 조절 및 재고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4881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적정 재고수준을 도출하고, 재고에 영향을 미치는 소요량 변이와 리드타임 변이를 관리하여 자동으로 발주 오더를 내리도록하는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되, 발주자 단말기 및 수주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되, 상기 서비스 서버는, 발주사와 수주사 간의 수주 및 발주 정보관리를 위한 수주/발주관리모듈과, 발주사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 재고량을 산출 및 측정하는 안전재고관리모듈과, 수주사의 납품 현황 등 출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출하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재고관리모듈은, 적정 재고를 산출하기 위한 재고산출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된 재고량에 따라 수주사로 발주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발주 정보가 입력되어 오더가 내려지면, 지능형 발주 시스템에 따라 해당 부품을 생산하는 수주사로 기준에 맞는 발주 오더를 송신하게 되므로 작업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불확도의 신뢰도가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200)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이용한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서버(200)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서버(200)는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발주사가 사용하는 발주사 단말기(120)와 수주사가 사용하는 수주사 단말기(140)를 포함한다.
이 때, 발주사란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이며, 수주사란 물품에 포함되는 부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를 뜻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은 통신망으로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가능하게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사용자는 발주사인 동시에 수주사일 수도 있고, 하나의 발주사가 복수 개의 협력업체인 수주사와 동시에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되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단말기 등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일컫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플랫폼은 웹브라우져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식으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 관리하는 관제서버이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하고,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모듈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소이며, 보다 상세하게,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일일 수요량, 현재 재고량, 재고 리드타임, 납기일, 안전재고량, 안전재고일, 최소발주량, 공급지연허용시간, 로트 사이즈 등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모듈부(240)는, 수주/발주관리모듈(242), 안전재고관리모듈(244), 출하관리모듈(246)을 포함한다.
상기 수주/발주관리모듈(242)은 수주 및 발주 정보관리를 위한 모듈로서, 협력업체(수주사 및 발주사) 간의 수주 및 발주 현황, 수주 및 발주 진척을 조회하고, 재고 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모니터링, 제품 주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수주/발주관리모듈은 사용자가 파일업로드, FTP, API 연계, DB링크 등 입력방법을 선택하고, 자신이 선택한 방법으로 발주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며, 입력된 발주 정보는 표준화되어 자동으로 수주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정확한 발주를 위하여 발주사는 주기적으로 출하, 입출고, 재고 조사를 통해 발주에 필요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안전재고관리모듈(244)은 수주사(생산업체)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써, 적정 재고를 산출하기 위한 재고산출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된 재고량에 따라 수주사(공급업체)로 발주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도록 마련된 모듈이다.
이 때, 상기 재고산출 알고리즘은, 데이터 수집단계, 데이터 처리 및 분석단계, 데이터 시각화 및 정보화단계를 거쳐 발주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먼저, 데이터 수집단계란, 일일 수요량, 현재 재고량, 재고 리드타임 등과 같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며, SCM(supply chain management) 솔루션 시스템을 활용하여 수집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어서, 데이터 처리 및 분석단계란, 수요에 따른 초기/최종 재고를 파악하고 각 협력업체의 확률적 결품량을 산출하고, 재고 부족에 따른 필요 재고량 등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상기 데이터 처리 및 분석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구조적 형태로 교정하여 통일된 빅테이터 형식으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 처리 및 분석단계에서 몬테카를로 시물레이션이 활용되며, 이에 따라 불확도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 및 분석단계를 거쳐 산출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 시각화 및 정보화단계를 거쳐 기존데이터와 통합되어 저장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시각화 및 정보화단계를 거쳐 산출된 발주 데이터는, 상기 안전재고관리모듈에서 수주사로 전송된다.
또한, 이러한 발주 데이터는 상기 SCM 솔루션 시스템의 SCM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출하관리모듈(246)은 수주사(생산업체)의 제품에 사용되는 라벨을 발행하고, 납품 현황 등 출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출하 정보를 매장 또는 상위의 생산업체(발주사)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발주 정보가 입력되어 오더가 내려지면, 해당 부품을 생산하는 수주사로 기준에 맞는 발주 오더를 송신하게 되므로 작업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사용자 단말기
120:발주사 단말기
140:수주사 단말기
200:서비스 서버
220:데이터베이스
240:모듈부
242:수주/발주관리모듈
244:안전재고관리모듈
246:출하관리모듈

Claims (3)

  1. 서비스 서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되, 발주자 단말기 및 수주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발주사와 수주사 간의 수주 및 발주 정보관리를 위한 수주/발주관리모듈과,
    발주사의 적정 재고를 관리하기 위해 재고량을 산출 및 측정하는 안전재고관리모듈과,
    수주사의 납품 현황 등 출하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출하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재고관리모듈은,
    적정 재고를 산출하기 위한 재고산출 알고리즘을 통해 측정된 재고량에 따라 수주사로 발주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KR1020190163675A 2019-12-10 2019-12-10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KR20210073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675A KR20210073156A (ko) 2019-12-10 2019-12-10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675A KR20210073156A (ko) 2019-12-10 2019-12-10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156A true KR20210073156A (ko) 2021-06-18

Family

ID=7662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675A KR20210073156A (ko) 2019-12-10 2019-12-10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3327A (zh) * 2023-06-21 2023-09-05 中建材国际物产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协同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81B1 (ko) 2002-09-30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부품 자동 발주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881B1 (ko) 2002-09-30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부품 자동 발주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3327A (zh) * 2023-06-21 2023-09-05 中建材国际物产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协同处理系统
CN116703327B (zh) * 2023-06-21 2024-04-19 中建材国际物产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协同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3282B2 (en) System and a method, including software and hardware, for providing real-time and synchronization views of supply chain information
CN110910060B (zh) 一种染化料消耗模型的自动控制管理系统
Zampou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energy-aware information systems in manufacturing
CN101639687B (zh) 一种集成化工艺质量控制系统及其实现方法
CN112053082A (zh) 基于云计算的物料管理系统
CN103246958B (zh) 省级电力计量中心的生产集中作业系统
CN108073146A (zh) 使用架构表示的要求的自动化处理控制硬件工程规划
CN111950939A (zh) 基于智能制造的物料管理方法
CN103971294A (zh) 一种基于输变电设备状态评估信息展现系统
CN112418540A (zh) 一种智能mes实时数据分析系统
CN105512838A (zh) 一种基于电子看板的材料配送系统
CN112995327A (zh) 一种云平台系统、工厂端、工业云平台及服务对接系统
KR20210073156A (ko) Ai를 이용한 발주 시스템
CN111459116A (zh) 一种高效的管子智能生产线数字化管理系统
CN106846091A (zh) 一种环保公司用快速询价系统
CN113793111A (zh) 一种电力设备资产管理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6823121A (zh) 一种电子信息产业零部件供应链的管理系统
CN116630082A (zh) 生产资源的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02200A (zh) 一种mes系统
KR102518108B1 (ko) 빅데이터를 통한 적정재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047277B1 (ko) TaaS 기반의 자산조달관리 장치
CN112465485A (zh) 一种智能印染管理系统
Maeda et al. Establishing international standard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platforms to realize connected monozukuri
TWI830384B (zh) 綠色智慧製造的碳排管理與能源管理的混合系統及其方法
CN110658778B (zh) 一种基于工业互联网在线轨道称无人计量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