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490A - X 선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X 선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490A
KR20210068490A KR1020217012342A KR20217012342A KR20210068490A KR 20210068490 A KR20210068490 A KR 20210068490A KR 1020217012342 A KR1020217012342 A KR 1020217012342A KR 20217012342 A KR20217012342 A KR 20217012342A KR 20210068490 A KR20210068490 A KR 2021006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mage
region
machine learning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나카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쓰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쓰세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쓰세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6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ent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X 선 촬상 장치 (100) 에 있어서, 제어부 (4) 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X 선 촬상 장치
본 발명은, X 선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피사체가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骨)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X 선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사체가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척주 배열 (척주 형상) 을 추정하는 척주 배열 추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척주 배열 추정 장치는,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7/141958호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7/141958호에 기재된 척주 배열 추정 장치에서는, 먼저, 동일 인물에 대해 촬상된, 인체의 등부의 입체 형상을 나타내는 무아레 무늬를 포함하는 무아레 화상과, 인체의 등부의 골 영역이 촬상된 X 선 화상의 데이터 세트가 다수 준비된다. 다음으로, 기계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 세트 (정해 데이터) 의 라벨 부여가 실시된다. 예를 들어, X 선 화상에 비치는 흉추 및 요추의 무게 중심이 곡선에 의해 근사된다. 그 후, 무아레 화상과 X 선 화상을 위치 맞춤하여, 무아레 화상의 좌표와 X 선 화상의 좌표가 위치 맞춤된다. 그리고, 무아레 화상 상의 흉추 및 요추의 무게 중심의 좌표가 학습용의 정해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입력된 무아레 화상에 기초하여, 척주 요소의 배열 정보 (흉추 및 요추의 무게 중심의 좌표) 가 출력되도록 학습이 실시된다. 또한, 학습으로서, 예를 들어, 심층 학습이 사용된다.
그리고, 국제 공개 제2017/141958호에 기재된 척주 배열 추정 장치에서는, 학습된 결과 (식별기) 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미지 (척주 요소의 배열 정보가 미지) 의 무아레 화상으로부터 척주 요소의 배열 정보가 추정된다. 또, 추정된 척주 요소의 배열 정보가, 무아레 화상 상에 중첩된 상태로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 국제 공개 제2017/141958호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 요추나 대퇴골 등의 골밀도 측정에서는, 2 종류의 서로 상이한 에너지의 X 선을 피사체에 조사함으로써 촬상된 화상에 있어서, 골 성분과 다른 조직을 구별하여 골밀도의 측정이 실시되고 있다. 이 경우, 촬상된 화상에 있어서 요추나 대퇴골 등의 골밀도의 측정을 실시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추출 (지정)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골 영역의 추출을,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 (자동 세그멘테이션) 이 실시되고 있다. 또, 자동 세그멘테이션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기계 학습으로서, 국제 공개 제2017/141958호와 같이, 심층 학습이 사용되고 있다. 심층 학습에서는, 요추나 대퇴골 등의 골밀도의 측정이 실시되는 부위가 촬상된 화상 (정해 데이터) 이 학습됨과 함께 학습된 결과 (식별기) 에 기초하여, 미지의 화상으로부터 골 영역이 추출된다. 또, 추출된 골 영역이 실제의 골 영역과 어긋나 있던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골 영역이 수정된다.
국제 공개 제2017/141958호
여기서, 심층 학습 등의 기계 학습을 사용한 골 영역의 자동 세그멘테이션의 정밀도는 비교적 높은 한편,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이 입력된 경우, 자동 세그멘테이션 (골 영역의 추출) 이 크게 실패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골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비교적 큰 수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이 입력된 경우여도, 추출된 골 영역의 수정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X 선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의 X 선 촬상 장치는, 피사체에 X 선을 조사하는 X 선 조사부와, X 선 조사부로부터 피사체에 조사된 X 선을 검출하는 X 선 검출부와, X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X 선에 기초하여 취득된 취득 화상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함과 함께, 소정의 경우에, 취득 화상에 있어서,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와, 화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다고 판정한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의 X 선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다고 판정한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이 입력된 경우 등에 있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여도,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소정의 룰에 기초한 골 영역의 추출의 정밀도는, 기계 학습에 기초한 골 영역의 추출의 정밀도보다 낮은 한편, 비교적 간단한 룰에 기초하여 골 영역의 추출이 실시되므로, 기계 학습으로는 적절히 골 영역의 추출을 실시할 수 없는 화상이어도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골 영역의 추출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적절히 추출되어 있지 않은 기계 학습에 기초한 골 영역을 수정하는 경우에 비해,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추출된 골 영역을 수정하는 편이, 수정량이 적다. 그 결과,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이 입력된 경우여도, 추출된 골 영역의 수정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취득 화상에 있어서,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의 면적과,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의 무게 중심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계 학습에 의해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의 면적과 무게 중심 중 적어도 일방과, 전형적인 피사체의 골 영역의 면적과 무게 중심 중 적어도 일방을 비교하면, 용이하게,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취득 화상에,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소정의 추출 부적절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은 실시하지 않고,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것이 기지인 경우에,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은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처리부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전환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환 조작부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 상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피사체의 골 영역은, 대퇴골의 골 영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대퇴골의 골밀도 측정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이 입력된 경우여도, 추출된 골 영역의 수정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기계 학습은, 심층 학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심층 학습의 골 영역의 추출 정밀도는 비교적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피사체에 있어서 적절히 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는 한편, 심층 학습으로도 적절히 골 영역의 추출을 할 수 없는 미지의 화상에 대해, 백업으로서,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룰은, 취득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것, 및, 이웃하는 화소의 화소값의 구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화소값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이 입력된 경우여도, 추출된 골 영역의 수정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심층 학습 (U-net)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심층 학습에 의한 골 영역의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추출된 골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기계 학습에 기초한 골 영역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소정의 화상 (패턴) 이 포함되는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사용자에 의해 보정된 골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7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X 선 촬상 장치 (10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X 선 촬상 장치의 구성)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선 촬상 장치 (100) 는, X 선 조사부 (1) 와, X 선 검출부 (2) 와, 화상 처리부 (3) 와, 제어부 (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X 선 촬상 장치 (100) 는, 화상 처리부 (3) 에서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5) 를 구비하고 있다.
X 선 조사부 (1) 는, 피사체 (T) 에 X 선을 조사한다. X 선 검출부 (2) 는, X 선 조사부 (1) 로부터 피사체 (T) 에 조사된 X 선을 검출한다. X 선 촬상 장치 (100) 는, 예를 들어, 피사체 (T) 의 골밀도의 측정에 사용된다. 골밀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X 선 조사부 (1) 로부터 2 종류의 에너지의 X 선을 피사체 (T) 의 측정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골 성분과 다른 조직을 구별하는 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법이 사용된다.
X 선 조사부 (1) 는, X 선원 (1a) 을 포함하고 있다. X 선원 (1a) 은,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 발생부에 접속되어 있고,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X 선을 발생시키는 X 선관이다. X 선원 (1a) 은, X 선 출사 방향을 X 선 검출부 (2) 의 검출면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X 선 검출부 (2) 는, X 선 조사부 (1) 로부터 조사되고, 피사체 (T) 를 투과한 X 선을 검출하고, 검출한 X 선 강도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X 선 검출부 (2) 는, 예를 들어, FPD (Flat Panel Detector)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 (3) 는, 화상 취득부 (31) 와, 기계 학습 베이스 영역 추출부 (32) 와, 룰 베이스 영역 추출부 (33) 와, 골밀도 측정부 (34) 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 취득부 (31), 기계 학습 베이스 영역 추출부 (32), 룰 베이스 영역 추출부 (33), 및, 골밀도 측정부 (34) 의 각각은, 화상 처리부 (3) 중의 소프트웨어로서의 기능 블록이다. 즉, 화상 취득부 (31), 기계 학습 베이스 영역 추출부 (32), 룰 베이스 영역 추출부 (33), 및, 골밀도 측정부 (34) 의 각각은, 제어부 (4) 의 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 취득부 (31) 는, X 선 검출부 (2) 에 의해 검출된 X 선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화상 (I) (도 3 참조) 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취득부 (31) 는, X 선 검출부 (2) 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해상도의 X 선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I) (X 선 화상) 을 취득한다. 또한, 화상 (I) 은, 특허 청구 범위의 「취득 화상」의 일례이다.
기계 학습 베이스 영역 추출부 (32) 는, X 선 검출부 (2) 에 의해 검출된 X 선에 기초하여 취득된 화상 (I) 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도 3 참조) 을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계 학습으로서, 심층 학습이 사용된다. 또, 골 영역 (A) 은, 대퇴골의 골 영역 (A) 을 포함한다.
심층 학습에 의한 시맨틱·세그먼테이션에서는, 종래의 화상 세그먼테이션과 달리, 딥 뉴럴 네트워크를 대표로 하는 심층 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픽셀 레벨로 화상을 이해하고, 화상의 각 픽셀에 오브젝트의 클래스가 할당된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층 학습으로서, U-net 에 기초한 심층 학습이 사용된다. U-net 에서는, U 자형의 합성곱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화상 중에 「무엇이, 어디에, 어떻게」비치고 있는가라는 영역 추출이 실시된다. U-net 의 좌측에 배치된 encoder 의 각 합성곱층 (Conv) 의 출력이, 우측의 decoder 의 각 합성곱층 (Deconv) 에 직접 결합되어, 데이터를 채널 방향으로 연결 (concat)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보다 저차원의 특징량이 스킵되어, 종래대로 특징을 추출하면서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출력 화상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다중 해상도로 골 영역 (A) 을 판정하기 위해, 입력 화상을 최초의 합성곱층에 입력하기 전에, 다중 해상도의 국소 콘트라스트 정규화 (LCN : Local Contrast Normalization) 가 실시된다. 그 후, 순차, 합성곱층에 입력된다. 또, 활성화 함수로서, 출력층 이외의 모든 층에, 가장 일반적인 ReLu 함수가 사용된다. 또, 학습의 수속을 고속화 및 안정화하기 위해서, 각 합성곱층의 활성화 함수의 후에 있어서 배치 정규화가 실시된다. 또, 손실 함수로서, 교차 엔트로피 오차가 사용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룰 베이스 영역 추출부 (33) 는, X 선 검출부 (2) 에 의해 검출된 X 선에 기초하여 취득된 화상 (I) (도 3 참조) 에 있어서,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을 추출 (도 4 참조) 한다. 예를 들어, 룰 베이스 영역 추출부 (33) 는, 화상 (I) 에 있어서의 화소값이나, 이웃하는 화소의 화소값의 구배가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을 추출한다. 요컨대, 화상 (I) 에 있어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경계가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제어부 (4) 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 (4) 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다고 판정한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화상 (Im), 도 3 참조) 을 표시부 (5) 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제어부 (4) 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화상 (Ir), 도 4 참조) 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란, 예를 들어,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I) (정해 데이터) 이 촬상되었을 때의 피사체 (T) 의 자세와, 미지의 화상 (I) (추정용의 화상 (I)) 이 촬상되었을 때의 피사체 (T) 의 자세가 크게 상이한 경우 등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4) 는, 화상 (I) 에 있어서,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면적 (S) 과,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무게 중심 (G)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면적 (S) 이, 전형적인 골 영역 (A) 의 면적 (S) 과 비교된다. 그리고,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면적 (S) 과, 전형적인 골 영역 (A) 의 면적 (S) 의 차가 소정의 면적 임계값보다 크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된다. 또,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무게 중심 (G) 이, 전형적인 골 영역 (A) 의 무게 중심 (G) 과 비교된다. 그리고,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무게 중심 (G) 의 좌표와, 전형적인 골 영역 (A) 의 무게 중심 (G) 의 좌표의 차가 소정의 무게 중심 임계값보다 크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된다. 또한, 면적 (S) 또는 무게 중심 (G) 의 일방에만 기초하여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해도 되고, 면적 (S) 및 무게 중심 (G) 의 양방에 기초하여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4) 는, 화상 (I) 에,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소정의 화상 (P) 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은 실시하지 않고,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화상 (I) 에 금속 (볼트) 등의 화상 (P) 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이 부적절하게 되는 것이 미리 기지라고 한다. 이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은 실시하지 않고,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한다. 또한, 소정의 룰에 기초한 추출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룰에 기초하여 골 영역 (A) 의 추출이 실시되므로, 기계 학습으로는 적절히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할 수 없는 화상이어도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 (P) 은, 특허 청구 범위의 「추출 부적절 화상」의 일례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 (5) 에 표시되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화상 (Im)) 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화상 (Ir)) 을 전환하는, 표시부 (5) 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 (5a) 상의 버튼 (5b) 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 (5b) 은, 예를 들어, 풀다운 메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에 의해 버튼 (5b) 을 클릭함으로써, 풀다운 메뉴에 포함되는 기계 학습에 기초한 화상 (Im) 과, 소정의 룰에 기초한 화상 (Ir) 을 선택하는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풀다운 메뉴에는, 전회 (前回) 의 골밀도 측정 시에 사용된 화상도 포함된다. 또한, 버튼 (5b) 은, 특허 청구 범위의 「전환 조작부」의 일례이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 (5) 에 표시된 화상 (Ir) (또는 화상 (Im)) 에 있어서, 골 영역 (A) 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골 영역 (A) 의 수정이 실시된다. 골 영역 (A) 의 수정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함으로써, 골 영역 (A) 을 전부 칠하도록 (또는 지우도록), 골 영역 (A) 의 수정이 실시된다. 또한, 도 7 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은, 도 4 에 나타내는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골밀도 측정부 (34) 는,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골 영역 (A) 이 수정된 경우에는, 수정 후의 골 영역 (A)) 에 있어서, 골밀도를 측정한다. 또한, 도 6 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 골밀도의 측정이 실시된다.
(X 선 촬상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도 8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X 선 촬상 장치 (10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 (3) 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의한 학습은 이미 실시되어 있다고 한다.
먼저, 스텝 S1 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 (3) 에 미지의 X 선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상 (I) (화상 데이터) 이 입력된다.
다음으로, 스텝 S2 에 있어서, 미지의 화상 (I) 에,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소정의 화상 (P) (도 5 참조) 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이 판정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화상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제어부 (4) 에 의해 실시된다. 스텝 S2 에 있어서, 화상 (P) 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3 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2 에 있어서, 화상 (P) 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 으로 진행된다.
다음으로, 스텝 S3 에 있어서, X 선 검출부 (2) 에 의해 검출된 X 선에 기초하여 취득된 화상 (I) 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기계 학습에 의한 학습에 의해 생성된 식별기 (모델, 도 3 참조) 에 화상 (I) 이 입력됨과 함께, 식별기에 의해,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다.
다음으로, 스텝 S4 에 있어서, 제어부 (4) 에 의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4 에 있어서,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5 로 진행되고,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m) 이 표시부 (5) 에 표시된다. 또한, 필요하면,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 (5) 에 표시된 골 영역 (A) 이 수정된다.
스텝 S4 에 있어서,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6 으로 진행된다. 스텝 S6 에서는,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다. 그리고, 스텝 S5 로 진행되고,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이 표시부 (5) 에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 S7 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부 (34) 에 의해 골밀도가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 (4) 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다고 판정한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m) 을 표시부 (5) 에 표시시키고,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I)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 (I) 이 입력된 경우 등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여도,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이 표시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소정의 룰에 기초한 골 영역 (A) 의 추출의 정밀도는, 기계 학습에 기초한 골 영역 (A) 의 추출의 정밀도보다 낮은 한편, 비교적 간단한 룰에 기초하여 골 영역 (A) 의 추출이 실시되므로, 기계 학습으로는 적절히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할 수 없는 화상 (I) 이어도 어느 정도의 정밀도로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적절히 추출되어 있지 않은 기계 학습에 기초한 골 영역 (A) 을 수정하는 경우에 비해,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추출된 골 영역 (A) 을 수정하는 편이, 수정량이 적다. 그 결과,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I)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 (I) 이 입력된 경우여도, 추출된 골 영역 (A) 의 수정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 (4) 는, 화상 (Im) 에 있어서,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면적 (S) 과,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무게 중심 (G)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로써, 기계 학습에 의해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면적 (S) 과 무게 중심 (G) 중 적어도 일방과, 전형적인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면적 (S) 과 무게 중심 (G) 중 적어도 일방을 비교하면, 용이하게,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 (4) 는, 화상 (I) 에,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소정의 화상 (P) 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은 실시하지 않고,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실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것이 기지인 경우에, 기계 학습에 기초한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의 추출은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처리부 (3) 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표시부 (5) 에 표시되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m) 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을 전환하는 버튼 (5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m) 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을 전환하여 비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버튼 (5b) 은, 표시부 (5) 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 상의 버튼 (5b) 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버튼 (5b) 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m) 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을 전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은, 대퇴골의 골 영역 (A) 을 포함한다. 이로써, 대퇴골의 골밀도 측정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사용된 화상 (I) (정해 데이터) 과는 괴리한 미지의 화상 (I) 이 입력된 경우여도, 추출된 골 영역 (A) 의 수정에 대한 사용자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계 학습은, 심층 학습이다. 이로써, 심층 학습의 골 영역 (A) 의 추출 정밀도는 비교적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피사체 (T) 에 있어서 적절히 골 영역 (A) 을 추출할 수 있는 한편, 심층 학습으로도 적절히 골 영역 (A) 의 추출을 할 수 없는 미지의 화상 (I) 에 대해, 백업으로서,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이 추출된 화상 (Ir) 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소정의 룰은, 화상 (I) 에 있어서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것, 및, 이웃하는 화소의 화소값의 구배에 기초하여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을 추출하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다. 이로써, 화소값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피사체 (T) 의 골 영역 (A) 을 추출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변형예) 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계 학습으로서 심층 학습이 사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심층 학습 이외의 기계 학습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의 면적과,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의 무게 중심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가 판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골 영역의 면적 및 무게 중심 이외의 기준에 기초하여,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병렬한 상태로 표시부에 표시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화상 상의 버튼에 의해,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전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화상 상의 버튼 이외 방법 (물리적인 스위치 등) 에 의해 화상을 전환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사체의 대퇴골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대퇴골 이외 (요추 등) 의 골 영역을 추출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가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가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다고 판정하고 표시한 경우여도, 사용자가,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함과 함께 추출한 피사체의 골 영역을 표시해도 된다.
1 : X 선 조사부
2 : X 선 검출부
3 : 화상 처리부
4 : 제어부
5 : 표시부
5b : 버튼 (전환 조작부)
100 : X 선 촬상 장치
A : 골 영역
G : 무게 중심
I : 화상 (취득 화상)
P : 화상 (추출 부적절 화상)
S : 면적
T : 피사체

Claims (8)

  1. 피사체에 X 선을 조사하는 X 선 조사부와,
    상기 X 선 조사부로부터 상기 피사체에 조사된 X 선을 검출하는 X 선 검출부와,
    상기 X 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X 선에 기초하여 취득된 취득 화상에 있어서,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함과 함께, 소정의 경우에, 상기 취득 화상에 있어서,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화상 처리부와,
    상기 화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X 선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 화상에 있어서, 추출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의 면적과, 추출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의 무게 중심 중 적어도 일방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추출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X 선 촬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취득 화상에,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을 적절히 실시할 수 없게 되는 소정의 추출 부적절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은 실시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의 추출을 실시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X 선 촬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기계 학습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과, 상기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이 추출된 화상을 전환하는 전환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X 선 촬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 상의 버튼을 포함하는, X 선 촬상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은, 대퇴골의 골 영역을 포함하는, X 선 촬상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은, 심층 학습을 포함하는, X 선 촬상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룰은, 상기 취득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것, 및, 이웃하는 화소의 화소값의 구배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골 영역을 추출하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포함하는, X 선 촬상 장치.
KR1020217012342A 2018-11-05 2018-11-05 X 선 촬상 장치 KR20210068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40975 WO2020095343A1 (ja) 2018-11-05 2018-11-05 X線撮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490A true KR20210068490A (ko) 2021-06-09

Family

ID=7061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342A KR20210068490A (ko) 2018-11-05 2018-11-05 X 선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88450B2 (ko)
KR (1) KR20210068490A (ko)
CN (1) CN112996440A (ko)
WO (1) WO20200953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1958A1 (ja) 2016-02-15 2017-08-24 学校法人慶應義塾 脊柱配列推定装置、脊柱配列推定方法及び脊柱配列推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61A (ja) * 1993-02-09 1994-08-23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
JP4201939B2 (ja) * 1999-10-22 2008-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放射線治療計画システム
JP3712234B2 (ja) * 2002-03-19 2005-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関心領域抽出方法及び画像処理サーバ
JP2007135858A (ja) * 2005-11-18 2007-06-07 Hitachi Medical Corp 画像処理装置
EP2072013A4 (en) * 2006-10-10 2014-12-03 Hitachi Medical Corp MEDICAL PICTURE DIAGNOSTIC DEVICE, MEDICAL IMAGING METHOD AND MEDICAL PICTURE MEASUREMENT PROGRAM
JP5300569B2 (ja) * 2009-04-14 2013-09-25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画像処理装置
US8437521B2 (en) * 2009-09-10 2013-05-07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vertebra edge detection, segmentation and identification in 3D imaging
WO2012021861A2 (en) * 2010-08-13 2012-02-16 Mckinnon, Brian William Detection of anatomical landmarks
US20150110369A1 (en) * 2012-01-10 2015-04-23 Koninklijke Philips N.V.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495752B2 (en) * 2012-09-27 2016-11-15 Siemens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oftware Inc. Multi-bone segmentation for 3D computed tomography
US9646229B2 (en) * 2012-09-28 2017-05-09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bone segmentation and landmark detection for joint replacement surgery
US10039513B2 (en) * 2014-07-21 2018-08-07 Zebra Medical Vision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mulating DEXA scores based on CT images
US10565711B2 (en) * 2015-05-18 2020-02-18 Koninklijke Philips N.V. Self-aware image segmentation methods and systems
CN106228561B (zh) * 2016-07-29 2019-04-23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血管提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1958A1 (ja) 2016-02-15 2017-08-24 学校法人慶應義塾 脊柱配列推定装置、脊柱配列推定方法及び脊柱配列推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95343A1 (ja) 2021-09-24
WO2020095343A1 (ja) 2020-05-14
JP7188450B2 (ja) 2022-12-13
CN112996440A (zh)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0203B1 (en) Computer assisted bone densitometer
US8705695B2 (en) Region of interest determination for X-ray imaging
JP6264589B2 (ja) X線撮影装置
US8391442B2 (en) Radiographic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JP6255245B2 (ja) X線ct装置及び体位判定方法
CN112165900A (zh) 图像解析方法、分割方法、骨密度测量方法、学习模型生成方法和图像生成装置
JPH06261894A (ja) 骨塩定量方法
EP2721581B1 (en) Method to detect and indicate inaccuracies in long length imaging
CN112438745A (zh) 图像解析方法、处理装置、测定装置及学习模型制作方法
CN107007294A (zh) X射线图像诊断装置以及骨密度测量方法
US11576638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e processing method
US10299752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X-ray CT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441682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823465A1 (en) Stereo x-ray tube based suppression of outside body high contrast objects
KR20210068490A (ko) X 선 촬상 장치
CN108778136A (zh) 用于断层融合图像重建的装置
KR101890154B1 (ko)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KR102321820B1 (ko) X 선 촬상 장치
KR101769856B1 (ko)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WO2024122340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968215A1 (en) Determining target object type and position
JP2005167773A (ja)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2408294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22126A5 (ja) 情報処理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056854A (ja) 医用ディジタル画像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