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089A -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089A
KR20210072089A KR1020217014416A KR20217014416A KR20210072089A KR 20210072089 A KR20210072089 A KR 20210072089A KR 1020217014416 A KR1020217014416 A KR 1020217014416A KR 20217014416 A KR20217014416 A KR 20217014416A KR 20210072089 A KR20210072089 A KR 20210072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ve cooler
airflow
deflector
water flow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비챌 아그라월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 크리에이츠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 크리에이츠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제이에스 크리에이츠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7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6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both counter-current and cross-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4Distributing or accumulator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1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feeding gas or vapour
    • F28F25/12Ducts; Guide vanes, e.g. for carrying currents to distinct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수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냉각 장치는 그를 통해 수류를 냉각하도록 된 제1 증발 냉각기, 그를 통해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수류를 수용하고 냉각하도록 된 제2 증발 냉각기로서, 제2 증발 냉각기가 그를 통해 기류를 수용하여 그를 통해 수류를 냉각하도록 되고, 제1 증발 냉각기가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그를 통해 기류를 수용하여 그를 통해 수류를 냉각하도록 된, 제2 증발 냉각기, 및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편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가 그를 통하게 허용하도록 된 편향기를 포함한다. 또한 수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17일자로 출원된 싱가포르 특허 출원 제10201809128Q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수류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수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냉각 장치, 예를 들어 냉각탑은 빌딩에서 사용되는 물을 냉각하기 위해 빌딩에 사용되어, 예를 들어 에어-컨디셔닝에 사용된다. 종래의 교류 냉각 장치에서, 물은 내장재(infill)를 통해 수직으로 아래로 흐르면서 건조 분위기 공기가 내장재를 통해 수평으로 통과함으로써 수류를 가로지르고, 따라서 교류 냉각 장치를 가로지른다. 그러나, 이러한 교류 냉각 장치는 비교적 낮은 열 효과성 및 효율을 갖는다. 기류가 수류와 교차함에 따라, 공기는 수증기로 포화되어, 차례로 내장재를 통해 물을 냉각시킨다. 그러나, 그 상단부를 통한 내장재를 빠져나오는 공기는, 내장재로 들어가는 더 높은 온도의 물로 인해 가열되는 한편, 그 하단부에서 내장재를 빠져나오는 공기는 물이 내장재를 통해 떨어짐에 따라 열 손실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낮다. 따라서, 상기 내장재의 하단부는 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그 후, 공기는 냉각 장치의 최상단부의 배기 팬에 의해 배기된다. 빠져나온 공기는 고온 포화 기류와 저온 포화 기류의 혼합물이다. 이러한 혼합물은 종래의 냉각 장치의 열 효과성을 제한한다.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향류 냉각탑이 설계된다. 이러한 제한은 해결되지만, 이와 같은 냉각탑에 대한 기류 저항이 매우 높아서, 냉각 장치를 통한 기류의 양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기류의 수분 전달 용량이 감소되어 냉각 장치의 열 효과성을 다시 제한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냉각 장치의 열 효과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냉각 장치는 수류를 통과시켜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1 증발 냉각기,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상기 수류를 수용하고 통과시켜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2 증발 냉각기로서, 제2 증발 냉각기가 기류를 수용하여 통과시켜 상기 수류를 냉각하도록 구성되고, 제1 증발 냉각기가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상기 기류를 수용하여 통과시켜 상기 수류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2 증발 냉각기, 및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편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편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편향기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 뒤의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편향기는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측면 상에서 제2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지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통과하는 상기 기류가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편향기는 기류가 통하게 허용하도록 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층 및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overhang)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버행은 복수의 개구부로부터의 기류가 그 사이를 흐르게 허용하고 수류가 복수의 개구부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수류를 제2 증발 냉각기 내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편향기는 복수의 중첩 패널 및 그 사이에 복수의 갭을 포함하는 루버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시,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의 수류가 복수의 중첩 패널 상으로 흐르고 제2 증발 냉각기 내로 지향되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의 기류가 복수의 갭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베이스 층은 기류가 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베이스 층이 수류를 수용하고 제2 증발 냉각기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최상층은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을 가지며 복수의 오버행 각각이 수류를 수용하고 베이스 층으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베이스 층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채널은 수류를 제2 증발 냉각기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오버행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냉각 장치는, 서로 이격되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가이드는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편향기로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증발 냉각기는 제2 증발 냉각기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냉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를 통해 기류를 수용하여 제1 증발 냉각기를 통해 수류를 냉각하는 단계, 제2 증발 냉각기를 통해 기류를 수용하여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의 수류를 제2 증발 냉각기를 통해 냉각하는 단계,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편향시키고 편향기에 의해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채널링하고, 편향기를 통해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편향기의 제1 측면 상에서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지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의 기류를 편향기의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 흐르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기류가 베이스 층의 복수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허용하고, 기류가 복수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허용하여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 사이로 흐르게 하고 복수의 개구부 내로 수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증발 냉각기 내로 수류를 지향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수류를 수용하고 제2 증발 냉각기로 채널링하기 위한 베이스 층의 복수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기류를 허용하고,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을 포함하는 최상층을 경유하여 수류를 수용하고 베이스 층으로 채널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냉각 방법은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안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냉각 방법은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편향기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안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수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수류를 냉각하도록 된 냉각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편향기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기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편향기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기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기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냉각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참조할 것이며, 상기 도면에서 동일한 특징부는 같은 부호로 지정된다.
도 1은 수류(1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10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냉각 장치(100)는 수류(10)를 통과시켜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1 증발 냉각기(110),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수류(10)를 수용하고 통과시켜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2 증발 냉각기(120)를 포함한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그를 통해 기류(20)를 수용하여 그를 통해 수류(10)를 냉각하고,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기류(20)를 수용하여 통과시켜 수류(10)를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냉각 장치(100)는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120)로 수류(10)를 편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110)로 기류(20)가 그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편향기(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100)의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수류(10)가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냉각된 기류(20)에 의해 증발 냉각될 수 있도록 냉각 장치(100)로 들어가는 수류(10)에 열 장벽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의 냉각된 수류(10)는 제2 증발 냉각기(120)로 지향되어 추가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가열된 수류가 챔버 및 내장재로 들어가는 종래의 냉각탑에 비해, 냉각 장치(100)의 열 효과성 및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또한, 제2 증발 냉각기(120)에 의해 추가로 냉각된 수류(10)는 냉각 장치(100)로 들어가는 기류(20)를, 교류 내장재를 통해 종래의 냉각탑으로 들어가는 기류 온도와 비교해, 더 낮은 온도로 추가로 냉각시킨다. 따라서,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의 냉각기 기류(20)는 제1 증발 냉각기(110)로 지향되어 제1 증발 냉각기(110)로 들어가는 수류(10)를 추가로 냉각시킬 수 있다. 명백히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장치(100)의 냉각 효과성 및 효율은 종래의 냉각탑 보다 더 좋고 더 높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장치(100)는 상부 섹션(140T), 중앙 섹션(140C) 및 하부 섹션(140B)을 갖는 챔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상부 섹션(140T)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증발 냉각기(120)는 하부 섹션(140B)에 배치될 수 있어 제1 증발 냉각기(110)가 제2 증발 냉각기(120)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편향기(130)는 제1 증발 냉각기(110)와 제2 증발 냉각기(120) 사이의 중앙 섹션(140C)에 배치될 수 있다. 수류(10)의 관점에서, 제1 증발 냉각기(110)는 편향기(130)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제2 증발 냉각기(120)는 그 하류에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 장치(100)는 상부 섹션(140T)에서 물 입구(142) 및 하부 섹션(140B)에서 물 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어, 수류(10)가 상부 섹션(140T)에서 챔버(140)로 들어가고 하부 섹션(140B)에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냉각 장치(100)는 물 입구(142)에 연결되며 챔버(140)를 가로질러 수평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노즐(142N)을 포함하여 수류를 챔버(140)의 폭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다. 냉각 장치(100)는 챔버(140)의 하부 섹션(140B)에서 공기 입구(146) 및 상부 섹션(140T)에서 공기 출구(148)를 포함할 수 있어, 기류(20)가 하부 섹션(140B)에서 공기 입구(146)를 통해 챔버(140)로 들어가고 상부 섹션(140T)에서 공기 출구(148)를 통해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냉각 장치(100)는 하나 초과의 공기 입구(146) 및 하나 초과의 물 출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수류(10)를 수용하기 위해 하류측에 또는 물 입구(142)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챔버(140)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수류(10)가 제2 증발 냉각기(120)로 지향되기 전에 그것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수류(10)를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노즐(142N)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 장치(100)는 상부에서 챔버(140)로부터 기류(20)를 빼내도록 공기 출구(148)를 가로질러 배치된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50)은 복수의 노즐(142N)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는 팬(15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공기 입구(146)에 연결되어 기류(20)가 챔버(140)로 들어갈 때 그를 통하게 허용할 수 있고, 물 출구(144)에 연결되어 수류(10)가 챔버(140)를 빠져나갈 때 그를 통하게 허용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공기 입구(146)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챔버(140)로 들어가는 기류(20)를 수용할 수 있고, 물 출구(144)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수류(10)가 챔버(140) 밖으로 나오게 허용할 수 있다. 챔버(140)를 빠져나가는 수류(10)는 챔버(14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물 팬(152)에서 수집될 수 있다. 물 팬(152)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건물의 응축기(condenser)에 사용되도록 수집된 냉각된 물을 채널링하기 위한 물 채널(154)을 포함할 수 있다. 수류(10)는 물 팬(152) 없이 물 출구(144)로부터 직접 채널링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종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10)는 제2 증발 냉각기(120)를 통해 종방향으로 흐를 수 있고, 기류(20)는 제2 증발 냉각기(120)를 통해 측방향으로 흐를 수 있어 교류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하나 이상의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증발 냉각기(120)는 챔버(14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2개의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챔버(140)를 둘러싸도록 챔버(14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1의 냉각 장치(100)는 제2 증발 냉각기(120) 위에 배치된 제1 증발 냉각기(110)와 같이 수직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증발 냉각기(110) 및 제2 증발 냉각기(120)가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의 수류(10)가 제2 증발 냉각기(120) 내로 펌핑될 수 있고 기류(20)가 제1 증발 냉각기(110)와 제2 증발 냉각기(120) 모두를 가로질러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냉각 장치(100)가 수평 구성으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수류(10)를 냉각시키도록 된 냉각 방법(2000)의 흐름도이다. 방법(2000)은 블록(2100)에서의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110)를 통해 기류(20)를 수용하여 제1 증발 냉각기(110)를 통해 수류(10)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2000)은 블록(2200)에서의 제2 증발 냉각기(120)를 통해 기류(20)를 수용하여 제2 증발 냉각기(120)를 통해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수류(10)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2000)은 블록(2300)에서의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110)로 수류(10)를 편향시키고 편향기(130)에 의해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110)로 기류(20)를 허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증발 냉각기(110)는 복수의 노즐(142N)로부터 수류(10)가 그를 통해 아래로 흐르게 하고 편향기(130)로부터 기류(20)가 그를 통해 위로 흐르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증발 냉각기(110)는 수류(10)와 기류(20) 사이의 향류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류(10)는 기류(20)가 그것을 통과함에 따라 증발 냉각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수류(10)가 그를 통해 아래로 흐르고 기류(20)가 그를 통해 가로질러 흐르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증발 냉각기(120)는 수류(10)와 기류(20) 사이의 교류를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류(10)는 기류(20)가 그것을 통과함에 따라 증발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 장치(100)는 2단 교류-향류 냉각 장치(100)일 수 있다.
냉각 장치(100)가 작동 중일 때, 열원, 예를 들어 빌딩의 응축기로부터 올 수 있는, 수류(10)는 비교적 높은 온도를 가지며, 냉각 장치(100)의 챔버(140) 내로 채널링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110)는 그를 통해 "가열된" 수류(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이 복수의 노즐(142N)로부터 분사됨에 따라, 물은 제1 증발 냉각기(110)의 상부 면으로부터 들어가서 그 바닥 면으로부터 배출된다. 동시에, 제2 증발 냉각기(120)는 주위 공기로부터 기류(20)를 그를 통해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의 기류(20)가 제1 증발 냉각기(110)의 바닥 면으로부터 흘러 그 상부 면을 빠져나갈 때, 기류(20)는 그를 통해 수류(10)를, 즉 향류로 증발 냉각시킨다. 하향 수류(10)는 상향 기류(20)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를 통해 수류(10)를 냉각시킨다. 제1 증발 냉각기(110)를 빠져나가는 수류(10)의 온도는 제1 증발 냉각기(110)로 들어가는 "가열된" 수류(10)의 온도보다 더 냉각된다. 차례로, 기류(20)는 거의 유입 수류(10)의 온도로 가열되고 수증기로 포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증발 냉각기(110)의 열 냉각 용량이 최대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증발 냉각기(110)를 빠져나오는 온도는 그 전체에 걸쳐 균일하며, 제1 증발 냉각기(110)의 상부 면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류(20)의 온도는 그 전체에 걸쳐 균일하다.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의 수류(10)는 편향기(130)에 의해 제2 증발 냉각기(120) 내로 편향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120)는 그를 통해 수류(10)를 수용하고 기류(20)가 그를 통해 흐를 때, 수류(10)는 기류(20), 예컨대 교류(cross-flow)에 의해 증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증발 냉각기(120)를 빠져나오는 수류(10)의 온도는 제2 증발 냉각기(120)로 들어가는 온도보다 더 냉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류(20)는 수류(10)로부터 열 및 수분을 픽업한다. 후속하여 제2 증발 냉각기(120)를 통해 챔버(140)로 들어가는 기류(20)는 "냉각된" 제2 증발 냉각기(120)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냉각된 기류(20)는 편향기(130) 및 제1 증발 냉각기(110)를 통하게 지향되어 수류를 제1 증발 냉각기(110)를 통해 추가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류(10)는 그를 통해 기류(20)를 냉각시키는 제2 증발 냉각기(120)로 들어가기 전에 냉각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냉각 사이클은 냉각 장치(100)의 열 효율 및 열 교화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편향기(130)는 제1 측면(130F) 및 제1 측면(130F) 뒤의 제2 측면(130S)을 포함할 수 있다. 편향기(130)는 수류(10)를 제1 측면(130F) 상에서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120)로 지향시키고, 기류(20)를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110)로 제2 측면(130S)으로부터 제1 측면(130F)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향기(130)의 디자인에 기인하여, 수류(10)는 제1 측면(130F)으로부터 제2 측면(130S)으로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의 수류(10)는 제2 증발 냉각기(120) 내로 지향되며 제2 측면(130S) 내로, 예를 들어 물 팬(152) 내로 새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먼저 제2 증발 냉각기(120)에 의해 냉각되지 않고 그 안에 냉각된 물과 혼합될 수 있다. 편향기(130)는 또한 수류(10)와 기류(20)를 분리하는 효과를 달성하여,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빠져나오는 수류(10)가 제2 증발 냉각기(120)의 상부로 지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편향기(130)는 기류(20)가 그를 통하게 허용하도록 된 복수의 개구부(130P)를 갖는 베이스 층(130B) 및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13OP)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130V)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130V)은 복수의 개구부(130P)로부터의 기류(20)가 그 사이로 흐르게 하고 수류(10)를 복수의 개구부(130P)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120) 내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편향기(130)는 복수의 중첩 패널(132P) 및 그 사이에 복수의 갭(132G)을 갖는 루버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시, 제1 증발 냉각기(110)로부터 수류(10)가 복수의 중첩 패널(132P) 상으로 흐르고 제2 증발 냉각기(120) 내로 지향되고, 제2 증발 냉각기(120)로부터 기류(20)가 복수의 갭(132G)을 통해 흐른다.
도 3a는 편향기(33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도 3b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편향기(330)는 기류(20)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33OP)를 갖는 베이스 층(330B)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층(330B)은 또한 수류(10)를 수용하고 제2 증발 냉각기(320)(도 3a에 도시되지 않음)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향기(330)는 또한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330P)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330V)을 갖는 최상층(330T)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330V) 각각은 수류(10)를 수용하고 베이스 층(330B)으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층(330B)은 덮개를 씌운 트레이일 수 있고, 복수의 개구부(330P)는 기류(20)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 구멍일 수 있다. 베이스 층(330B)은 제2 증발 냉각기(320)와 유체 연통되어 그 안에 수집된 수류(10)가 제2 증발 냉각기(320)로 채널링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330V) 각각은 베이스 층(330B)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330V) 각각은 개구부(330P) 위로 나와 있는 넓은 상부(330W) 및 베이스 층(330B)과 연결된 좁은 저부(330B)를 갖는 깔때기(330L)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330V) 각각은 베이스 층(330B)과 유체 연통되어 그 안으로 흐르는 수류(10)가 베이스 층(330B) 내로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이는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320)로 지향시킬 수 있다. 최상층(330T)은 복수의 오버행(330V)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 각각은 베이스 층(330B)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오버행(330V)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 각각은 수류(10)를 수용하고 베이스 층(330B)으로 채널링하도록 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 각각은 복수의 오버행(330V)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도 3b에 도시됨) 위로 나와 있는 넓은 상부(330W) 및 베이스 층(330B)에 연결된 저부(330B)를 갖는 깔때기(330L)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 각각은 베이스 층(330B)과 유체 연통되어 그 안으로 흐르는 수류(10)가 베이스 층(330B) 내로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이는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320)로 지향시킬 수 있다. 베이스 층(330B)은 그 안의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320)로 활용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기(33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버행(330V)은 서로 간에 복수의 공간(330S)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330P)로부터의 기류(20)는 복수의 공간(330S)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은 수류(10)가 복수의 공간(330S)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공간(330S) 위로 나와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은 서로 간에 복수의 제2 공간(330S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증발 냉각기(310)로부터의 수류(10)는 복수의 제2 오버행(330V2) 내로 흘러 베이스 층(330B) 및 복수의 제2 공간(330S2) 내로 지향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공간(330S2)을 통해 흐르는 수류(10) 중 일부는 복수의 오버행(330V)에 의해 수용되어 베이스 층(330B) 내로 지향될 수 있다. 복수의 공간(330S)로부터의 기류(20)는 복수의 제2 공간(330S2)을 통해 제1 증발 냉각기(310)(도 3b에 도시되지 않음)로 흐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330)는 수류(10)가 그를 통하게 허용하지 않으면서 수류(10)를 제1 증발 냉각기(310)(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320)(도 3a에 도시되지 않음)로 지향시키고 기류(20)가 제2 증발 냉각기(3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310)로 그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복수의 오버행(330V) 및 복수의 제2 오버행(320V2)이 원형 상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사각형, 팔각형 등과 같은 다른 상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330)의 상면도로부터, 편향기(330)는 제1 증발 냉각기(310)로부터의 수류(10)에 대해 완전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고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310)로 지향시킬 수 있다. 동시에, 편향기(330)는 제2 증발 냉각기(320)로부터의 기류(20)가 통과하여 제1 증발 냉각기(310)로 가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4a는 편향기(43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4b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편향기(430)는 기류(20)가 그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된 복수의 개구부(430P)를 갖는 베이스 층(430B) 및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430P)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430V)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430V)은 복수의 개구부(430P)로부터의 기류(20)가 그 사이로 흐르고 수류(10)가 복수의 개구부(430P)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버행(430V)은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420)(도 4a에 도시되지 않음) 내로 지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층(430B)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개구부(430P)를 형성하는 복수의 하부 채널(430CB)을 포함할 수 있어서, 복수의 하부 채널(430CB)이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420)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행(430V)은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420)로 지향시키도록 된 복수의 상부 채널(430CT)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채널(430CT)은 그 사이에 복수의 공간(430S)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채널(430CT)은 복수의 개구부(430P) 위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하부 채널(430CB)과 중첩되어 복수의 공간(430S)을 통해 흐르는 수류(10)가 복수의 하부 채널(430CB)에 의해 수용되어 제2 증발 냉각기(420)로 확실히 지향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증발 냉각기(420)로부터의 기류(20)는 복수의 개구부(430P) 및 복수의 공간(430S)을 통과해 제1 증발 냉각기(410)로 갈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기(43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부 채널(430CB)은 그 사이에 복수의 개구부(430P)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상부 채널(430CT)은 복수의 개구부(430P) 위에 배치되어 복수의 하부 채널(430CB)과 중첩하여 복수의 공간(430S)을 통해 흐르는 수류(10)가 복수의 개구부(430P)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향기(430)는 복수의 베이스 층(430B) 및 복수의 오버행(430V)과 유체 연통하는 측면 채널(430D)을 포함할 수 있어서, 측면 채널(430D)은 베이스 층(430B) 및 복수의 오버행(430V)으로부터 수류(10)를 수용하고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420)(도 4b에 도시되지 않음)로 지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기(430)의 상면도로부터, 편향기(430)는 제1 증발 냉각기(410)로부터의 수류(10)에 대해 완전한 장벽을 제공할 수 있고, 수류(10)를 제2 증발 냉각기(410)로 지향시킬 수 있다. 동시에, 편향기(430)는 제2 증발 냉각기(420)로부터의 기류(20)가 제1 증발 냉각기(410)를 통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향기(43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부 채널(430CT)은 복수의 하부 채널(430CB)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채널(430CT) 및 복수의 하부 채널(430CB) 모두는 수류(10)를 측면 채널(430D)로 지향시키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채널(430CT) 및 복수의 하부 채널(430CB) 모두는 채널들의 세트를 형성할 수 있고, 편향기(430)에는 서로 위에 배치된 한 세트 초과의 채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채널들의 세트는 지그재그 구성을 형성하도록 교대로 경사질 수 있다.
도 5는 냉각 장치(500)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냉각 장치(500)는 도 1의 냉각 장치(100)에 설명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장치(500)는 서로 이격되고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510)로 기류(20)를 안내하도록 된 복수의 가이드(5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560)는 기류(20)를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편향기(530)로 지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평행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520)는 복수의 부분, 예를 들어 상부 부분(520T), 하부 부분(520B) 및 상부 부분(520T)과 하부 부분(520B) 사이의 중간 부분(520M)으로 구획될 수 있다. 수류(10)가 상부 부분(520T)으로부터 하부 부분(520B)으로 제2 증발 냉각기(520)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수류(10)는 하향 유동함에 따라 기류(20)에 의해 냉각된다. 그 결과, 수류(10)는 제2 증발 냉각기(520) 아래로 흘러내려감에 따라 추가로 냉각된다. 제2 증발 냉각기(520)의 상부(520T)에서의 수류(10)는 냉각 효과 다운스트림으로 인해 제2 증발 냉각기(520)의 하부 부분(520B)에서의 수류(10)보다 더 높은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수류(10)의 온도, 결과적으로 제2 증발 냉각기(520)의 하부 부분(520B)에서의 온도는 상부 부분(520T)에서의 온도보다 더 냉각된다. 제2 증발 냉각기(520)를 빠져나오는 기류(20)는 포화되고, 동시에 제2 증발 냉각기(520)의 상부 부분(520T)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류(20)의 온도는 결과적으로 수류(10)의 온도로 인해 제2 증발 냉각기(520)의 하부 부분(520B)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류(20)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증발 냉각기(520)의 길이 방향, 즉 수직 방향을 따라 온도 구배가 있어서, 그를 통과하는 기류(20) 및 수류(10)의 온도는 제2 증발 냉각기(520)의 상부 부분(520T)으로부터 그 하부 부분(520B)으로 갈수록 서서히 감소한다. 또한, 제1 증발 냉각기(510)를 빠져나오는 수류(10)의 온도는 제2 증발 냉각기(520)로 들어가는 수류(10)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류(10)가 제1 증발 냉각기(510)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520)로 하향 유동함에 따라, 수류(10)는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기류(20)에 의해 증발 냉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증발 냉각기(520)로 들어가는 수류(10)의 온도는 제1 증발 냉각기(510)를 빠져나가는 수류(10)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류(20)의 온도 구배로 인해, 제1 증발 냉각기(510)로 들어가는 기류(20)의 평균 온도는 물과 공기의 외부 조건, 즉 응축기로부터 냉각 장치(500)로 들어가는 물의 온도, 및 주위 공기의 온도와 습도에 관계없이, 제1 증발 냉각기(510)를 빠져나오는 수류(10)의 온도보다 항상 낮다.
제1 증발 냉각기(510)는 또한 복수의 부분, 예를 들어 좌측 부분(510L), 우측 부분(510R), 및 좌측 부분(510L)과 우측 부분(510R) 사이의 중앙 부분(510C)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560)는 제2 증발 냉각기(520)의 한 부분으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510)의 한 부분으로 기류(20)를 안내하도록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이드(560)는 제2 증발 냉각기(520)의 상부 부분(520T)으로부터 좌측 부분(510L) 및 우측 부분(510R) 중 하나로 기류(20)를 안내하도록 될 수 있고,하부 부분(520B)으로부터 중앙 부분(510C)으로 기류(20)를 안내하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부분(520T)에서 가장 따뜻하고 하부 부분(520B)에서 가장 차가운 온도와 같은 다양한 온도를 갖는 제2 증발 냉각기(520)의 복수의 부분으로부터의 기류(20)는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510)로 흐르기 때문에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560)는 기류(20)를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편향기(530)로 안내하기 위해 제2 증발 냉각기(520)와 편향기(53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하부 가이드(56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560)는 기류(20)를 편향기(53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510)로 안내하기 위해 편향기(530)와 제1 증발 냉각기(51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상부 가이드(560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의 일부의 기류(20)가 복수의 하부 가이드(560B)에 의해 편향기(530)로 안내되고 편향기(530)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동일 부분의 기류(20)가 복수의 상부 가이드(560T)에 의해 편향기(530)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510)의 각자의 부분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증발 냉각기(520)의 좌측과 우측의 상부 부분(520T)에서의 일부의 기류(20)는 제1 증발 냉각기(510)의 좌측 부분(510L)과 우측 부분(510R)으로 지향될 수 있다. 제2 증발 냉각기(520)의 좌측와 우측의 하부 부분(520B)에서의 일부의 기류(20)는 제1 증발 냉각기(510)의 중앙 부분(510C)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류(20)는 최소의 간섭으로 즉 기류(20)와 수류(10) 사이의 수류 및 기류(20)의 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제1 증발 냉각기(510)로 지향될 수 있다.
냉각 장치(500)는 안정된 피드백 냉각 루프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 예를 들어 응축기로부터의 물이 물 입구(542)를 통해 냉각 장치(500)로 들어갈 때, 수류(10)는 복수의 노즐(542N)을 사용하여 제1 증발 냉각기(510) 상에 분사된다. 수류(10)가 제1 증발 냉각기(510)를 통해 흐를 때, 제1 증발 냉각기(510)를 빠져나오기 전에 향류 기류(20)에 의해 냉각된다. 제1 증발 냉각기(510)를 통해 특히 그의 하부 측면에서 냉각 효과가 발생되어, 제1 증발 냉각기(510)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수류(10)의 온도를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제2 증발 냉각기(520)로 들어가는 수류(10)의 온도는 제1 증발 냉각기(510)가 없는 냉각 장치(500)에 비해 내려간다. 차례로, 제2 증발 냉각기(520) 내의 수류(10)와 기류(20) 사이의 교류의 냉각 효과로 인해, 바닥 부분(520B)에서 제2 증발 냉각기(520)를 빠져나오는 수류(10)의 온도가 추가로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빠져나오는 기류(20)의 온도는 제2 증발 냉각기(520)로 들어가는 수류(10)와 비교해 훨씬 더 낮다. 제1 증발 냉각기(510) 및 제2 증발 냉각기(520)에 의한 냉각 효과의 결과로서 제2 증발 냉각기(520) 내의 수류(10)의 낮아진 온도에 기인하여, 제2 증발 냉각기(520)로의 유입 기류(20), 즉 주위 공기는 종래의 냉각탑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증발 냉각기(520)로부터 빠져나오는 냉각된 기류(20)는 제1 증발 냉각기(510)에서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증발 냉각기(510) 내로 채널링될 수 있다. 냉각된 기류(20)는 제1 증발 냉각기(510)에서 추가로 증발 냉각될 수 있고, 동시에 냉각된 제1 증발 냉각기(510)로 인해, 그를 통과하는 수류(10)는 제2 증발 냉각기(520) 내로 다시 지향되기 전에 더 냉각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드백 냉각 루프는 냉각 장치(500)의 열 효과성을 향상시키고 종래의 교류 냉각탑과 비교하여 더 차가운 수류(10)를 생성한다. 또한, 본 냉각 장치(500)는 종래의 향류 냉각탑과 비교하여 더 낮은 공기 유동 저항을 생성한다.
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장치(500)는 종래의 교류 냉각탑보다 더 높은 열 효율을 갖는다. 상기 제시한 바와 같이, 피드백 냉각 루프는 제2 증발 냉각기(520)에서의 냉각 효과의 효과성을 증가시킨다. 개선된 냉각 효율로 인해, 본 발명의 냉각 장치(500)에 사용되는 물리 및 작동 파라미터의 일부는 종래의 냉각탑과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증발 냉각기(520)의 폭은 종래의 냉각탑에서 사용되는 교류 내장재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냉각 장치(500)에 대한 팬(550)의 전기 소모는 종래의 냉각탑보다 낮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부 동력 배기팬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냉각 장치(500)는 추가적인 전력 소비를 요구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추가적인 펌프가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력 소비가 절감될 것이다. 물리적 파라미터의 크기, 예를 들어 팬(550) 및 제1 증발 냉각기(510)의 크기는 감소되고, 냉각 장치(500)의 크기는 동일한 냉각 효율의 종래의 냉각탑보다 작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냉각 장치(500)는 보다 컴팩트하고 종래의 냉각탑보다 더 작은 풋프린트를 갖는다. 이와 같이, 동일한 공간에 대해, 더 많은 냉각 장치(50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부품 비용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이는 더 작은 팬(550) 및 증발 냉각기(510, 520)를 구매 또는 교체하는 데 있어 보다 비용 효과적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내용들은 지금 그리고 장기간 비용 절감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당업자라면, 일 예시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그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다른 예들 중 임의의 하나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하거나 그에 도시한,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설명된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16)

  1. 수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로서,
    수류를 통과시켜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1 증발 냉각기,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상기 수류를 수용하고 통과시켜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2 증발 냉각기로서, 제2 증발 냉각기가 기류를 수용하여 통과시켜 상기 수류를 냉각하도록 구성되고, 제1 증발 냉각기가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상기 기류를 수용하여 통과시켜 상기 수류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제2 증발 냉각기, 및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상기 수류를 편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상기 기류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편향기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는 제1 측면 및 제1 측면 뒤의 제2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편향기는 상기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수류를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지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통과하는 상기 기류가 상기 제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는 상기 기류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층 및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overhang)을 포함하며, 복수의 오버행은 복수의 개구부로부터의 상기 기류가 그 사이를 흐르게 허용하고 상기 수류가 복수의 개구부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류를 제2 증발 냉각기 내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는 복수의 중첩 패널 및 그 사이에 복수의 갭을 포함하는 루버 패널을 포함하며, 작동시,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의 상기 수류가 상기 복수의 중첩 패널 상으로 흐르고 제2 증발 냉각기 내로 지향되며,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의 상기 기류가 상기 복수의 갭을 통해 흐르는, 냉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기류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층이 상기 수류를 수용하고 제2 증발 냉각기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되고, 최상층은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을 포함하며 복수의 오버행 각각이 상기 수류를 수용하고 베이스 층으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은 상기 수류를 제2 증발 냉각기로 채널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오버행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냉각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냉각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이드는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편향기로 상기 기류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냉각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증발 냉각기는 제2 증발 냉각기 위에 배치되는, 냉각 장치.
  10. 수류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냉각 방법으로서,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를 통해 기류를 수용하여 제1 증발 냉각기를 통해 상기 수류를 냉각하는 단계,
    제2 증발 냉각기를 통해 기류를 수용하여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를 통해 상기 수류를 냉각하는 단계,
    편향기에 의해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상기 수류를 편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 수류를 채널링하고, 상기 편향기를 통해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각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제1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2 증발 냉각기로의 수류를 상기 편향기의 제1 측면 상에서 지향시키고,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의 기류를 상기 편향기의 제2 측면으로부터 제1 측면으로 흐르도록 허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각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베이스 층의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류를 허용하고, 상기 복수개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류가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 사이의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기류를 허용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내로 상기 수류를 방지하고, 상기 수류를 제2 증발 냉각기 내로 지향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각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를 편향시키고 기류를 허용하는 단계는, 상기 수류를 수용하고 제2 증발 냉각기로 채널링하기 위한 복수개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기류를 허용하며, 서로 이격되고 복수의 개구부 위로 나와 있는 복수의 오버행을 포함하는 최상층을 통해 상기 수류를 수용하고 베이스 층으로 채널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각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제1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냉각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증발 냉각기로부터 편향기 증발 냉각기로 기류를 가이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냉각 방법.
KR1020217014416A 2018-10-17 2019-10-17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KR20210072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809128Q 2018-10-17
SG10201809128Q 2018-10-17
PCT/SG2019/050514 WO2020081009A1 (en) 2018-10-17 2019-10-17 Cool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ling a water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089A true KR20210072089A (ko) 2021-06-16

Family

ID=7028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416A KR20210072089A (ko) 2018-10-17 2019-10-17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852417B2 (ko)
EP (1) EP3867586A4 (ko)
JP (1) JP2022508805A (ko)
KR (1) KR20210072089A (ko)
CN (1) CN113167538A (ko)
AU (1) AU2019361652A1 (ko)
PH (1) PH12021550866A1 (ko)
SG (1) SG11202103880PA (ko)
WO (1) WO2020081009A1 (ko)
ZA (1) ZA202103026B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739C (ko) * 1917-05-25 1919-10-10
GB571292A (en) * 1943-09-11 1945-08-17 Climator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oling of gases or liquids
US3917764A (en) 1973-01-26 1975-11-04 Peter M Phelps Sloped film fill assembly cooling tower
KR100526758B1 (ko) * 2002-12-06 2005-11-09 서종대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0602452B1 (ko) * 2004-09-06 2006-07-19 서종대 낙수안내 급기구를 갖는 냉각탑
KR100645228B1 (ko) 2005-01-17 2006-11-10 서종대 돌출형 살수챔버를 갖는 직교류냉각탑
US7484718B2 (en) 2006-02-13 2009-02-03 Baltimore Aircoil Company, Inc Cooling tower with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ections
US7887030B2 (en) * 2008-05-19 2011-02-15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Wet/dry cooling tower and method
WO2010110980A1 (en) * 2009-03-03 2010-09-30 Harold Dean Curtis Direct forced draft fluid cooler/cooling tower and liquid collector therefor
KR20110072825A (ko) * 2009-12-23 2011-06-29 안상준 3면 흡입식 냉각탑
CN102192663B (zh) * 2010-03-16 2013-07-24 于向阳 具有无雨区的逆流热质交换装置
CN201909557U (zh) * 2010-12-16 2011-07-27 西安井上人工环境有限公司 管式间接蒸发和直接蒸发制取冷水的装置
US9891001B2 (en) * 2012-03-16 2018-02-13 Evapco, Inc. Hybrid cooler with bifurcated evaporative section
CN106068437B (zh) * 2014-03-13 2018-12-04 施耐德电气It公司 用于间接蒸发冷却器的水收集系统
CN106662405B (zh) * 2014-05-15 2020-07-31 弗里格佛罗伦萨股份公司 组合式对流器
US10775117B2 (en) * 2016-09-30 2020-09-15 Baltimore Aircoil Company Water collection/deflection arrang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8805A (ja) 2022-01-19
AU2019361652A1 (en) 2021-05-27
CN113167538A (zh) 2021-07-23
SG11202103880PA (en) 2021-05-28
ZA202103026B (en) 2022-04-28
US11852417B2 (en) 2023-12-26
US20210310740A1 (en) 2021-10-07
WO2020081009A1 (en) 2020-04-23
EP3867586A1 (en) 2021-08-25
EP3867586A4 (en) 2022-07-13
PH12021550866A1 (en)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7054B2 (ja) 熱交換方法及び熱交換装置
KR20110047622A (ko) 백연방지 냉각탑
KR20110047623A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냉각탑
JP6700192B2 (ja) サーバ室冷却装置
KR20120093318A (ko)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JP6324538B2 (ja) サーバ室冷却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データセンターの空調システムの製造方法
KR101121174B1 (ko) 향류형 냉각탑
KR20080077543A (ko) 기계 통풍형 직통식 및 우회식 냉각탑
JPS5810676B2 (ja) ガスジヨウブツシツニヨルエキタイバイタイノレイキヤク オヨビ ジヨウキジヨウバイタイノギヨウシユクノタメノソウチ
KR100472312B1 (ko) 냉각탑용 충전재
KR20210072089A (ko)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
PT89785B (pt) Processo para a movimentacao de ar atraves de uma torre de refrigeracao e respectiva torre de refrigeracao de baixo perfil com chapas de carga
KR101672876B1 (ko) 응축기를 이용한 백연감소 냉각탑
US20240102738A1 (en) Cool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ling a Waterflow
KR20160074734A (ko) 건공기 유로를 구비한 백연저감 냉각탑
KR100526758B1 (ko)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0377507B1 (ko)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RU22918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ду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й стороны тонкого элемента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дувки
KR20200051597A (ko) 자유 낙하 시뮬레이터 냉각 시스템
KR100730295B1 (ko) 냉각탑
KR101121173B1 (ko) 열교환용 충진재 및 이를 이용한 백연방지 향류형 냉각탑
KR102350168B1 (ko)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냉각탑
KR101732893B1 (ko) 냉각탑용 백연저감 응축기
CN116294507B (zh) 一种布料烘干系统
KR101580180B1 (ko) 재순환 방지용 챔버를 구비한 냉각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