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542A - 가스퍼니스 - Google Patents

가스퍼니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542A
KR20210071542A KR1020190161842A KR20190161842A KR20210071542A KR 20210071542 A KR20210071542 A KR 20210071542A KR 1020190161842 A KR1020190161842 A KR 1020190161842A KR 20190161842 A KR20190161842 A KR 20190161842A KR 20210071542 A KR20210071542 A KR 2021007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casing
heat exchanger
gas furnac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희
하도용
정용기
김주수
박한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542A/ko
Priority to PCT/KR2020/017499 priority patent/WO2021112570A1/ko
Publication of KR2021007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5Temperature of the heat-generating means in the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42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는 케이싱, 블로워, 버너 및 쿨링가이드를 포함하고, 점화기 및 화염센서가 케이싱의 외부에서 버너에 설치된다. 케이싱은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입구 및 출구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다. 블로워는 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출구로 유동시킨다. 버너는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버너는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점화기 및 화염센서를 구비하여 화염 및 연소가스를 생성한다. 쿨링가이드는 통로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버너로 안내한다.

Description

가스퍼니스{GAS FURNACE}
개시되는 내용은 난방 장치인 가스퍼니스에 관한 것으로, 화염 및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버너가 자체적으로 수행되는 공기유동에 의해 냉각되고 외부에서 부품을 교체하기 수월하게 한 가스퍼니스에 관한 것이다.
가스퍼니스는 겨울 평균 기온이 대략 -20℃인 지역에서 실내를 난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난방장치이다. 가스퍼니스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공기를 데우고, 데워진 공기로 실내를 난방한다.
북미 SCAQMD(South Coast Air Quality Management District) rule 1111 에 의해 NOX 배출 규제가 40ng/J에서 14ng/J로 강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화염온도 제어가 힘든 인 샷 버너(Inshot Burner) 대신 예혼합 버너(Premixed Burner)를 채택하여 화염온도 제어(Lean-burn)를 통한 Low NOX 배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인 샷 버너가 장착된 가스퍼니스는 화염이 열교환기에 길게 존재하기 때문에 버너박스의 온도상승 문제가 없다. 그러나 종래 예혼합 버너는 화염이 버너 표면에 집중되어 존재한다.
따라서 별도로 버너박스를 냉각시키지 않으면 버너박스가 변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 예혼합 버너는 별도의 버너박스 냉각이 없다면 연소가스의 NOX 저감이 미비해지고, 온도상승에 의한 화제 위험도 있었다.
종래 가스퍼니스는 버너박스를 냉각시키기 위해 버너박스 일부를 열교환기실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러나 IBM(Indoor Blower Motor)에 의한 공기가 열교환기 입구부에 약하게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즉, 열교환기 상부에서의 유동 불균일에 의해 냉각이 미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고온의 순환공기로 냉각하기 때문에 냉각 효과가 약한 문제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온도를 제어하기 힘들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버너가 과열됨에 따라 버너박스가 변색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힘들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연소가스에서 NOx나 CO와 같은 배출가스의 비중이 높았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점화기 및 화염센서의 유지 및 보수가 번거로웠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가스연료와 전기에너지를 모두 사용해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 장치의 부피가 커져, 설치를 위해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했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는 케이싱, 블로워, 버너 및 쿨링가이드를 포함하고, 점화기 및 화염센서가 케이싱의 외부에서 버너에 설치된다. 케이싱은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입구 및 출구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형성한다. 블로워는 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출구로 유동시킨다. 버너는 적어도 일부가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버너는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점화기 및 화염센서를 구비하여 화염 및 연소가스를 생성한다. 쿨링가이드는 통로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버너로 안내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점화기는 플러그, 제1홀더 및 제1클램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버너박스는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플러그는 버너박스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1홀더에는 플러그가 고정된다. 제1클램프는 제1홀더에 구비된다. 제1결합부는 플러그 및 제1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 및 제1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제1결합부는 케이싱의 외측에서 버너박스의 하부에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제1결합부는 삽입되는 점화기의 플러그가 버너박스 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플러그는 버너박스 내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곧게 직선으로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화염센서는 센싱부, 제2홀더, 제2클램프를 포함한다. 버너박스는 제1결합부를 포함한다.
센싱부는 버너박스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홀더는 센싱부를 고정한다. 제2클램프는 제2홀더에 구비된다. 제1결합부는 센싱부 및 제2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 및 제2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제2결합부는 케이싱의 외측에서 버너박스의 하부에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제2결합부는 삽입되는 화염센서의 센싱부가 버너박스 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센싱부는 버너박스 내부에서 그 끝단이 상부를 향해 만곡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쿨링가이드는 제1쿨링가이드 및 제2쿨링가이드를 포함한다. 제1쿨링가이드는 케이싱 내부에서 버너가 설치된 측면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제2쿨링가이드는 버터의 양측에서 버너를 향해 공기를 안내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는 케이싱, 블로워, 버너, 열교환기 및 유동가이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점화기 및 화염센서는 케이싱의 외부에서 버너에 설치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제1열교환기는 버너와 연결된다. 제2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와 블로워 사이에 구비되고, 제1열교환기에서 나온 연소가스가 흐른다. 그리고, 유동가이드의 상단은 제2열교환기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버너가 케이싱의 외부로 일부 돌출됨으로써 화염의 온도를 보다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버너의 일부가 케이싱의 내부에서 냉각됨으로써 버너박스가 쉽게 변색되지 않게 한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버너에서 생성되는 화염의 길이가 짧아 화염의 온도를 특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수월한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NOx나 CO와 같은 배출가스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점화기나 화염센서를 교체하기 편하고, 유지 및 보수하는 것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퍼니스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스퍼니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의 버너와 열교환기가 결합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버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버너가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버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점화기가 버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에서 화염센서가 버너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시되는 내용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퍼니스(10)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는 케이싱(110), 블로워(120), 버너(140), 쿨링가이드 및 열교환기(15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입구(111)와 출구(112)가 형성되고, 입구(111)로부터 출구(112)로 이어지는 사니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113)를 형성한다. 입구(111)는 케이싱(110)의 일측에 형성된다. 입구(111)는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110) 내부의 통로(113)로 유입되는 개구로 이루어진다. 출구(112)는 케이싱(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케이싱(110)에 입구(111) 및 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통로(113)는 입구(111)와 출구(112)를 잇는 공간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으로 입구(111)와 출구(112)를 연결한다.
케이싱(110)은 복수의 측면패널(114) 및 구획패널(115)로 형성된다. 측면패널(114)들은 블로워(120) 및 열교환기(150)를 측면에서 둘러싸는 형태를 지닌다. 측면패널(114)들은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측면패널(114)들은 세로방향의 통로(113)를 형성한다.
케이싱(110)의 내부는 구획패널(115)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패널(115)은 블로워(120)의 아웃렛을 기준으로 케이싱(11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120), 제어부(130), 버너(140), 열교환기(150), 유동가이드(160), 제1쿨링가이드(170), 경사패널(180), 전면패널(190) 및 제2쿨링가이드(200)는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된다.
케이싱(110)의 입구(111)는 외기와 연결된다. 케이싱(110)의 출구(112)는 덕트의 입구(111)와 연결된다. 덕트의 출구(112)는 가스퍼니스(10)가 설치된 건물의 정해진 장소들로 분기될 수 있다.
블로워(120)는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블로워(120)는 입구(111)로 들어온 공기를 출구(112)로 유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블로워(120)가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가압한다. 블로워(120)의 인렛은 입구(111)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블로워(120)의 아웃렛은 출구(112)와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출구(11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열교환기(150)는 제1열교환기(150A)와 제2열교환기(150B)를 포함한다. 제1열교환기(150A)와 제2열교환기(150B)는 통로(113)에 설치된다. 제1열교환기(150A)는 출구(112)의 아래에 구비되고, 제1열교환기(150A)는 연소가스가 그 내부를 따라 유동한다. 제1열교환기(150A)는 버너박스(141)와 연결된다.
버너(140)는 버너박스(141), 화염센서(500), 점화기(400) 및 팬을 포함한다. 외기는 매니폴드(151)를 통해 버너박스(141) 내부로 공급된다. 버너박스(141)는 가스관과 연결된다. 버너(140)는 버너(140)박수 내에 화염과 연소가스를 생성한다.
버너(140)박수 내에서 외기와 혼합된 가스는 점화기(400)의 불꽃에 의해 점화된다. 화염센서(500)는 버너박스(141) 내부 화염을 감지한다. 팬은 연소가스를 제1열교환기(150A)의 입구(111)로 유동시킨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스퍼니스(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열교환기(150B)는 제1열교환기(150A)와 블로워(120) 사이에 구비된다. 제2열교환기(150B)는 제1열교환기(150A)에서 나온 연소가스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2열교환기(150B)에 압력스위치, 배기관(153), 수집박스(154), 인듀서(155)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스위치는 제2열교환기(150B) 내부 유로의 압력을 감지한다. 배기관(153)은 제2열교환기(150B)에서 배출된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2열교환기(150B)는 다수의 연소배관(158)들로 구성된다. 연소배관(158)들은 연소가스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연소배관(158)들의 길이방향 양쪽에 각각 엔드플레이트(152)가 구비된다.
연소배관(158)들의 길이방향 양쪽은 각각 엔드플레이트(152)에 결합된다. 수집박수는 제2열교환기(150B)의 후단에서 엔드플레이트(152)에 결합된다. 인듀서(155)는 수집박스(154) 에 장착된다.
제1열교환기(150A)에서 배출된 연소가스는 제2열교환기(150B)로 진입해 수집박스(154) 내부로 이동한다. 수집박스(154) 내부에 모인 연소가스는 인듀서(155)에 의해 배기관(153)으로 가압된다. 연소가스는 배기관(1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2열교환기(150B)에 발생한 응축수는 연소배관(158)들의 끝단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수집박스(154) 내에 모인 응축수는 방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가이드(160)는 열교환기(150)와 측면패널(114) 사이에 구비된다. 유동가이드(160)는 열교환기(150)와 측면패널(114) 사이 공간을 구획한다. 유동가이드(160)의 상단은 제2열교환기(150B)의 상단보다 높다.
유동가이드(160)는 양쪽 엔드플레이트(152)를 연결하는 평판 형태를 형성한다. 유동가이드(16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유동가이드(160)는 열교환기(15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서 양쪽 엔드플레이트(152)를 연결한다. 따라서 블로워(120)에 의해 가압된 공기의 흐름은 케이싱(110)의 측면 쪽을 향하지 않게 된다.
구획패널(115)의 상면에는 열교환기(15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플랜지(15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유동가이드(160)는 열교환기(15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서 양쪽 엔드플레이트(152)를 연결한다. 따라서, 블로워(120)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한 쌍의 유동가이드(160) 사이에서 출구(112)를 향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한편, 블로워(120)에 의해 가압된 공기 중 일부는 제2열교환기(150B)와 열교환하기 전에 관통홀(161H)들을 통과하여 유동가이드(160)와 측면패널(114) 사이 공간으로 이동한다. 관통홀(161H)들을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150)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지 않았으므로 낮은 온도 상태를 갖는다.
쿨링가이드는 제1쿨링가이드(170) 및 제2쿨링가이드(200)를 포함한다. 제1쿨링가이드(170)는 유동가이드(16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쿨링가이드(170)는 일 방향으로 경사진 한 쌍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사진 방향은 상대적으로 찬 공기가 버너(140)가 설치된 케이싱(110)의 측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버너(140)가 설치된 케이싱(110)의 측벽에서 버너(140)의 양측에는 제2쿨링가이드(200)가 구비된다. 제2쿨링가이드(200)는 버너(140)의 양측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버너(140)를 향해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의 버너(140)와 열교환기(150)가 결합되는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에서 버너(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에서 버너(140)가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40)는 버너박스(141)들의 결합으로 이뤄진다. 버너(14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다수 개의 버너박스(141)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너(140)의 일부는 케이싱(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버너(140)의 다른 부분들은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된 버너박스(141)에는 제1열교환기(150A)의 배관(158)이 연결될 수 있다. 버너박스(141) 내부에서 생성된 연소가스는 배관(158)을 통해 제1열교환기(150A)로 유입되고, 제1열교환기(150A)를 따라 이동하며 주변과 열에너지를 교환한다.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버너(140)에는 연료 가스와 외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연료 가스와 외기는 정해진 비율로 혼잡되고, 점화기(400)의 작동을 통해 화염을 발생시킨다. 이때 버너박스(141) 내부에는 다수개의 개구로 이루어진 분사부(310)로 외기와 홉합된 연료 가스가 분사될 수 있고, 분사부(310)를 통해 분사되는 연료 가스에 화염이 생성된다.
이때, 발생되는 화염을 통해 연소가스가 생성된다. 버너박스(141) 내부에는 화염의 크기와 온도 등을 감지하는 화염센서(500)가 마련된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에서 버너(14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에서 점화기(400)가 버너(14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퍼니스(10)에서 화염센서(500)가 버너(14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140)는 점화기(400)와 화염센서(500)를 포함한다. 점화기(400)와 화염센서(500)는 각각 버너(140)에 마련되는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에 결합된다.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는 버너(140)가 케이싱(11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는 케이싱(110)의 외부로 노출된 버너박스(141)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는 케이싱(110)의 벽면을 기준으로 할 때 면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형성된다. 즉, 30~45도 정도 기울어진 면으로 형성되고, 면 방향이 아래쪽을 향한다.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는 각각 점화기(400) 및 화염센서(500)가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개구는 점화기(400) 및 화염센서(500)가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상태로 버너(14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는 제1결합부(320) 및 제2결합부(330)가 형성하는 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버너(140)의 내측공간과 케이싱(110)의 외측을 관통한다. 버너박스(141) 내부에는 점화기(400) 및 화염센서(500)가 각각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진입할 수 있게 제1가이드(326) 및 제2가이드(336)가 형성될 수 있다.
점화기(400)는 화염을 발생시키는 플러그(410), 플러그(410)를 고정하는 제1홀더(420)를 포함하고, 제1홀더(420)의 외측둘레에는 점화기(400)를 고정하기 위한 제1클램프(430)가 형성된다. 제1클램프(43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서 제1결합부(320)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322)와 결합될 수 있다.
점화기(400)는 플러그(410)가 버너(140) 내부에서 일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제1결합부(320)에 체결된다. 플러그(410)는 직선으로 곧게 형성된다.
화염센서(500) 또한 화염을 감지하는 센싱부(510)가 구비되고, 제2홀더(520)가 센싱부(510)를 고정한다. 제2홀더(520)의 외곽에는 화염센서(500)를 제2결합부(330)에 고정하기 위한 제2클램프(530)가 형성된다. 센싱부(510)는 케이싱(110)의 외부로부터 제2결합부(330)에 형성된 개그를 통해 버너(140) 내부로 삽입되고,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버너(140)에 진입한 후 위쪽을 향하도록 그 끝이 만곡된다.
제2클램프(530)는 케이싱(110)의 외부에서 제2결합부(330)에 형성된 제2체결부(332)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개시되는 내용의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가스퍼니스
110: 케이싱 111: 입구
112: 출구 113: 통로
114: 측면패널 115: 구획패널
120: 블로워 130: 제어부
140: 버너 141: 버너박스
150: 열교환기 150A: 제1열교환기
150B: 제2열교환기 151: 매니폴드
152: 엔드플레이트 153: 배기관
154: 수집박스 155:인듀서
156: 고정플랜지 158: 배관
160: 유동가이드 161H: 관통홀
170: 제1쿨링가이드 171: 막음판
180: 경사패널 190: 전면패널
200: 제2쿨링가이드
310: 분사부 320: 제1결합부
322: 제1체결부 326: 제1가이드
330: 제2결합부 332: 제2체결부
336: 제2가이드 400: 점화기
410: 플러그 420:제1홀더
430: 제1클램프 500: 화염센서
510: 센싱부 520: 제2홀더
530: 제2클램프

Claims (12)

  1.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출구로 유동시키는 블로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하며, 점화기 및 화염센서를 구비하여 화염 및 연소가스를 생성하는 버너; 및
    상기 통로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를 상기 버너로 안내하는 쿨링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기 및 상기 화염센서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버너에 설치되는 가스퍼니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는,
    상기 버너박스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가 고정되는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에 구비되는 제1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박스는,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제1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제1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스퍼니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서 상기 버너박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스퍼니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삽입되는 상기 점화기의 상기 플러그가 상기 버너박스 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가스퍼니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버너박스 내부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직선으로 곧게 형성되는,
    가스퍼니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센서는,
    상기 버너박스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가 고정되는 제2홀더; 및
    상기 제2홀더에 구비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박스는,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제2홀더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제2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가스퍼니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서 상기 버너박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스퍼니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삽입되는 상기 화염센서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버너박스 내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가스퍼니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버너박스 내부에서 끝단이 상부를 향해 만곡되는,
    가스퍼니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가이드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버너가 설치된 측면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쿨링가이드; 및
    상기 버너의 양측에서 상기 버너를 향해 공기를 안내하는 제2쿨링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스퍼니스.
  11.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출구로 유동시키는 블로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하며, 점화기 및 화염센서를 구비하여 화염 및 연소가스를 생성하는 버너;
    상기 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가스가 내부로 유동하며 인접한 공기와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블로워에 의해 흐르는 공기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쪽을 향하지 않도록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싱의 측면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유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기 및 상기 화염센서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서 상기 버너에 설치되는 가스퍼니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버너와 연결되는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상기 블로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나온 상기 연소가스가 흐르는 제2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이드의 상단은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상단보다 높은,
    가스퍼니스.

KR1020190161842A 2019-12-06 2019-12-06 가스퍼니스 KR20210071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842A KR20210071542A (ko) 2019-12-06 2019-12-06 가스퍼니스
PCT/KR2020/017499 WO2021112570A1 (ko) 2019-12-06 2020-12-02 가스퍼니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842A KR20210071542A (ko) 2019-12-06 2019-12-06 가스퍼니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542A true KR20210071542A (ko) 2021-06-16

Family

ID=7622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842A KR20210071542A (ko) 2019-12-06 2019-12-06 가스퍼니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1542A (ko)
WO (1) WO2021112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5495A1 (en) * 2020-08-26 2022-03-03 Carrier Corporation Heat exchanger baffle assembly with horizontal ga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272A (en) * 1994-06-27 1996-09-17 Thomas & Betts Corporation Pilot assembly for direct fired make-up heater utilizing igniter surrounded by protective shroud
KR20030072942A (ko) * 2002-03-07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난방기의 공기 안내 구조
KR20120136019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소실 냉각 구조를 갖는 연소장치
US20130224671A1 (en) * 2012-02-29 2013-08-29 Carrier Corporation Unitary igniter and flame sensor
US9915425B2 (en) * 2013-12-10 2018-03-13 Carrier Corporation Igniter and flame sensor assembly with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570A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27847A (ru) Способ подогрева шахтного вентиляционного возд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20085443A (ko) 화목보일러
TW201702531A (zh) 瓦斯壁爐及其導流元件
JP2010078295A (ja) 燃焼装置
KR20210071542A (ko) 가스퍼니스
US10508829B2 (en) Water heater
KR101287693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CN107477578A (zh) 燃烧器及热水器
RU126433U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стальной
US5497761A (en) Heating device for solid fuels
CN107726287A (zh) 燃甲醛尾气蒸汽锅炉
CN204739940U (zh) 一种节能炉的热交换装置
CN207493989U (zh) 一种燃烧机烘箱
KR20210063969A (ko) 가스퍼니스
CN104132452A (zh) 一种燃煤供热采暖炉
KR20230036765A (ko) 도장부스용 열풍공급장치
KR102353433B1 (ko) 화목 다단 열교환기
CN216550179U (zh) 一种高温培烘碳酸钙的燃气设备
KR100398050B1 (ko) 가스보일러
KR101250434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RU2187766C2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180025609A (ko) 버너 열 교환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TWI662231B (zh) 防風戶外暖爐燃燒裝置
KR20140115740A (ko) 보일러
RU2126942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