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910A -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 Google Patents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910A
KR20210068910A KR1020190158514A KR20190158514A KR20210068910A KR 20210068910 A KR20210068910 A KR 20210068910A KR 1020190158514 A KR1020190158514 A KR 1020190158514A KR 20190158514 A KR20190158514 A KR 20190158514A KR 20210068910 A KR20210068910 A KR 20210068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aging
defrosting
evaporators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신광호
하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910A/ko
Publication of KR2021006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25B2313/0233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during defro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냉동 사이클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는 숙성사이클을 가지는 숙성고에 있어서, 복수개 구비된 증발기(130)가 번갈아 가동하며 연속적으로 숙성 사이클을 유지하는 동시에 제상을 실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중에는 두 개의 증발기가 번갈아 작동하여 제상 작업과 동시에 연속운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숙성고 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숙성 사이클을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숙성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DEFROSTING SYSTEM AND DRY AGING ROOM USING IT}
본 발명은 제상시 숙성고 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는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육류의 숙성 방법 중 하나인 건조숙성(dry-aging) 방법은 자연적으로 고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며 숙성시키는 방법이다. 건조숙성 방법을 이용할 경우, 통상 일정 온도에서 일정 기간의 숙성 기간을 필요로 하며, 고기를 통풍이 잘 되는 공기 중에 노출시켜야 하고, 높은 습도도 유지해야 한다. 이로 인해 생긴 마른 피막이 고기 내 수분을 가둬 아미노산을 농축시킴으로, 진한 향과 풍미를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자연적인 숙성 방법을, 온도와 습도의 조정 가능한 항온 항습 개념의 냉장고를 이용하여 모사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그러나, 단순히 냉장고에 항온과 항습 기능만을 추가한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육류가 부패되어 위생 안전상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정한 온도와 일정한 습도 및 일정한 세기의 바람을 지속적으로 일으켜 인위적으로 고기를 건조숙성시키는 건식 숙성고가 개발되었으며, 대용량의 상업용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건식 숙성고는 냉장고와 같은 냉동 사이클과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냉장고와 마찬가지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의 구성이 포함된다.
특히, 증발기는 팽창밸브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외부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변화시켜 주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주변온도를 낮추게 된다. 주변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급격히 응축, 동결되어 성에상태로 부착되는 적상현상이 일어나고, 적상현상에 의해 만들어진 성에는 증발기의 열교환을 방해하여 결국에는 냉동 사이클 자체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증발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성에를 제거하는 작업인 제상이 추가되었다. 제상은 기설치된 타이머 또는 센서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냉매를 역류시키거나 별도의 히터를 장착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서 증발기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성에를 녹이게 된다.
그러나, 제상 중에는 증발기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데, 증발기의 작동이 멈추고 제상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숙성고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없게 된다. 건식 숙성고는 냉장고보다 고내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하여 제상이 진행될수록 고내 온도가 상승하여 육류의 숙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심하게는 부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001)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4637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상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고내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기체상태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흘러나온 액체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흘러나온 액체상태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주변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압축기로 흘려보내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는 가동을 멈추어 제상하고 나머지 증발기는 가동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는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되는 유로에 개폐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출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합류되는 지점에 삼방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합류되는 지점에 팽창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팽창밸브는 삼방밸브이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는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1증발기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표면에 성에가 발생하면 상기 제1증발기의 가동이 먼저 중지되어 상기 제1증발기의 제상을 실시하고, 상기 제1증발기의 제상이 완료되면 상기 제1증발기가 가동되고, 상기 제2증발기의 가동이 중지되어 상기 제2증발기의 제상을 실시한다.
상기 팽창밸브와 제1증발기 및 상기 팽창밸브와 제2증발기 사이에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중에는 두 개의 증발기가 번갈아 작동하여 제상 작업과 동시에 연속운전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숙성고 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숙성 사이클을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숙성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중에는 증발기가 번갈아 작동하고, 작동되지 않는 증발기는 숙성실의 온도로 수렴하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자연적으로 제상이 진행된다. 따라서, 제상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제상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이 증가하고 제작비가 상대적으로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류를 숙성시킬 때 두 개의 증발기를 모두 가동시켜 숙성사이클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정온도 또는 습도까지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고, 더 많은 양의 바람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숙성고의 숙성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숙성고 내에 제상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상 시스템의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평으로 배치되었을 때의 제1증발기가 작동하는 제상 사이클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상 시스템의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평으로 배치되었을 때의 제2증발기가 작동하는 제상 사이클을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실시례의 제상 시스템의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의 제상 사이클을 보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숙성고(10)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측으로 개방된 숙성고(10)는 전면도어(1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전면도어(11)는 힌지에 의한 회전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상기 전면도어(11)가 닫혀 상기 숙성고(10)가 차폐되면 외부와의 공기접촉이 차단되고, 상기 숙성고(10)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된다.
상기 숙성고(10)는 내부에 숙성실(12)과 설치공간(13)이 구비된다. 상기 숙성실(12)은 육류 등의 숙성물이 저장되고 숙성된다. 상기 숙성실(12)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상기 숙성실(12)은 다단으로 이루어져 더 많은 숙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숙성실(12)은 대략 4℃ 전후의 온도가 유지되며, 바람직하게는 1℃ ~ 3℃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3)은 상기 숙성실(12)과 구획된다. 상기 설치공간(13)에는 상기 숙성물을 숙성시키기 위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도록 숙성 사이클을 형성하는 구성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설치공간(13)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숙성고(10)의 벽면, 천정 또는 바닥 등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숙성고(10)의 숙성사이클은 종래의 냉동 사이클을 그대로 따른다. 냉매가 압축기(10) - 응축기(120) - 팽창밸브(140) - 증발기(130) - 압축기(10)의 사이클을 반복하며, 증발기(130)를 통해서 찬 공기를 상기 숙성실(12)로 전달한다. 다만, 유로 L1~L9 곳곳에 삼방밸브(V)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서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의 증발기(130)는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례의 숙성 사이클은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모두 가동하여 숙성물을 숙성시키는 데 필요한 환경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수직으로 설치될 경우,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 중 하부에 위치한 증발기(130)에 응축수가 낙하하여 성에로 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과는 운전 방식에 일부 차이가 있다.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 하단에는 물받이부(135)가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부(135)는 상기 증발기(130)의 표면에 적상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성에가 녹아서 형성된 응축수가 떨어져 저장된다. 상기 응축수는 대기에 포함된 수분 및 숙성물이 포함하는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135)에 저장된 응축수는 물탱크(136)로 이동된다. 상기 물탱크(136)에는 히터(137)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37)로 상기 물탱크(136)의 응축수를 증발시켜 상기 숙성실(12)로 공급하여 상기 숙성실(12) 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는 냉매를 기화시키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의 표면온도는 대략 -5℃를 유지한다. 온도가 낮아진 증발기(130) 주변의 대기 중 수증기는 적상현상에 의해 증발기(130)의 표면에 성에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의 효율을 떨어트린다.
본 발명의 실시례는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의 표면에 부착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 분할제상을 실시한다. 즉,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를 번갈아가며 구동시켜 상기 숙성실(12)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작동하지 않는 다른 하나의 증발기(130)가 제상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된 경우에 실시되는 분할제상의 실시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를 빠져나온 기체상태의 냉매는 유로 L1, L2를 지나서 상기 응축기(120)로 들어간다. 상기 유로 L1, L2는 제2밸브(V2)가 절환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응축기(120) 내에서 냉매는 액화되며 열을 방출하고, 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되는 열은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응축기(120) 내에서 액화된 냉매는 유로 L3을 통해 상기 팽창밸브(140)를 통과하여 감압되고, 유로 L4를 통해서 상기 제1증발기(131)로 진입한다.
이때, 냉매가 상기 제2증발기(132)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의 입출구에 각각 별도로 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2증발기(132)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분할제상이 시작되면 상기 제2증발기(132)는 작동을 멈추고, 더이상 냉매가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제2증발기(132)에서는 냉매의 기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표면온도가 상기 숙성실(12)의 온도(1℃~3℃)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제2증발기(132)에 부착되었던 성에가 모두 녹아 내려 상기 물받이부(135)로 응축수가 떨어지고 제상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증발기(131)를 지나면서 기화된 냉매는 제1밸브(V1)가 절환되어 서로 연결된 유로 L5, L7을 따라서 다시 압축기(10)로 돌아간다. 상기 제1밸브(V1)는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의 출구와 연결되는 유로 L5, L6의 합류지점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0)를 빠져나온 기체상태의 냉매는 유로 L1, L2를 지나서 상기 응축기(120)로 들어간다. 상기 유로 L1, L2는 제2밸브(V2)가 절환되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응축기(120) 내에서 냉매는 액화되며 열을 방출하고, 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되는 열은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응축기(120) 내에서 액화된 냉매는 유로 L3을 통해 상기 팽창밸브(140)를 통과하여 감압되고, 유로 L4로부터 분기된 체크밸브를 통해서 상기 제2증발기(132)로 진입한다.
이때, 냉매가 상기 제1증발기(13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 사이에 별도로 밸브가 구비되거나, 유로 L4로부터 분기선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제1증발기(131)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분할제상이 시작되면 상기 제1증발기(131)는 작동을 멈추고, 더이상 냉매가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제1증발기(131)에서는 기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표면온도가 상기 숙성실(12)의 온도(1℃ ~ 3℃)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제1증발기(131)에 부착되었던 성에가 모두 녹아 내려 상기 물받이부(135)로 응축수가 떨어지고 제상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증발기(132)를 지나면서 기화된 냉매는 제1밸브(V1)가 절환되어 서로 연결된 유로 L9, L7을 따라서 다시 압축기(10)로 돌아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의 제상이 진행된다. 즉, 본 발명의 분할제상은 제상을 위한 별도의 승온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제1증발기(131) 또는 제2증발기(132)를 상기 숙성실(12)의 온도까지 상승시켜 상기 증발기(130) 표면에 부착된 성에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숙성고(10) 자체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도 4에는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된 경우에 실시되는 분할제상의 실시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되었을때, 상기 제1증발기(131)가 상기 제2증발기(132)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물받이부(135)는 상기 제2증발기(132)의 하부에 위치하게된다.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되었을 때도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번갈아가며 작동하는 분할제상을 실시한다. 상기 팽창밸브(140)에서 상기 제1증발기(131) 및 제2증발기(132) 각각으로 흘러들어가는 유로 L13, L15에는 상기 유로 L13, L15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밸브(V3)와 제4밸브(V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유로 L13에는 제4밸브(V4)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 L15에는 제3밸브(V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밸브(V3)와 제4밸브(V4)가 번갈아가며 개폐되어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의 분할제상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10)를 빠져나온 기체상태의 냉매는 유로 L11을 지나서 상기 응축기(120)로 들어간다. 상기 응축기(120) 내에서 냉매는 액화되며 열을 방출하고, 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되는 열은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기 응축기(120) 내에서 액화된 냉매는 유로 L12를 통해 상기 팽창밸브(140)를 통과하여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상기 제4밸브(V4)가 개방된 유로 L13을 지나서 상기 제2증발기(132)로 진입한다. 상기 제2증발기(132)에 의한 숙성 사이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증발기(131)는 작동을 멈추어 상기 숙성실(12)의 온도까지 상승하여 제상이 진행된다. 상기 제1증발기(131)로부터 제상된 성에는 응축수로 상변환 되고, 상기 제2증발기(132) 표면 또는 물받이부(135)로 떨어진다.
상기 제1증발기(131)의 제상이 완료되면, 상기 제3밸브(V3)가 개방되어 상기 팽창밸브(140)를 통과한 냉매는 유로 L15를 지나서 상기 제1증발기(131)로 진입하여 상기 제1증발기(131)에 의한 숙성 사이클이 형성되고, 상기 제2증발기(132)는 작동을 멈추어 상기 숙성실(12)의 온도까지 상승하여 제상이 진행된다. 상기 제2증발기(132)로부터 제상된 성에는 응축수로 상변환되고, 상기 물받이부(135)로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었을 때와는 다르게 상기 제1증발기(131)의 제상이 먼저 진행된 후에 상기 제2증발기(132)의 제상이 진행된다.
상기 제2증발기(132)의 제상이 먼저 진행되면, 나중에 제상되는 상기 제1증발기(13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응축수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증발기(132)의 표면에 부착되고 응축수가 다시 동결되어 성에가 발생하므로 상기 제2증발기(132)를 다시 제상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증발기(131)와 제2증발기(132)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되었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제1증발기(131) 먼저 제상하여야 제상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숙성고 11 : 전면도어
12 : 숙성실 13 : 설치공간
110 : 압축기 120 : 응축기
130 : 증발기 131 : 제1증발기
132 : 제2증발기 135 : 물받이부
136 : 물탱크 137 : 히터
140 : 팽창밸브 V : 삼방밸브
V1 : 제1밸브 V2 : 제2밸브
V3 : 제3밸브 V4 : 제4밸브

Claims (10)

  1.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기체상태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흘러나온 액체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흘러나온 액체상태의 냉매와 열교환하여 주변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압축기로 흘려보내는 복수의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는 가동을 멈추어 제상하고 나머지 증발기는 가동상태를 유지하는 제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증발기는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평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제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입구와 출구에 연결되는 유로에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제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출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합류되는 지점에 삼방밸브가 구비되는 제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로가 합류되는 지점에 팽창밸브가 구비되는 제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는 삼방밸브인 제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증발기는 제1증발기와 제2증발기가 수직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1증발기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제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 및 제2증발기의 표면에 성에가 발생하면 상기 제1증발기의 가동이 먼저 중지되어 상기 제1증발기의 제상을 실시하고,
    상기 제1증발기의 제상이 완료되면 상기 제1증발기가 가동되고, 상기 제2증발기의 가동이 중지되어 상기 제2증발기의 제상을 실시하는 제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와 제1증발기 및 상기 팽창밸브와 제2증발기 사이에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유로를 제어하는 제상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상 시스템이 포함된 건식 숙성고.
KR1020190158514A 2019-12-02 2019-12-02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KR20210068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14A KR20210068910A (ko) 2019-12-02 2019-12-02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14A KR20210068910A (ko) 2019-12-02 2019-12-02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10A true KR20210068910A (ko) 2021-06-10

Family

ID=7637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14A KR20210068910A (ko) 2019-12-02 2019-12-02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89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4-03-12 한명수 습식 숙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378B1 (ko) 1995-11-06 2000-04-01 구자홍 직냉식냉장고의제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378B1 (ko) 1995-11-06 2000-04-01 구자홍 직냉식냉장고의제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4-03-12 한명수 습식 숙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455A (en) Energy efficient insulation system for refrigerator/freezer
EP0583905B1 (en) Dual evaporator refrigerator with sequential compressor operation
KR960002563B1 (ko) 진열냉장고
US20150184926A1 (en) Cool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00396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KR100560561B1 (ko) 연속 운전식 쇼케이스
KR20210068910A (ko)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JP2000346526A (ja) 冷却システム
JP3049425B2 (ja) 2つの蒸発器を備えた冷蔵庫
KR100443317B1 (ko) 냉장 쇼케이스
US2698521A (en) Refrigerating apparatus, incluiding defrosting means
JP4314726B2 (ja) 冷蔵庫
JP2016223688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の制御方法
KR100674531B1 (ko) 비착상식 냉각 시스템
KR101099497B1 (ko) 냉장고
KR100379403B1 (ko) 2개의 증발기가 구비된 냉장고의 제상운전 방법
JP2002195726A (ja) 冷蔵庫
JP2003287331A (ja) 冷蔵庫
JPH06174342A (ja) 冷凍装置
JPH09296979A (ja) 冷却貯蔵庫
JP2005164199A (ja) 冷蔵庫
WO2023032586A1 (ja) 食品の貯蔵庫
KR101571703B1 (ko) 복수의 증발기들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 방법
KR200165787Y1 (ko) 냉장고용 제상히터의 열기송풍장치(a fan of hiter for refrigerator)
JPH05280855A (ja) 電気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