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484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484A
KR20210071484A KR1020190161701A KR20190161701A KR20210071484A KR 20210071484 A KR20210071484 A KR 20210071484A KR 1020190161701 A KR1020190161701 A KR 1020190161701A KR 20190161701 A KR20190161701 A KR 20190161701A KR 20210071484 A KR20210071484 A KR 2021007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tube
header
bent part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356B1 (ko
Inventor
김홍성
정승모
이한춘
박태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3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1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e.g. formed by extrusion
    • F28F1/1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e.g. formed by extrusion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제1헤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냉매가 유출되며, 상기 제1헤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헤더, 단일 판상 부재를 굽힘 변형시켜, 상기 제1헤더와 상기 제2헤더를 연통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핀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및 포함하고, 상기 튜브와 상기 핀의 경계선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효과적으로 열을 교환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열교환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란, 히트펌프 사이클과 같이 빠른 열교환이 필요한 곳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응축기 또는 증발기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응축기 또는 증발기에는 팬을 활용하여 공기를 통과시키고, 그 과정에서 열교환이 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는 냉방 또는 난방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공기조화기라 칭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성능과 소비하는 에너지의 비율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표시하는 에너지소비효율 등급표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보다 좋은 에너지소비등급을 갖는 전자기기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한가지로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여 에너지소비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공기와 열교환하는 튜브 내지 핀의 형상은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록 열교환 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튜브와 핀을 생산하는 공정을 간소화 하면 제품의 생산사이클이 감소하고 생산단가가 저렴해질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줄임과 동시에 간단하여 생산이 용이한 열교환기의 형상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핀-튜브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튜브와 핀을 일체화하여 열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교환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튜브와 핀을 일체화 함에 있어 제조공정의 단계가 적어 생산 사이클이 짧아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튜브와 핀을 생산함에 있어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제1헤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냉매가 유출되며, 상기 제1헤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헤더, 단일 판상 부재를 굽힘 변형시켜, 상기 제1헤더와 상기 제2헤더를 연통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핀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튜브와 상기 핀의 경계선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의 상기 튜브 및 상기 핀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핀과 연결되고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굽힘 변형되는 제1곡면부 및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고 핀과 연결되며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를 용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핀과 연결되고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굽힘 변형되는 제2곡면부, 상기 제2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제2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5절곡부, 상기 제5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굽힘 변형되는 제3곡면부 및 상기 제3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6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절곡부와 상기 제5절곡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4절곡부와 상기 제6절곡부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절곡부와 상기 제5절곡부를 용접하고, 상기 제4절곡부와 상기 제6절곡부를 용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의 튜브는 상기 제1헤더와 상기 제2헤더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튜브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의 튜브와 핀의 단면 형상은 오메가(Ω)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열교환부의 튜브와 핀의 단면 형상은 에스(S)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튜브와 핀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핀과 튜브의 연결부위에 접촉 저항이 없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단일 판상 부재를 가공하여 튜브를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재료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손실이 적어 열교환기에 부가되는 팬의 동력 사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B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방향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이란, 열교환부(130)의 표면과 수직인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좌측하방을 의미할 수 있다.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좌측 방향이란, 열교환부(130)의 표면에 대해 평행인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좌측상방을 의미할 수 있다. 우측 방향은 좌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방이란 제2헤더(1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서 도 1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하방은 상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제1헤더(1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향 정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방향 기준이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나머지 방향 기준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제1헤더(110), 제2헤더(120) 및 열교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헤더(1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냉매는 제1헤더(110)의 내부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헤더(120)는 제1헤더(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냉매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는 제1헤더(110)와 제2헤더(120)를 연결하고, 냉매가 제1헤더(110) 및 제2헤더(120)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열교환부(130)는 단일의 판상 부재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상 부재를 굽힘 변형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부(13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판상 부재의 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복수개가 배치되어 제1헤더(110)와 제2헤더(12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헤더(110) 및 제2헤더(1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열교환부(130)에 대응하여 분배챔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분배챔버는 열교환부(130)의 튜브(133)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되는 냉매를 복수개의 열교환부(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분배함으로써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는 튜브(133) 및 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부(130)는 복수개의 튜브(133) 및 복수개의 핀(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133)와 핀(131)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튜브(133)와 핀(131) 사이에 열저항이 없고, 보다 효과적으로 냉매의 열을 튜브(133) 및 핀(131)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133)는 제1헤더(110)와 제2헤더(120)를 연결하여 냉매가 유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튜브(133)의 양단은 핀(131)보다 길게 연장되어 핀(131)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튜브(133)의 돌출된 부분은 제1헤더(110) 또는 제2헤더(120)와 결합하여 냉매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핀(131)은 튜브(13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의 열을 전달받아 통과하는 공기와 열을 교환할 수 있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튜브(133)와 튜브(133) 사이의 공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튜브(133)와 튜브(133)를 연결함으로써 튜브(133)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 사이의 온도 불균형 또는 열교환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온도 불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제1헤더(110)의 일측 단부를 통해 냉매를 공급받아 튜브(133)를 통과하여 제2헤더(120)를 통해 냉매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의 이해를 돕기위해 제1헤더(110)를 통해 유입되고 제2헤더(120)를 통해 유출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헤더(120)를 통해 유입되고 제1헤더(110)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는 단일의 판상 부재를 가공하여 튜브(133) 및 핀(13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상 부재를 굽힘 변형하여 튜브(133)가 형성되도록 하고, 일정 부위에 결합부(14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튜브(133)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의 튜브(133)는 제1절곡부(1331), 제1곡면부(1332), 제2절곡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판상 부재는 굽힘 변형되지 않은 부분이 핀(131)이 되고, 굽힘 변형된 부분이 튜브(133)가 될 수 있다. 판상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1절곡부(13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1331)는 제1면(130a)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1면(130a) 방향이란 판상 부재의 양측 표면 중에서 어느 일측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예를 들어 도 2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하면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고, 하방을 의미할 수 있다. 제1곡면부(1332)는 제1절곡부(1331)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 반경(r)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곡면부(1332)의 곡률 반경(r)은 튜브(133)의 반경이 될 수 있다. 제2절곡부(1333)는 제1곡면부(13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면(130a)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부(1333)는 다시 핀(1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핀(131), 제1절곡부(1331), 제1곡면부(1332), 제2절곡부(1333) 및 핀(131)이 이루는 단면의 형상은 오메가(Ω)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1절곡부(1331)와 제2절곡부(1333)의 위치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133)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를 형성하는 단일의 판상 부재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금속박판이 활용될 수 있다. 금속 박판을 굽힘 변형하여 튜브(133)를 형성하고, 제1절곡부(1331)와 제2절곡부(1333)를 브레이징 방법을 통해 접합하여 결합부(140)를 형성함으로써 튜브(133)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튜브(133)를 형성하는데 연속적인 1회의 용접으로 형성할 수 있어 생산 공정이 간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는 판상 부재의 면에 수직인 방향(예: 전후방향)에 대하여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튜브(133)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같은 공간 내에서도 열교환부(130)를 보다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열교환부(13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유로의 폭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브(133)의 위치를 서로 정렬하여 배치하게 되면 튜브(133)의 위치에서는 급격하게 공기의 유로가 좁아져 공기의 흐름에 큰 장해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튜브(133)를 통과함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압의 손실이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튜브(133)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급격한 공기 유로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가 튜브(133)의 표면을 층류를 형성하며 타고 넘는 형태로 유도할 수 있어 공기 압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는 튜브(133)가 핀(131)에 대하여 일측면 방향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열교환부(130)가 서로 튜브(133)를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시 한쌍의 열교환부(130)가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공기 유로의 급격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의 튜브(133)는 제3절곡부(1334), 제2곡면부(1335), 제4절곡부(1336), 제1연장부(1337), 제5절곡부(1338), 제3곡면부(1339) 및 제6절곡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내지 도 3의 열교환부(130)와 마찬가지로, 판상 부재는 굽힘 변형되지 않은 부분이 핀(131)이 되고, 굽힘 변형된 부분이 튜브(133)가 될 수 있다. 판상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3절곡부(13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절곡부(1334)는 제1면(130a)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곡면부(1335)는 제3절곡부(1334)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곡면부(1335)는 원형태의 튜브(133) 중에서 절반인 반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곡면부(1335)의 곡률 반경은 튜브(133)의 반경이 될 수 있다. 제4절곡부(1336)는 제2곡면부(1335)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면(130b)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면(130b) 방향이란 제1면(130a)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서 예를 들어 도 5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상면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고, 상방을 의미할 수 있다. 제4절곡부(1336)는 변형되지 않은 평평한 판상부재가 제3절곡부(1334)를 향하는 정도로 절곡될 수 있다. 제1연장부(1337)는 제4절곡부(1336)에서 제3절곡부(1334)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연장부(1337)의 길이는 튜브(133)의 직경이 될 수 있다. 제5절곡부(1338)는 제1연장부(1337)에서 연장되어 제1면(130a)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곡면부(1339)는 제5절곡부(1338)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곡면부(1339)는 원형태의 튜브(133) 중에서 절반인 반원 형태로서 제2곡면부(1335)와 함께 원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6절곡부(1340)는 제3곡면부(1339)에서 연장되고 제2면(130b)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6절곡부(1340)는 다시 핀(1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절곡부(1334), 제2곡면부(1335), 제4절곡부(1336), 제1연장부(1337), 제5절곡부(1338), 제3곡면부(1339) 및 제6절곡부(1340)가 이루는 단면의 형상은 에스(S)형태가 될 수 있다. 제3절곡부(1334)와 제5절곡부(1338), 제4절곡부(1336)와 제6절곡부(1340)를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튜브(13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 또한, 도 2 내지 도 3의 열교환부(13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핀(131)이 튜브(1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4의 경우와 달리 동일 형태의 열교환기(100)를 반복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열교환부(130)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유로의 폭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열교환기 110 : 제1헤더
120 : 제2헤더 130 : 열교환부
131 : 핀 133 : 튜브
140 : 결합부

Claims (10)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냉매가 유입되는 제1헤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냉매가 유출되며, 상기 제1헤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헤더;
    단일 판상 부재를 굽힘 변형시켜, 상기 제1헤더와 상기 제2헤더를 연통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를 유동하는 냉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핀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튜브와 상기 핀의 경계선을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상기 튜브 및 상기 핀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핀과 연결되고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굽힘 변형되는 제1곡면부; 및
    상기 제1곡면부에서 연장되고 핀과 연결되며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를 용접하여 형성되는 열교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핀과 연결되고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부;
    상기 제3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굽힘 변형되는 제2곡면부;
    상기 제2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제2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절곡부;
    상기 제4절곡부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5절곡부;
    상기 제5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굽힘 변형되는 제3곡면부; 및
    상기 제3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6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절곡부와 상기 제5절곡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4절곡부와 상기 제6절곡부를 결합시킴으로써 튜브를 형성하는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3절곡부와 상기 제5절곡부를 용접하고, 상기 제4절곡부와 상기 제6절곡부를 용접하여 형성되는 열교환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튜브는 상기 제1헤더와 상기 제2헤더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튜브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열교환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튜브와 핀의 단면 형상은 오메가(Ω) 형상인 열교환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튜브와 핀의 단면 형상은 에스(S) 형상인 열교환기.
KR1020190161701A 2019-12-06 2019-12-06 열교환기 KR10246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701A KR102467356B1 (ko) 2019-12-06 2019-12-06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701A KR102467356B1 (ko) 2019-12-06 2019-12-06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484A true KR20210071484A (ko) 2021-06-16
KR102467356B1 KR102467356B1 (ko) 2022-11-16

Family

ID=7660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701A KR102467356B1 (ko) 2019-12-06 2019-12-06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033A (ja) * 1998-03-09 1999-09-21 Nisshin Steel Co Ltd 長手方向に沿った隔壁で内部を区分した金属管の製造方法
KR20000036828A (ko) * 2000-03-30 2000-07-05 이상영 냉동, 냉장기의 냉매 순환 냉각용 방열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7632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압 손실을 저감한 세경관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033A (ja) * 1998-03-09 1999-09-21 Nisshin Steel Co Ltd 長手方向に沿った隔壁で内部を区分した金属管の製造方法
KR20000036828A (ko) * 2000-03-30 2000-07-05 이상영 냉동, 냉장기의 냉매 순환 냉각용 방열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7632A (ko) * 2018-02-12 201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압 손실을 저감한 세경관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356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9285B1 (en) Heat exchanger
US6595273B2 (en) Heat exchanger
US20040177949A1 (en) Heat exchanger
CN107388637B (zh) 换热器和换热模块
EP3290851B1 (en) Layered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2005534888A (ja) 扁平管形熱交換器
JP7125344B2 (ja) 熱交換器
US9927179B2 (en) Heat exchange system
US20190195572A1 (en) Heat exchanger
JP2020094792A5 (ko)
WO2017135442A1 (ja) 熱交換器
US6230787B1 (en) Stack type evaporator
JP2013096667A (ja) 冷凍冷蔵庫
US20210063091A1 (en) Plate type heat exchanger
JP2002139295A (ja) 空調用熱交換器
KR102467356B1 (ko) 열교환기
EP3726174B1 (en) Finless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KR102494462B1 (ko) 열교환기
KR20150074748A (ko) 열교환기
JP2570310Y2 (ja) 熱交換器
JP5772608B2 (ja) 熱交換器
CN112888911A (zh) 热交换器及空调机
JP5569410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及び熱交換器
JP4363501B2 (ja) モジュラー化複合ヒートシンク
TW202234010A (zh) 熱交換器及冷凍循環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