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440A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440A
KR20210072440A KR1020190162756A KR20190162756A KR20210072440A KR 20210072440 A KR20210072440 A KR 20210072440A KR 1020190162756 A KR1020190162756 A KR 1020190162756A KR 20190162756 A KR20190162756 A KR 20190162756A KR 20210072440 A KR20210072440 A KR 2021007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ing housing
disposed
watering
inj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덕
정재혁
최석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2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2440A/ko
Priority to US17/113,283 priority patent/US11815288B2/en
Priority to CN202011441533.5A priority patent/CN113028543B/zh
Priority to EP20212412.9A priority patent/EP3835678A1/en
Publication of KR2021007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링커버에 배치된 쉴드가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조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로 액적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51233호(이하 선행기술1이라 한다.)에는 가습공기청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1에 개시된 가습공기청정장치는 수조 내부에서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되면서 물이 분사된다.
그러나 선행기술1에서 물을 분사하면서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측으로 토출되는 풍량이 증가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에서 분사된 액적이 토출되는 공기와 함께 수조 토출구 밖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1233호
본 발명은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에서 분사된 물이 상측에 배치된 토출구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에서 분사된 물이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분사된 물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의 표면에서 비산될 때, 비산되는 면적을 좁게 형성시킬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워터링커버에 배치된 쉴드가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조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로 액적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쉴드의 쉴드부 및 비산부 사이에 소정의 사이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물을 비산부로 용이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송풍유닛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강풍으로 작동되더라도 비산부에서 비산된 액적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직접 이동되지 않고 비주얼바디로 비산된다.
본 발명은 상측개구부 및 하측개구부가 형성된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는 제 1 어퍼분사구;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는 제 2 어퍼분사구;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측면을 폐쇄하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외측면과 이격된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 또는 제 2 어퍼분사구 중 어느 하나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는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분사라인 중 어느 하나가 소정 폭으로 비산되게 연출할 수 있고, 비산되는 물의 높이가 분사구 보다 하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 및 제 2 어퍼분사구는 같은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되는 분사라인이 소정 폭으로 비산되게 연출할 수 있고, 비산되는 물의 높이가 분사구 보다 하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탑월; 상기 탑월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을 감싸는 사이드월;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사이드월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제 2 어퍼분사구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를 커버하고, 상기 사이드월 및 제 2 어퍼분사구는 소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토출된 물을 액적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쉴드에서 액적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쉴드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의 높이와 같거나 높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어퍼분사구에서 분사된 분사라인은 물줄기 형태로 비주얼바디에 부딪히고, 상기 제 2 분사라인에서 분사된 분사라인은 액적으로 변환되어 소정 폭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탑월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월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이너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이너리브 및 사이드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는 상기 이너리브의 하단 및 상기 쉴드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어퍼분사구에 공급되는 물의 토출압력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쉴드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외측면과 이격된 쉴드부; 상기 쉴드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부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사이드월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산부는 상기 쉴드부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분사라인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비산부가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액적으로 변환되는 분사라인의 분사방향을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적이 토출구로 직접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비산부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와 같거나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줄기 형태의 분사라인을 형성하는 제 1 어퍼분사구를 은닉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의 외측면과 상기 비산부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사이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의 내측면은 하측 방향 및 및 회전축 방향으로 개구되기 때문에, 쉴드부에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쉴드부의 내측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한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워터링커버에 배치된 쉴드가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조의 상측으로 개구된 토출구로 액적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쉴드의 쉴드부 및 비산부 사이에 소정의 사이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물을 비산부로 용이하게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송풍유닛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강풍으로 작동되더라도 비산부에서 비산된 액적이 토출되는 토출구로 직접 이동되지 않고 비주얼바디로 비산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기 제 1 어퍼분사구는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분사라인 중 어느 하나가 소정 폭으로 비산되게 연출할 수 있고, 비산되는 물의 높이가 분사구 보다 하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상기 제 1 어퍼분사구 및 제 2 어퍼분사구는 같은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되는 분사라인이 소정 폭으로 비산되게 연출할 수 있고, 비산되는 물의 높이가 분사구 보다 하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제 2 어퍼분사구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를 커버하고, 상기 사이드월 및 제 2 어퍼분사구는 소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토출된 물을 액적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어퍼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쉴드에서 액적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상기 쉴드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의 높이와 같거나 높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어퍼분사구에서 분사된 분사라인은 물줄기 형태로 비주얼바디에 부딪히고, 상기 제 2 분사라인에서 분사된 분사라인은 액적으로 변환되어 소정 폭으로 분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상기 비산부는 상기 쉴드부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분사라인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번째, 상기 비산부가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액적으로 변환되는 분사라인의 분사방향을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적이 토출구로 직접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한번째, 상기 비산부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와 같거나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줄기 형태의 분사라인을 형성하는 제 1 어퍼분사구를 은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M-M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N-N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워터링하우징커버의 하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정단면도이다.
도 16은 분사구 및 워터링하우징커버의 배치가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의 상측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 1 어퍼분사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 2 어퍼분사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1 어퍼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0은 제 2 어퍼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장치(100) 및 상기 에어클린장치(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는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제공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과 함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에어클린장치(100) 위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서 에어워시장치(200)를 상측으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에어워시장치(200)가 분리된 에어클린장치(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는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포함하고, 베이스바디(110)에서 필터어셈블리(10)를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통해 토출되고, 상기 급수유로(109)를 통해서는 토출이 최소화 또는 차단된다.
상기 급수유로(109)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에어클린장치(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에어클린장치(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유로(109)를 통해 상부급수를 실시할 때, 상부급수된 물은 상기 급수유로(109) 및 토출유로(107)를 통해서 수조(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 및 에어워시장치(200)는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장치(100) 및 에어워시장치(200)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에어클린장치(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에어워시장치(200)의 유로와 에어클린장치(100)의 유로가 연결유로(103)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이하, 에어클린장치(100) 및 에어워시장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로 구성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상기 어퍼바디(120)가 적층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조립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상기 로어바디(130) 하측에 흡입유로(101)가 배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여과유로(102)가 배치되며,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송풍유로(108)가 배치딘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로어바디(13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로어바디서포터(190)가 배치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는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상기 송풍유닛(20)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송풍유닛(20)에서 토출된 여과공기는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직방향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여과유로(102)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의 상측에 송풍유닛(20)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의 모터축을 아래를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조립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내부에 송풍유로(108)을 형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로(108)에 상기 송풍팬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유로(108)는 여과유로(102) 및 클린연결유로(104)를 연결시킨다.
상기 송풍팬은 원심팬의 작동메커니즘과 유사하지만 그 토출방향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팬은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팬에 의해 감싸져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고, 송풍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의 상측에 조립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의 수조(300)는 상기 수조삽입공간(125)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깥쪽은 상기 송풍유로(108)와 연통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의 내측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유입구(121) 및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의 내부 및 송풍유로(108)를 연통시킨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연결유로 및 수조삽입공간을 분리하여 배치하기 때문에, 수조(300)의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어퍼이너바디를 통해 구획되어 연결유로가 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연결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을 360도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360도 전 방향에 대해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로어바디(130)의 바깥쪽을 따라 안내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 수조(300)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장치(200)가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정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기준으로 외측에 클린연결유로(미도시)가 배치되고, 내측에 수조삽입공간(125)이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다. 상기 수조(300)가 수조삽입공간(125)에 거치된 경우, 상기 어퍼유입구(121)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수조(3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장치(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 또는 에어워시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베이스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탑뷰로 볼 때,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표면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가습연결유로(105)는 수조(300)의 측벽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어퍼이너바디914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에어워시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수조(300) 내부에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를 제공하는 탑커버어셈블리(230)와,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는 토출베인(14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여과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수조(300) 내부에서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고, 이를 순환시킨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저장된 물을 작은 크기의 액적으로 변환시키고, 비산된 액적을 통해 여과공기와 접촉ㄷ한다. 비산된 물방을 통해 여과공기를 워싱(washing)할 때, 가습 및 여과가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수조(300), 워터링유닛(400), 가습매체(50), 비주얼바디(210),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핸들(180)을 포함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게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게 배치된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80)은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회전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납된다. 상기 핸들(180)을 통해 에어워시장치(200)만을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고,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 전원이 연결되고, 상기 에어워시장치(200)는 상기 에어클린장치(1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장치(100) 및 에어워시장치(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 및 에어워시장치(200)는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베이스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의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조작모듈(240)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는 상기 베이스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는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또는 수조(300)의 내측면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베이스커넥터(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탑커넥터(270)가 베이스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베이스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급수유로(109) 주변에는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시부(247)가 배치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물을 급수할 때, 안 보이는 수조(300)의 수위가 얼만큼 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물을 급수하는 동선 상에 수위표시부(247)를 배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물을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300)에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위표시부(247)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넥터(270) 및 베이스커넥터(260)의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는 상부급수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된 에어워시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바디(320)는 바닥면 및 측벽이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측벽을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비주얼바디(210)가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사출을 통해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성을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주얼바디(210)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구성을 통해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수조바디연장부(380)를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일부는 수조(300)에 배치하고, 복수개의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나머지는 비주얼바디(210)에 배치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과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비주얼바디(210)에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키고, 수조(300)에도 개구면을 형성하여 에어워시유입구(3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또는 비주얼바디(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에 배치한 후, 이를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상기 수조(300) 및 비주얼바디(21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측 및 하측은 각각 원형으로 개구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하측 개구 직경이 상측 개구 직경보다 작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상측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가습과정을 시각화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에어워시장치(200) 내부에 레인뷰를 구현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를 회전시켜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대신 노즐을 사용하여 물을 분사하여도 무방하다.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여 가습매체(5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레인뷰도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노즐에서 물을 분사하고, 노즐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레인뷰를 구현할 수 있다. 가습매체(50)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여과공기를 가습하는데 이용된다.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하여 레인뷰를 구현한 후,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시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분사구를 배치한다. 어느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액적을 형성하여 레인뷰를 구현하고, 나머지 하나의 분사구에서 토출된 물이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힌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특히,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물은 가습매체(50)를 적셔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서 분사된 물 및 비주얼바디에서 흘러내린 물에 의해 적셔질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레인뷰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가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에어워시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의 출구이고, 가습유로(106)의 입구이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서 공급된 여과공기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장치(200, 본 실시예에서 수조)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에어워시유입구(31)와 동일 평면상, 바깥쪽, 또는 안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가습을 위해 물이 적셔지기 때문에,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습매체(50)는 상기 수조(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 후 흘러내린 물은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통과하는 여과공기에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가습매체(50)에서 자연증발된 물에 의해 여과공기가 가습된다. 상기 자연증발은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말한다. 공기와의 접촉이 증가할수록,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수록, 공기 중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자연증발이 촉진된다. 상기 자연증발을 자연기화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매체(50)는 물에 적셔지지만, 수조(300)에 잠기지는 않는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과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있어도 항상 적셔진 상태가 아니다. 즉, 가습모드로 작동될 때에만 가습매체(50)가 적셔진 상태이고,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때에는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커버하고, 여과공기는 상기 가습매체(50)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여과공기가 상기 에어워시유입구(31)를 관통하게 때문에, 공기의 유동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장치에서 탑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탑커버어셈블리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급수를 위한 급수유로(109)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55)의 상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배치하고,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 상부에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는 비주얼바디(23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과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커버어셈블리(230) 및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이 각각 제작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비주얼바디(2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에는 하중을 가하지 않는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별도로 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는 토출가습매체(55)가 내부에 배치되고, 비주얼바디(210)의 상부를 커버한다. 급수유로(109)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토출유로(107)는 상기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토출유로(107) 및 급수유로(109)를 형성하는 탑커버그릴(232)과, 상기 탑커버그릴(232)에 설치되는 조작모듈(240)과, 상기 조작모듈(240)에 전원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탑커넥터(270)를 포함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토출유로(107)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토출구(231)와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그릴급수구(233)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토출구(231) 및 그릴급수구(233)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급수구(233)는 탑커버그릴(232)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그릴토출구(231)는 상기 그릴급수구(233)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그릴(232)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에 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버그릴(232)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사용자에게 수위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 급수유로(109)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탑커넥터(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탑커넥터(27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조작모듈(240, operation module)은 토출그릴(232)과 결합되고 내측에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조작하우징(250)과,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배치된 입력부(245)와, 상기 조작하우징(250)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와, 상기 입력부(245) 및 수위표시부(247)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급수유로(109)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에는 급수유로(109)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조작급수구(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급수구(241)는 조작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모듈(240)은 상부급수가이드(2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급수가이드(236)는 상부급수된 물을 상기 조작급수구(241)로 안내한다. 상기 조작하우징(250) 중 일부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급수가이드(236)를 형성한다.
상부 급수 시, 사용자는 수조(300) 내부의 수위를 볼 수 없지만, 조작급수구(241) 주변에 배치된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상승된 수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 급수 중에 수위표시부(247)를 통해 수위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급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급수된 물은 토출가습매체하우징(1400)을 통과하여 가습유로(106)로 낙하된다. 특히, 상부급수된 물은 수조(300)의 수면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고,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상부로 낙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 중일 때, 상부급수가 제공되면, 상부급수된 물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 낙하되고, 회전되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 의해 비산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레인뷰를 형성시킨다.
즉,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을 통해 레인뷰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급수된 물을 통해서도 레인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에어워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M-M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N-N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회전 시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 시,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흡입한 후, 상측으로 양수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부로 양수된 물은 분사구(410)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는 양수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양수수단은 상기 수조(300)의 물을 상측으로 양수(揚水, pumping)한다. 수조의 물을 양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를 회전시키고, 회전 시 물과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형성시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을 통해 물을 양수하는 구조가 제안된다. 본 실시예에서 양수수단은 물과의 마찰 또는 상호 간섭을 통해 물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워터링그루브(810)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내측면에 양수수단인 워터링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양수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 또는 동력전달축(64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하단은 수조(30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801, H1)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간격(801)을 통해 수조(300)의 물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수조(300)의 수위(H2)는 흡입간격(H1) 보다 높고, 분사구(410)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수위(H2)는 만수위를 포함한다.
수위(H2)가 흡입간격(H1)보다 낮을 경우, 물이 흡입되지 않기 때문에, 양수가 불가능하다. 상기 수위(H2)가 분사구(410)보다 높을 경우 분사구(410)에 양수된 물이 분사되지 않는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하측이 개방되고, 측면 및 상측면이 폐쇄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하측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컵을 거꾸로 놓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부에는 하우징공간(805)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부에 수조(300)의 컬럼(35)이 위치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동력전달어셈블리(600)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컬럼(35)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컬럼(35)은 수조(300)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하측면을 관통하여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컬럼(35) 및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이격되고, 상기 동력전달어셈블리(6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컬럼(35)은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축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및 컬럼(35)의 형상은 물을 효과적으로 양수하기 위한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공간(805)의 용적은 상측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될 때, 내부로 흡입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주면에 형성된 워터링그루브(810)는 내부로 흡입된 물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는 흡입된 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분사구(4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는 수평방향으로 물을 토출시키게 배치된다. 상기 분사구(410)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측벽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될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내부의 물은 상기 분사구(410)를 통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된 물은 비주얼바디(210)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구(410)는 설계조건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구(410)는 높이차를 두고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상측에 배치된 분사구를 어퍼분사구(412)(413)로 정의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중간에 배치된 분사구를 로어분사구(411)로 정의한다.
상기 로어분사구(411)에서 분사된 물은 가습에 이용된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은 가습, 워터링 및 레인뷰에 이용된다.
상기 로어분사구(411)는 상기 어퍼분사구(412)(413)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로어분사구(411)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높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볼 수 있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분사 또는 비산될 수 있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실 수 있다.
상기 어퍼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이 비주얼바디에 부딪힌 후, 비산되어 레인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분사구에서 분사된 물은 비주얼바디에 부딪힌 후, 미세한 액적으로 변환되고, 이 액적들이 여과공기를 씻어내는 워터링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제 1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로어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제 2 회전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어퍼분사구에서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속도는 상기 제 1 회전속도에 비해 고속이다.
상기 제 1 회전속도는 상기 로어분사구(411)의 내측까지 물이 양수될 수 있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속도이다. 상기 제 2 회전속도는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의 내측까지 물이 양수될 수 있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속도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고속으로 회전될 때에만, 상기 어퍼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된다.
상기 어퍼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분사구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통상 회전속도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최소 로어분사구(411) 보다 높게 상승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고속으로 회전되면, 양수된 물은 어퍼분사구(412)(413)의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다.
상기 제 2 회전속도일때, 후술하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하측까지 물이 양수된다. 상기 제 2 회전속도일때,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내부 상측에는 양수된 물이 저장된다.
상기 어퍼분사구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분사구 또한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되지 않으면, 로어분사구(411)를 통해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청정모드(에어클린장치는 작동되고, 에어워시장치는 정지되는 모드)로만 작동시키면, 워터링유닛(400)이 작동되지 않고, 송풍유닛(20)만 작동된다. 사용자가 가습모드를 작동시킬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되고, 상기 분사구(410)를 통해 물이 토출된다. 사용자가 청정모드 및 가습모드를 동시 작동시킬 때,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되는 물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될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분사구(410)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타격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사용자는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분사는 가습모드로 작동 중인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물의 분사를 통해 가습모드가 작동 중인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는 분사된 물에 의해 액적이 맺힐 수 있고, 액적이 일정크기 이상일 때, 액적은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3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하단은 수조(300)의 저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0),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워터링동력전달부(88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조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워터링동력전달부(88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동력전달축(640)과 2개소에서 결합되고, 2개소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동력전달축(640)과 1개소에서 결합되고, 결합된 1개소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동력전달축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풀리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치합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인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치 방식으로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산(643)이 형성된다.
상단 나사산(643)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조립된다. 하단 나사산는 제 2 커플러(620)와 조립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제 2 커플러(620)와 결합되는 제 1 커플러(610)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워터링모터(42)가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클린장치(100)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42)에 결합된 커플러를 제 1 커플러(610, 도 3 참조)로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를 제 2 커플러(620, 도 3 참조)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 또는 제 2 커플러(620) 중 어느 하나는 수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암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커플러(610)가 수 형상이고, 제 2 커플러(620)가 암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커플러(610)가 제 2 커플러(620)에 삽입되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커플러(620)가 상기 제 1 커플러(6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 내부에 상기 수조(300)가 거치된다. 상기 수조(300)가 어퍼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제 1, 2 커플러(610)(620)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의 워터링모터축(43)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의 상단에 제 1 커플러(610)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내측면에 워터링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하단이 수조(300)의 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상측 및 하측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단에 조립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면을 커버한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동력전달어셈블리(60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측 단면이 하측 단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상하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하측 단면이 좁은 원추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내부에 워터링그루브(810)가 형성된다. 상기 양수그루부(81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워터링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그루브(81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축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하단은 수조(300)의 내부 저면과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단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단과 결합된다.
상기 1 워터링하우징(82)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상측 외주면에 나사산(822)이 형성되고,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측 내주면에 나사산(84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 형성된 나사산(822)을 제 1 나사산(822)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형성된 나사산(842)을 제 2 나사산(84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나사산(822)의 하측에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배리어(82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조립 시,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하단에 밀착된다. 상기 제 1 배리어(823)은 상기 제 1 나사산(822)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나사산(822) 및 제 1 배리어(823) 사이에 제 1 패킹(825)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킹(825)은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사이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패킹(825)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825)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825)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리브(824)가 배치된다. 상기 리브(824)는 제 1 나사산(822)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824)는 제 1 나사산(822)의 일부 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 나사산(822)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불연속하게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고, 그 중 하나가 상기 리브(824)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에는 로어분사구(41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분사구(411)는 2개가 배치된다. 2개의 로어분사구(411)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어분사구(411)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의 내외측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어분사구(411)의 내측 개구면적이 외측 개구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분사구(411)는 수조가습매체(51)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신다. 상기 로어분사구(411)는 수조가습매체(51)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주면에는 워터링날개(850)가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 시,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액적을 미세화시키는 레인뷰 연출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배치된 가습유로(106)의 공기는 송풍팬(24)의 유동에 의해 대부분 토출유로(107) 측으로 유동되지만, 상기 워터링날개(850) 주변의 공기는 이와 반대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국지적으로 송풍팬(24)에 의한 공기유동과 반대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의 형상에 따라 송풍팬(24)에 의한 유동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에도 워터링날개(850)의 회전에 의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주변의 공기가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표면으로 모이게 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주변의 물입자를 수조(300)로 유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의 회전은 풍량을 생성하고,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주변의 물 입자를 끌어들이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급수유로(109)에서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상부로 물이 낙하될 때, 낙하되는 물을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측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될 때, 급수유로(109)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경우, 물이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표면에 맞아 불규칙하게 비산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한 공기 유동은 급수 시 비산되는 물입자를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표면 쪽으로 모을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는 어퍼분사구(412)(413)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는 비주얼바디(210)를 향해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분사구(412)(413)는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분사구 중 하나를 제 1 어퍼분사구(412)라 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 2 어퍼분사구(413)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워터링날개(8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도 워터링날개(850) 사이에 배치된다.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의 높이는 워터링날개(850)와 같거나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의 궤적(S3)(S4) 중 일부가 상기 원터링날개(85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회전될 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 중 일부는 상기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혀 비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소정의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가 높낮이차를 형성시킴으로서, 비주얼바디(210)에 부딪히는 물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될 때,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분산된 물과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이 서로 다른 경로로 지나가게 된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히는 물의 궤적(S3)을 분사라인으로 정의한다. 상기 분사라인은 연속된 물줄기이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가 형성하는 분사라인을 제 1 분사라인(L1)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가 형성되는 분사라인을 제 2 분사라인(L2)으로 정의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형성되는 상기 분사라인은 직선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분사라인은 상기 분사구에서 토출되는 각도에 따라 곡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라인의 두께는 분사구의 직경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구의 직경이 크면 분사라인이 두껍게 형성되고 직경이 작으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어느 한 곳을 기준으로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분산된 물이 지나가고 난 후, 소정 시간 후에 다른 높이에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이 지나가게 된다. 즉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2개의 분사라인(L1)(L2)이 형성되고, 이러한 시각적 연출을 통해 물이 분사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 2개의 어퍼분사구에서 물이 토출되는 경우, 1개의 분사라인만이 형성된다.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고속으로 회전되면, 제 1, 2 어퍼분사구(142)(143)가 반대방향에 위치되더라도 위상차가 극히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1개의 분사라인에서 물이 흘러내리는 것으로 착시를 일으킬 수 있다.
한편, 2개의 분사라인을 형성하는 경우, 물이 부딪히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부딪혀 발생되는 소리도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제 1 분사라인에서 발생되는 소리와 제 2 분사라인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음향차이를 통해 사용자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되고 있음을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1개의 분사라인만이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소리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단순 소음으로 오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 분사라인들을 통한 음향차이는 저시력자 또는 청각장애인들에게 작동상황을 효과적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이 없는 상황에서도 가습청정장치가 작동중인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 중 적어도 하나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일부가 가려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완전 개방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일부가 오버랩되어 가려진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2 분사구(413) 앞에 위치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 상측을 일부 가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결합될 때, 제 2 어퍼분사구(413) 일부와 오버랩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확산부재와 간섭되어, 분사각 및 폭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와 간섭된 물은 표면장력에 의해 확산부재 측으로 당겨진다.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토출된 분사라인은 분사구의 직경과 유사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토출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오버랩되기 때문에, 제 2 어퍼분사구(413)의 직경보다 더 넓은 범위로 물을 비산시킨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을 S3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되는 물의 궤적을 S4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상기 2-1 분사구(412)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액적은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분사된 액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액적의 궤적(S4)은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분사된 궤적(S3)보다 상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액적은 제 1 어퍼분사구(412)에서 분사된 액적보다 넓게 분사된다. 그래서 상기 2-1 분사구(412)가 형성하는 분사라인(L1)에 비해, 오버랩된 상기 2-2 분사구(413)가 형성하는 분사라인(L2)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주변의 공기를 유동시킬 뿐만 분사구(410)에서 분사된 물을 미세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이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혀 미세화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은 물을 미스트 형태로 미세화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는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되는 모든 물을 미세화시키지는 않는다.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 중 일부가 상기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힌다.
상기 2 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은 소정의 궤적(S3)을 형성하고, 회전되는 워터링날개(850)가 상기 궤적(S3) 상의 물과 부딪힌다. 즉, 상기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 중에서, 일부는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혀 비산되고, 나머지는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히지 않고 비주얼바디(210) 바디의 내측면에 부딪힌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부딪힌 물은 특정 방향이 아닌 비주얼바디(210) 내부에서 넓게 비산된다. 예를 들어 워터링날개(850)에서 비산된 물은 토출가습매체(55)를 적실 수 있다. 워터링날개(850)에서 비산된 물은 비주얼바디(210)에 맺힐 수 있다. 워터링날개(850)에서 비산된 물은 수조(300) 내부에서 부유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날개(850)에 의해 미세화된 물은 레인뷰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다. 미세화된 액적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작은 액적 형태로 맺힐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유로(106)에서 발생되는 레인뷰는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에 의해 음이온을 생성시킬 수 있다. 레너드 효과는 물이 큰 외력을 받아 분쇄될 때,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레인뷰를 연출하는 과정에서 액적들이 비산되고, 부딪히고, 이 과정에서 다량의 음이온이 생성된다.
로어분사구(411)에서 분사된 물이 구조물과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이 비주얼바디(210)에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된 물이 워터링날개(850)와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급수 시,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 비산된 액적이 다양한 구조물에 부딪힐 때, 레너드 효과에 의해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레인뷰를 연출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액적들은 생성과정에서 음이온을 생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생성된 음이온들은 토출유로(107)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부에는 수막회전유동을 억제하는 수막억제리브(870)가 형성된다. 상기 수막회전유동은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되는 유동을 의미한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많은 양의 물이 머무를수록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진동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까지 양수된 물이 어퍼분사구(412)(413)를 통해 신속히 분사되어야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진동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동력전달축(640)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막억제리브(870)는 수막회전유동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동력전달축(640)의 회전력을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제 1 워터링하우징(82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별도로 제작된 후, 제 2 워터링하우징(84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동력전달부(880)는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축중심에 위치되는 부싱설치부(882)와, 상기 부싱설치부(882) 및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를 연결하는 워터링연결부(8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설치부(882), 워터링연결부(884)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20)은 사출되어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워터링연결부(884)는 리브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워터링연결부(884)는 축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연결부(884)는 수막억제리브(87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워터링연결부(884) 및 수막억제리브(870)는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부싱설치부(882)를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부싱설치부(882)의 하측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싱설치부(882)의 개구된 하측을 통해 부싱(90)이 삽입된다.
상기 부싱설치부(882) 및 부싱(90)은 상하 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부싱설치부(882) 및 부싱(90)은 회전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부싱설치부(882) 또는 부싱(90) 중 어느 하나에 부싱걸림부(9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부싱걸림홈(88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싱(90)에 부싱걸림부(93)가 형성되고, 부싱설치부(882)에 부싱걸림홈(883)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걸림홈(883)은 부싱설치부(88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오목한 형상이다. 상기 부싱걸림부(93)는 부싱(9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볼록한 형상이다.
상기 부싱걸림부(93)는 부싱걸림홈(882)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본 실시예와 달리 부싱설치부(882) 및 부싱(90)을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싱(9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을 제작할 때, 금형 내에 부싱(90)을 배치한 후 제 2 워터링하우징 재질을 사출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부싱(90)은 동력전달어셈블리(600)의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부싱(9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단한 금속재질이 아닐 경우, 마모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진동의 원인이 된다.
상기 부싱(9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부싱축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부싱축중공에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삽입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될 때, 진동을 저감시킨다. 상기 부싱(90)은 동력전달축(640)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90)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무게중심에 위치된다. 상기 부싱(90)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무게중심이 위치되기 때문에, 회전 시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진동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부싱(90)과 동력전달축(640)은 끼워 맞춤으로 조립된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지지된다.
상기 부싱(90)을 지지하기 위해 동력전달축(640)은 축지지단(642)이 형성된다. 상기 축지지단(642)을 기준으로 상측의 직경이 작고 하측의 직경이 크다.
상기 부싱(9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측단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축지지단(642)는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테이퍼, 챔퍼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단(642)을 직각으로 형성할 경우, 조립과정 또는 작동과정에서 마모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단(642)이 마모될 경우, 부싱(90)이 움직이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축지지단(642)이 마모될 경우, 부싱(90)이 기울어지거나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동력전달축(640)과 정렬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부싱(90) 및 동력전달축(640)의 정렬불량이 발생될 경우, 회전 시 편심이 발생되고, 이로 인한 진동이 발생된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워터링하우징커버의 하측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정단면도이다. 도 16은 분사구 및 워터링하우징커버의 배치가 도시된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의 상측 일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 1 어퍼분사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 2 어퍼분사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워터링하우징커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6)의 상측을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동력전달어셈블리(600)와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동력전달어셈블리(600)와 분리된 상태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편심 및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탑월(862)과, 상기 탑월(8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단을 감싸는 사이드월(863)과, 상기 탑월(862)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월(863)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이너리브(864)와, 상기 탑월(862)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는 축고정부(866)와, 상기 축고정부(866) 및 이너리브(864)를 연결하는 보강리브(868)와, 상기 사이드월(86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쉴드(890)를 포함한다.
상기 탑월(862)은 탑뷰로 보았을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탑월(862)의 직경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탑월(862)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평면 형상 또한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이드월(863)은 상기 탑월(862)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사이드월(863)은 탑월(862)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월(863)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탑월(862)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사이드월(863)은 외측면에 복수개의 돌기(86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861)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360도 형성된다. 상기 돌기(861)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를 분리할 때, 사용자에게 그립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기(861)는 상부급수 시 낙하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다. 상부급수를 통해 낙하되는 물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되고,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사이드월(863)로 유동된다. 이후 상기 돌기(861)에서 물방울 형태로 분리된 후,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에 뿌려진다. 상기 돌기(861)는 상부급수된 물을 효과적으로 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리브(864)는 상기 사이드월(863)의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월(863)와 소정거리 이격된다. 상기 사이드월(863) 및 이너리브(864) 사이에 제 2 패킹(865)이 설치된다. 상기 이너리브(864)는 저면에서 볼 때 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월(863)의 내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며, 하측을 향해 개구된 패킹설치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패킹설치공간에 제 2 패킹(865)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패킹(865)를 통해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패킹(825) 및 제 2 패킹(865)를 통해 하우징공간(805)의 물의 누수를 차단하기 때문에, 분사구(41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워터링하우징(82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 사이에서 물이 누수되거나, 또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및 워터링하우징커버(860) 사이에서 물이 누수되는 경우, 분사구(410)에서 토출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기 유지하기 어렵고, 분사라인을 연속된 물줄기로 형성시키기 어렵다.
즉,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에서 물의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를 회전시켜도 분사구(410)에서 물이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사이드월(863)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은 억지끼움되어 조립된다. 다만,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가 동력전달축(64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되더라도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866)은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축고정부(866) 및 동력전달축(640)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643)이 형성된다.
상기 축고정부(866)에는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조립되기 위한 나사산(84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축고정부(866)에 축고정부재(867)가 배치되고, 상기 축고정부재(867)는 상기 축고정부(866)에 이중사출되어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고정부재(867)는 너트가 사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달리 상기 축고정부재(867)는 금속재질이 사용된다. 동력전달축(640)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바, 상기 동력전달축(640)과 나사결합되는 부분도 금속재질로 형성되어야 체결 시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상기 축고정부(866)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축고정부(866) 자체에 나사산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만 노출되고,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및 제 1 워터링하우징(820)은 노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급수유로(109)에 공급된 물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로 낙하된 물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표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사된다.
회전되는 워터링하우징커버(860)는 급수된 물을 회전방향을 따라 분사사키고, 우산에서 물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돌기(861)에서 물방울이 박리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서 회전방향으로 비산되는 액적들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부딪히고, 레인뷰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쉴드(890)는 어퍼분사구(412)(413)에서 분사되는 물 중에서 상기 어퍼분사구(412)(413) 보다 상측으로 분사 또는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쉴드(890)는 상기 사이드월(863)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측면과 이격된다.
상기 쉴드(890)는 상기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상기 사이드월(863)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쉴드부(892)와, 상기 쉴드부(89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비산부(89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쉴드부(892)와 어퍼분사구(412)(413)들의 상대적 높낮이는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쉴드부(892)는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측면과 이격된다.
상기 쉴드부(892)의 상단은 상기 사이드월(863)의 하단과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사이드월(863)과 이격된다. 상기 쉴드부(892)의 평단면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한다.
상기 쉴드부(892)의 외측면(891) 및 내측면(893)은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외측면(891)은 반경방향 외측 및 하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면(891)은 상기 비산부(894)와 소정의 사이각(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A)은 90도 초과이고 180도 미만이다. 상기 외측면(891)을 따라 물이 상기 비산부(894)로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A)은 115도를 형성한다.
상기 내측면(893)은 상기 외측면(891)과 달리 라운드면을 형성한다. 상기 라운드면은 곡률중심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내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라운드면의 상단은 상기 경사면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라운드면의 하단은 상기 경사면의 하단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라운드면의 하단은 상기 비산부(894)의 하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내측면(893)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한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내측면(893)은 하측 방향 및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중심 방향으로 개방된다.
상기 비산부(894)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비산부(894)는 쉴드부(89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비산부(894)는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쉴드부(89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비산부(894)는 상기 사이드월(863)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비산부(894)의 하측면(894b)은 상기 내측면(893)의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비산부(894)의 상측면(894a)은 상기 외측면(891)의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사이각(A)은 상기 비산부(894)의 상측면(894a) 및 외측면(89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비산부(894)의 외측면(894c)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비산부(894)의 외측면(894c)은 상기 상측면(894a) 및 하측면(894b)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산부(894)의 돌출길이는 1.5mm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면(894a)의 돌출길이는 1.5mm이고, 상기 하측면(894b)의 길이는 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외측면(894c)의 길이는 1.5mm이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면(894a)의 길이와 같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면(894c)의 상하 길이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비산되는 액적의 폭을 최소화한다. 상기 비산부(894)의 돌출길이가 증가할수록 회전 시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진동 또한 증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쉴드(890)는 어퍼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물과 충돌되기 때문에, 상기 비산부(894)의 돌출길이를 최소화하여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쉴드부(892)는 분사라인(S3)(S4)이 소정각도 이상 상측으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속도에 따라 분사라인(S3)(S4)의 분사각도가 조금씩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가 저속드으로 회전되는 경우보다 고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분사라인(S3)(S4)이 보다 수평하게 분사된다.
더불어 송풍유닛(20)이 강풍을 제공할 경우,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사라인(S3)(S4)이 상측을 향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부(892)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쉴드(890) 및 제 1 어퍼분사구(412)의 상대 높이와, 상기 쉴드(890) 및 제 2 어퍼분사구(413)의 상대 높이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상기 쉴드부(892)와 같거나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상기 쉴드부(892) 보다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상기 비산부(894)와 같거나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상기 비산부(894) 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쉴드(890) 및 제 1 어퍼분사구(412)의 상관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쉴드(890)의 비산부(894)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와 같거나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상기 사이드월(863)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상기 쉴드부(892)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산부(894)의 높이 및 제 1 어퍼분사구(412)의 높이는 오버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면(894b)은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의 높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면(894b)이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선으로 볼 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쉴드(890)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를 은닉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에 분사된 물은 분사라인(S3)을 형성하고, 상기 쉴드(890)와 비접촉되며,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된다.
상기 분사라인(S3)을 형성하는 물은 자중에 의해 하측을 향해 포물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쉴드(890)의 비산부(894) 및 제 1 어퍼분사구(412)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더라도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쉴드(890) 및 제 2 어퍼분사구(413)의 상관관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 및 제 1 어퍼분사구(412)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상기 사이드월(863)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월(863)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서로 대향되고, 수평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에 의해 완벽하게 은닉된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 및 사이드월(863)의 이격간격을 통해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이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를 통해 토출된 물은 상기 쉴드(980) 및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측면 사이로 토출된 후, 수조(300)의 수면을 향해 바로 낙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비산된 물은 수조가습매체(51)를 적실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를 통해 토출된 물은 상기 쉴드(890)의 내측면(89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너리브(864) 및 사이드워ㄹ(86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두께보다 크고, 이로 인해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 및 사이드월(863)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상기 틈은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내측면은 상기 이너리브(864)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상단은 상기 이너리브(864)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을 통해 분사된 물은 제 2 워터링하우징(840)의 외측면 및 사이드월(863)의 내측면 사이의 틈을 통해 하측으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틈을 통해 분사된 물은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 및 표면장력에 의해 쉴드부(892)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은 쉴드부(892)의 내측면(893)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된 후, 비산부(894)에 맺히게 된다.
이후, 상기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비산부(894)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비산된다. 여기서 상기 비산부(894)의 외측면(894c)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비산되는 액적의 비산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산부(894)의 외측면(894c) 길이는 분사라인(S4)의 분사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분사라인(S4)에 따른 액적의 비산범위를 최소화할 경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상측으로 비산되는 액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송풍유닛(20)의 풍속에 의해 그릴토출구(231)로 액적이 직접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적이 상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와 함께 그릴토출구(231)를 통과하면 실내로 액적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커버(860)의 비산부(894) 두께(외측면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송풍유닛(20)의 강풍 작동에 따른 액적비산 문제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쉴드부(892)의 내측면(893) 안쪽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 회전 시 소정량의 물을 일시저장할 수 있고, 제 2 어퍼분사구(413)에 분사된 물의 비산을 일정시간 지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면(893)의 상단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을 상기 쉴드부(892) 안쪽으로 유도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면(893)의 하단은 수직방향 하측을 향하기 때문에, 쉴드부(892) 안쪽으로 유동된 물 중 일부를 수직방향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중력방향 힘보다 원심력이 큰 경우 비산부(894)로 유동되지만, 원심력보다 중력방향 힘이 큰 경우 내측면(893)에서 하측으로 낙하될 수도 있다.
도 19는 제 1 어퍼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20은 제 2 어퍼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물의 궤적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상기 에어워시장치(200)에서 연출되는 레인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레인뷰는 창 밖으로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의미한다. 레인뷰는 빗물이 맺힌 효과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주얼바디(210) 내부에 비가 내리는 것과 같은 효과 또는 비가 맺힌 효과가 연출된다.
상기 레인뷰가 연출될 때, 다양한 크기의 액적들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날개(850), 로어분사구(411), 제 1 어퍼분사구(412), 제 2 어퍼분사구(413),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돌기(861) 및 송풍팬(24)의 공기유동은 액적들을 생성하기 위한 레인뷰연출수단이다.
상기 로어분사구(411),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는 워터링유닛(400)에서 양수된 물을 분사할 때 사용된다. 상기 로어분사구(411), 제 1 어퍼분사구(412), 제 2 어퍼분사구(413)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레인뷰가 연출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860) 또는 돌기(861)는 상부급수 시 낙하되는 물을 비산시켜 레인뷰를 연출한다.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풍압 또는 풍량은 분사 또는 비산된 액적을 더욱 작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송풍유닛(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면서 액적들을 더욱 미세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20)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가습유로(106)에서 낙하되는 공기를 미세화시킬 수 있다. 송풍유닛(20)에 의한 공기는 중력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공기와 낙하되는 액적이 부딪혀 미세화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인뷰연출수단에 의해 생성된 액적들은 가습유로(106)에서 유동되거나 부유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로(106)의 액적들은 유동되는 공기를 가습할 수 있고,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물방울 형태로 맺힐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맺힌 물방울은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 경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수조(30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게 형성된다. 그래서 비주얼바디(210)를 따라 흐르는 액적의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인뷰 연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비주얼바디(210)의 경사를 통해 맺힌 액적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액적의 표면장력에 의해 액적은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상태로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송풍유닛(20)이 공기 유동은 액적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발수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수코팅이 형성되는 경우, 액적이 넓게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액적의 모양을 더 동그랗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160)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160)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실제 액적은 경사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60) 표면에서 반사된 액적은 디스플레이 경사와 반대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160)가 만나는 경계에서 실제 액적과 반사된 액적이 합쳐지는 현상이 연출된다. 이러한 연출은 사용자에게 레인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800)는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1860)를 구성하는 사이드월의 일부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 2 어퍼분사구(413')를 커버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1860)는 정단면으로 볼 때, 좌우 비대칭을 형성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쉴드(890)의 상관관계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 및 쉴드(1890)의 상관관계는 역시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 및 제 2 어퍼분사구(413')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을 커버하는 쉴드(1890)가 제 1 어퍼분사구(412)에 배치된 쉴드(89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를 커버하는 사이드월(1863)이 제 1 어퍼분사구(412)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월(863) 보다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어퍼분사구(412)의 외측에 배치된 쉴드(890)보다 상기 제 2 어퍼분사구(413') 외측에 배치된 쉴드(1890)가 더 하측에 배치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0 : 수조 400 : 워터링유닛
100 : 에어클린장치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25 : 수조삽입공간
130 : 로어바디 140 : 어퍼이너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170 : 에어가이드 200 : 에어워시장치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412 : 제 1 어퍼분사구 413 : 제 2 어퍼분사구
800 : 워터링하우징어셈블리 820 : 제 1 워터링하우징
840 : 제 2 워터링하우징 860 : 워터링하우징커버
890 : 쉴드 892 : 쉴드부
894 : 비산부

Claims (16)

  1. 상측개구부 및 하측개구부가 형성된 워터링하우징;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는 제 1 어퍼분사구;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을 관통하는 제 2 어퍼분사구;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측면을 폐쇄하는 워터링하우징커버;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외측면과 이격된 쉴드;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 또는 제 2 어퍼분사구 중 어느 하나 보다 낮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는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낮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퍼분사구 및 제 2 어퍼분사구는 같은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낮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하우징커버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탑월; 상기 탑월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을 감싸는 사이드월;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사이드월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가습청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은 상기 제 2 어퍼분사구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를 커버하고, 상기 사이드월 및 제 2 어퍼분사구는 소정간격 이격된 가습청정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의 높이와 같거나 높고, 상기 제 2 어퍼분사구 보다 낮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월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월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이너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상단은 상기 이너리브 및 사이드월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는 상기 이너리브의 하단 및 상기 쉴드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외측면과 이격된 쉴드부;
    상기 쉴드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부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사이드월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산부는 상기 쉴드부의 하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가습청정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산부는 상기 제 2 어퍼분사구보다 하측에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산부는 상기 제 1 어퍼분사구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외측면과 상기 비산부는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가습청정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내측면은 하측 방향 및 및 회전축 방향으로 개구된 가습청정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내측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한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KR1020190162756A 2019-12-09 2019-12-09 가습청정장치 KR20210072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56A KR20210072440A (ko) 2019-12-09 2019-12-09 가습청정장치
US17/113,283 US11815288B2 (en) 2019-12-09 2020-12-07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CN202011441533.5A CN113028543B (zh) 2019-12-09 2020-12-08 加湿净化装置
EP20212412.9A EP3835678A1 (en) 2019-12-09 2020-12-08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56A KR20210072440A (ko) 2019-12-09 2019-12-09 가습청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40A true KR20210072440A (ko) 2021-06-17

Family

ID=7374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756A KR20210072440A (ko) 2019-12-09 2019-12-09 가습청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15288B2 (ko)
EP (1) EP3835678A1 (ko)
KR (1) KR20210072440A (ko)
CN (1) CN1130285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8856A (zh) * 2019-01-31 2019-05-17 青岛理工大学 一种微量润滑磨削加工过程油雾回收、分离与净化装置
USD936821S1 (en) * 2020-03-16 2021-11-23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Suction hood
CN216844967U (zh) * 2021-11-02 2022-06-28 深圳秒新科技有限公司 加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233A (ko)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4912A (en) * 1933-05-03 1935-03-1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otor driven humidifier
US2354466A (en) * 1942-12-02 1944-07-25 Levinsen Claus Ventilator
US3283478A (en) 1964-06-24 1966-11-08 Kaz Mfg Co Inc Humidifier
US4050663A (en) * 1976-03-05 1977-09-27 Modesett Engineering & Mfg. Mounting bracket
US7073782B2 (en) * 2004-01-09 2006-07-11 Jcs/Thg, Llc Humidifier
US7284736B2 (en) * 2004-08-02 2007-10-23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Mounting bracket
US20060163754A1 (en) * 2005-01-26 2006-07-27 Stephen Barthelson Humidifier
US20090270024A1 (en) * 2008-04-25 2009-10-29 Buck Reid J Water-excluding air vent
US8357031B2 (en) * 2008-09-29 2013-01-22 Dinicolas Michael Outdoor air conditioner cover assembly
KR101003912B1 (ko) * 2009-02-23 2010-12-30 용 준 권 물 분사식 팬 장치에 의한 공기정화기와 그 정화방법
GB2482548A (en) *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CN103565628B (zh) 2012-07-30 2018-09-04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微雾桑拿装置
US20140326794A1 (en) * 2013-01-30 2014-11-06 Adjustavent, Llc Adjustable register vent and grill assembly designed to fit all size standard air distribution boot openings
US20150054181A1 (en) * 2013-08-22 2015-02-26 Sunbeam Products, Inc. Adjustable misting system for a fan
KR102068669B1 (ko) * 2013-10-24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KR102275299B1 (ko) 2014-09-03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워셔
KR102319836B1 (ko) * 2014-12-16 2021-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간 통신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201939A1 (en) * 2015-01-09 2016-07-14 Kenneth John Jonas Offset louver grille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1804436B1 (ko) * 2015-10-26 2017-12-04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을 이용한 부유식 가습기
JP7069009B2 (ja) 2015-10-30 2022-05-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加湿清浄装置
EP3163191B1 (en) * 2015-10-30 2020-12-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359204B2 (en) * 2015-10-30 2019-07-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800405A1 (en) * 2015-10-30 2021-04-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203B1 (en) * 2015-10-30 2020-12-02 LG Electronics Inc. Air freshener
CN205593106U (zh) 2016-02-26 2016-09-21 成都众孚理想科技有限公司 一种旋喷式智能加湿器
KR102527658B1 (ko) * 2016-03-02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80127418A (ko) * 2016-03-24 2018-11-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Rfid 판독기를 갖는 실내 공기 정화기
US11384956B2 (en) * 2017-05-22 2022-07-12 Sharkninja Operating Llc Modular fan assembly with articulating nozzle
CN108744814A (zh) 2017-05-29 2018-11-06 株式会社Nb医疗器 烟雾过滤式空气净化器
GB2568979A (en) * 2017-12-01 2019-06-0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N109210662B (zh) 2018-08-09 2020-11-17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加湿装置
CN109539428A (zh) * 2018-12-24 2019-03-29 张健 空气净化器
USD890905S1 (en) * 2019-03-01 2020-07-21 Guardian Technologies Llc Air purifier
CN110410980B (zh) 2019-07-31 2021-04-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233A (ko)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028543A (zh) 2021-06-25
US11815288B2 (en) 2023-11-14
CN113028543B (zh) 2023-05-16
EP3835678A1 (en) 2021-06-16
US20210172627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631B1 (ko) 가습청정장치
EP317917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91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EP316319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JP7408718B2 (ja) 加湿清浄装置
CN113028543B (zh) 加湿净化装置
US10072858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51325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385460B1 (ko) 가습청정장치
EP3163196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42524B1 (ko) 가습청정장치
EP3163205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92180B1 (ko) 가습청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