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626A -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626A
KR20210070626A KR1020190160605A KR20190160605A KR20210070626A KR 20210070626 A KR20210070626 A KR 20210070626A KR 1020190160605 A KR1020190160605 A KR 1020190160605A KR 20190160605 A KR20190160605 A KR 20190160605A KR 20210070626 A KR20210070626 A KR 2021007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beam
bonding
reinforced concrete
vertical
concret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125B1 (ko
Inventor
황기수
강신량
Original Assignee
(주)한국건설공법
강신량
황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건설공법, 강신량, 황기수 filed Critical (주)한국건설공법
Priority to KR102019016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선조립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과 합성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패널존 접합브라켓의 변형을 억제하고 안정된 접합을 이루며, 작업자의 체결 작업의 용이성과 함께 별도의 접합 검증이 불필요한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는,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선조립되어 상기 합성보에 연결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은, +자형 판상 구조를 갖고 각기 단부에 다수의 강접합용 하부볼트홀을 갖는 하부연결판과, 하부연결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 배치되고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자형으로 접합되어지고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강접합용 상부볼트홀을 갖는 상부연결판, 상부연결판과 하부연결판의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단부간에 접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강접합용 수직볼트홀을 갖는 수직연결판과, 하단은 수직연결판과 하부연결판이 만나는 모서리에 접합되고 상단은 상부연결판의 하면 중앙부에 접합되어 원형 배열된 복수의 연결판 보강사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Joint structure of filled composite beam and reinforced concrete column using core diaphragm}
본 발명은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선조립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과 합성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패널존 접합브라켓의 변형을 억제하고 안정된 접합을 이루며, 작업자의 체결 작업의 용이성과 함께 별도의 접합 검증이 불필요한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C구조는 값싸고 압축내력이 강한 콘크리트와 값은 비싸지만 인장내력이 탁월한 철근을 배근하여 합성내력을 발휘하게 하는 합리적인 구조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RC구조는 유동성이 있는 콘크리트를 담아주는 거푸집과 동바리의 제작, 탈형비용(脫型費用)이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콘크리트의 표준양생 기간이 28일이므로 공사기간 단축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철구공장에서 철근을 선조립하여(철근선조립 공법) 공사 중 자립하게 함으로 인하여 거푸집 존치 기간을 최소화하고 제작비도 대폭 절감되었고, 철근가공조립의 현장작업이 줄어들어 성공적 정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철근 선조립공법에서 합성보를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연결시키기 위해 접합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접합구조는 철근선조립시 설치가 용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합성보와의 접합도 용이해야 한다. 또한 접합부의 안전성도 검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33693호로서,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PSRC)과 철골보의 내진접합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기둥강재들 중 +자형 강접보를 구성하는 4개의 보 각각의 좌우에 배열한 4쌍의 수직방향의 ㄱ형강들 사이에 수평으로 각각 1개씩 도합 4개의 보 안장쇠를 용접하고 그 위에 +자형 강접보를 올려 접합시켜 놓은 구조이다. 따라서 패널존에서 기둥과 보가 서로 간섭 없이 연속되는 이상적인 내진접합 프레임이 형성되고, 보 안장쇠에 +자형 강접보를 얹어놓고 최소한의 볼트조임이나 용접만으로도 손쉬운 내진접합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의 내진접합구조에서 +자형 강접보는 각기 보가 U자형 채널 단면을 가지고 +자 모서리에 각기 용접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용접 불량의 발생소지가 커지게 되고, 전체적인 중량 감소에 한계가 있으며, 알려진 I형 접합 구조를 가질 수 없어 접합부에 대한 별도의 검증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33693호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선조립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과 합성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패널존 접합브라켓의 변형을 억제하고 안정된 접합을 이루며, 작업자의 체결 작업의 용이성과 함께 별도의 접합 검증이 불필요한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는,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선조립되어 상기 합성보에 연결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은, +자형 판상 구조를 갖고 각기 단부에 다수의 강접합용 하부볼트홀을 갖는 하부연결판과, 하부연결판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 배치되고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자형으로 접합되어지고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강접합용 상부볼트홀을 갖는 상부연결판, 상부연결판과 하부연결판의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단부간에 접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강접합용 수직볼트홀을 갖는 수직연결판과, 하단은 수직연결판과 하부연결판이 만나는 모서리에 접합되고 상단은 상부연결판의 하면 중앙부에 접합되어 원형 배열된 복수의 연결판 보강사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와;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측 수직연결판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와, 일단이 단부보강수직재의 상단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내부 하부측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형 구조를 이루는 단부보강사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와;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측 수직연결판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와, 일단이 단부보강수직재에 상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내부 하부측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단부보강사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와;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측 수직연결판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221)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와, 일단이 단부수직재의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내부 4군데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X형 구조를 이루는 단부보강사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에는 휨내력의 증대과 좌굴 억제를 위해 정모멘트구간에 박스형 합성보 본체의 내부 바닥측으로 일정 두께의 합성보 보강판이 더 접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중간보와의 강접합을 위해 중공형 사각단면으로 돌출 형성시킨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가 더 접합 설치되되,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에는 내부 중앙에 수직되어 접합된 플랜지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에 대칭으로 기울어져 접합된 보강사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에 따르면, 합성보의 단부와 패널존 접합브라켓의 단부는 I형 접합이므로 작업자는 작업이 친숙하여 체결의 용이성이 제공된다. 또한 합성보를 지지하게 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은 단부의 I형 구조와 연결판 보강사재에 의한 트러스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직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저항하는 안정된 조인트 구조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패널존 접합브라켓은 트러스 구조를 갖기 때문에 경량을 줄이면서 강성을 발휘하는 경제적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합성보측에 중간보가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를 통해 연결 설치될 때,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에는 플랜지 수직부재와 보강사재가 부설되어져 있어 중간보가 안정되게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상태도.
도 2a는 도 1에 적용된 패널존 접합브라켓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3a는 도 1에 적용된 합성보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X-X선에서 본 단면도.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합성보에서 중간보가 연결되는 부분의 정면도.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합성보측 단부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존 접합브라켓과 충전형 합성보간의 연결전 상태도.
도 5b는 도 5a에서 패널존 접합브라켓과 충전형 합성보간의 연결부 확대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합성보에서 중간보 접합부의 변형된 예시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중간보 접합부의 정면도.
도 6c는 도 6b의 Y-Y선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은 합성보(20)와 철근콘크리트 기둥(30)의 접합 구조에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이 사용된다.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철근콘크리트 기둥(30)의 철근 선조립체(32)에 선조립되어 합성보(20)에 연결된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강재로 제작된다.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자형 판상 구조를 갖고 각기 단부에 다수의 강접합용 하부볼트홀(411)을 갖는 하부연결판(41)과, 하부연결판(4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 배치되고 +자형 판상 구조를 갖고 각기 단부에 다수의 강접합용 상부볼트홀(421)을 갖는 상부연결판(42), 상부연결판(42)과 하부연결판(41)의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단부간에 접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강접합용 수직볼트홀(431)을 갖는 수직연결판(43)과, 하단은 수직연결판(43)과 하부연결판(41)이 만나는 모서리에 접합되고 상단은 상부연결판(42)의 하면 중앙부에 접합되어 원형 배열된 복수의 연결판 보강사재(44)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연결판(42)은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자형으로 접합되어져 있으나, 하부연결판(41)도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자형으로 접합되어져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물론 하부연결판(41)과 상부연결판(42)을 모두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자형으로 접합되어져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같이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하부연결판(41)과 상부연결판(42)이 판상 구조를 가져 합성보(20)의 단부와 강접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강접합구조란 주지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5,6,7)와 볼트와의 체결 결합을 통한 접합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연결판 보강사재(44)는 수직연결판(43)과 트러스 구조를 이루어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의 변형을 억제하고 안정된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의전체적인 강성을 높여 합성보(20)와의 안정된 연결구조를 갖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의 (c),(d)와 같이 일 형태의 합성보(20)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21)가 구비된다. 또한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양단부에는 패널존 접합브라켓(40)측 수직연결판(43)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221)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22)와, 일단이 단부보강수직재(22)의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4군데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X형 구조를 이루는 단부보강사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같이 합성보(20)는 단부보강수직재(22)가 설치되어 있어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패널존 접합브라켓(40)과 I자형 접합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체결작업이 친숙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I자형 접합구조는 철골 접합구조에서 이미 검증된 접합구조임으로 접합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단부보강사재(23)는 X형 구조로 단부보강수직재(22)에 접합되어져 있어 단부보강수직재(22)의 휨 강성을 높여 접합 성능을 향상시킨다.
한편, 합성보(20)는 변형된 형태로서 도 4의 (a)와 같이 단부보강사재(23)의 일단을 단부보강수직재(22)의 상단에 접합시키고 단부보강사재(23)의 타단을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하부측 모서리에 각기 접합시켜 ∧형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합성보(20)는 변형된 형태로서, 도 4의 (b)와 같이 단부보강사재(23)의 일단을 단부보강수직재(22)에 상단에서 일정 거리(G) 이격된 위치에 접합시키고 타단을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하부측 모서리에 각기 접합시켜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합성보(20)에는 휨내력의 증대과 좌굴 억제를 위해 정모멘트구간(+L)에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바닥측으로 일정 두께의 합성보 보강판(25)이 더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합성보 보강판(25)의 두께는 합성보(20)의 강판 두께보다 같거나 크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합성보(20)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중간보(200)와의 강접합을 위해 중공형 사각단면으로 돌출 형성시킨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가 더 접합 설치된다. 이때,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에는 내부 중앙에 수직되어 접합된 플랜지 수직부재(271)와 수직부재(271)에 대칭으로 기울어져 접합된 보강사재(272)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간보(200)는 '작은보'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공장에서 철근 콘크리트 기둥(30)의 철근 선조립체(32)에 조립되어진다.
이후, 철근 콘크리트 기둥(30)의 철근 선조립체(32)가 현장의 주각부에 세워진 후, 합성보(20)가 패널존 접합브라켓(40)에 강접합되어 연결된다. 이때 도 5b와 같이 합성보(20)의 단부가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의 단부에 접하여진 후 볼트로 강접합되어져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합성보(20)의 단부와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의 단부는 I형 접합이므로 작업자는 작업이 친숙하여 체결의 용이성이 제공된다. 또한 합성보(20)를 지지하게 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단부의 I형 구조와 연결판 보강사재(44)에 의한 트러스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직응력 및 비틀림 응력에 저항하는 안정된 조인트 구조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합성보(20)측에 중간보(200)가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를 통해 연결 설치된다. 이 경우에도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에는 플랜지 수직부재(271)와 보강사재(272)가 부설되어져 있어 중간보(200)가 안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중간보(200)와의 강접합을 위해 중공형 사각단면으로 돌출 형성시킨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가 더 접합 설치되되,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의 내부 영역에는 철근(210)의 배근 및 콘크리트의 연속충진을 위해 합성보(20)를 관통하는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는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의 사각단면에 해당하는 면적을 갖거나 본 실시 예와 같이 단면손실을 최소하면서 철근(210)의 배근 및 중간보연속성을 감안하여 이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같이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에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가 형성됨으로써 철근(210)의 배근 및 콘크리트의 연속충진이 가능해져 연속보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때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의 안쪽 상부에 위치되어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에 접합된 보강앵글(2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보강앵글(220)은 본 실시 예에서 L형강을 사용하였으나 ㄷ형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과 27)의 사이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211)에 접합되어 있는 상부보강철판(2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보강앵글(220)과 상부보강철판(230)이 설치됨으로써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가 더욱 보강되어져 안정된 연속보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합성보
21: 박스형 합성보 본체
22: 단부보강수직재
23: 단부보강사재
25: 합성보 보강판
27: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
30: 철근콘크리트 기둥
40: 패널존 접합브라켓
200: 중간보
207: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
220: 보강앵글
230: 상부보강철판

Claims (8)

  1. 합성보(20)와 철근콘크리트 기둥(30)의 접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둥(30)에 선조립되어 상기 합성보(20)에 연결되는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40)은,
    +자형 판상 구조를 갖고 각기 단부에 다수의 강접합용 하부볼트홀(411)을 갖는 하부연결판(41)과, 하부연결판(4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 배치되고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자형으로 접합되어지고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강접합용 상부볼트홀(421)을 갖는 상부연결판(42), 상부연결판(42)과 하부연결판(41)의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단부간에 접합되고 일정 간격을 두고 강접합용 수직볼트홀(431)을 갖는 수직연결판(43)과, 하단은 수직연결판(43)과 하부연결판(41)이 만나는 모서리에 접합되고 상단은 상부연결판(42)의 하면 중앙부에 접합되어 원형 배열된 복수의 연결판 보강사재(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20)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와;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양단부에는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40)측 수직연결판(43)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221)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22)와, 일단이 단부보강수직재(22)의 상단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하부측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형 구조를 이루는 단부보강사재(2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20)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와;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양단부에는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40)측 수직연결판(43)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221)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22)와, 일단이 단부보강수직재(22)에 상단에서 일정 거리(G) 이격된 위치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하부측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단부보강사재(2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20)는
    강재로 제작되어져 중공형 사각단면과 일정 길이를 갖고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211)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의 각기 단부에 강접합을 위한 본체측 볼트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와;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양단부에는 상기 패널존 접합브라켓(40)측 수직연결판(43)과 강접합되어지도록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마다 강접합용 수직볼트홀(221)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보강수직재(22)와, 일단이 단부수직재(22)의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4군데 모서리에 각기 접합되어 X형 구조를 이루는 단부보강사재(2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5.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보(20)에는 휨내력의 증대과 좌굴 억제를 위해 정모멘트구간(+L)에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의 내부 바닥측으로 일정 두께의 합성보 보강판(25)이 더 접합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중간보(200)와의 강접합을 위해 중공형 사각단면으로 돌출 형성시킨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가 더 접합 설치되되,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에는 내부 중앙에 수직되어 접합된 플랜지 수직부재(271)와 수직부재(271)에 대칭으로 기울어져 접합된 보강사재(272)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중간보(200)와의 강접합을 위해 중공형 사각단면으로 돌출 형성시킨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가 더 접합 설치되되,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의 내부 영역에는 철근(210)의 배근 및 콘크리트의 연속충진을 위해 합성보(20)를 관통하는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배근 및 중간보연속용 개구부(207)의 안쪽 상부에 위치되어 박스형 합성보 본체(21)에 접합된 보강앵글(220)이 설치되고, 중간보 단부연결용 사각플랜지(27과 27)의 사이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용 개구부(211)에 접합되어 있는 상부보강철판(230)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KR1020190160605A 2019-12-05 2019-12-05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KR10229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05A KR102296125B1 (ko) 2019-12-05 2019-12-05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05A KR102296125B1 (ko) 2019-12-05 2019-12-05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26A true KR20210070626A (ko) 2021-06-15
KR102296125B1 KR102296125B1 (ko) 2021-08-31

Family

ID=7641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05A KR102296125B1 (ko) 2019-12-05 2019-12-05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1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824A (ja) * 1993-05-19 1994-11-22 Kajima Corp 柱・梁接合部
KR20040043202A (ko) * 2002-11-16 2004-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KR100787133B1 (ko) * 2007-02-15 2007-12-21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용 조립식 박스형 철골보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233693B1 (ko) 2011-08-11 2013-02-18 이창남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psrc)과 철골보의 내진접합구조
KR101661542B1 (ko) * 2015-12-17 2016-10-06 (주)씨지스플랜 리브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2824A (ja) * 1993-05-19 1994-11-22 Kajima Corp 柱・梁接合部
KR20040043202A (ko) * 2002-11-16 2004-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철근콘크리트 기둥 및 철골 보의 접합부
KR100787133B1 (ko) * 2007-02-15 2007-12-21 주식회사 하모니구조엔지니어링 콘크리트 충전용 조립식 박스형 철골보 및 이의 설치구조
KR101233693B1 (ko) 2011-08-11 2013-02-18 이창남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psrc)과 철골보의 내진접합구조
KR101661542B1 (ko) * 2015-12-17 2016-10-06 (주)씨지스플랜 리브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125B1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WO2006080677A1 (en) Tsc beam formed with bottle neck top flange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20090093561A (ko) 무거푸집 기둥과 tsc 합성보의 접합부 연결구조 및 그시공방법
JP5124146B2 (ja) 制震建物
JP2002070326A (ja) 鉄骨構造材の補強構造
KR102217178B1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JP6446593B1 (ja) ノンブレース鉄骨造建物その構築方法および柱脚ユニット
KR101661542B1 (ko) 리브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102298544B1 (ko)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2122889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296125B1 (ko) 중공형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충전형 합성보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접합구조
KR102037633B1 (ko) W형 합성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2149128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JP3327184B2 (ja) 鋼管構造または充填型鋼管コンクリート構造の柱とsrc構造のはりとの柱・はり接合部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101951404B1 (ko) 단면증설형 내진보강구조체
JP2566701Y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構造
KR102474490B1 (ko) 기둥-보 보강접합부를 갖는 철골구조
KR20200145183A (ko) 구조 보강 및 내진성 향상을 위한 철골 기둥구조
KR101327916B1 (ko) 복합 벽체거더용 중간격막프레임, 이를 이용한 복합 벽체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2000291289A (ja) 耐震部材の接合構造
KR102641227B1 (ko) H형강 및 절곡강판을 이용한 선조립 src기둥용 조립체
KR102101580B1 (ko) 더블 ㄷ형강 접합체결구를 이용한 철근 선조립 기둥
KR20180120971A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