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710A -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710A
KR20210072710A KR1020200168017A KR20200168017A KR20210072710A KR 20210072710 A KR20210072710 A KR 20210072710A KR 1020200168017 A KR1020200168017 A KR 1020200168017A KR 20200168017 A KR20200168017 A KR 20200168017A KR 20210072710 A KR20210072710 A KR 2021007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ight
illumination
lighting device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310B1 (ko
Inventor
페터 하르트만
엘리 아쑬린
마태우스 아르트만
에레즈 레브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뉴사이트 이미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뉴사이트 이미징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7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optical feed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08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pecial conditions, e.g. adverse weather, type of road, badly illuminated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4Variable non-standard intensity, i.e. emission of various beam intensities different from standard intensities, e.g. continuous or stepped transitions of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생성 유닛(2), 광 센서 장치(3), 제어 유닛(4) 및 베이스 서포트(5)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광 센서 장치(3)는 광 센서(30, 3000)를 포함하고, 광 생성 유닛(2)은 조명 수단(20, 2000)을 포함하며; 광 센서(30, 3000)는 센서 픽셀 어레이(31)를 포함하고, 조명 수단(20, 2000)은 조명 픽셀 어레이(21)를 포함하며; 광 생성 유닛(2)은 세그먼트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되, 각자의 조명 픽셀(210, 2100)은 세그먼트 광 분포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광 센서 장치(3)는 세그먼트 광 분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되, 각자의 센서 픽셀(310, 3100)은 세그먼트 광 분포의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센서 픽셀(310, 3100)과 조명 픽셀(210, 2100)은, 각자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정확히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이 할당됨으로써 상기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이 대응하는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의 세그먼트 광 분포 중 일부분만을 검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룹을 이루어 상호 간에 대응하며; 각자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은 검출된 광의 광 세기 값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 유닛(4)은 광 세기 값들을 기반으로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들의 광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HEADLAMP}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는 하기 특징들을 포함한다.
- 조명 수단을 구비한 광 생성 유닛이며, 상기 조명 수단은 조명 픽셀 어레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조명 픽셀을 포함하되, 광 생성 유닛은 광선속(light flux)의 방출을 통해 조명 장치 전방의 주 방사 방향으로 세그먼트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광 생성 유닛;
- 광 센서(light sensor)를 구비한 광 센서 장치이며, 상기 광 센서는 센서 픽셀 어레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센서 픽셀을 포함하되, 광 센서 장치는 광 센서 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광선속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광 센서 장치; 및
- 광 생성 유닛 및 광 센서 장치와 연결되어 세그먼트 광 분포의 생성을 위해 광 생성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ADB 시스템 내지 ADB 자동차 헤드램프는 일반적으로 카메라 또는 카메라 시스템과 같은 환경 촬영 장치와,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을 포함한다. ADB 시스템의 -잘 알려진- 작동 원리는, 환경 촬영 장치가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에 공급하는 정보들에 따라서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이 자동차 헤드램프들을 제어하고 예컨대 자동차 헤드램프들에 의해 생성된 광 분포의 상응하는 영역들을 차광하거나 디밍(dimming)하는 것에 있다. 디밍은 해당 영역에서 방출된 광선속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DB 시스템들에서는 동적 유형의 ADB 시스템들과 매트릭스 유형의 ADB 시스템들로 구분될 수 있다(US 2016/0368414 A1호, [0045] 참조). 동적 유형의 ADB 시스템들의 경우, 생성된 광 분포 내에서 다크 존("dark zone")은 회동 구동부(pivot drive)의 이용 하에 제공될 수 있다. 매트릭스 유형의 ADB 시스템들의 경우에는, 다크 존이 대개 상응하는 광원의 스위치 오프/디밍에 의해 생성된다.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전술한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유형의 장치이다.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ADB 시스템들의 경우, 환경 촬영 장치가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 ADB 시스템의 전술한 주요 부품들은 여러 제조업체에 의해 제조된다. 전형적으로,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은, 환경 촬영 장치의 측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이는, 예컨대 자동차 헤드램프 제조업체로 하여금 디밍 시나리오들을 설정할 때 외부에서 제공되는, 예컨대 판매되는 환경 촬영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들에 의존하게 한다. 언급한 정보는 보통 이른바 객체 목록(object list)들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객체 목록들은, 환경 촬영 장치가 예컨대 전술한 카메라 시스템으로 카메라 시스템의 시계("Field of View") 내의 화상(image)들을 촬영함으로써, 환경 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되되, 시계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전방의 관련 있는 영역에 매칭되며, 그리고 상기 화상들은 환경 촬영 장치 내에 제공되어 있는 컴퓨터 유닛에 의해 평가된다. 이 경우, 관련 있는 영역에 대한 시계의 매칭이란, 시계가 적어도 자동차 전방에 있는 차도의 검출을 위해 충분히 큰 구경 각도를 보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 유닛은 출력으로서 전술한 객체 목록들을 공급한다. 상기 목록들에서 객체들로서는 예컨대 화물 자동차들, 승용차들, 오토바이들 등과 같은 차량들이 있을 수 있다. 각자의 개별 객체에는, 전형적으로 카메라 시스템의 좌표계에서의 좌표들이 할당된다. 따라서 상기 원점 좌표계(origin coordinate system)는 보통 대략 자동차의 실내에서 리어뷰미러의 뒤쪽 면에 원점을 갖는데, 그 이유는 그곳에 통상 카메라 시스템의 카메라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 시스템이 입력으로서 상기 객체 목록을 획득한다면, 객체 목록에 상응하게 생성될 광 패턴이 계산된다. 이 경우, 맨 먼저, 객체들의 좌표들이 자동차 헤드램프의 좌표계로 환산되어야 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계산처리능력을 요구하고, 관련 있는 시간 지연을 야기하며, 그리고 가능한 오류원이다. 또한, 보통, 객체들의 잘못된 검출을 통해 환경 촬영 장치의 컴퓨터 유닛 측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오류들이 발생한다. 흔히 발생하는 이런 유형의 오류는 선행 화물 자동차와 2개의 오토바이 간의 혼동이며-컴퓨터 유닛은 제1 촬영을 근거로 화물 자동차의 테일 램프들을 검출하며, 예컨대 그에 뒤따르는 제2 촬영의 경우, 동일한 테일 램프들이 2개의 오토바이로서 해석된다. 자동차 헤드램프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없기 때문에, 각각 테일 램프들이 객체 목록에서 2개의 오토바이에 할당되는지(섬광) 또는 화물 자동차에 할당되는지(차광) 그 여부에 따라서 테일 램프들 사이의 영역의 주기적인 섬광 및 디밍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황에 따라 광 반사로 인한 운전자의 눈부심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외부 촬상 장치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지연 시간(latency)이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디밍의 정확도가 증가되는 자립적 ADB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광 생성 유닛, 광 센서 장치 및 제어 유닛이 함께 하나의 베이스 서포트(base support) 상에 배치되어 베이스 서포트와 함께 하나의 구조 유닛을 형성하되,
조명 픽셀 어레이의 조명 픽셀들은 적어도 2개의 조명 픽셀 그룹으로 분할되고, 각각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은 조명 입체각에서 세그먼트 광 분포의 하나의 세그먼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센서 픽셀 어레이의 센서 픽셀들은 적어도 2개의 센서 픽셀 그룹으로 분할되고, 각각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은 센서 픽셀 그룹에 할당된 검출 입체각에서 광을 검출할 수 있고 각각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에 할당되며, 각자의 센서 픽셀 그룹 상으로 입사되는 광은 각각의 센서 픽셀 그룹에 할당된 광선속 값으로서 검출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검출 입체각은 할당된 조명 픽셀 그룹의 조명 입체각과 동일하며,
제어 유닛은 각각의 센서 픽셀 그룹에 의해 검출된 광선속 값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결정될 수 있는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되되, 제어 유닛은 임계값을 상회할 때 상응하는 조명 픽셀 그룹의 광선속을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센서 픽셀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예컨대 2개, 3개 또는 4개의 센서 픽셀 행과,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1000개 이상, 특히 1024개 또는 2048개의 센서 픽셀 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픽셀 행(들)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열된다.
적합하게는, 조명 픽셀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명 픽셀 행과 복수의 조명 픽셀 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 픽셀 행(들)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열된다.
특히 단순한 구성은, 베이스 서포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때 달성된다.
또한, 베이스 서포트는, 광 센서, 조명 수단 및 제어 유닛이 그 상에 배치되어 있는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서포트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 센서, 조명 수단 및 제어 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다. 주지할 사항은, 이런 경우에, 광 센서, 조명 수단 및 제어 유닛이 마찬가지로 베이스 서포트 상에 배치되지만, 그러나 베이스 서포트와는 접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개별 부품들의 교환과 관련하여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서포트는 제1 인쇄회로기판과 제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 수단은 제1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고, 광 센서는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며, 제1 인쇄회로기판은 제2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구성은, 베이스 서포트가 기계적 및 열적 관점에서, 특히 변하기 쉬운 온도 조건(예: -40℃ 내지 125℃)에서 치수 정밀도와 관련하여, 그리고 광학 컴포넌트들을 위한 기준 평면(reference plane)의 형성과 관련하여, 일체형 베이스 서포트와 거의 등가가 되는 방식으로,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서 복수(>= 2)의 유닛들로 형상 결합 또는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베이스 서포트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광 센서 및 조명 수단은 함께 하나의 평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의 주 방사 방향에서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 특히 각자의 센서 픽셀은 적어도 하나의 광전자 변환 요소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포토다이오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 특히 각자의 센서 픽셀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특히 4개의 광전자 변환 요소, 특히 포토다이오드로서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의 광전자 변환 요소들은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부동 확산 영역(floating diffusion region)을 포함할 때 달성된다.
매우 유리한 변형예에 따라, 복수의 센서 픽셀이 CMOS 기술에서 제조되는 "액티브 픽셀 센서"(APS-CMOS)의 형태로 그룹화되되, 여기서는 포토다이오드의 기능(A/D 변환, 판독 출력의 클록 제어, 증폭)을 위한 소수의 주변 회로가 동일한 반도체 부품 상에서 직접적으로 구현된다.
매우 유리한 변형예에서, 하나의 조명 픽셀, 특히 각자의 조명 픽셀은 적어도 하나의 LED 광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개별 조명 픽셀들은 세그먼트화되어 형성되는 모놀리식 LED 광원(분리되어 제어될 수 있는 100개 ~ 10,000개의 조명 픽셀을 포함한 반도체 부품)의 부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조명 픽셀, 바람직하게는 각자의 조명 픽셀은 공간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 예컨대 DMD 칩의 미러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미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적으로 LED 광원들과 공간광 변조기의 조합을 생각해볼 수 있다.
세그먼트 광 분포의 영역들을 차광할 때 상이한 오류들은, 본원의 조명 장치가 레이저 광원, 예컨대 적외선 레이저 광원을 더 포함하되, 레이저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서포트 상에 배치되어 특히 라이다 센서(LiDAR sensor)의 수신기 부재로서의 전술한 포토다이오드(센서 픽셀)들과 함께 거리 측정을 위한 송신기 컴포넌트로서 구성될 때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매우 신속하게 기능하는 조명 장치는, 제어 유닛이 광 센서뿐만 아니라 조명 수단 역시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정확히 하나의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될 때 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유닛이 통신을 위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는 광 센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조명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활성 센서 요소(photoactive sensor element)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동일한 전자 부품 하우징("칩 패키지") 내에서 상기 광활성 센서 요소의 안쪽에 직접 배치되어, 센서와 관련한 데이터 전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런 전처리는 예컨대 픽셀들 간 측정값들 상호 간의 비교, 및 저장된 값들과 상기 측정값들의 비교 내지 저장된 평가 특징들(판독 출력 속도, 조명 시간, 증폭 등)의 선택 및 제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예시의 광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광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2개 부재형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광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 개략도들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가 설정 및 조정 장치들, 전기 공급 수단들 등과 같은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즉시 알 수 있을 것이다.
가독성의 간소화를 위해, 그리고 유용할 수 있는 부분에서, 도면들에는 기준 축들이 부여된다. 이런 기준 축들은 자동차 내에서 조명 장치의 기술적으로 정확한 장착 위치에 관련되며, 그리고 자동차와 관련한 좌표계이다.
더 나아가, 분명한 점은, "수평으로", "수직으로", "위쪽에", "아래쪽에" 등과 같은 방향 관련 용어들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대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그리고 전술한 기술적으로 정확한 장착 위치에 관련되거나, 또는 광 패턴에서, 또는 교통 공간에서 방사되는 광 분포의 관례적인 정렬에 관련되는 것이어야 한다.
우선, 도 1이 참조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상응하는 광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광 모듈이란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구조 유닛으로서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 모듈은, 조명 수단(20) 및 투영 광학계(22)를 구비할 수 있는 광 생성 유닛(2)을 포함한다. 조명 수단(20)은 매트릭스형 배열 구조(21)로 배열되는 복수의 조명 픽셀(210)을 포함한다. 이런 배열 구조는 보통 조명 픽셀 어레이로서 지칭된다. 도 1에 도시된 조명 픽셀(210)들은 직사각형, 예컨대 정사각형 광 방출면을 갖는 LED 광원들로서 형성된다. 조명 픽셀 어레이(21)는 2개의 행과 4개의 열로 구성될 수 있다. 광 생성 유닛(2)은, 세그먼트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각자의 조명 픽셀(210)은 세그먼트 광 분포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조명 픽셀이 온(on)되면, 상기 조명 픽셀은 예컨대 보조 광학 요소(22)에 의해 광 모듈(1) 전방에 광 분포의 세그먼트로서 매핑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보조 광학 요소(22)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렌즈-자유 형상 렌즈, 양볼록 렌즈 또는 평면 볼록 렌즈 등과 같은 일체형인 광학체로서 형성된다. 복수의 보조 광학 요소들 및 심지어 보다 더 복잡한 매핑 시스템들도 마찬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고, 이들은 각각 광 모듈(1)의 구체적인 사용에 따라 가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세그먼트들의 최적의 제한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단일의 보조 광학 요소(22)는, 광 모듈(1)이 자신의 구성에서 조밀하고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최소의 개수의 광학 부품을 통해, 광학 부품들과 관련한 공차들은 적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조명 픽셀(210)들에 의해 상이한 세그먼트들이 생성된다. 자명한 사실로서, 각자의 조명 픽셀(210 또는 2100)은 복수의 상이한 휘도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조명 픽셀은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조명 픽셀은 점등되지 않는다. 조명 픽셀들이 디밍 가능한 경우, 상기 조명 픽셀들의 휘도는 0(OFF 상태)과 최댓값-"ON 상태"- 사이의 다수의 값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스폭 변조(PWM)를 통해, 예컨대 200Hz의 주파수로 디밍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광 모듈(1)은, 광 센서(30), 예컨대 CMOS 센서와 바람직하게는 광 센서 앞에 장착되는 집속 광학 요소(32)를 구비한 광 센서 장치(3)를 포함하며, 집속 광학 요소는 광 모듈의 조명 영역에 매칭되는 방식으로 센서 상에 관련 있는 측정 영역을 포괄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매핑한다. 광 센서(30)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서 픽셀(310)-센서 픽셀 어레이(31)-로서 형성된다. 센서 픽셀 어레이(31)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의 행만을, 특히 35개 이하, 예컨대 2개, 3개, 4개 또는 5개의 행(ZB1, ZB2, ZB3)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1000개 이상, 특히 1024개 또는 2048개의 센서 픽셀 열(SB1, SB2, ...SBn)을 포함한다(도 2 및 3 역시 참조). 센서 픽셀 어레이(31)는 준 일차원 어레이이다. 센서 픽셀 행(ZB1, ZB2, ZB3)들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열된다. 다시 말해, 각자의 센서 픽셀 행(ZB1, ZB2, ZB3)은 바람직하게는 수평 열에 서로 나란히 배열되는 센서 픽셀(310, 3100)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CMOS 센서들은 NSI1000, NSI3000, NSI3100, NSI3500, NSI5000, NSI5800, NSI3000EVB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ADB 시스템들 내지 광 모듈들과 달리, 본원에서는 복잡한 CMOS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가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CMOS 센서와 같은 예컨대 스트립형 광 센서(30)가 이용된다. CCD 센서의 이용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는, 광 센서(3)에, 카메라 내에 있는 센서들에 의해 촬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상 평가를 수행하는 화상 평가 유닛(image evaluating unit)이 할당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 픽셀 어레이(31) 내에서 적은 개수의 행을 기반으로, 광 센서 장치(3)의 시계는 수직 방향(Y)으로 예컨대 광학 축의 위쪽 및 아래쪽에서 +/-7도, 전형적으로 +/-4도까지의 각도 범위로 제한된다. 상기 광 센서 장치(3)의 전형적인 촬영 사진은 스트립의 형태를 갖는다. 광 센서 장치(3)는, 바람직하게는 반대 차선 접근 자동차의 프런트 헤드램프들 및/또는 선행 자동차의 리어 램프들을 검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매우 높은 판독 출력 속도(< 40 KHz)를 갖는 센서 픽셀들이 이용된다. 상기 판독 출력 속도에 의해, 외부의 뚜렷한 광원들의 전술한 PWM 디밍의 기본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예컨대 도로 조명(50Hz 주파수)으로부터 차량 LED 램프(> 200 ~ 400Hz)들을 구분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센서의 높을 수 있는 판독 출력 속도는, 픽셀들의 예컨대 수배의 가변 조명 통로들 또는 그들의 결합을 통해, 동적 범위가 높은 것과 동시에 센서의 민감도를 최적으로 형성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화상 평가 유닛 등 대신, 광 센서 장치(3)에는, 복잡한 화상 평가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지 않고 그에 따라 (통상적인 의미에서) 화상 평가를 수행할 수 없는 제어 유닛(4)이 할당된다. 다시 말하면, 특히 제어 유닛(4)은 객체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 유닛(4)은, 광 생성 유닛(2)의 조명 픽셀(210)들을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조명 픽셀들의 휘도를 가변시키도록(위의 설명 참조) 구성되는 단일의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형성될 수 있다. 광 센서(3)는 촬영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제어 유닛(4)과 연결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검출된 광의 세기가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각자의 센서 픽셀(310)은, 예컨대 센서 판독 출력 유닛에서 칩에 가까운 전처리 후에, 신호를 제어 유닛(4)으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계값은, 예컨대 반대 차선 접근 차량들의 자동차 헤드램프들, 또는 선행 차량들의 리어 램프들과 같은 외부 광원들의 광이 검출되지만, 그러나 조명 장치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이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객체들의 광 반사는 비록 측정되기는 하지만, 관련 있는 외부 광원으로서 평가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검출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제어 유닛(4),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가 광 센서 장치(3)로부터 수신받는 전술한 신호들, 바람직하게는 이진 신호들에 반응하여, 제어 유닛은 조명 수단(20)의 상응하는 조명 픽셀(210)들의 휘도 내지 광선속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킨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4)은 상응하는 조명 픽셀(210)들을 스위치 오프하거나 온하며, 다시 말하면 휘도 내지 광선속을 0으로 감소시키거나 이들을 최댓값 내지 다른 방식으로 기설정된 기본 값으로 증가시킨다. 조명 픽셀들과 센서 픽셀들 간의 신호 교환은 하기에서 논의된다.
도 1에서는, 광 센서(30)뿐만 아니라 조명 수단(20) 역시도 함께 하나의 평면(Ezy)에 배치되어 있되, 평면(Ezy)은 바람직하게는 광 모듈의 주 방사 방향(X)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점이 확인된다. 이 경우, 광 생성 유닛(2) 및 광 센서 장치(3)의 좌표계들의 조정이 매우 간소화되며, 예컨대 기준점의 매우 작은 측면 오프셋의 교정만이 필요하고 광 픽셀 및 센서 픽셀의 광학 축의 경동(tilting)의 교정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심지어 더 이상 필요 없는 매우 유리한 시스템이 달성된다.
광 모듈(1)은 베이스 서포트(5) 역시도 포함하되, 광 생성 유닛, 광 센서 장치(3) 및 제어 유닛(4)은 함께 베이스 서포트(5) 상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서포트(5) 상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베이스 서포트(5)와 함께 하나의 구조 유닛(6)을 형성한다. 예컨대 베이스 서포트(5)는 모놀리식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공통 기준 평면(Ezy)의 형성을 보장하고 적합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이스 서포트(5)는 회로기판이 그 상에 고정되는 방열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 상에는 예컨대 CMOS 칩으로서 형성된 광 센서(30)와, 대응하는 전자 시스템을 포함한 조명 수단(20)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일체형으로(도 2), 또는 2개 부재형으로(도 1 및 3) 형성될 수 있다. 제어 유닛(4)은 마찬가지로 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로기판은 제1 인쇄회로기판(5a)과 제2 인쇄회로기판(5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 수단(20, 2000)은 제1 인쇄회로기판(5a) 상에 장착될 수 있고 광 센서(30, 3000)는 제2 인쇄회로기판(5b) 상에 장착될 수 있되, 제1 인쇄회로기판(5a)은 제2 인쇄회로기판(5b)과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예컨대 라인(경계선)(L)을 따라서- 연결된다.
그 외에도, 베이스 서포트(5)가 제1 및 제2 방열판 역시도 포함하되, 방열판들은 상호 간에 매칭되며, 그리고 예컨대 상호 간의 열 방출이 가능하도록 상호 간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방열판들은, 광 센서(30, 3000)와 조명 수단(20, 2000)이 공통 평면(Ezy)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광 생성 유닛이 제1 방열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 상에 안착되고, 광 센서 장치는 제2 방열판 상에 배치되는 제2 인쇄회로기판 상에 안착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평면(Ezy) 안쪽에서 어쨌든 적합하게는, 광 생성 유닛과 광 센서 장치는 측면에서 서로 나란히, 또는 상호 간에 포개어져서, 다시 말해 주 방사 방향에 대해 측면으로 오프셋 되어, 그러나 어쨌든 센터링되어 상호 간에 정렬되어 배치된다.
조명 픽셀 어레이(21)의 조명 픽셀(210, 2100)들은 적어도 2개의 조명 픽셀 그룹으로, 도시된 예시에서는 4개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은 조명 입체각에서 세그먼트 광 분포의 세그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서 픽셀 어레이(31)의 센서 픽셀(310, 3100)들은 적어도 2개의 센서 픽셀 그룹으로, 도시된 예시에서는 4개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은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할당된 검출 입체각에서 광을 검출할 수 있고 각각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에 할당되며, 각자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 상에 입사되는 광은 각각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할당된 광선속 값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검출 입체각은 할당된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의 조명 입체각과 동일하다.
또한, 하나의 조명 픽셀이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에 상응하고 하나의 센서 픽셀은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에 상응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조명 수단(2000)이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열되는 m개의 행(ZL1, ...ZLm)과 n개의 열(SL1, ...SLn)을 구비한 조명 픽셀 어레이(21)를 포함하되, m > 2 및 n > 4인, 광 생성 유닛(2)이 도시되어 있다. 자명한 사실로서, 상기 조명 수단(2000)은 간단히 조명 수단(20) 대신 도 1의 광 모듈(1)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 픽셀 어레이(21)는 예컨대 -마이크로 미러 액추에이터들의 유형인- 공간광 변조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DMD(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장치; 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같은 상기 공간광 변조기, 또는 Fraunhofer(프라운호퍼) 광양자 마이크로 시스템 연구소의 공간광 변조기는 개별적으로 주조 지정이 가능한 적어도 수백 개, 그러나 대개의 경우에는 수천 개 내지 수백만 개의 (단일) 마이크로 미러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개별 마이크로 미러들의 크기는 마이크로미터 범위(예: 10㎛ 이상) 이내이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16x16㎛2 크기의 256x265개의 미러; 16x16㎛2 크기의 512x2048개의 미러; 10x10㎛2 크기의 1024x2048개의 미러; 또는 40x40㎛2 크기의 240x200개의 미러;를 포함하는 어레이들이 있다. 다시 말해, 전적으로, 각자의 조명 픽셀(2100)이 하나의 단일 마이크로 미러,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단일 마이크로 미러로서 형성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명 픽셀(2100)의 개수는, 상기 조명 수단(2000)의 경우, 매우 크며, 그럼으로써 개별 센서 픽셀(3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세그먼트 광 분포 내지 조명 입체각의 범위는 광 분포의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보통은 광 분포의 복수의 세그먼트, 내지 하나의 세그먼트의 조명 입체각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는,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이, 대응하는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이 광을 생성할 수 있는 것과 (객체 공간 내) 동일한 입체각에서부터 광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입체각 바깥쪽에 위치하는 객체들로부터는,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은 광을 수신할 수 없다. 또한, 대응하는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은 상기 객체들에는 조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각자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은, 검출 상태(detection state)에서, 검출된 광의 광선속 값을 표시하거나 포함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검출 상태"란 용어는,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의 센서 픽셀(310, 3100)들이 자신들의 각각의 검출 입체각을 검출하고 이 입체각 내에서 자신의 세기가 기결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광을 검출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임계값은, 외부 광원들이 검출되지만, 그러나 조명 장치의 바깥쪽에 위치하여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객체들의 광 반사들은 검출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자명한 사실로서, 세그먼트 광 분포는 완전하게 조명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조명 수단의 결정된 부분들을 스위치 오프하는 것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어두운 영역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이미 간단하게 언급한 것처럼, 제어 유닛(4)은, 각각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들에 의해 검출된 광선속 값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결정될 수 있는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유닛(4)은, 임계값을 상회할 때, 예컨대 감시시키거나, 특히 0으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키는, 특히 최댓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처럼, 상응하는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의 광선속을 변경한다. 그로 인해, 예컨대 외부 광원들이 위치되는 광 분포의 영역들은 디밍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제어 유닛(4)은 복잡한 화상 평가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렇게 하여, 지연 시간과 오류원들의 개수는, 광 모듈이 적어도 변함없이, 그리고 대개는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되면서 감소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조명 픽셀(210)들 내지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들은 광 세기 값들에 반응하여 스위치 온 내지 오프된다.
센서 픽셀(310, 3100)들 중 적어도 하나, 및 특히 모든 센서 픽셀(310, 3100)은 적어도 하나의 광전자 변환 요소 내지 적어도 하나의 광전자 변환기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포토다이오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APS-CMOS 센서의 형태가 보다 더 선호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 특히 각자의 센서 픽셀(3100)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특히 4개의 광전자 변환 요소, 특히 포토다이오드로서 형성되는 점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각자의 센서 픽셀(3100)이 변환 요소들의 2x2 매트릭스 배열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점이 확인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3100)의 광전자 변환 요소들은 통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부동 확산 영역(3101)을 포함할 수 있다. "부동 확산 영역"이란 용어는 부유하거나 부동하는 확산 영역 내지 부유하거나 부동하는 확상 구역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도 2 및 도 3에서는, 제어 유닛(4)이 통신을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마이크로컨트롤러(4B, 4L)를 포함하는 점도 추론된다. 이 경우,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4B)는, 광 센서(30, 30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4L)는 조명 수단(20, 20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관점에서 강조할 사항은, 두 마이크로 컨트롤러들 중 어느 것(4B 또는 4L)도 전술한 촬상 또는 화상 분석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마이크로컨트롤러(4B 및 4L)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논리적으로 직접적으로, 예컨대 기술한 것처럼 논리 픽셀-대-픽셀 할당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광 모듈(1)은 레이저 광원, 특히 적외선 레이저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 광원은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서포트(5) 상에 배치되거나 회로기판(5, 5a 또는 5b)과 전기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레이저 광원은 연속 모드(연속 발진 레이저 내지 CW 레이저)에서, 또는 펄스 모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센서(30)는, 추가로, 레이저 광원을 통해 생성되어 외부 객체들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레이저 광원은,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광 센서(30)를 통해 검출된 레이저 광을 근거로 상기 하나의 객체 또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객체까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 유닛(4)을 통해 제어된다. 거리의 결정을 위해, (예컨대 CW 레이저의 경우) 예컨대 삼각 측량이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펄스 레이저의 경우) 고효율 타임오브플라이트 방법(Enhanced-Time-of-Flight-Method)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1)로서, 상기 조명 장치(1)는:
    - 조명 수단(20, 2000)을 구비한 광 생성 유닛(2)이며, 상기 조명 수단(20, 2000)은 조명 픽셀 어레이(21)에 배열되는 복수의 조명 픽셀(210, 2100)을 포함하되, 광 생성 유닛(2)은 광선속의 방출을 통해 조명 장치(1) 전방의 주 방사 방향(X)으로 세그먼트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광 생성 유닛(2);
    - 광 센서(30, 3000)를 구비한 광 센서 장치(3)이며, 상기 광 센서(30, 3000)는 센서 픽셀 어레이(31)에 배열되는 복수의 센서 픽셀(310, 3100)을 포함하되, 광 센서 장치(3)는 광 센서(30, 3000) 상으로 입사되는 광의 광선속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광 센서 장치(3); 및
    - 광 생성 유닛(2) 및 광 센서 장치(2)와 연결되어 세그먼트 광 분포의 생성을 위해 광 생성 유닛(2)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4);을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생성 유닛(2), 상기 광 센서 장치(3) 및 상기 제어 유닛(4)이 함께 하나의 베이스 서포트(5)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서포트(5)와 함께 하나의 구조 유닛(6)을 형성하되,
    상기 조명 픽셀 어레이(21)의 조명 픽셀(210, 2100)들은 적어도 2개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으로 분할되고, 각각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은 조명 입체각에서 세그먼트 광 분포의 하나의 세그먼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픽셀 어레이(31)의 센서 픽셀(310, 3100)들은 적어도 2개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으로 분할되고, 각각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은 상기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할당된 검출 입체각에서 광을 검출할 수 있고 각각 하나의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에 할당되며, 각자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 상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각각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할당된 광선속 값으로서 검출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검출 입체각은 상기 할당된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의 조명 입체각과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4)은 상기 각각의 센서 픽셀 그룹(310a, 310b, 310c, 310d)에 의해 검출된 광선속 값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결정될 수 있는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어 유닛(4)은 임계값을 상회할 때 상기 상응하는 조명 픽셀 그룹(210a, 210b, 210c, 210d)의 광선속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픽셀 어레이(31)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예컨대 2개, 3개 또는 4개의 센서 픽셀 행(ZB1, ZB2, ZB3)과,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1024개 이상, 특히 2048개의 센서 픽셀 열(SB1, SB2, ..., SBn)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픽셀 행(ZB1, ZB2, ZB3)(들)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픽셀 어레이(21)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조명 픽셀 행(ZL1, ..., ZLm)과 복수의 조명 픽셀 열(SL1, ..., SLn)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픽셀 행(ZL1, ..., ZLm)(들)은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포트(5)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포트(5)는, 상기 광 센서(30, 3000), 상기 조명 수단(20, 2000) 및 상기 제어 유닛(4)이 그 상에 배치되어 있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포트(5)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광 센서(30, 3000), 상기 조명 수단(20, 2000) 및 상기 제어 유닛(4)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서포트(5)는 제1 인쇄회로기판(5a)과 제2 인쇄회로기판(5b)을 포함하며, 상기 조명 수단(20, 2000)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5a) 상에 장착되고, 상기 광 센서(30, 3000)는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5b)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5a)은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5b)과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30, 3000) 및 상기 조명 수단(20, 2000)은 함께 하나의 평면(Ezy)에 배치되며, 상기 평면(Ezy)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 조명 장치의 주 방사 방향(X)에서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 특히 각자의 센서 픽셀(310, 3100)은 적어도 하나의 광전자 변환 요소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포토다이오드로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APS-CMOS 센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 특히 각자의 센서 픽셀(310, 3100)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특히 4개의 광전자 변환 요소, 특히 포토다이오드로서 형성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픽셀(310, 3100)의 광전자 변환 요소들은 통합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부동 확산 영역(3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조명 픽셀(210, 2100)은 적어도 하나의 LED 광원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조명 픽셀(210, 2100)은 공간광 변조기, 예컨대 DMD 칩의 미러 어레이의 적어도 하나의 미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레이저 광원(7), 예컨대 적외선 레이저 광원을 더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광원(7)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서포트(5)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은 상기 광 센서(30, 3000)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 수단(20, 2000) 역시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정확히 하나의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성되거나, 또는 통신을 위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마이크로컨트롤러(4B, 4L)를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제1 마이크로컨트롤러(4B)는 상기 광 센서(30, 30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제2 마이크로컨트롤러(4L)는 상기 조명 수단(20, 20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 헤드램프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KR1020200168017A 2019-12-06 2020-12-04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KR102481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4113.3 2019-12-06
EP19214113.3A EP3833161B1 (de) 2019-12-06 2019-12-06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710A true KR20210072710A (ko) 2021-06-17
KR102481310B1 KR102481310B1 (ko) 2022-12-26

Family

ID=6880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017A KR102481310B1 (ko) 2019-12-06 2020-12-04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33161B1 (ko)
KR (1) KR102481310B1 (ko)
CN (1) CN1129183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2290A1 (en) * 2021-12-21 2023-06-28 Valeo Vis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EP4202495A1 (en) * 2021-12-21 2023-06-28 Valeo Visio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2345A1 (de) * 2008-07-09 2010-01-14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JP2016009608A (ja) * 2014-06-25 2016-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と、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KR20170102820A (ko) * 2016-03-02 2017-09-12 발레오 비젼 방현성 헤드램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25026U1 (de) * 1997-04-02 2004-07-01 Gentex Corp., Zeeland Steuerungssystem, um Fahrzeugscheinwerfer automatisch zu dimmen
US6611610B1 (en) * 1997-04-02 2003-08-26 Gentex Corporation Vehicle lamp control
US6861809B2 (en) *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JP4910897B2 (ja) * 2007-06-13 2012-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はんだフィレットの検査方法および基板外観検査装置
WO2010131170A1 (en) * 2009-05-14 2010-1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arrangement
DE102011001865B4 (de) * 2011-04-07 2021-10-21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CN102951069B (zh) * 2012-11-16 2015-02-18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汽车前照灯智能控制方法与系统
DE102013001274A1 (de) * 2013-01-25 2014-07-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Steuerung mehrerer unabhängig voneinander aktivierbarer Dioden in einem Scheinwerfer
DE102013002320A1 (de) * 2013-02-08 2014-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zeugführers nach einer Blendung im Straßenverkehr
DE102013216225A1 (de) * 2013-08-15 2015-02-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zumindest eines Scheinwerfers eines Fahrzeugs
DE102013219096A1 (de) * 2013-09-23 2015-03-26 Hella Kgaa Hueck & Co. Verfahren zur Steuerung der Ausleuchtung eines Straßenverlaufs
US9873372B2 (en) 2014-12-19 2018-01-23 Sl Corporation Adaptive driving beam headlamp for vehicle
AT519885B1 (de) * 2017-07-03 2018-11-15 Zkw Group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variablen fernlicht-lichtverteilung und vorrichtung
AT519976B1 (de) * 2017-07-05 2018-12-15 Zkw Group Gmbh Verfahren zum melden einer von gegenverkehr ausgehenden blendung und eine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zum ausführen eines solchen verfahrens
US10348404B1 (en) * 2018-05-09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with pixel alignment for high data rate
CN109150305B (zh) * 2018-11-08 2024-02-02 徐州时空思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远距离激光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2345A1 (de) * 2008-07-09 2010-01-14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Kraftfahrzeuge
JP2016009608A (ja) * 2014-06-25 2016-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と、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KR20170102820A (ko) * 2016-03-02 2017-09-12 발레오 비젼 방현성 헤드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18372B (zh) 2024-05-28
EP3833161A1 (de) 2021-06-09
CN112918372A (zh) 2021-06-08
KR102481310B1 (ko) 2022-12-26
EP3833161B1 (de)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8330B2 (en) Headlight for vehicles
US10180224B2 (en) Quasi-sparse optical illumination
US11046248B2 (en) Light module for a motor vehicle headlamp
KR102481310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US8288706B2 (en) Optical sensor comprising at least one optical element with a freeform boundary surface
US11840170B2 (en) Vehicle lamp having two lamp units each having a two light sources and a receiver for detecting an intensity of reflected light
JP4235830B2 (ja) 多機能照明装置
JP7469566B2 (ja) 自動車投光器用の照射装置
EP4202495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WO2023153438A1 (ja) 投光器、受光器、及び測定装置
EP4201740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EP4202384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EP4202496A1 (en) Automotive lighting arrangement and automotive vehicle
WO2022263685A1 (en) Method for detecting an object in a road surface,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and automotive lighting device
EP4201741A1 (en) Automotive lighting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WO2022145261A1 (ja) ゲーティングカメラ、車両用センシングシステム、車両用灯具
US20230105824A1 (en) Distance measuring system
WO2023118130A1 (en) Automotive lighting arrangement and automotive vehicle
JPH06230018A (ja) 空間フィルタ方式速度計の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