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750A -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750A
KR20210070750A KR1020190160852A KR20190160852A KR20210070750A KR 20210070750 A KR20210070750 A KR 20210070750A KR 1020190160852 A KR1020190160852 A KR 1020190160852A KR 20190160852 A KR20190160852 A KR 20190160852A KR 20210070750 A KR20210070750 A KR 2021007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ixer
air
mixed
mix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283B1 (ko
Inventor
유승협
손달운
임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스타
Priority to KR1020190160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2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스보일러의 혼합기는, 송풍기를 통과한 연소용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 내부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도록 일면에 결합되는 가스공급수단 및 가스공급수단이 결합되는 면 이외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연소용 공기 및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보일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진 혼합기를 포함하여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를 제공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GAS BOILER SYSTEM AND MIXER}
본 발명은 연소용 공기 및 연료가스의 혼합기와 이를 포함하는 가스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연소용 공기 및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내부에서 180도 선회시켜 표면연소버너로 공급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혼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보일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는 그 설치형태에 따라 벽걸이형과 바닥설치형으로 구분되고, 온수공급방식에 따라서는 보일러 몸체의 열교환기가 온수용 열교환기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과 별도의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분되며, 아울러 난방수 순환방식에 따라서는 보일러 내의 난방순환회로가 대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대기차단식과 보일러 내의 난방회로가 개방된 방식의 대기 개방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가스보일러는 외부의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고, 이 혼합된 혼합가스를 버너부로 공급함으로써, 버너부 내에서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점화작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난방배관 및 관체에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가스버너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펌프에 의해 난방배관 및 급탕배관으로 공급되어 실내를 난방시키거나 급탕수로 공급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가스보일러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 문헌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체 내에 설치된 연소실과, 연소실 일단에 결합된 버너와, 일단이 버너에 연결되되 타단이 흡기관에 연결되어 버너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일단이 버너에 연결되되 타단이 외부의 가스관과 연결되어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버너와 공기공급관 사이에 설치된 공기흡입팬을 구동시키면, 공기흡입팬에 의해 공기흡입관 내에 흡입압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공기공급관 말단과 연결된 흡기관의 흡기공을 통해 외부공기가 흡기관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흡기관 내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공급관을 통해 버너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가스공급관을 통해 가스가 공급되고, 이 가스는 버너로 공급되어 공기와 혼합되면서 혼합가스로 변화된다.
이때, 버너에서 생성된 혼합가스는 연소실 내에서 연소되면서 연소실을 점화작동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매끄러운 원통 형상의 공기공급관으로 공기가 신속하게 통과되면서,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를 그대로 버너방향으로 밀어내어 가스와 공기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가스와 공기 혼합률 저하로, 연소실 내에서 혼합가스가 점화되지 못하거나, 폭발점화, 점화지연등이 발생하여 점화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며, 이에따라, 난방성능 저하와 동시에 난방비용이 증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68001호(명칭: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등록일: 1999.10.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혼합기 내부로 주입된 연소용 공기 및 연료가스의 혼합에 있어서, 공기:가스 혼합비가 혼합가스 전체 부피에 걸쳐 고르게 혼합되고, 혼합기 외부로 혼합가스가 토출됨에 있어서, 혼합가스 토출 부위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공기:가스 혼합비가 고르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기를 구비함으로써, 시스템 전체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는, 연소용 공기와 연료가스가 혼합되도록 사용되는 가스보일러용 혼합기에 있어서, 송풍기를 통과한 연소용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 내부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도록 일면에 결합되는 가스공급수단 및 가스공급수단이 결합되는 면 이외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배출구는, 연소용 공기 및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에는, 공기주입구의 내부 방향 주변에 전체 면적에 걸쳐 타공이 형성되는 정류판이 구비되며, 연소용 공기는, 정류판을 통과한 후, 가스공급수단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의 가스공급수단은, 파이프형 또는 중공 원통형으로서,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가스분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의 내부에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 중 공기주입구와 마주하는 모서리로부터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모서리 부근까지 연장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는 대경사면; 및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면 중 공기주입구의 하방에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정점에서부터 하방은 대경사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돌출면;이 구비되고, 대경사면 중 하단 부근과 그에 대향되는 돌출면에 의하여 혼합가스의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협소로;가 형성되며, 혼합가스는, 협소로를 통과한 후 대향된 모서리에 부딪힘으로써, 유동방향이 뒤바뀐 회절류를 이룬 후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의 내부 대향된 모서리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중간에, 회절류가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혼합가스분포판이 포함되며, 복수의 통공 각각의 직경은 혼합가스분포판의 하방에서 상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스보일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및 가스가 혼합되는 혼합모듈, 혼합모듈로부터 혼합된 공기 및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되는 연소모듈 및 연소모듈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이 열교환기를 거친 이후 일부 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동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혼합모듈은 위에 나열된 특징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현된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기 외부로 혼합가스가 토출됨에 있어서, 혼합가스 토출 부위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공기:가스 혼합비가 고르게 분포되게 함으로써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기를 구비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연료가스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보일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를 구비하는 가스보일러의 구성요소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혼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정류판과 그 주변 구성을 보이기 위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스공급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혼합가스분포판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를 구비하는 가스보일러의 구성요소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혼합기를 구비하는 가스보일러 시스템(1000)은,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에 이르는 순서대로, 모터를 작동시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혼합기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80), 송풍기(80)로부터 주입된 연소용 공기와 가스공급관(90)을 거쳐 공급되는 연료가스를 혼합하여 표면연소버너(200)와 결합된 방향으로 혼합가스를 배출하는 혼합기(100), 혼합기(100)로부터 배출되는 혼합가스를 받아들여 연소시킴으로써 열을 발생시키는 표면연소버너(200), 혼합가스의 연소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작동유체에 전달되게 하는 열교환기(300), 상부진공실(400), 하부수관부(500) 및 폐열회수동체(600)를 포함하고 있다.
가스보일러 시스템(1000)에 구비되는 혼합기(100)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혼합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혼합기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좌우 방향으로의 폭이 안쪽 방향으로의 깊이보다 큰 상하면을 가진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태의 혼합기(100)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혼합기(100)의 상단 중앙 부근에는 연소용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10)가 개구되며, 그 부근이 공기주입구(10)와 같은 높이를 가지고 직육면체 형태보다는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공기주입구(10) 부근이 혼합기(100) 전체가 이루는 직육면체 형태보다 돌출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서 변경 및 조정될 수 있는 사항으로서, 반드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형태와 일치되는 형태로 실시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강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 방향을 기준으로 혼합기(100)의 우측 표면에는 가스공급수단(20)이 결합되어 혼합기(100)의 내부에 연료가스를 공급 가능하게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 가스공급수단(2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공기주입구(10)를 통하여 혼합기(100) 내부로 주입된 연소용 공기와 가스공급수단(20)을 통하여 혼합기(10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스는 혼합기(100) 내부에서 고르게 혼합된 이후에 혼합기(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버너/연소기에 전달되어 연소되며, 혼합기(100) 내부에 구비된 구조에 의하여 혼합가스의 공기:가스 비율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진 이후 혼합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가 혼합기(100)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혼합기(100)의 좌측 상단에 공기주입구(10)가 형성되고, 송풍기(80)를 거친 연소용 공기가 공기주입구(10)를 통하여 혼합기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의 흐름은 화살표로 나타내었으며, 흰색 화살표는 연소용 공기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회색 화살표는 연소용 공기가 연료가스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가스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2(b)에서 가스공급수단(20)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공기주입구(10)를 거쳐 혼합기(100) 내부로 주입된 연소용 공기는 유동 중 가장 먼저 곡선면(15)을 만나 가스공급수단(20)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바뀌게 되어 가스공급수단(20) 근방에서 가스공급수단(20)을 거쳐 혼합기(100) 내부로 공급된 연료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가 된다.
여기에서, 곡선면(10)의 단부와 가스공급수단(20)의 표면 사이에는 연소용 공기의 유동단면적 전체에 걸쳐 유속이 일정하게 조정되게 하는 목적으로 정류판(30)이 구비되는데, 정류판(30)의 형태는 도 3에 도시된다.
정류판(30)과 가스공급수단(20)을 거친 연소용 공기는 연료가스와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이루게 되며 혼합가스의 유동은 회색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또한, 혼합기(100)의 내부에는, 혼합가스의 유동 방향을 정반대로 회절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된다. 혼합가스를 회절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혼합기(100) 내부에서, 공기주입구(10)를 포함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 중 공기주입구(10)와 마주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모서리 부근까지 연장되어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대경사면(25)이 구비되고,
공기주입구(10)를 포함하는 면 중 공기주입구(10)의 하방에 혼합기(10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정점(36)에서부터 하방은 대경사면(25)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돌출면(35)이 구비되고,
대경사면(25)의 하단 부근과 그에 대향되는 돌출면(35)에 의하여 혼합가스의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협소로(45)가 형성되며,
혼합가스는,
협소로(45)를 통과한 후 대향된 모서리에 부딪힘으로써,
혼합가스선회방향(48) 화살표와 같이 유동방향이 뒤바뀐 회절류를 이룬 후 혼합가스분포판(50)을 거쳐 전체 유동 면적 및 높이에 걸쳐 위치(높이) 별로 일정한 유속 분포를 갖도록 유동 특성이 조정된 이후에 혼합기(100)의 우측면(배출구)을 통하여 혼합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기(100)를 거쳐 배출되는 혼합가스의 배출에 있어서, 배출 단면적 전체에 걸쳐 혼합가스의 유속분포가 일정하도록 조정하여 배출함으로써, 뒤이은 혼합가스의 연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화염 역류와 같은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혼합기(100)의 성능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혼합기(100)의 수명도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100)가 적용된 가스보일러 시스템(1000)에 대해서도 대동소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정류판과 그 주변 구성을 보이기 위한 투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혼합기(100) 상단 부근의 공기주입구(10)의 내부 방향 및 그 주변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는 정류판(30)이 구비되며, 공기주입구(10)를 통하여 혼합기(100) 내부로 주입된 연소용 공기는 이 정류판을 통과하면서 일정 크기의 타공에 의하여 유동 단면 전체에 걸쳐 유속이 일정하게 조정되게 된 이후, 가스공급수단(20)의 표면 주변을 지나게 된다.
여기에서, 유동 단면 전체에 걸쳐 일정한 유속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스공급수단(20)의 표면에 일정한 오차 범위 이내의 압력으로 전달되게 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스공급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스공급수단(20)은 파이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일측 단부에 복수의 결합공(26)이 형성된 플랜지(24)가 결합되고, 이 플랜지(24) 및 결합공(26)을 이용하여 혼합기(100)의 외면에 결합된다.
이때, 파이프 표면에 복수의 가스분사공(22)이 구비되며, 이 가스분사공(22)은 가스공급수단(20)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가스분사공(22)의 이격 간격은 실시예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이격 간격과 원주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이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이는 실시예의 목적 및 환경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스분사공(22)의 이격 간격을 일정하게 하지 않고 어느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실시 목적 및 환경에 따라 적정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혼합가스분포판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혼합가스분포판(50)은 직사각형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거의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통공의 크기를 관찰해 보면, 혼합가스분포판(50)의 아래쪽에서 위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혼합가스분포판(50)의 일 실시예에서, 이 통공은 혼합가스토출공으로 칭하며, 3 가지 크기가 존재하는데, 이 크기의 가짓수는 반드시 3 가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에에 따라 더욱 다양한 크기를 갖도록 조정될 수도 있고, 더 적은 크기 가짓수로 조정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혼합가스분포판(50)의 일 실시예에서, 혼합가스토출공의 크기는 3 가지이며, 가장 아래에 위치한 혼합가스토출공-소(52)의 크기(직경)가 가장 작고, 중간 높이에 위치한 혼합가스토출공-중(54)의 직경이 중간 크기, 상단 부근에 위치한 혼합가스토출공-대(56)의 직경이 가장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가스토출공의 크기(직경)를 그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연소용 공기가 가스공급수단(20) 주변을 지나며 연료가스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가스가 협소로(45)를 거친 후 선회된 이후, 혼합기(100)의 우측면 방향으로 배출되기 전에 혼합가스의 유속이 우측면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협소로(45)의 단부와 가까운 높이에서는 혼합가스토출공의 크기를 작게 하여 혼합가스분포판(50)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혼합가스의 양을 줄이고, 협소로(45)의 단부와 멀리 떨어진 높이에서는 혼합가스토출공의 크기를 크게 하여 혼합가스분포판(50)을 통과하여 유동되는 혼합가스의 양을 늘림으로써, 혼합가스분포판(50)의 높이 변화에 따른 혼합가스 유속 분포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혼합가스분포판(50)의 좌측단 근방과 우측단 근방에 각각 한 쌍의 고정용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용 관통공의 개수는 반드시 각 단부에 한 쌍씩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 단부에 하나 이상의의 개수로 실시예에 따라 적정 개수 통공되면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공기주입구 15 : 곡선면
20 : 가스공급수단 25 : 대경사면
30 : 정류판 35 : 돌출면
36 : 정점 45 : 협소로
46 : 혼합가스유입방향 48 : 혼합가스선회방향
50 : 혼합가스분포판 52 : 혼합가스토출공-소
53 : 혼합가스토출량 54 : 혼합가스토출공-중
55 : 혼합가스토출량 56 : 혼합가스토출공-대
57 : 혼합가스토출량 59 : 혼합가스토출량
80 : 송풍기 90 : 가스공급관
100 : 혼합기 200 : 표면연소버너
300 : 열교환기 400 : 상부진공실
500 : 하부수관부 600 : 폐열회수동체
1000 : 가스보일러 시스템

Claims (6)

  1. 연소용 공기와 연료가스가 혼합되도록 사용되는 가스보일러용 혼합기에 있어서,
    송풍기를 통과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도록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주입구;
    상기 내부로 상기 연료가스가 공급되도록 일면에 결합되는 가스공급수단; 및
    상기 가스공급수단이 결합되는 면 이외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연소용 공기 및 상기 연료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구의 상기 내부 방향 주변에 전체 면적에 걸쳐 타공이 형성되는 정류판이 구비되며,
    상기 연소용 공기는,
    상기 정류판을 통과한 후,
    상기 가스공급수단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수단은,
    파이프형 또는 중공 원통형으로서,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가스분사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는,
    상기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면에 대향하는 면 중 상기 공기주입구와 마주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모서리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된 모서리 부근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부를 가로지르는 대경사면; 및
    상기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면 중 상기 공기주입구의 하방에 상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그 정점에서부터 하방은 상기 대경사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돌출면;이 구비되고,
    상기 대경사면 중 하단 부근과 그에 대향되는 상기 돌출면에 의하여 상기 혼합가스의 유동 단면적이 좁아지는 협소로;가 형성되며,
    상기 혼합가스는,
    상기 협소로를 통과한 후 상기 대향된 모서리에 부딪힘으로써,
    유동방향이 뒤바뀐 회절류를 이룬 후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된 모서리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는 중간에,
    상기 회절류가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혼합가스분포판이 포함되며,
    상기 복수의 통공 각각의 직경은 상기 혼합가스분포판의 하방에서 상방에 이르는 방향으로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기.
  6.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및 가스가 혼합되는 혼합모듈,
    상기 혼합모듈로부터 혼합된 공기 및 가스를 공급받아 연소되는 연소모듈 및 상기 연소모듈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이 열교환기를 거친 이후 일부 열을 회수하는 폐열회수동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혼합모듈은 상기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 시스템.

KR1020190160852A 2019-12-05 2019-12-05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KR10238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52A KR102387283B1 (ko) 2019-12-05 2019-12-05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52A KR102387283B1 (ko) 2019-12-05 2019-12-05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50A true KR20210070750A (ko) 2021-06-15
KR102387283B1 KR102387283B1 (ko) 2022-04-18

Family

ID=7641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52A KR102387283B1 (ko) 2019-12-05 2019-12-05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2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001B1 (ko) 1998-03-10 2001-04-02 구자홍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JP2002228119A (ja) * 2001-01-30 2002-08-14 Noritz Corp ガス燃焼装置
JP2003035402A (ja) * 2001-07-23 2003-02-07 Paloma Ind Ltd 全一次空気式バーナ
JP2004354001A (ja) * 2003-05-30 2004-12-16 Dynic Corp 吸排気装置
KR20170102793A (ko) * 2015-01-08 2017-09-12 칭화 유니버시티 가스-증기 복합 사이클 집중형 열 공급 장치 및 열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001B1 (ko) 1998-03-10 2001-04-02 구자홍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JP2002228119A (ja) * 2001-01-30 2002-08-14 Noritz Corp ガス燃焼装置
JP2003035402A (ja) * 2001-07-23 2003-02-07 Paloma Ind Ltd 全一次空気式バーナ
JP2004354001A (ja) * 2003-05-30 2004-12-16 Dynic Corp 吸排気装置
KR20170102793A (ko) * 2015-01-08 2017-09-12 칭화 유니버시티 가스-증기 복합 사이클 집중형 열 공급 장치 및 열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283B1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2093B2 (en) Fuel/air mixture and combus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e in a fuel-fired heating apparatus
US6050809A (en) Immersion tube burner with improved flame stability
KR101818822B1 (ko) 공기 주입식 가스버너
KR101956541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102387283B1 (ko) 가스보일러 시스템 및 혼합기
KR100242970B1 (ko) 가스보일러용 예혼합버너
KR101908318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KR20090090697A (ko) 연료 혼합판을 구비한 버너
KR200342827Y1 (ko) 미분탄 혼합장치
RU2000128735A (ru) Горелка для жидкотопливных аппаратов сжигания
JP2019203657A (ja) 燃焼装置
KR102288622B1 (ko)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US10900664B2 (en) Fuel gas nozzle
JP2002286207A (ja) バー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加熱装置
KR100592843B1 (ko) 가스용 버너기기의 예혼합구조
JPH06147427A (ja) 給湯用燃焼器
GB2608455A (en) A burner
JP3081283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WO2018042599A1 (ja) 燃焼装置
KR20210001142A (ko) 기화식 열풍기 버너
KR0135813Y1 (ko) 오일연소기의 기화기
JP3100362B2 (ja) 噴霧燃焼式バーナ
JP2000121043A (ja) 燃焼装置
JP2011145027A (ja) ガスバーナユニット及び燃焼機器
KR20040091263A (ko) 분젠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