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579A - 방화 도어 - Google Patents

방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579A
KR20210070579A KR1020190160479A KR20190160479A KR20210070579A KR 20210070579 A KR20210070579 A KR 20210070579A KR 1020190160479 A KR1020190160479 A KR 1020190160479A KR 20190160479 A KR20190160479 A KR 20190160479A KR 20210070579 A KR20210070579 A KR 2021007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resin
fire resistant
resista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수
이석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6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579A/ko
Publication of KR2021007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foam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화성능뿐만 아니라 단열/결로 성능이 우수한 방화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 도어{Fireproof door}
본 발명은 방화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화성능뿐만 아니라 단열/결로 성능이 우수한 방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국토교통부령 제548호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건축물에 있어 방화구획으로 구분되는 공간에 반드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공동주택 대피 공간 법규가 강화되면서 방화문의 단열성능 기준이 강화되었다.
통상 금속 파넨의 현관 도어는 내화성이 우수하나, 단열성이 부족하고, 단열도어는 단열성이 우수하나, 방화성이 취약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화 도어(10, 20)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 도어(10)는 도어부 및 문틀부를 포함하며, 도어부는 본체(11) 및 표면재(12)를 포함하고, 문틀부(14)와 도어부 사이에는 내화 고무 실러(13)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1)는 단열재 심재를 포함하고, 표면재(12)는 철재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방화 도어(10)는 내화성능을 우수한 반면에 단열/결로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방화 도어(20)는 도어부 및 문틀부를 포함하며, 도어부는 본체(21) 및 금속 재질의 표면재(22)를 포함하고, 문틀부는 심재(24) 및 금속 재질의 표면재(23)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부 및 문틀부는 각각 타공부(25, 26, 27)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방화 도어(20)는 도어부와 문틀부에 타공부(25, 26, 27)가 마련됨으로써,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로를 줄일 수 있어서, 단열/결로 성능이 향상되는 반면, 타공부를 통해 침투한 불이 본체(21)를 손상시키게 되어 내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화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결로 성능이 우수한 방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유기 보드를 포함하는 도어부 본체, 상기 도어부 본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표면재,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상기 도어부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제1 내화 부재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어부 및 도어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마련된 문틀부를 포함하며, 도어부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유기 보드를 포함하는 도어부 본체, 상기 도어부 본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표면재,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상기 도어부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1 내화 부재를 포함하며, 문틀부는, 제2 내화부재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내화부재는 각각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화 도어에 따르면, 내화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결로 성능이 우수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방화 도어를 나타내는 개략도들이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화 도어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도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화 도어(10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화 도어(100)는 도어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부(200)는 도어부 본체(210), 제1 표면재(220), 및 제1 내화부재(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화 도어(100)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유기 보드를 포함하는 도어부 본체(210), 상기 도어부 본체(210)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표면재(2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화 도어(100)는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상기 도어부 본체(2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제1 내화 부재(230)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표면재(220)는 접착 등의 방식을 통해 도어부 본체(210)의 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본체(210)는 제1 면과 제2 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가 제1 내화부재(230)에 의해 둘러 쌓일 수 있다. 즉, 도어부 본체(210)의 제1 면과 제2 면에는 각각 제1 표면재(220)가 마련되고, 제1 면과 제2 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가장자리)는 제1 내화부재(230)에 의해 둘러 쌓여 보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어부 본체(210)는 화재 발생 시, 화염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내화부재(230)는 접착 등의 방식을 통해 도어부 본체(210)의 가장자리에 접합될 수 있다. 제1 내화부재(230)는 도어부 본체(210)의 가장자리에 접합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와 차폐부는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차폐부는 베이스부의 중앙부가 아닌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 본체(210)는 유기 보드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부 본체(210)는, 유기보드 일면에 접합된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보드는 발포 폼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 폼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보드는 비용 측면 및 단열성을 고려해볼 때, 바람직하게 페놀을 포함하는 발포 페놀 폼(PF-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층은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층은 무기 보드(200)는 변형 글라스울 또는 변형 미네랄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 본체(210)는 유기 보드와 무기층을 접합시키는 접착제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소재로는, 유기 보드와 무기층에 접착력이 우수한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또는 실리콘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보드가 PF-Board이고, 무기층이 변형 미네랄 울인 경우, 상기 접착제층은 상온 경화형 타입의 우레탄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화부재(230)는, 연속 섬유 60 내지 80 중량% 및 수지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화부재(230)는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수지 복합재이며, 인발 성형된 섬유-수지 복합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불포화에스터계 수지, 바이닐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화부재(230)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231, 23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화부재(230)에서, 베이스부와 차폐부는 각각 중공부(232, 23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231, 232)에는 제1 내화부재(230)와 다른 재질의 충진재(2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240)는 방화문 또는 방화 도어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화차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화부재(230)는 연속 섬유 및 수지의 합을 100 중량부로 기준하여, 추가로 첨가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화부재(230)는, 열전달 계수가 0.25 ~ 0.3 W/mK 일 수 있고, 제1 내화부재(230)는, 0도 굴곡 강성이 30 ~ 50 GPa일 수 있으며, 제1 내화부재(230)는 90도 굴곡강성이 10~15G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방화 도어(100)는 도어부(200) 및 닫힘 상태에서, 도어부(200)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마련된 문틀부(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200)는 도어부 본체(210), 제1 표면재(220), 및 제1 내화부재(230)를 포함한다.
또한, 문틀부(300)는, 제2 내화부재(33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내화부재(230, 240)는 각각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한다.
또한, 문틀부(300)는 제2 내화부재(330) 일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2 표면재(310 또는 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화부재(330) 양면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금속재질의 제2 표면재(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면재(310, 320)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제2 내화부재(330)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내화부재(330)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331, 332, 333)를 갖고, 상기 중공부(331, 332, 333)에는 제2 내화부재(330)와 다른 재질의 충진재(340)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340)는 방화문 또는 방화 도어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화차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화 도어(100)는 도어부(200) 및 문틀부(300) 중 하나에 마련된 내화 가스켓(11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내화 가스켓(110)은 도어부의 닫힘 상태에서, 도어부(200) 및 문틀부(300)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2 내화부재(330)는, 각각 연속 섬유 60 내지 80 중량% 및 수지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한다. 제2 내화부재(330)는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수지 복합재이며, 인발 성형된 섬유-수지 복합재일 수 있다.
또한, 제2 내화부재(330)는, 열전달 계수가 0.25 ~ 0.3 W/mK 일 수 있고, 제2 내화부재(330)는, 0도 굴곡 강성이 30 ~ 50 GPa일 수 있으며, 제2 내화부재(330)는 90도 굴곡강성이 10~15GPa일 수 있다.
상기 연속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불포화에스터계 수지, 바이닐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방화 도어(100)를 구성하는, 제1 내화 부재(230), 후술할 제2 내화 부재(330)는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제1 및 제2 내화부재(230, 330)와 같은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하나 이상의 크릴(creel)에 위치된 연속 섬유를 준비한다.
크릴은 섬유를 감은 콘이나 보빈을 끼우는 틀을 의미하며, 본 문서에서, 크릴의 형상,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섬유-수지 복합재의 인발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섬유는 연속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단섬유 또는 장섬유를 이용한 복합재와 비교하여, 연속 섬유를 이용한 복합재의 경우 섬유가 일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필러 또는 보강재로 작용하여,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연속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섬유의 경우 일반적으로 2400 내지 4400 tex로 이루어진 섬유를 사용하며, 섬유의 직경은 15 내지 20um의 범위이며, 실란계 사이징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에 창호에 적용된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경우 포함되는 섬유가 단섬유 형태인데 반하여, 본 출원의 경우 포함되는 섬유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끊어지지 않는 형태의 연속 섬유이다.
그리고, 크릴로부터 제공된 연속 섬유를 소정의 예비 가열 온도 범위로 예비 가열한다.
예비 가열을 통하여, 섬유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후공정인 가이딩시 보다 섬유가 잘 펼쳐질 수 있으며, 금형에서 용이한 성형을 위하여, 미리 예열하는 과정이다.
예비 가열 온도는 40도 내지 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40도 보다 낮을 경우 섬유 내 수분을 건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으며, 60도를 초과하는 경우 섬유를 가열/건조하게 되는 경우 섬유의 팽윤 현상으로 가이딩에 어려움이 있을뿐더러 수지 주입 금형 내 들어가는 섬유의 온도가 올라감으로써, 경화거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습도는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60%를 초과하는 경우, 섬유가 그 표면에 습기가 존재하는 형태로 수지와 만나기 때문에, 수지가 경화될 때, 기포가 발생되거나 젖음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비 가열하는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예비 가열된 연속 섬유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딩 장치를 통과시킨다.
가이딩 장치는 일반적으로 섬유를 평평하게 펼쳐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 가이딩 장치는 이러한 역할 뿐만 아니라, 섬유가 제품 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즉, 복잡한 형상의 제품의 경우 성형 금형 역시 복잡하다. 이 때, 단순히 섬유를 펼쳐주는 작업뿐만 아니라, 섬유가 위치되어야 할 부분을 미리 선정하여 섬유가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전술한 섬유가 위치되어야 하는 포지션을 미리 선정하는 방법은 설계된 금형에 따라 미리 설계된 방법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속한 어떠한 방법일 수 있다.
그리고, 가이딩 장치를 통과한 연속 섬유를 수지 주입 금형으로 유도하고, 수지를 주입하여, 섬유-수지 복합재를 형성한다.
가이딩 장치를 통과하여, 미리 설계된 위치로 이동된 섬유를 수지 주입 금형으로 유도하고, 수지를 주입한다.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불포화에스터계 수지, 바이닐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주입 금형의 온도는 4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경화 거동이 발생되지 않고 수지를 후 공정인 성형 금형으로 흘려 보내주어야 하기 때문에, 온도를 40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금형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열 패드 등 열전도를 차단해주는 매질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를 섬유에 주입 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인을 이용하여, 주입할 수 있다. 라인이 복수인 경우 라인과 연통되는 주입 물질 보관장소 역시 복수일 수 있다.
수지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인에 의하여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빠른 속도로 수지를 주입할 수 있으며, 전체 공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2액형으로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되어야 할 물질이 복수의 경우에는 각각 보관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기간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촉매제 또는 보강재 등을 첨가하기 용이하다.
여기서, 혼합/주입 공정을 통해 들어오는 수지 내 잔류 수분/기포를 제거해줄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잔류 수분 또는 기포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로서, 탈포 장치 또는 진공 압력 장치 등일 수 있다.
이 후, 온도 구배가 있는 복수의 금형을 이용하여, 섬유-수지 복합재를 성형할 수 있다.
섬유-수지 복합재를 소정의 제 1 온도 범위를 갖는 제 1 성형 금형으로 유도하여, 섬유-수지 복합재를 제 1 가열한다. 제 1 온도 범위는 5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수지 복합재를 제 1 온도 범위 초과의 제 2 온도 범위를 갖는 제 2 성형 금형으로 유도하여, 섬유-수지 복합재를 제 2 가열한다. 제 2 온도 범위는 140도 내지 1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수지 복합재를 제 2 온도 범위 초과의 제 3 온도 범위를 갖는 제 3 성형 금형으로 유도하여, 성형재를 형성한다. 제 3 온도 범위는 160도 내지 20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 금형의 경우 3구간으로 나누어서 온도구배를 적용할 수 있다. 제 1 구간은 제 1 가열 단계로서, 상대적으로 짧으며, 경화 거동이 일어나면 안되기 때문에 50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구간은 제 2 가열 단계로서, 경화 거동의 초기 유도를 위해서, 140도 내지 160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구간은 성형재를 형성하는 구간으로서 최고 경화속도를 유도하기 위하여, 160도 내지 200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성형재를 제 3 온도 범위 미만의 소정의 냉각 온도 범위를 갖는 냉각 금형으로 유도하여, 성형재를 냉각한다. 냉각 단계는 선택적 단계일 수 있다. 소정의 냉각 온도 범위는 60도(℃) 내지 12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금형은 전술한 성형 금형 3 구간 이후에 위치하는 것으로 경화가 미진행된 부분의 경화를 완전 경화되도록 유지하는 구간으로 온도는 60도 내지 120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60도 미만인 경우에는 미진행 경화 부분의 경화를 단시간 내 유도할 수 없게 되고, 12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급속 경화가 발생되어 금형 내 부하를 유도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성형재를 금형 외부로 인취한다. 형성된 성형재를 성형 금형 외부로 바로 인취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성형재를 냉각한 후 냉각 금형으로부터 인취할 수 있다.
인발 공정을 통하여, 성형재를 끌어당겨 금형 외부로 인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취된 성형재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제품을 형성한다.
여기서, 형성된 성형재는 연속 섬유 60 내지 80 중량%와 수지 40 내지 2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절한 성분계를 통하여, 우수한 물성의 방화 창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속 섬유 및 수지의 총 중량 합을 100으로 기준하여 첨가제 0.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첨가제는 대표적으로 촉매, 내부이형제 및 필러(보강재)를 포함한다. 첨가제의 경우 수지 (polyol계와 isocyanate계로 나누어짐) 내 polyol에 기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방화 도어
200: 도어부
300: 문틀부

Claims (11)

  1.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유기 보드를 포함하는 도어부 본체;
    상기 도어부 본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표면재;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상기 도어부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제1 내화 부재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내화부재는, 연속 섬유 60 내지 80 중량% 및 수지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불포화에스터계 수지, 바이닐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도어부 본체는, 유기보드 일면에 접합된 무기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화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유기 보드는 발포 폼을 포함하고,
    상기 발포 폼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및 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화 도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글라스울 및 미네랄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화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내화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제1 내화부재와 다른 재질의 충진재가 수용된 방화 도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내화부재는 연속 섬유 및 수지의 합을 100 중량부로 기준하여, 추가로 첨가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8. 도어부; 및 도어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마련된 문틀부를 포함하며,
    도어부는, 제1 면 및 제1 면의 반대방향의 제2 면을 가지며, 유기 보드를 포함하는 도어부 본체;
    상기 도어부 본체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1 표면재;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의 상기 도어부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1 내화 부재를 포함하며,
    문틀부는, 제2 내화부재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내화부재는 각각 연속 섬유 및 수지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내화부재는, 각각 연속 섬유 60 내지 80 중량% 및 수지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 섬유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불포화에스터계 수지, 바이닐에스터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문틀부는 제2 내화부재 일면에 마련된 금속재질의 제2 표면재를 포함하는 방화 도어.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2 내화부재는 하나 이상의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제2 내화부재와 다른 재질의 충진재가 수용된 방화 도어.
KR1020190160479A 2019-12-05 2019-12-05 방화 도어 KR20210070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79A KR20210070579A (ko) 2019-12-05 2019-12-05 방화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79A KR20210070579A (ko) 2019-12-05 2019-12-05 방화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79A true KR20210070579A (ko) 2021-06-15

Family

ID=7641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479A KR20210070579A (ko) 2019-12-05 2019-12-05 방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5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3848B1 (ko) 방화 창호
US11633926B2 (en) Aligned fiber reinforced molding
CN102076475B (zh) 用于制造纤维增强热塑性复合结构的方法和设备
US20080070024A1 (en) Layered fire retardant barrier panel
JP6806155B2 (ja) 複合材料
KR20120090780A (ko) 함침성이 우수한 고강도 복합시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복합시트 제조 방법
WO2014158610A1 (en) A seamless, self-insulated foam duct an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70579A (ko) 방화 도어
KR102504786B1 (ko) 연속 섬유 강화 플라스틱 창호의 제조 방법
EP3000594B1 (en) Nanoparticles for improv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resins
KR20150129512A (ko) Fwp 코어 및 그 제조 방법
JP6790023B2 (ja) 複合材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材
JP2011230321A (ja) 高圧タンクの成型方法
KR20210037122A (ko) 루버용 슬릿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
KR20180050101A (ko) Frp 보호코팅층을 포함하는 액화 가스선 화물창용 단열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7562A (ko) 창호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CN103643403A (zh) 一种纤维增强轻质防火复合材料的制造方法
KR102275118B1 (ko) 고온의 공기로 보조되는 열가소성 섬유강화 복합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102283748B1 (ko) 차열 금속성 방화문의 방화성능을 향상시키는 방화용 방화구조체 및 차열 금속성 방화문의 충진방법
US20150233517A1 (en) Insulating phenolic foam
US20130340878A1 (en) Insul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0370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part made of a thermally insulating composite material and section comprising same
KR102200964B1 (ko) 섬유강화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41749B1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CN216001741U (zh) 可阻燃的保温复合层及复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