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446A -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446A
KR20210070446A KR1020190159905A KR20190159905A KR20210070446A KR 20210070446 A KR20210070446 A KR 20210070446A KR 1020190159905 A KR1020190159905 A KR 1020190159905A KR 20190159905 A KR20190159905 A KR 20190159905A KR 20210070446 A KR20210070446 A KR 20210070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active
liquid composition
quercet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계만
김수철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안의농업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의농업협동조합 filed Critical 안의농업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9015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446A/ko
Publication of KR2021007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인체 흡수형인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루틴과 쿼르세틴의 함량이 현저히 증진되어 있고, 더불어 페놀릭스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강화되어 증진된 항산화 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도 가져서 당뇨 개선 및 비만 개선용 기능성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휴대와 섭취가 편리한 파우치 용기용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iquid violet onion composition containing active ginsenosides and having increased rutin and querceti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체흡수가 용이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휴대와 섭취가 편리한 파우치 용기용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파는 식재료 및 향신 조미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품 중 하나로서, 쿼르세틴(quercetin), 루틴(rut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쿼르세틴(quercetin)은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세포의 산화적 손상 및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며 이를 통해 고혈압의 예방효과도 인정되고 있다. 쿼세틴이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생체내에서 반응성이 강해 세포의 여러 성분을 손상시키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고, 동맥경화와 심장병의 원인인 저밀도 리포단백질 산화(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를 줄이며, 체내 항산화제인 비타민 E(vitamin E)를 보호함과 동시에 재생시키며, 금속이온의 유해작용을 불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틴(rutin)은 비타민 C 연구 중에 발견된 바티민 P(바이오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감자꽃, 엔쥬(중국 산콩)잎, 엔쥬꽃봉오리, 메밀, 덜 익은 과일 등에 함유되어 있는데,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 작용이 있고, 뇌출혈, 방사선 장애, 출혈성 질병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루틴은 혈압을 올라가게 하는 물질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고혈압 및 뇌혈관 장애를 예방하고, 항당뇨 작용이 있어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에도 효과적이다 (등록특허 10-1576209).
따라서 양파나 메일에 함유된 쿼르세틴과 루틴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으나 (등록특허 10-1722451호, 등록특허 10-1576209호),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삼(Ginseng)은 재배환경에 따른 인위적인 성장과 자연적인 성장의 차이와 형태학적 차이 등에 따라 인삼(人蔘), 산삼(山蔘), 또는 산양삼(山羊蔘)으로 구분한다. 특히 산양삼은 오가피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목인 인삼(Panax ginseng)이 산간의 삼림하의 야생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 산삼의 씨앗이나 유삼을 인위적으로 산에서 재배한 것을 말하며 이들을 산양삼이라 한다.
사포닌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트리텔펜과 스테로이드계 배당체 화합물의 총칭이다. 산양삼은 한약처방전에서 천연 자연 산삼 다음으로 효능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나, 알려진 산양삼 관련 가공품들은 인체 흡수형인 활성형 진세노사이드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 흡수형인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증진된 산양삼 가공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개발은 알려진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연구를 지속한 결과, 산양삼을 특정조건의 고온숙성을 거치도록 하여 제조한 활성산양삼 추출액과 자색양파 추출액을 특정 혼합비로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은 인체 흡수가 용이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루틴과 쿼르세틴 함량이 증진되고, 증진된 항산화 활성,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고, 휴대와 먹기가 편리한 파우치 용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산양삼 추출액 5~12 중량% 및 자색양파 추출액 88~95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활성산양삼 추출액>
본 발명에서 활성산양삼 추출액은 산양삼을 증숙하여 고온숙성한 후 추출하고 농축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산양삼은 「산지관리법」제2조 제1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산지에서 차광막 등 인공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생산되는 삼을 칭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3년근에서 5년근 사이 재배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활성산양삼'은 상기와 같은 가공에 의해서 인체 흡수가 용이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의 함량이 증진되고, 생리활성이 증진된 산양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증숙(steaming process)'은 100℃에서 30~60분간 수증기로 찌는 것을 의미한다. 증숙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증숙이 진행되지 않아 숙성과 같은 후속 단계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잡균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60분 초과하여 증숙될 경우는 오랜 열처리로 산양삼의 생리활성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온숙성'은 70~90℃에서 2∼4일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숙성온도가 70℃ 미만이거나 숙성기간이 2일 미만인 경우 숙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숙성온도가 90℃ 초과하거나 숙성기간이 4일 초과의 경우 생산된 생리활성물질이 분해되어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산양삼은 상기와 같은 증숙과 고온숙성을 3회 반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산양삼 추출액'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활성산양삼을 50∼55℃에서 2~3일 건조시킨 후 100 메쉬 이하로 분말화한 후, 활성산양삼 분말에 10∼20배(v/w) 가수하여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에서, 활성산양삼 추출액은 5~12 중량%로 포함되며, 활성산양삼 추출액이 5 중량% 미만으로 첨가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적어 생리활성이 미흡하며, 12 중량% 초과 첨가시 산양삼 원료의 고가로 인해 제품의 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아 인체에 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자색양파 추출액>
본 발명에서 자색양파 추출액은 생 자색양파에 10∼20배(v/w) 가수하여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조성물에서, 자색양파 추출액은 88∼95 중량%로 포함되며, 자색양파 추출액이 88 중량% 미만으로 첨가시 생리활성이 미흡하며, 95 중량% 초과로 첨가시 양파 특유의 향과 맛으로 기호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파우치 용기용 액상 조성물 제조>
활성산양삼 추출액 5~12 중량%와 자색양파 추출액 88~95 중량%을 혼합하여, 파우치형 용기에 충진한다.
본 발명에서 '충진'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은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0.02 mg/ml 이상, F2 0.08 mg/ml 이상, Rg3 0.06 mg/ml 이상, 컴파운드 케이 0.06 mg/ml 이상, 프로토파낙스디올 0.05 mg/ml 이상, 프로토파낙스트리올 0.06 mg/ml 이상으로 강화되고, 루틴을 0.09 mg/ml 이상, 쿼르세틴을 0.51 mg/ml 이상 증진된 함량으로 함유한다 (표 2, 표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은 페놀릭스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강화되어 증진된 항산화 활성을 갖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도 가져서 당뇨 개선 및 비만 개선효과도 현저히 증진된다 (표 4, 도 3a ~ 도 4b).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또는 비만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은 본 발명의 액상 조성물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음료, 젤리, 캡슐 등의 형태의 제품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ⅰ) 산양삼을 100℃에서 30~60분간 증숙과 증숙된 산양삼을 70∼90℃에서 2~4일 고온숙성을 3회 반복하여 활성산양삼을 제조하는 단계;
ⅱ) 활성산양삼을 50∼55℃에서 2~3일 건조시킨 후 100 메쉬 이하로 분말화하고, 10∼20배(v/w) 가수하여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생 자색양파에 10∼20배(v/w) 가수하여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자색양파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ⅳ) 활성산양삼 추출액 5~12 중량%와 자색양파 추출액 88~95 중량%을 혼합하여 파우치형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ⅰ): 활성산양삼 제조
활성삼양삼 추출액 제조공정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산양삼은 3년근의 산양삼을 수세하여 물기를 제거하여 제공한다.
증숙은 100℃에서 30~60분간 수행하며, 통상의 찜기와 같은 증숙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증숙된 산양삼의 고온숙성시 개방용기를 사용하여 수분이 증발되게 하거나, 밀폐용기를 사용하여 수분이 증발되지 않게 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 ⅱ) 활성산양삼 추출액 제조
활성산양삼 추출액의 제조공정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여과는 2 ~ 8 mm 여과필터로 여과하며, 고형분 함량은 0.1% 이상으로 함유된다.
ⅲ) 자색양파 추출액 제조
자색양파 추출액의 제조공정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여과는 2 ~ 8 mm 여과필터로 여과하며, 고형분 함량은 1% 이상으로 함유된다.
iv) 액상 조성물 제조
활성산양삼 추출액 5~12 중량%와 자색양파 추출액 88~95 중량%로 혼합하여 파우치형 용기에 충진한다.
혼합은 상기의 재료들을 교반 혼합기를 사용하여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충진은 스텐드 파우치 충진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계 iv)에서, 과일 농축액, 한약재 농축액, 및/또는 감미료(아스파탐, 스테비아 등)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 된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은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루틴과 쿼르세틴 함량이 증진되고, 페놀릭스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강화되어 증진된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은 인체 흡수형인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루틴과 쿼르세틴의 함량이 현저히 증진되어 있고, 더불어 페놀릭스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강화되어 증진된 항산화 활성,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도 가져서, 당뇨 개선 및 비만 개선용 기능성 식품·의약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형 용기용으로 휴대와 섭취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비하여,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루틴과 쿼르세틴의 함량 현저히 증진된 파우치형 용기용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생산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은 증진된 항산화 활성,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과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을 가져서, 지방생성 억제효과, 체중 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고지혈증개선, 동맥경화 완화, 당뇨병 완화, 혈액순환 개선, 면역력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용기용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제조공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진세노사이드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진세노사이드 표준물질 21종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2b는 비교예 1의 진세노사이드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2c는 비교예 2의 진세노사이드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2d는 실시예의 진세노사이드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고, 도 3b는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고, 도 3c는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고, 도 3d는 FRAP 환원력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소화효소 저해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고, 도 4b는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이들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제조예 1: 활성산양삼 추출액 제조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군 일대에서 3년 이상 재배된 산양삼 10 kg을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완전히 물기를 제거한 후, 5 kg을 찜기통에 담은 후 100℃에서 60분간 증숙하였다. 증숙된 산양삼을 건조 채반에 담아 수분이 증발되게 하면서 75℃에서 3일간 숙성시켰다. 3일간 숙성되어 건조된 산양삼에 다시 무게와 동일한 양의 수분(수분 함량 약 40%)을 가하고 100℃에서 60분간 증숙하고, 75℃에서 3일간 재숙성시켰다. 2회 숙성되어 건조된 산양삼에 다시 무게와 동일한 양의 수분(수분 함량 약 40%)을 가하고 100℃에서 60분간 증숙하고 75℃에서 3일간 마지막 숙성시켜 활성산양삼을 완성하였다 (도 1).
제조된 활성산양삼을 50∼55℃에서 2일 건조시킨 후 분쇄기로 100메쉬 이하로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말 50 g에 10배인 정제수 500 mL을 가하고 100℃에서 8시간 추출하고 8 mm 여과 필터로 여과하여 고형분 함량이 0.1%인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자색양파 추출액 제조
경상남도 함양군 일대에서 재배된 자색양파 10 kg을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완전히 물기를 제거한 후, 20배인 정제수 2,000 mL을 가하고 100℃에서 8시간 추출하고 8mm 여과 필터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고형분 함량이 1% 정도 되게 조정하여 자색양파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양파(흰색 양파)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추출하여 양파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파우치형 용기용 액상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활성산양삼 추출액, 자색양파 추출액 및 양파 추출액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액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배합비율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양파 추출액 (1 브릭스) 100% - -
자색양파 추출액 (1 브릭스) - 100% 95%
활성산양삼 추출액 (0.1 브릭스) - - 5%
상기의 재료들을 교반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였고 스텐드 파우치 충진기를 사용하여 파우치 포장지에 100 ml씩 충진하고 100℃에서 30분간 살균처리하였다.
시험예
제조예 3에서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 비교예 1의 액상 조성물 (양파 추출액만 포함),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 (자색양파 추출액만 포함)의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함량, 루틴과 쿼르세틴 함량, 페놀릭스와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항당뇨 활성과 항비만 활성,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예 1. 진세노사이드 분석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각각에 대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은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조예에서 제조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을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분석은 기능성식품 분석법에 기술된 방법을 변형하여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ress liquid chromatograph)로 분석하였다. 분석 컬럼은 TSKgel ODS-100Z을 사용하여 시료주입량 10 ㎕, 온도는 30℃, 측정파장은 203 nm, 유속은 1.0 ㎖/min으로 하였고 이동상으로는 A용액은 HPLC water, B용액은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이동상 용액은 0분때 A용액 81% : B용액 19%로 흘려주고 15분때에는 A용액 80% : B용액 20%로 흘려주고 40분때 A용액 77% : B용액 23%, 42분때 A용액 70% : B용액 30%, 75분때에 A용액 65% : B용액 35%, 80분때에 A용액 30% : B용액 70%, 90분때에 A용액 10% : B용액 90%로 이동상을 흘려주었다. 그 결과의 HPLC을 각각 도 2b, 2c 및 도 2d에 나타냈고,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함량1) (mg/ml)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Protopanaxtriol nd nd 0.06
Ginsenoside Rd2 nd nd 0.02
Ginsenoside F2 nd nd 0.08
Ginsenoside Rg3 nd nd 0.06
Compound K nd nd 0.12
Protopanaxdiol nd nd 0.05
합계 - - 0.39
1)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음.
2)nd: 검출되지 않음.
도 2b, 2c 및 도 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양파 추출액)과 비교예 2(자색양파 추출액)의 액상 조성물들은 인체 흡수가 용이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지 않았고,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의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유도체 6종이 검출되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인체 흡수가 용이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0.02 mg/ml, F2 0.08 mg/ml, Rg3 0.06 mg/ml, 컴파운드 케이 0.12 mg/ml, 프로토파낙스디올 0.05 mg/ml, 프로토파낙스트리올 0.06 mg/ml으로 강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루틴과 쿼르세틴 함량 분석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각각에 대한 루틴 및 쿼르세틴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제조예에서 제조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을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루틴과 쿼르세틴 함량 분석은 Cho 등(2011)의 분석법을 변형하여 High Press Liquid Chromatogram (HPLC, Agilent 1200 series, Agilent Co., Forest Hill, Vic, Australia)로 분석하였다. 사용한 컬럼은 XBridgeTM C18 (4.6×250 mm, 5 μm, Waters Corp., Milford, MC, USA) 컬럼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용매는 2.0% glacial acetic acid in water (solution A)와 2.0% glacial acetic acid in acetonitrile (solution B)로 분석하였고, 이동상 조건은 solvent B 기준으로 각각 10, 15, 20, 25, 30, 35, 40, 45, 55 및 60 min 동안 15%, 5%, 15%, 5%, 10%, 50%, 50%, 60%, 80% 및 90%로 유지시켰다. 시료는 20 ㎕를 주입하였고 이동상의 속도는 30℃에서 1 ㎖/min로 유지하였고 흡광도 270 nm 파장에서 분석하였다. 분석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루틴 및 쿼르세틴의 함량은 표 3에 나타내었다.
함량1) (mg/mL)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
Rutin 0.03 0.03 0.09
Quercetin 0.37 0.46 0.51
합계 0.4 0.49 0.6
1)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음.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의 루틴 및 쿼르세틴 함량은 각각 0.09 mg/ml과 0.51 mg/ml로 높았으며,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에 비하여 루틴은 각각 3배와 3배, 그리고 쿼르세틴은 각각 1.5배와 1.2배 이상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각각에 대한 총 페놀릭스 및 플라보노이드스 함량은 Folin-Denis 및 Davis법으로 측정하였다.
총 페놀릭스 함량은 액상 조성물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하고 이 희석용액 0.5 ㎖와 2N Folin-Ciocalteu 페놀 반응시약 0.5 ㎖를 시험관에 분주하고 25% Na2CO3 용액 0.5 ㎖를 추가적으로 첨가한 후 30℃에서 1시간 발색반응을 진행하였다. 1시간 후 발색된 청색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갈산을 이용한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그 함량을 산출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스 함량은 액상 조성물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한 조성물 1 ㎖에 디에틸렌글리콜 1 ㎖를 첨가 및 혼합하고 여기에 1N NaOH 용액 0.01 ㎖를 추가하여 37℃의 수욕상에서 1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1시간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루틴을 이용한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그 함량을 산출하여 표 4에 나타냈다.
함량1) (mg/㎖)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총 페놀릭스 0.93 0.97 1.17
총 플라보노이드 0.39 0.41 0.45
1)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에 비하여 수용성 페놀릭스와 수용성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시험예 4. 항산화 활성 분석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각각에 대한 항산화 효과의 지표인 DPPH, ABTS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을 증류수로 1배, 2.5배, 5배 희석한 분석 시료를 각각 0.2 ㎖와 DPPH 용액(1.5×10-4 M) 0.8 ㎖를 혼합하고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키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음성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라디칼 소거활성(%) = [1-(음성대조구 흡광도/실험구 흡광도)]×100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비교예 1의 액상 조성물과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보다 증진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1배 희석 시 76.75%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2-azino-bis의 청색을 띈 라디칼의 감소 정도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물질의 항산화 활성에 의해 ABTS 양이온이 소거되어 청록색 또는 무색으로 탈색되는 원리로서 탈색 반응이 1분 내에 종료되므로 짧은 시간에 측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우선 K2S2O8 시약과 메탄올을 2:1로 섞어 암실에서 16시간 반응시켜 양이온 라디칼을 우선 생성시키고 이를 다시 메탄올로 섞어 732 nm에서 흡광도 수치가 0.8±0.2가 되도록 조절한 ABTS 시약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ABTS 시약 0.9 ㎖에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을 증류수로 10배, 25배, 50배 희석한 분석시료를 각각 0.1 ㎖를 첨가하여 3분간 반응시킨 후 즉시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상기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액상 조성물과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보다 증진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10배 희석 시 65.6%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
하이드록실(˙OH) 라디칼 소거활성은 10 mM FeSO4.7H20-EDTA 0.2 ㎖, 10 mM 2-deoxyribose 0.2 ㎖, 10 mM H2O2 0.2 ㎖, 및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을 증류수로 1배, 2.5배, 5배 희석한 분석 시료 각각 1.4 ㎖를 혼합하고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혼합액에 1% thiobarbituric acid와 2.8% trichloroaceric acid를 각각 1 ㎖를 첨가하여 100℃에서 20분간 가열하여 발색 및 냉각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 실험은 시료 대신에 PBS 완충액(NaCl 8.76 g, NaH2PO4 0.11g, Na2HPO4 0.596g)을 사용하였고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용액의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의 차이를 상기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여, 그 결과를 도 3c에 나타내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액상 조성물과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보다 증진된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1배 희석 시 35.29%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FRAP 환원력>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환원력은 화합물들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Fe3+이온이 Fe2+이온으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흡광도 수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아세테이트 버퍼(30 mM, pH 3.6), TPTZ 시약 (10 mM in 40 mM HCl), 및 FeCl3 용액(20 mM 함유 증류수)을 10:1:1 (v/v/v)의 비율로 혼합하여 FRAP 측정 시약을 조제하여 37℃ 항온기에서 15분간 예비반응시켜 두었다.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을 증류수로 1배, 2.5배, 5배 희석한 분석 시료를 각각 50 ㎕와 FRAP 시약 950 ㎕를 분주하여 37℃에서 15분 반응시키고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d에 나타냈다.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액상 조성물과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보다 증진된 FRAP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1배 희석 시 1.718의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5. 당뇨 개선 및 비만 개선 효과 분석
당뇨 개선 효과 지표인은 지표인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과 비만 개선 효과의 지표인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각각 50 ㎕,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효소(1.0 U/mL) 50 ㎕,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 50 ㎕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예비반응시켰다. 그리고 나서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녹인 p-NPG (5 mM) 100 ㎕를 첨가하여 다시 37℃에서 10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Na2CO3 (100 mM) 0.75 mL를 첨가해 최종 반응을 정지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음성대조구로 증류수를 사용하여 상기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도 4a에 나타내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 보다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1배 희석 시 65.99%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각각 50 ㎕, 리파아제 효소(1.0 U/mL) 50 ㎕, 및 200 m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 6.8) 50 ㎕를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예비반응시켰다. 반응 후 인산나트륨 완충용액에 녹인 p-NPB (5 mM) 100 ㎕를 첨가하여 동일하게 10분간 반응시킨 후 100 mM Na2CO3 0.75 mL를 첨가해 반응을 정지시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구는 시료 대신에 증류수를 취하였으며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의 흡광도 차이를 상기 식에 의해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그 결과를 도 4b에 나타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 보다 훨씬 증진된 췌장-리파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실시예의 액상 조성물은 1배 희석 시 46.08%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시험예 6. 이화학적 특성 분석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액상 조성물의 이화학적 특성은 pH, 산도, 가용성 고형물, 환원당 및 수용성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pH는 pH 미터기(MP 200, UK)로 측정하였고 산도는 0.1 N NaOH를 사용하여 pH 8.2±0.2까지 중화시켰을 시 소요되는 소비량을 젖산양으로 환산하여 %로 표시하였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굴절 당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에 따라 적당히 희석된 각 조성물 0.1 ㎖에 DNS 시약 1 ㎖를 첨가하여 100℃에서 20분 동안 발색시킨 후 급속히 냉각하고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과 비교하였다.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biuret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CuSO4·5H2O (황산구리 5수화물) 1.5 g에 KNaC4H4O6·4H2O (주석산칼륨 나트륨) 6.0 g을 500 ㎖의 증류수에 녹이고 10% NaOH 300 ㎖를 가한 후 최종 부피가 1,000 ㎖가 되게끔 정용하여 biuret 시약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액상 조성물 시료 1 g을 시험관에 취하고 여기에 biuret 시약 4 mL를 첨가 및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이때 음성대조구는 증류수를 취하여 진행하였으며 20분 반응 후 3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등액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단백질 표준곡선(bovine serum albumin)에 의해 산출된 계산식에 따라 수용성 단백질을 정량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석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pH 4.69 4.56 4.65
산도 (%, 젖산 기준) 0.41 0.50 0.39
가용성 고형분 (Brix, %) 10.5 9.0 7.7
환원당 (mg/ml) 68.0 65.8 57.0
수용성 단백질 (mg/ml) 10.55 9.55 8.04
1)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음.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 산도, 가용성 고형물, 환원당 및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모두 유사하였다.

Claims (4)

  1. 활성산양삼 추출액 5~12 중량% 및 자색양파 추출액 88~95 중량%을 포함하는,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로,
    상기 활성산양삼 추출액은 산양삼을 100℃에서 30~60분간 증숙과 증숙된 산양삼을 70∼90℃에서 2~4일 고온숙성을 3회 반복하여 활성산양삼을 제조하고, 활성산양삼을 50∼55℃에서 2~3일 건조시킨 후 100 메쉬 이하로 분말화하여, 10∼20배(v/w) 가수한 후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액상 조성물은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가 0.02 mg/ml 이상, F2가 0.08 mg/ml 이상, Rg3가 0.06 mg/ml 이상, 컴파운드 케이가 0.06 mg/ml 이상, 프로토파낙스디올이 0.05 mg/ml 이상 그리고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0.06 mg/ml 이상으로 강화되고, 루틴을 0.09 mg/ml 이상 그리고 쿼르세틴을 0.51 mg/ml 이상으로 증진된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2. 제 1항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 개선용 기능성 식품.
  3. 제 1항에 따른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기능성 식품.
  4. ⅰ) 산양삼을 100℃에서 30∼60분간 증숙과 증숙된 산양삼을 70∼90℃에서 2~4일 고온숙성을 3회 반복하여 활성산양삼을 제조하는 단계;
    ⅱ) 활성산양삼을 50∼55℃에서 2~3일 건조시킨 후 100 메쉬 이하로 분말화하고, 10∼20배(v/w) 가수하여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생 자색양파에 10∼20배(v/w) 가수하여 80∼100℃에서 5∼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자색양파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ⅳ) 활성산양삼 추출액 5∼12 중량%와 자색양파 추출액 88∼95 중량%을 혼합하여 파우치형 용기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컴파운드 케이, 프로토파낙스디올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이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59905A 2019-12-04 2019-12-04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0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05A KR20210070446A (ko) 2019-12-04 2019-12-04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05A KR20210070446A (ko) 2019-12-04 2019-12-04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446A true KR20210070446A (ko) 2021-06-15

Family

ID=7641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905A KR20210070446A (ko) 2019-12-04 2019-12-04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4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90935A1 (ja) アセロラ果実由来ペクチンおよびその用途
KR102231913B1 (ko)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식물성 브라운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386296B1 (ko) 증진된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파바톤 콩잎과 오미자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5111B1 (ko)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에너지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86763B1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맹종죽엽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shitiz et al. Anti-cariogenic effects of polyphenol plant products-a review
KR102150162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가 증진된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스틱형 용기용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96466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배즙의 제조방법
KR20200145897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구마 추출물
KR102604237B1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102535396B1 (ko) 귤속 식물 과피를 이용한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20210070446A (ko)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되고 증진된 루틴과 쿼르세틴을 함유하는 자색양파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7576B1 (ko) 활성형 진노세사이드 함유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1401B1 (ko) 특정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헛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410301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와 카테킨이 강화된 스틱형 젤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5154A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Rd2 및 컴파운드 케이, 클로로제닉산, 쿠마린산, 카테킨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새싹삼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9387B1 (ko)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데리야끼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09369B1 (ko)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CA2904636C (en) Method of preparing a muscadine pomace extract
KR102044607B1 (ko)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강화된 산양삼 전초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70437A (ko) 플라티코딘 d3, 프로토파낙스트리올, 클로로제닉산, 에피카테킨 및 쿼르세틴이 강화되고 증진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췌장-리파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액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6939A (ko) 원적외선으로 처리된 복분자를 포함하는 가공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220067075A (ko) 진세노사이드 Rg1 및 Rb1이 강화된 산양삼 추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