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876A - 태블릿 거치대 - Google Patents

태블릿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876A
KR20210068876A KR1020190158429A KR20190158429A KR20210068876A KR 20210068876 A KR20210068876 A KR 20210068876A KR 1020190158429 A KR1020190158429 A KR 1020190158429A KR 20190158429 A KR20190158429 A KR 20190158429A KR 20210068876 A KR20210068876 A KR 20210068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ablet
pen
bas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206B1 (ko
Inventor
오창선
이성일
권경호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190158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2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2Pen holder integrated in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태블릿(10)을 끼워 장착하는 홀더(110)와 상기 홀더(110)에 장착된 태블릿(10)을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121)가 상면에 구비되는 베이스(120)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130)와 상기 스탠드(130)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141)와 상기 스탠드(130)의 타단을 상기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1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태블릿의 거치가 용이하고 각도 조절 및 위치 고정이 자유로우며, 태블릿의 화면 보호가 용이하여 외출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태블릿을 사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태블릿 거치대{TABLET HOLDER}
본 발명은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태블릿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은 스마트폰보다 큰 화면으로 인터넷을 하거나 어플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태블릿은 큰 화면을 가지며 다양한 활용도 때문에 학습과 독서에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학습전용 태블릿으로 많이 사용된다.
태블릿은 충격과 스크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케이스에 끼워서 사용한다. 케이스는 태블릿의 보호기능 외에도 태블릿을 소정 각도로 세워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케이스는 태블릿의 각도 조절 및 위치 고정이 자유롭지 않고, 태블릿을 케이스에 끼워 접은 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지거나 태블릿의 모서리와 측면 보호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태블릿을 장착하여 책상 등에 앉아 태블릿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태블릿 거치대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태블릿 거치대는 태블릿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태블릿을 사용한 후에는 태블릿 거치대에서 태블릿을 탈착시키고 다시 케이스에 끼워 보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84390호(2017.08.25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태블릿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블릿을 장착하여 태블릿 거치, 각도 조절 및 위치 고정이 자유롭고, 태블릿 보호가 용이하여 외출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태블릿을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한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블릿을 끼워 장착하는 홀더와 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스탠드의 타단을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를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부와 상기 스탠드의 타단이 상기 제2 힌지부로 연결된다.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 닿는 위치 범위까지 상기 홀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홀더는 태블릿의 이면과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홀더는 양측에 상기 태블릿의 이면을 노출시키는 요입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태블릿에 내장된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홀더를 접었을 때 상기 금속판과 상기 자석이 자력을 작용시켜 벌어지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이 형성된다.
상기 펜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터치펜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펜수납홈의 주변에 상기 태블릿의 화면과 상기 터치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부가 구비된다.
상기 펜수납홈은 입구 폭의 양측에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펜 끝이 상기 펜수납홈의 바닥면 및 벽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다.
상기 펜수납홈은 터치펜의 펜몸체가 수용되는 직선 수용부와 단부로 갈수록 입구 폭이 점차 좁아져 터치펜의 경사부 및 터치펜 끝이 수용되는 경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수용부의 경사 각도(α)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의 각도(β)에 비해 작다.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에서 상기 터치펜 끝까지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길다.
상기 홀더 또는 상기 베이스는 전원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태블릿의 전원연결구멍을 닫는다.
상기 홀더는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태블릿은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서 펼쳤을 때 적어도 상기 손잡이와 맞닿는 부분에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판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에 미끄럼 방지 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면에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3단 힌지를 적용하여 태블릿이 장착되는 홀더를 베이스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홀더를 베이스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세워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와 베이스가 겹쳐져서 태블릿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베이스에 구비된 돌기부가 태블릿의 화면과 베이스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하며, 베이스에 포함된 금속판이 태블릿에 내장된 자석과 부착되어 베이스와 홀더가 겹쳐져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태블릿이 보호되어 외출시에도 가지고 다니면서 태블릿을 사용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보드 및 터치펜이 구비되어 태블릿의 조작이 용이하고, 펜수납홈이 구비되어 터치펜의 수납이 용이하며, 펜수납홈이 터치펜 끝의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므로 터치펜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가 어린이들이 잡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파지하고 이동하기 편리하고, 손잡이의 하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베이스와 높이를 맞추므로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 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를 구성하는 스탠드의 이면에 아노다이징처리된 알루미늄판을 덫댄 구조로 되므로, 스탠드의 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펼쳐 각도 조절한 상태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펼쳐 각도 조절한 상태의 이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홀더를 뒤집어 홀더가 스탠드의 이면측에 배치되게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홀더를 세로 회전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펜수납홈을 보인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펜수납홈에 터치펜이 수납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터치펜 끝이 펜수납홈의 바닥과 내벽에 닿지 않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펜수납홈에 배치되는 러버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 베이스(120) 및 스탠드(130)를 포함한다.
홀더(110)는 태블릿(10)이 장착된다. 태블릿(10)은 전면에 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이 구비된다. 태블릿(10)은 손가락이나 터치펜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용 컴퓨터를 의미한다. 태블릿(10)은 학습과 독서에 최적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제작한 학습전용 태블릿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태블릿(10)은 화면이 제공된 부분을 전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면을 이면으로 지칭한다. 또한, 홀더(110)는 태블릿(10)이 장착되는 면을 전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면을 이면으로 지칭한다. 베이스(120)는 키보드가 구비된 면을 상면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면을 하면으로 지칭한다.
홀더(110)에는 태블릿(10)의 이면과 모서리가 끼움 결합식으로 장착된다. 홀더(110)는 전면이 개구된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태블릿(10)의 화면이 노출되도록 태블릿(10)의 이면과 모서리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홀더(1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져 태블릿(10)이 장착되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홀더(110)는 양측에 태블릿(10)의 측면과 이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요입슬릿(111)이 형성된다. 요입슬릿(111)은 태블릿(1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홀더(110)의 양측에 파여진 홈이다. 사용자는 요입슬릿(111)을 통해 노출되는 태블릿(10)의 양측 및 이면 부분을 잡고 당김에 의해 태블릿(10)을 홀더(110)에서 분리하기 용이하다. 요입슬릿(111)은 외관을 고려하여 홀더(110)의 양측에서 이면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파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홀더(110)는 태블릿(10)의 볼륨버튼 및 락버튼 등을 노출시키는 개방부(113)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개방부(113)는 홀더(110)의 상측에 파여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20) 및 스탠드(130)는 홀더(110)를 지지하여 태블릿(10)을 소정 각도로 세워서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홀더(110)는 베이스(120)에 스탠드(130)로 연결되어, 책상, 테이블 등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20)는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면이 바닥에 지지된다.
베이스(120)는 홀더(110)에 장착된 태블릿(10)을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121)가 상면에 구비된다.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태블릿(10)은 베이스(120)의 키보드(121)와 전자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홀더(110)는 전원연결단자(미도시)를 구비하고,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태블릿(10)은 전원연결단자와 연결된다. 전원연결단자는 홀더(110)의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110)에 구비된 전원연결단자와 베이스(120)를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케이블은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키보드(121)와 홀더(110)에 장착되는 태블릿(10) 간에 데이터를 이동시키거나 충전회로를 통해 태블릿(10)을 충전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충전회로는 전원연결홀(도 2의 도면 부호 122)과 전원연결단자를 연결된다.
홀더(110) 또는 베이스(120)는 전원연결홀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베이스(120)의 후면 일측에 전원연결홀(도 2의 도면 부호 122)이 구비된다. 전원연결홀(122)에 충전잭이 연결된다. 전원연결홀(122)에 충전잭이 연결되면 홀더(110)에 장착된 태블릿(10)을 충전할 수 있다.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홀더(110)는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을 닫는다. 이는 태블릿 거치대(100)의 전원연결홀(122)에 충전잭이 연결된 상태에서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에 추가로 충전잭을 연결하는 경우 심각한 태블릿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태블릿(10)에는 충전잭을 연결할 수 없도록, 홀더(110)가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을 막도록 된다.
베이스(120)는 상면 일측에 락버튼(123)이 구비된다. 락버튼(123)은 태블릿(10)의 충전을 위해 태블릿(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ON/OFF 버튼일 수 있다. 또는 락버튼(123)은 홀더(110)에 장착되는 태블릿(10)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전원버튼일 수 있다.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가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세워져, 태블릿(10)을 소정 각도에서 세워서 볼 수 있다.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져서 태블릿(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는 태블릿(10)과 태블릿 거치대(100)를 한번에 일체로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출시에도 태블릿(10)을 가지고 다니면서 이용가능하다. 그런데,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지면 그 사이에 배치된 태블릿(10)의 화면이 베이스(120)와 접촉하여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동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120)는 상면에 복수 개의 돌기부(124)가 구비된다.
돌기부(124)는 키보드(12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돌기부(124)는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한다. 또한 돌기부(124)는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터치펜(20)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한다.
돌기부(124)는 가장자리가 라운드진 형상이며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돌기부(124)는 키보드(121)를 사이에 두고 일측(후방측)에 2개가 구비되고 반대되는 타측(전방측)에 3개가 구비된다. 돌기부들(124)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의 상면이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펜수납홈(126)의 주변에 구비된 돌기부(124)는 후술할 터치펜(도 8b의 도면부호 20)이 태블릿(10)의 화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후술할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2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다. 따라서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이 태블릿(10)의 화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펜수납홈(126)의 주변에 돌기부(124)를 구비한다. 실시예에서 펜수납홈(126)의 양측에 구비된 2개가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이 태블릿(10)의 화면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키보드(121)의 앞쪽에 구비된 3개가 펜수납홈(126)의 양측에 구비된 2개와 상호 작용하여,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의 상면이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키보드(121)와 태블릿 화면이 접촉되는 것도 방지한다.
베이스(120)는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15)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125)을 포함한다. 금속판(125)은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져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금속판(125)은 베이스(120)에서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과 자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에 내장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120)는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15)과 대응되는 부분을 금속판(125)으로 형성하여,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져서 벌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베이스(120)에 홀더(110)를 접었을 때, 금속판(125)은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15)과 자력을 작용시켜 베이스(120)에 대해 홀더(11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베이스(120)는 상면에 터치펜(20)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126)이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은 키보드(121)의 후방측에 구비한 두 돌기부(124)의 사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은 베이스(120)의 상면에 터치펜(20)을 수납하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펜수납홈(126)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탠드(130)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스탠드(130)는 베이스(120)와 홀더(110)의 이면을 연결하므로, 홀더(110)의 두께를 고려하여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탠드(130)는 두께에 비해 폭이 넓은 슬림한 디자인으로 구성하여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스탠드(130)는 일단이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탠드(130)의 일단과 타단을 베이스(120)와 홀더(1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각도조절수단(140)을 포함한다.
각도조절수단(140)은 스탠드(130)를 홀더(110)와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홀더(110)를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하거나,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게 할 수 있다.
각도조절수단(140)은 제1 힌지부(141), 제2 힌지부(142) 및 제3 힌지부(143)를 포함한다.
제1 힌지부(141)는 스탠드(130)의 일단을 베이스(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힌지부(142)는 스탠드(130)의 타단을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3 힌지부(143)는 홀더(110)의 이면에 구비되고 홀더(110)를 각도 조절 없이 제자리에서 90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힌지부(143)에 스탠드(130)의 타단이 제2 힌지부(142)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힌지부(143)로 구성되는 3단 힌지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힌지부(141)는 베이스(120)에 구비되는 제1 힌지공(141a)과 스탠드(130)의 일단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1 힌지축(141b)을 포함하며, 스탠드(130)의 일단의 제1 힌지축(141b)이 베이스(120)의 제1 힌지공(141a)에 결합된 구조로 된다.
실시예에서, 제2 힌지부(142)는 제3 힌지부(143)에 돌출 형성된 축부(143a)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제2 힌지축(142a)과 스탠드(130)의 타단 양측에 요입 형성된 제2 힌지공(142b)을 포함하며, 스탠드(130)의 타단의 제2 힌지공(142b)에 축부(143a)의 제2 힌지축(142a)이 결합된 구조로 된다.
제1 힌지축(141b)이 제1 힌지공(141a)에 결합된 구조에서, 제1 힌지축(141b)은 제1 힌지공(141a)에 틸팅 결합되거나, 프리 스탑 힌지(free stop hinge)을 적용하여 제1 힌지축(141b)이 제1 힌지공(141a)에서 회전되는 어느 각도에서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힌지축(142a)이 제2 힌지공(142b)에 결합된 구조에서, 제2 힌지축(142a)은 제2 힌지공(142b)에 틸팅 결합되거나, 프리 스탑 힌지를 적용하여 제1 힌지축(141b)이 제1 힌지공(141a)에서 회전되는 어느 각도에서나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 힌지부(143)는 홀더(110)의 이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판형 피봇힌지로 구성되어, 홀더(110)가 제3 힌지부(14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3 힌지부(143)의 이면에는 제2 힌지축(142a)이 구비된 축부(143a)가 돌출 형성되어 스탠드(13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부(141)는 베이스(120)에 대해 스탠드(130)의 일단을 90도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힌지부(142)는 스탠드(130)의 타단에 대해 홀더(110)를 180도 범위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힌지부(143)는 홀더(110)를 스탠드(130)에 대한 각도 조절 없이 제자리에서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힌지부(143)는 화면을 90도 회전하여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피봇(Pivot) 기능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41)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게 한다. 도 2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태블릿(10)의 화면을 보면서 키보드 조작이 가능하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힌지부(141)는 회전에 의해 홀더(110)가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한다. 도 3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태블릿(10)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100)를 가지고 이동 가능하며, 태블릿(10)은 홀더(110)와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보호된다. 이때, 베이스(120)에 내장된 금속판(125)은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과 부착력을 발휘하여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진 상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베이스(120)에 구비된 돌기부(124)가 베이스(120)와 태블릿(10)의 화면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태블릿(10)을 충격이나 스크레치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힌지부(142)는 홀더(110)를 스탠드(130)의 전면측에 배치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를 뒤집어 홀더(110)가 스탠드(130)의 이면측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힌지부(142)는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 범위 내에서 홀더(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태블릿(10)은 키보드를 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에서 태블릿(10)은 키보드(121)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를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세우면 홀더(110)가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를 베이스(12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접으면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를 베이스(120)와 밀착되는 방향으로 접으면 태블릿(10)의 화면이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는 태블릿(10)의 화면에 터치펜(20)을 이용하여 필기 등을 할 때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홀더(110)의 이면이 스탠드(130)의 이면에 닿는 위치에서, 제1 힌지부(141)를 기준으로 스탠드(130)의 일단을 회전시켜 세우면 홀더(110)가 폴딩된(뒤로 뒤집어진) 상태로 소정의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이 상태는 사용자가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태블릿(10)의 화면을 보여주면서 학습 내용을 설명할 때 용이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를 잡고 제3 힌지부(도 2의 도면 부호 143)를 기준으로 홀더(110)를 90도 회전시키면 태블릿(10)의 화면이 가로에서 세로로 변경되어 책 등을 읽을 때 유용하다.
도 2에 도시된 스탠드(130)는 이면에 알루미늄판을 포함하고 알루미늄판은 아노다이징처리된 것이다. 스탠드(130)는 일단과 타단이 베이스(120)와 홀더(110)에 대해 각각 회전하여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접고 펴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또한 스탠드(130)는 홀더(110)와 태블릿(1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일단과 타단 측에 하중이 가해져 파손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스탠드(130)의 이면에 알루미늄판을 덫대거나 스탠드(130)를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하여 강성을 높이도록 한다.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20), 스탠드(130) 및 홀더(110)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그리고, 스탠드(130)의 이면에만 알루미늄판을 덫대고 아노다이징처리하여 스탠드(130)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베이스(120)의 일측에 손잡이(150)가 구비된다. 손잡이(150)는 태블릿(10)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100)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손잡이(150)는 베이스(120)의 후면측 대략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손잡이(150)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151)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미끄럼 방지 패드(151)는 베이스(120)와 마주하는 손잡이(150)의 내측 위치에 고무 재질을 덫대어 미끄럼 방지가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베이스(120)와 손잡이(150)의 사이 빈공간을 통해 스탠드(130)의 일단이 베이스(120)에 제1 힌지부(141)로 연결된다. 따라서 스탠드(130)의 일단은 손잡이(150)에 의해 회전 범위가 제한되고 90도까지만 회전 가능하다. 손잡이(150)의 내측에 포함된 미끄럼 방지 패드(151)는 스탠드(130)의 회전 과정에서 스탠드(130)의 이면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손잡이(150)는 베이스(120)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베이스(120)의 경우 키보드(121)를 구비하고, 내부에 충전회로 등을 내장해야 하므로 일정 두께가 요구된다. 그러나 손잡이(150)의 경우 어린이들이 잡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 어린이들이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120)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손잡이(150)는 하면에 베이스(120)와 높이를 맞추기 위한 돌기(153)가 구비된다. 이는 베이스(120)를 바닥에 놓는 경우 손잡이(150)의 하면 돌기(153)가 바닥에 닿아 균형을 맞추기 위함이다. 만약 손잡이(150)의 하면에 돌기(153)가 없는 경우 바닥에 닿는 높이차가 발생하므로 손잡이(150)가 눌러져 베이스(120)가 들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베이스(120)의 하면에 지지러버(1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러버(127)는 베이스의 하면 가장자리 4곳에 구비되어 베이스(120)를 책상, 테이블 등에 충격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펜수납홈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은 베이스(120)의 상면에 요입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에는 터치펜(20)이 삽입된다. 터치펜(2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펜몸체(21)와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펜 끝(22)의 팁과 팁에서 펜몸체(21)를 연결하는 경사부(23)를 포함하는 구조로 된다.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을 수납할 수 있는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다.
펜수납홈(126)의 양단측(126a)은 단부를 향하여 폭이 점점 좁아지고 경사진 구조로 된다.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의 펜몸체(21)가 수용되는 직선 수용부(126b)와 단부로 갈수록 입구 폭이 점차 좁아져 터치펜(20)의 경사부(23) 및 터치펜 끝(22)이 수용되는 경사 수용부(126a)를 포함한다.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내벽 또는 바닥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다.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내벽 또는 바닥면에 닿지 않는 구조는 터치펜 끝(22)의 팁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에 닿으면 터치펜 끝(22)이 손상되고 터치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펜수납홈(126)은 입구 폭의 양측(예: 도 8a의 A-A'점, B-B'점)에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면 또는 벽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다.
이를 위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의 경사 수용부(126a)의 경사 각도(α)는 터치펜(20)의 경사부의 각도(β)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 경우,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은 입구 폭의 양측(C-C'점)에 접촉되고, 펜몸체(21)가 경사 수용부(126a)로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단부 내벽에 닿지 않는다.
또한, 펜수납홈(126)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에서 터치펜 끝(22)까지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의 경사 수용부(126a)에서, 펜수납홈(126)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ℓ1)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A-A')에서 터치펜 끝(22)까지의 수직 길이(m1)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는 터치펜 끝(22)이 경사 수용부(126a)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수납홈(126)의 직선 수용부(126b)에서, 펜수납홈(126)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ℓ2)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B-B')에서 터치펜 끝(22)까지의 수직 길이(m2)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이는 터치펜 끝(22)이 직선 수용부(126b)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는,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에 접촉되어 터치펜(2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고, 더불어 터치펜(20)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에 삽입되는 길이에 비해 펜수납홈(126)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더 깊게 형성되어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
펜수납홈(126)은 입구 폭이 터치펜(20)의 펜몸체(21)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중간부분에서 펜몸체(21)의 직경에 대응된다. 이로 인해, 터치펜(20)은 펜수납홈에 수납시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 펜수납홈(126)에 수납될 수 있다. 이는 터치펜(20)이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이유로, 실시예는 펜수납홈(126)에서 터치펜(20)의 펜몸체(21)가 삽입되는 부분에 터치펜 끝(22)을 삽입하더라도, 일차적으로 터치펜(20)의 펜몸체(21)의 경사부(23)가 펜수납홈(126)의 입구 폭에 걸리므로, 과도함 힘으로 누르지 않는 이상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다.
도 9b 및 도 9c에서 펜수납홈(126)의 폭방향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 것이 목적이므로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에 닿지는 않는 구조이면, 펜수납홈(126)의 폭방향 단면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b 및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펜수납홈(126)에 터치펜(20)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60)가 배치된다. 탄성지지부(160)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터치펜(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탄성지지부(160)는 펜수납홈(126)의 중앙에 배치되어 펜수납홈(126)과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160)는 펜수납홈(126)과 연통되는 안착부(161)를 포함하고,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다. 실시예서,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이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높이 m만큼 더 돌출된다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의 외주 일부가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면,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을 잡고 탈착시키기 용이하다.
안착부(161)에 배치된 터치펜(20)의 외주 일부가 탄성지지부(16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므로, 태블릿 거치대를 접을 경우, 터치펜(20)과 태블릿(10)의 화면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돌기부(도 1의 도면부호 124)가 펜수납홈(126)의 주변에 구비된다.
안착부(161)의 양측에 요입된 형상이고 상부로 개구된 홈부(163)가 더 구비된다. 홈부(163)는 펜수납홈(126)에 수납된 터치펜(20)을 잡고 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된다. 터치펜(20)은 홈부(16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주 일부가 약간 더 돌출되고 사용자는 터치펜(20)을 파지하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태블릿 거치대(100)는 스탠드(130)의 일단을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141)와 스탠드(130)의 타단을 홀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142)와, 홀더(110)를 회전하여 태블릿(10)의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볼 수 있도록 피봇 기능을 제공하는 제3 힌지부(14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힌지부(141,142,143)로 구성되는 3단 힌지는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회전시켜, 홀더(110)를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하거나, 홀더(110)를 베이스(12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세워지고 눕혀지게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가 베이스(120)에 대해 소정 각도로 세워져, 태블릿(10)을 소정 각도에서 세워서 볼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가 베이스(120)와 겹쳐지게 하여, 사용자는 태블릿(10)이 장착된 태블릿 거치대(100)를 가지고 이동 가능하다. 이때, 태블릿(10)은 홀더(110)와 베이스(120)의 사이에서 보호된다.
홀더(110)와 베이스(120)가 겹쳐진 상태에서, 베이스(120)에 구비된 돌기부(124)가 태블릿(10)의 화면과 베이스(120) 및 터치펜(20)의 접촉을 방지하여 화면의 스크래치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0)에 구비된 금속판(125)이 태블릿(10)에 내장된 자석과 부착되어 베이스(120)와 홀더(110)가 겹쳐져서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되면 홀더(110)가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을 닫는다. 따라서 홀더(110)에 태블릿(10)이 장착된 상태에서, 태블릿(10)의 전원연결구멍(11)에는 충전잭을 연결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스탠드(130)의 이면에 알루미늄판을 덫대거나 스탠드(130)를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하여 강성을 높이므로, 힌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손잡이(150)를 전체 두께에 비해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여 어린이들이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손잡이(150)의 하면에 돌기(153)를 형성하여 베이스(120)가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한다. 이는 태블릿 거치대(100)가 바닥에 균형있게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태블릿 거치대(1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베이스(120)의 상면에 터치펜(20)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126)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서 꺼내어 사용하고 보관하기 용이하다.
또한, 펜수납홈(126)은 터치펜(20)을 수납할 때 터치펜 끝(22)이 펜수납홈(126)의 바닥 또는 내벽에 닿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또는 터치펜(20)을 펜수납홈(126)에 수납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터치펜 끝(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펜수납홈(126)은 일측에 터치펜(20)의 펜몸체(21)를 약간만 돌출시키는 탄성지지부(160)를 구비한다. 따라서 펜수납홈(126)에서 터치펜(20)을 수납하고 꺼내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상술한 태블릿 거치대(100)는 태블릿(10)을 장착하여 사용자가 태블릿을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태블릿 거치대(100)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책 단말기 등을 장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하여 스마트폰이나 전자책 단말기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태블릿 11: 전원연결구멍
20: 터치펜 21: 펜몸체
22: 터치펜 끝(팁) 23: 경사부
100: 태블릿 거치대 110: 홀더
111: 요입슬릿 113: 개방부
120: 베이스 121: 키보드
122: 전원연결홀 123: 락버튼
124: 돌기부 125: 금속판
126: 펜수납홈 127: 지지러버
130: 스탠드 140: 각도조절수단
141: 제1 힌지부 141a: 제1 힌지공
141b: 제1 힌지축 142: 제2 힌지부
142a: 제2 힌지축 142b: 제2 힌지공
143: 제3 힌지부 143a: 축부
150: 손잡이 151: 미끄럼 방지 패드
153: 돌기 160: 탄성지지부
161: 안착부 163: 홈부

Claims (16)

  1. 태블릿을 끼워 장착하는 홀더;
    베이스;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일단을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스탠드의 타단을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부;
    를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이면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를 피봇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힌지부와 상기 스탠드의 타단이 상기 제2 힌지부로 연결되는 태블릿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전면에 닿는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이면이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 닿는 위치 범위까지 상기 홀더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태블릿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태블릿의 이면과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홀더는 양측에 상기 태블릿의 이면을 노출시키는 요입슬릿이 형성된 태블릿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태블릿에 내장된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판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에 상기 홀더를 접었을 때 상기 금속판과 상기 자석이 자력을 작용시켜 벌어지지 않는 태블릿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펜수납홈이 형성된 태블릿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에 수납된 상기 터치펜은 외주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는 태블릿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의 주변에 상기 태블릿의 화면과 상기 터치펜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기부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은 입구 폭의 양측에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접촉한 상태에서 터치펜 끝이 상기 펜수납홈의 바닥면 및 벽면에 닿지 않는 구조로 된 태블릿 거치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은 터치펜의 펜몸체가 수용되는 직선 수용부와 단부로 갈수록 입구 폭이 점차 좁아져 터치펜의 경사부 및 터치펜 끝이 수용되는 경사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수용부의 경사 각도(α)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의 각도(β)에 비해 작은 태블릿 거치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서 바닥면까지의 수직 길이는
    상기 터치펜의 경사부가 상기 펜수납홈의 입구에 접촉되는 접촉점에서 상기 터치펜 끝까지의 수직 길이에 비해 긴 태블릿 거치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또는 상기 베이스는 전원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홀더는 상기 태블릿의 전원연결구멍을 닫는 태블릿 거치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에 태블릿이 장착되면 상기 태블릿은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연결되는 태블릿 거치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스탠드의 이면에서 펼쳤을 때 적어도 상기 손잡이와 맞닿는 부분에는 아노다이징 처리된 알루미늄판을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에 미끄럼 방지 패드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하면에 돌기가 구비된 태블릿 거치대.
KR1020190158429A 2019-12-02 2019-12-02 태블릿 거치대 KR10229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29A KR102298206B1 (ko) 2019-12-02 2019-12-02 태블릿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29A KR102298206B1 (ko) 2019-12-02 2019-12-02 태블릿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76A true KR20210068876A (ko) 2021-06-10
KR102298206B1 KR102298206B1 (ko) 2021-09-06

Family

ID=7637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29A KR102298206B1 (ko) 2019-12-02 2019-12-02 태블릿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2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512A (ja) * 1989-09-20 1991-05-02 Sony Corp 電子機器
JPH0354437U (ko) * 1989-09-26 1991-05-27
KR100484390B1 (ko) 2002-06-27 2005-04-20 조영길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20120008398U (ko) * 2011-05-30 2012-12-10 (주)에스에이지에스코리아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20130035374A (ko) * 2011-09-30 2013-04-0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200475621Y1 (ko) * 2014-05-23 2014-12-18 주식회사 시공교육 소형 휴대형 컴퓨터용 케이스
KR101591431B1 (ko) * 2014-09-23 2016-02-03 (주)밸류플러스 태블릿 컴퓨터용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5512A (ja) * 1989-09-20 1991-05-02 Sony Corp 電子機器
JPH0354437U (ko) * 1989-09-26 1991-05-27
KR100484390B1 (ko) 2002-06-27 2005-04-20 조영길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KR20120008398U (ko) * 2011-05-30 2012-12-10 (주)에스에이지에스코리아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20130035374A (ko) * 2011-09-30 2013-04-0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200475621Y1 (ko) * 2014-05-23 2014-12-18 주식회사 시공교육 소형 휴대형 컴퓨터용 케이스
KR101591431B1 (ko) * 2014-09-23 2016-02-03 (주)밸류플러스 태블릿 컴퓨터용 보호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206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141B1 (en) Protective case for folding screen phone
US9069527B2 (en) Tablet support apparatus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TWI479975B (zh) The protective cover structur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US9720452B2 (en) Kickstan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US8727295B2 (en) Stand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TWI488563B (zh) 周邊輸入裝置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TW201331903A (zh) 平板式顯示裝置之多方位支持結構
TWI432128B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JP2011253514A (ja) タブレットpc用ケース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JP6821886B2 (ja) 電子デバイス用の円筒状二軸ヒンジ、円筒状二軸ヒンジを有する電子システム、装置、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20070092044A (ko) 휴대용전자장치
US11278114B2 (en) Portable reading stand
US20060252385A1 (en) Hand-held input device having rotating mechanism
JP2013011977A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用ケース
KR102298206B1 (ko) 태블릿 거치대
JP2000172377A (ja) 電子機器
KR20120015749A (ko)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JP3005543B1 (ja) 小型電子機器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US20150098185A1 (en) Foldable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