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058A - 탭 가공기 - Google Patents

탭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058A
KR20210070058A KR1020190160076A KR20190160076A KR20210070058A KR 20210070058 A KR20210070058 A KR 20210070058A KR 1020190160076 A KR1020190160076 A KR 1020190160076A KR 20190160076 A KR20190160076 A KR 20190160076A KR 20210070058 A KR20210070058 A KR 20210070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tap
drill
mou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근
Original Assignee
진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근 filed Critical 진성근
Priority to KR102019016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058A/ko
Publication of KR2021007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20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탭 가공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탭 가공기는 복수개의 가공 대상물을 동시에 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탭 가공기{Tap machine}
본 발명은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탭 가공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탭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탭 가공은 머시닝 센터를 이용한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구 또는 특정 부품을 위한 작업을 위해 실시되고 있다.
상기 탭 가공은 고가의 드릴 탭을 이용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므로 반복 사용에 따른 파손 및 변형을 최소화 하는 것이 비용 감소 측면에서도 유리해진다.
종래에는 머시닝 센터에 구비된 1개의 주축으로 가공이 이루어지고, 회전 모터와 피드 모터가 각각 축상에서 일치시킨 상태로 작업을 실시해야 되므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특히 가공 대상물은 정확한 가공과 함께 품질 안전성이 수반되지 못하고 불량 발생률이 높아 이에 안정적으로 탭 가공이 가능한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6-00528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수개의 가공 대상물을 동시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가공할 수 있는 탭 가공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는 본체부(10)의 상면 일측 단부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2)이 장착된 상태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장착부(100); 상기 장착부(100)의 회전을 위해 하측에 구비된 회전부(200);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10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이 회전부(200)에 의해 탭 가공을 위한 위치로 회전된 이후에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외측으로 비산되는 절삭유의 비산을 차단하는 가공실(300); 상기 가공실(300)의 내측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2)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드부(400); 상기 베드부(40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가공 대상물(2)의 탭 가공을 위한 드릴 탭(502) 이 구비된 가공부(500) ; 상기 드릴 탭(502) 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 단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가공부(500) 를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셔(600); 및 상기 푸셔(600)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베드부(400)를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상기 드릴 탭(502) 에 의한 탭 홀(2a) 가공을 도모하고, 상기 드릴 탭(502) 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가공 가능 깊이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베드부(400)를 이동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00)는 상기 드릴 탭(2a)에 의한 가공이 실시되기 이전에 상기 가공 대상물(2)에 대한 안착 및 고정이 이루어지기 위해 구비된 제1 장착부(110); 상기 회전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착부(110)와 대칭으로 배치되고 가공이 이루어질 가공 대상물이(2) 안착 및 고정되는 제2 장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이 드릴 탭(2a)에 의해 가공될 때 공급된 절삭유가 드레인 되기 위한 다공판(3)이 상기 회전부(200)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장착부(11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112);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고 제1 홈부(11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 안착부(114); 상기 제1 장착부(11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클램프(11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부(12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부(122); 상기 제2 삽입부(122)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고 제2 홈부(12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안착부(124); 상기 제2 장착부(1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2 클램프(12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원주 방향에 치형이 형성된 회전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21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20)에 의해 특정 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210)은 상기 모터부(220)에 의해 특정 각도로만 회전된 후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판(210)의 외측에 구비된 스토퍼 부(2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210)에는 상기 장착부(100)의 상면 중앙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4); 상기 돌출부(214)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상기 제1 장착부(110)와 상기 제2 장착부(120)를 구획하는 분리판(216)이 구비된다.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고, 상기 드릴 탭(502) 이 가공 대상물(2)을 바라보며 선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 상기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회전력 전달부(520)와 연결된 가공 모터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에 대한 탭 가공이 이루어질 때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저장 탱크(T1)가 구비되고, 상기 절삭유 저장 탱크(T1)에 저장된 절삭유는 상기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로 각각 공급되어 상기 드릴 탭(502)을 통해 상기 탭 홀(2a)로 절삭유가 공급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푸셔(60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푸셔(600)를 향해 돌출된 간극 조절부(20)가 구비되고, 상기 간극 조절부(20)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드릴 탭(2a)의 초기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드릴 탭(2a)의 삽입 깊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베드부(400)의 측면에 삽입 감지 센서부(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가공 대상물에 대한 탭 가공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탭 가공에 따른 변형 발생을 최소화 하고, 가공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피드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정확하게 탭 가공이 가능하고, 다수개의 가공 대상물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어 가공 효율 향상과 가공 속도 향상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측면도.
도 2는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평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베드부와 푸셔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에 구비된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로터리 조인트에 의해 가공 대상물이 가공 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에 구비된 로터리 조인트와 실린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작동 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에 의해 탭 홀 가공이 이루어지는 단계별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측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평면도 이며,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의 베드부와 푸셔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에 구비된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탭 가공기는 후술할 가공 대상물이 타이로드에 해당되며, 상기 타이로드는 차량에 구비된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부품에 해당된다.
상기 탭 가공기는 상기 타이로드의 일측 단부 내측으로 탭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탭 가공기는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는 지면에 하측이 접한 상태로 소정의 높이가 유지되는 테이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작업자가 반복적으로 가공 대상물(2)에 대한 탭 가공을 신속하게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해 정면 상측에 전방에 장착부(100)가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10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베드부(40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부(400)에는 상측에 가공 대상물(2)에 대한 탭 가공을 위해 가공부(500)가 설치된다.
본 실시 예는 가공 대상물(2)의 내측 축 방향에서 탭 가공을 실시할 때 한 번의 가공으로 복수개의 가공 대상물(2)에 대한 탭 가공이 가능하므로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본체부(10)의 상면 일측 단부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2)이 장착된 상태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장착부(100)와, 상기 장착부(100)의 회전을 위해 하측에 구비된 회전부(20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10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이 회전부(200)에 의해 탭 가공을 위한 위치로 회전된 이후에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외측으로 비산되는 절삭유의 비산을 차단하는 가공실(300)과, 상기 가공실(300)의 내측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2)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드부(400)와, 상기 베드부(40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가공 대상물(2)의 탭 가공을 위한 드릴 탭(502) 이 구비된 가공부(500)와, 상기 드릴 탭(502) 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 단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가공부(500) 를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셔(600) 및 상기 푸셔(600)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베드부(400)를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상기 드릴 탭(502)에 의한 탭 홀(2a) 가공을 도모하고, 상기 드릴 탭(502) 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가공 가능 깊이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베드부(400)를 이동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가공 대상물(2)은 도면 기준 좌측 단부 내측으로 선삭 가공을 통해 별도의 볼 조인트(미도시)가 결합되고, 우측 단부는 축 방향 내측으로 탭 홀(2a)이 탭 가공기를 통해 성형된다.
상기 장착부(100)는 회전부(2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200)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00)는 상기 드릴 탭(2a)에 의한 가공이 실시되기 이전에 상기 가공 대상물(2)에 대한 안착 및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1 장착부(110)와, 상기 회전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착부(110)와 대칭으로 배치되고 가공이 이루어질 가공 대상물(2)이 안착 및 고정되는 제2 장착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100)는 제1,2 장착부(110, 1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 장착부(1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이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 장착부(11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은 작업 대기하다가 상기 제2 장착부(1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에 대한 드릴 탭 작업이 종료되면 회전부(20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된 제1 장착부(110)에 대한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제2 장착부(120)가 가공실(300)의 내측에서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가공실(300)의 외측에 위치된 제1 장착부(110)에 가공 대상물(2)을 장착하고, 제2 장착부(120)가 회전부(200)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전방 위치로 회전 이동되면 제2 장착부(120)에 드릴 탭 작업이 완료된 가공 대상물(2)을 분리시킨 후에, 상기 제1 장착부(110)는 상기 가공실(300)로 이동이 이루어진 후에 동일한 방식으로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이 드릴 탭(2a)에 의해 가공될 때 공급된 절삭유가 드레인 되기 위한 다공판(3)(도 5 참조)이 상기 회전부(200)의 하측에 구비되므로 다량의 절삭유가 본체부(10)의 하측을 향해 안정적으로 낙하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에 대한 탭 가공이 이루어질 때 절삭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삭유 저장 탱크(T1)가 구비되고, 상기 절삭유 저장 탱크(T1)에 저장된 절삭유는 절삭유 공급 펌프(P)에 의해 후술할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로 각각 공급된 후에 상기 드릴 탭(502)을 경유하여 상기 탭 홀(2a)로 절삭유가 공급된다.
절삭유는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며 탭 홀(2a)로 공급 및 낙하된 이후에 상기 절삭유 저장 탱크(T1)로 모아진 후에 반복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가공실(300)은 가공 대상물(2)이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냉각수의 비산을 차단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가공실(300)은 상기 본체부(1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점검이 필요할 경우 가공부(500)의 작동을 중지하고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가공실(300)에는 전면과 측면 위치에 점검창(310)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가공 대상물(2)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푸셔(600)는 본체부(10)의 상면에서 상기 베드부(400)의 후면 중앙을 향해 배치되고, 후술할 간극 조절부(20)를 가공 대상물(2)의 가공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푸셔 피스톤(610)이 구비되고, 상기 푸셔 피스톤(610)은 푸셔(6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푸셔(600)는 유압 또는 공압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작동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푸셔(60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푸셔(600)를 향해 돌출된 간극 조절부(20)가 구비되고, 상기 간극 조절부(20)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드릴 탭(2a)의 초기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상기 간극 조절부(20)는 일 예로 볼트가 사용되며 상기 볼트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 대상물(2)에 탭 홀(2a)의 깊이를 길게 또는 짧게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상기 간극 조절부(2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공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간극 조절부(20)는 상기 푸셔 피스톤(610)과 접촉되는 헤드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정확하게 접촉이 가능하며 상기 헤드부(22)는 상기 푸셔 피스톤(61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서로 간에 접촉이 이루어질 때 안정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푸셔 피스톤(610)의 가압력이 상기 헤드부(22)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상기 제1 장착부(11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112)와,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고 제1 홈부(11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 안착부(114)와, 상기 제1 장착부(11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클램프(116)를 포함한다.
제1 장착부(110)는 도면 기준으로 세로 방향에 2개가 한 쌍으로 동시에 작동되므로 한 번에 2개의 가공 대상물(2)에 대한 드릴 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부(112)는 전술한 타이로드의 좌측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홈부(114a)에는 타이로드의 축 방향 하측이 삽입된다.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4)는 모두 도면 기준으로 제1 클램프(116)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클램프(116) 또한 상기 제1 안착부(114)를 향해 회전되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될 경우 가공 대상물(2)을 보다 안정적으로 클램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램프(116)가 상기 제1 안착부(114)와 90도 각도로 직교되게 회전될 경우 언 클램핑 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가공 대상물(2)을 제1 장착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110)는 본체부(10)에 구비된 유압 모터(M1)에 의해 이동된 유압에 의해 위와 같이 작동되며 상기 제1 장착부(110) 주위로 제1 클램프(116)의 락킹(클램핑)과 언 락킹(언 클램핑)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1 오일 공급관(118)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클램프(116)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록킹 또는 언 록킹 하기 위해 상기 제1 오일 공급관(118)이 복수의 제1 클램프(116)로 각각 분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클램프(116)는 상기 제1 안착부(114)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만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제1 클램프 홈부(116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홈부(114a)와 함께 가공 대상물(2)의 외측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부(12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부(122)와, 상기 제2 삽입부(122)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고 제2 홈부(12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안착부(124)와, 상기 제2 장착부(1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2 클램프(126)를 포함한다.
제2 장착부(120)는 도면 기준으로 세로 방향에 2개가 한 쌍으로 동시에 작동되므로 한 번에 2개의 가공 대상물(2)에 대한 드릴 탭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부(122)는 전술한 타이로드의 좌측 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홈부(124a)에는 타이로드의 축 방향 하측이 삽입된다.
상기 제2 삽입부(122)와 상기 제2 안착부(124)는 모두 도면 기준으로 제2 클램프(126)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클램프(126) 또한 상기 제2 안착부(124)를 향해 회전되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위치될 경우 가공 대상물(2)을 보다 안정적으로 클램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램프(126)가 상기 제2 안착부(124)와 90도 각도로 직교되게 회전될 경우 언 클램핑 상태가 유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가공 대상물(2)을 제2 장착부(12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착부(120)는 본체부(10)에 구비된 유압 모터(M1)에 의해 이동된 유압에 의해 위와 같이 작동되며 상기 제2 장착부(120) 주위로 제2 클램프(126)의 락킹(클램핑)과 언 락킹(언 클램핑)을 위한 오일을 공급하는 제2 오일 공급관(128)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클램프(126)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록킹 또는 언 록킹 하기 위해 상기 제1 오일 공급관(128)이 복수의 제2 클램프(126)로 각각 분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클램프(126)는 상기 제1 안착부(114)와 마주보는 위치에서만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제2 클램프 홈부(126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홈부(124a)와 함께 가공 대상물(2)의 외측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부(2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원주 방향에 치형이 형성된 회전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21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20)에 의해 특정 각도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판(210)은 상기 모터부(220)에 의해 특정 각도로만 회전된 후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판(210)의 외측에 구비된 스토퍼 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2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100)의 상면 중앙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4)는 전술한 제1 장착부(110)와 제2 장착부(120)를 회전판(210)의 상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210)은 돌출부(214)의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상기 제1 장착부(110)와 상기 제2 장착부(120)를 구획하는 분리판(216)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판(216)은 가공실(300)에서 드릴 탭 가공이 이루어질 때 공급된 냉각수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 또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가공부(500)는 가공실(300)의 후방에서 내측과 외측으로 후술할 베드부(4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고, 상기 드릴 탭(502) 이 가공 대상물(2)을 바라보며 선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와, 상기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회전력 전달부(520)와 연결된 가공 모터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 조인트(510)는 드릴 탭(502)이 선단부에 장착되고, 가공 모터부(530)에 구비된 풀리에 체결된 회전력 전달부(5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속도로 회전된다.
로터리 조인트(510) 내부로는 절삭유 저장 탱크(T1)에 저장된 절삭유가 절삭유 공급 펌프(P)의 펌핑력에 의해 공급되는 절삭유 공급 케이블(C)이 결합되어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베드부(400)는 실린더 부(700)에 구비된 피스톤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2)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된다.
상기 베드부(400)는 하측에 가이드 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하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 부(700)가 작동될 경우 가공 대상물(2)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가공 대상물(2)에 탭 가공을 실시할 때 축 방향에서 단계별로 가공을 실시하여 드릴 탭(50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 시키고, 탭 홀(2a)의 변형 및 파손율을 최소화 하여 안정적인 탭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부(700)는 외측으로 신장되는 피스톤 부분이 상기 베드부(400)와 연결되어 있어 피스톤의 전진 또는 후진되는 정도에 따라 베드부(400)가 가공부(500)를 가공 대상물(2)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된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드릴 탭(2a)의 삽입 깊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베드부(400)의 측면에 삽입 감지 센서부(30)가 설치된다.
삽입 감지 센서부(30)는 가공 대상물(2)을 이동시키는 베드부(40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특정 위치에 베드부(400)가 위치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베드부(400)의 추가 이동을 방지한다.
푸셔(600)는 가공부(의 하측에서 베드부(400)를 향해 배치되고, 푸셔 피스톤(610)이 간극 조절부(20)와 마주보며 배치된다.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가공 대상물(2)에 대한 가공을 위해 회전부(200)가 회전하여 가공실(300)로 제1 장착부(110) 또는 제2 장착부(120) 중의 어느 하나가 이동된다.
이 경우 가공부(500)에 구비된 드릴 탭(502)은 상기 가공 대상물(2)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축 방향 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다가(도 9 참조) 실린더 부(700)가 작동되면 베드부(400)가 가공 대상물(2)을 향해 이동된 후에 가공 대상물(2)의 단부와 접촉된다(도 16의 a 상태). 이 때 냉각수는 드릴 탭(502)을 통해 가공 대상물(2)의 단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 모터부(530)가 작동되면서 드릴 탭(502)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면서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 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가공 방향(가공 대상물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유지된다(도 16의 a 상태).
그리고 상기 푸셔(600)에 구비된 푸셔 피스톤(610)이 상기 간극 조절부(20)를 가공방향으로 밀어 줌과 동시에 가공부(500)가 실린더부(700)에 의해 상기 가공 대상물(2)을 향해 이동되어 드릴 탭(502)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 내측을 따라 이동되어 탭 가공이 이루어진다(도 16의 b 상태).
여기서 상기 푸셔 피스톤(610)이 간극 조절부(20)를 축 방향으로 밀어주는 길이는 1.5 ~ 3mm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길이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드릴 탭(502)이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나사산 가공 방향으로 탭 홀(2a)이 제1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깊이는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 형성될 탭 홀(2a)을 안정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 선정을 위해 전술한 깊이로 탭 홀(2a)이 형성된다.
상기 드릴 탭(502)이 이와 같이 제1 깊이로만 가공하는 이유는 드릴 탭(502)이 한 번에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을 따라 삽입될 경우 변형이 발생되거나, 고가의 드릴 탭(502)에서 파손이 발생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깊이로만 가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가공 대상물(2)은 안정적으로 보호되고, 드릴 탭(502)의 파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과정에서는 탭 홀(2a)의 전체 깊이에 대한 가공을 한 번에 실시하지 않고 정확한 탭 가공과 탭 홀(2a)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깊이로만 탭 홀(2a) 가공이 이루어진다.
실제로 탭 홀(2a)은 축 방향에서 깊이에 대한 가공 보다는 후속적으로 드릴 탭(502)이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안정적인 삽입을 위한 위치 및 방향 가이드를 위한 탭 홀(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릴 탭(502)은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가공 깊이까지 베드부(400)의 이동에 의해 축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여 탭 홀(2a)을 가공한다. 상기 탭 홀(2a)은 이미 제1 깊이로 가공된 상태이므로 기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드릴 탭(502)이 전진 이동될 경우 축 방향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16의 c 상태).
이 경우 가공 대상물(2)은 축 방향에서 탭 홀(2a)이 형성되고, 상기 드릴 탭(502)은 상기 탭 홀(2a)의 원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기 설정된 가공 깊이까지 이동된다.
드릴 탭(502)이 제1 깊이로 가공 대상물(2)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푸셔 피스톤(610)은 원 위치되고 실린더부(700)만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경우 상기 드릴 탭(502)은 자체 회전력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탭 홀(2a)의 최종 가공 깊이까지 탭 가공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출된 실린더부(700)가 최초 위치로 원 위치 됨과 동시에 상기 드릴 탭(502)은 가공 모터부(530)의 역회전에 의해 최초 삽입된 탭 홀(2a)의 내측 원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안정적으로 역 회전되면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탭 홀(2a) 가공이 완료된다(도 16의 d 상태).
본 실시 예는 푸셔 피스톤(610)이 작동될 경우 한 번에 탭 홀(2a)을 가공하는 방식 보다 마찰열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어 탭 가공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가공 대상물
2a : 탭 홀
3 : 다공판
10 : 본체부
20 : 간극 조절부
30 : 삽입 감지 센서부
100 : 장착부
200 : 회전부
300 : 가공실
400 : 베드부
500 : 가공부
502 : 드릴 탭
510 : 로터리 조인트
520 : 회전력 전달부
530 : 가공 모터부
600 : 푸셔
700 : 실린더부
T1 : 절삭유 저장 탱크

Claims (7)

  1. 본체부(10)의 상면 일측 단부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2)이 장착된 상태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장착부(100);
    상기 장착부(100)의 회전을 위해 하측에 구비된 회전부(200);
    상기 본체부(10)의 상면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10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이 회전부(200)에 의해 탭 가공을 위한 위치로 회전된 이후에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동안 외측으로 비산되는 절삭유의 비산을 차단하는 가공실(300);
    상기 가공실(300)의 내측에서 상기 가공 대상물(2)과 마주보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베드부(400);
    상기 베드부(400)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가공 대상물(2)의 탭 가공을 위한 드릴 탭(502) 이 구비된 가공부(500);
    상기 드릴 탭(502) 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 단부에서 소정의 깊이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가공부(500)를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푸셔(600); 및
    상기 푸셔(600)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베드부(400)를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상기 드릴 탭(502) 에 의한 탭 홀(2a) 가공을 도모하고, 상기 드릴 탭(502) 이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에서 가공 가능 깊이까지 이동된 후에 상기 베드부(400)를 이동 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700)를 포함하는 탭 가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0)는 상기 드릴 탭(2a)에 의한 가공이 실시되기 이전에 상기 가공 대상물(2)에 대한 안착 및 고정이 이루어지기 위해 구비된 제1 장착부(110);
    상기 회전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장착부(110)와 대칭으로 배치되고 가공이 이루어질 가공 대상물(2)이 안착 및 고정되는 제2 장착부(120)를 포함하는 탭 가공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11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112);
    상기 제1 삽입부(112)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고 제1 홈부(11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1 안착부(114);
    상기 제1 장착부(11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클램프(116)를 포함하는 탭 가공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부(12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일측 단부가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부(122);
    상기 제2 삽입부(122)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고 제2 홈부(124a)가 형성된 한 쌍의 제2 안착부(124);
    상기 제2 장착부(1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2)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제2 클램프(126)를 포함하는 탭 가공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0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하측 원주 방향에 치형이 형성된 회전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21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20)에 의해 특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탭 가공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500)는 상기 가공 대상물(2)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고, 상기 드릴 탭(502) 이 가공 대상물(2)을 바라보며 선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
    상기 한 쌍의 로터리 조인트(510)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회전력 전달부(520)와 연결된 가공 모터부(530)를 포함하는 탭 가공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푸셔(600)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푸셔(600)를 향해 돌출된 간극 조절부(20)가 구비되고,
    상기 간극 조절부(20)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가공 대상물(2)의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상기 드릴 탭(2a)의 초기 삽입 깊이가 조절되는 탭 가공기.
KR1020190160076A 2019-12-04 2019-12-04 탭 가공기 KR20210070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76A KR20210070058A (ko) 2019-12-04 2019-12-04 탭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76A KR20210070058A (ko) 2019-12-04 2019-12-04 탭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58A true KR20210070058A (ko) 2021-06-14

Family

ID=7641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76A KR20210070058A (ko) 2019-12-04 2019-12-04 탭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0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ko)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2813A (ko)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289B2 (en) Machine tool apparatus and method
KR101324529B1 (ko) 선반척을 이용한 드릴용 공작물 고정베드
EP0527238B1 (en) Machine tool
KR20160009045A (ko) 물질 제거 기계 공구, 공구 세트, 및 블라인드 및/또는 단차형 보어를 가진 실린더 제조 방법
EP3006176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hole through a glass plate
JP6917135B2 (ja) 工作機械
KR20210129207A (ko) 탭 공구 및 탭 가공방법
TW202126407A (zh) 搪孔用刀具、搪孔用加工機及搪孔方法
KR20170115620A (ko) 5축 가공기
KR100905967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슬리브 가공지그
KR20210070058A (ko) 탭 가공기
JP6746311B2 (ja) Bta深穴加工機
KR101846237B1 (ko) 샤프트소재의 센터링가공장치
JP5887158B2 (ja) 加工工具および工作機械
KR101914040B1 (ko) 보링머신의 자동 클램핑 어셈블리
JPH1043982A (ja) 工具付属装置
CN104384952A (zh) 一种车床丝锥夹具
KR101807811B1 (ko) 심압대를 개조한 선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의 가공방법
KR20220124534A (ko) 내부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
KR200491067Y1 (ko) 유압식 척 조오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반
JP5375987B2 (ja) シート面加工方法
KR102126124B1 (ko) 라이브 센터 인출 기능을 갖는 공작기계용 심압대
KR100653941B1 (ko) 실린더 내장형 콜릿 척
KR102254835B1 (ko) 내부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
KR20180047062A (ko) 선반의 공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