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354A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354A
KR20210068354A KR1020210070853A KR20210070853A KR20210068354A KR 20210068354 A KR20210068354 A KR 20210068354A KR 1020210070853 A KR1020210070853 A KR 1020210070853A KR 20210070853 A KR20210070853 A KR 20210070853A KR 20210068354 A KR20210068354 A KR 2021006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display panel
display
area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223B1 (ko
Inventor
김용희
김성훈
민다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2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354A/ko
Priority to KR1020210157741A priority patent/KR102366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곡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이 평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정의된 벤딩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벤딩 표시 영역을 지지하면서 상기 벤딩 표시 영역의 벤딩을 가이드하는 벤딩 가이더를 갖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 가이더는 다공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도 큰 화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큰 화면의 표시부를 구현한 장치가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점을 이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는 휴대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큰 화면의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분야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로는, 미국 공개특허 US2013/0010405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에 개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 구조의 힌지를 중심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펼침으로써 큰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크 구조의 힌지에 의해 발생되는 하우징들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하여 접혀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고, 펼쳐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곡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이 평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정의된 벤딩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벤딩 표시 영역을 지지하면서 상기 벤딩 표시 영역의 벤딩을 가이드하는 벤딩 가이더를 갖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 가이더는 다공성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곡률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패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 패널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플렉서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플렉서블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화소 어레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및 화소 어레이를 덮도록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apthanate), PC(Polycarbonate), PNB(Polynorborneen), 및 PES(Polyethersulf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는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또는 전자 습윤 표시 소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일 예에 따른 커버 부재는 화소 어레이를 덮도록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플렉서블 봉지 기판 또는 봉지층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가 액정 표시 소자, 전자 습윤 표시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다른 예에 따른 커버 부재는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기판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커버 부재에 부착된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편광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유연성을 위해 생략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100)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화소 어레이의 형성 공정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부(DA)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DA)는 패널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DA)는 제 1 표시 영역(DA1), 제 2 표시 영역(DA2), 및 벤딩 표시 영역(B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표시 영역(DA1)은 표시부(DA) 중 벤딩 표시 영역(BA)의 일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예를 들어, 상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표시 영역(DA2)은 표시부(DA) 중 벤딩 표시 영역(BA)의 타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예를 들어, 하측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평면 상태로 펼쳐질 경우, 제 1 표시 영역(DA1)과 제 2 표시 영역(DA2) 및 벤딩 표시 영역(BA)은 하나의 표시부(DA)를 구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넓은 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 신호 인가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인가부(110)에는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링크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 인가부(110)는 제 2 지지부(220)를 통과하여 제 2 지지지부(220)의 후면 쪽으로 벤딩됨으로써 제 2 지지부(2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시스템 구동부(400)에 연결된다. 상기 신호 인가부(110)에는 시스템 구동부(400)로부터 제공되는 화소 구동 신호와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DA)에 형성된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집적 회로(120)가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05)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전체에 부착됨으로써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지지 플레이트(105)는 플렉서블 기판의 플렉서블 특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외측 벤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벤딩 구조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이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를 향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외측 벤딩될 경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영상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및 후면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영상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벤딩 표시 영역(BA)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접힘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부를 형성하는 영역으로서, 벤딩부의 곡률과 폭에 대응되는 표시부(DA)의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 사이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벤딩 표시 영역(BA)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보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용 정보 기기일 경우, 상기 보조 영상은 배터리 잔량, 무선 통신 감도, 시간 정보, 및 메시지 수신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펼침시, 상기 벤딩 표시 영역(BA)은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 사이에 평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과 함께 하나의 넓은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200)는 벤딩 표시 영역(BA)을 지지하면서 상기 벤딩 표시 영역(BA)의 벤딩을 가이드하는 벤딩 가이더(230)를 포함한다.
상기 벤딩 가이더(23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232)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2)에 형성된 다공성 패턴(234)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벤딩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200)의 곡률반경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은 인장이나 압축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펼침과 벤딩시 상기 벤딩 가이더(230)는 연성 재질의 베이스 필름(232)과 다공성 패턴(234)에 의해 길이가 변화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200)의 곡률 반경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패널 지지부(200) 자체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을 가이드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힌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힌지 장치로 인한 돌출부가 발생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시에도 벤딩 가이더(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을 지지함으로써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패널 지지부(200)의 곡률 반경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해야 할 상기 벤딩 가이더(230)의 길이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L은 벤딩 가이더에 의한 보상 길이, θ: 벤딩(또는 접힘) 각도, r1는 벤딩 가이더의 중립면 반지름, 및 r2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립면 반지름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 부재(232)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중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2개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패턴(234)은 베이스 부재(232)를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과 벤딩 가이더(230) 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공성 패턴(234)의 제 1 면적은 베이스 부재(232)의 면적에서 다공성 패턴(234)을 제외한 나머지 베이스 부재(232)의 제 2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패턴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먼저, 제 1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 방향(Y)과 나란한 장축을 갖는 타원 형태를 갖도록 베이스 부재(232)에 엇갈리는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태를 갖도록 베이스 부재(232)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인접한 2개의 개구부는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 방향(Y)을 따라 인접한 2개의 개구부는 서로 180도 회전된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3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폭 방향(Y)과 나란한 장변을 갖는 직사각 형태를 갖도록 베이스 부재(232)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태를 갖도록 베이스 부재(232)에 벌집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 각각의 제 1 면적은 상기 제 2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에 따른 좌우 방향(X)의 인장력이 베이스 부재(232)에 가해지게 되면, 연성 재질의 베이스 부재(232)가 원활하게 인장되거나 수축되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벤딩 가이더(230)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예에 따른 다공성 패턴(234) 각각은 다각 형태 또는 타원 형태를 가지면서 격자 또는 엇갈리도록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베이스 부재(232)의 접촉 부위를 분산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벤딩 스트레스를 분산시킴으로써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벤딩 가이더(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에 따른 좌우 방향(X)의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베이스 부재(232)의 연성과 다공성 패턴(234)의 개구부 공간이 인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벤딩 가이더(230)의 곡률 반경(r1, r2)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이 일정한 곡률로 벤딩되도록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부가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함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상기 벤딩 가이더(2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펼침에 따라 좌우 방향(X)의 인장력이 해제되면, 베이스 부재(232)의 연성과 인장되었던 다공성 패턴(234)의 개구부 공간이 수축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벤딩 가이더(230)의 곡률 반경(r1, r2)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이 평면 상태로 펼쳐지도록 가이드하고, 평면 상태로 펼쳐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을 지지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패널 지지부(200)는 상기 벤딩 가이더(230)의 일측면에 일체화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210), 및 상기 벤딩 가이더(230)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일체화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210, 220) 각각은 상기 벤딩 가이더(230)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또는 몰드(mold)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후면을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측면들을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지지부(210)는 제 1 바닥면(211), 및 제 1 측벽들(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닥면(21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바닥면(211)은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측벽들(213)은 벤딩 가이더(230)와 마주하는 일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제 1 바닥면(211)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측벽들(213)은 제 1 바닥면(211)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측면들을 둘러싼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 1 지지부(210)의 후면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수단들(예를 들어, 통신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제어 회로, 메모리, 연산 회로 등)이 수납되는 제 1 수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지지부(210)의 후면은 제 1 수납 공간을 덮는 제 1 후면 커버(21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후면을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측면들을 감쌈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지지부(220)는 제 2 바닥면(221), 및 제 2 측벽들(22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닥면(22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후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바닥면(221)은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바닥면(221)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회로 통과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 인가부(110)는 회로 통과홀(222)에 삽입 통과한 후,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후면으로 벤딩되어 시스템 구동부(400)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측벽들(223)은 벤딩 가이더(230)와 마주하는 일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제 2 바닥면(2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측벽들(223)은 제 2 바닥면(221)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측면들을 둘러싼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후면은 제 1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구동 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구동 수단들이 수납되는 제 2 수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지지부(220)의 후면은 제 2 수납 공간을 덮는 제 2 후면 커버(22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공성 패턴(234)을 갖는 벤딩 가이더(2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표시 영역(BA)을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접힘과 펼침시 벤딩 가이더(230)의 연성과 다공성 패턴(234)의 길이 변화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벤딩 가이더(230)의 곡률 반경(r1, r2)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하여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내측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벤딩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이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술한 벤딩 가이더(23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다공성 패턴(234)을 가지므로, 양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측 벤딩과 외측 벤딩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부(D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측 벤딩 구조를 메인 벤딩 구조로 설정되고, 내측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패널 지지부(200)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패널 지지부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패널 지지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널 지지부(200)는 벤딩 가이더(230), 제 1 및 제 2 연장부(240, 250)를 포함한다.
상기 벤딩 가이더(230)는 연성 재질의 베이스 부재(232)와 베이스 부재(232)에 형성된 다공성 패턴(2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연장부(24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 후면, 즉 제 1 영역 후면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232)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연장부(240)는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240)는 베이스 부재(232)와 동일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표시 영역(DA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 2 연장부(25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 후면, 즉 제 2 영역 후면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232)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연장부(250)는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을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250)는 베이스 부재(232)와 동일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표시 영역(DA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도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및 제 2 지지부(210, 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210, 220) 각각은 상기 벤딩 가이더(230)보다 큰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또는 몰드(mold)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0)는 제 1 연장부(240)의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제 1 연장부(240)의 측면들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영역 측면들을 감쌈으로써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연장부(240)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제 1 연장부(240)를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 1 지지부(210)는 제 1 연장부(24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지지부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제 2 연장부(250)의 후면과 물리적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제 2 연장부(250)의 측면들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영역 측면들을 감쌈으로써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연장부(250)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제 2 연장부(250)를 평면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 2 지지부(220)는 제 2 연장부(25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지지부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및 제 2 경사면(S1, S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S1)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벤딩 가이더(230)의 일측면과 상기 제 1 지지부(310)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경사면(S1)에 의해 벤딩 가이더(230)와 제 1 지지부(210) 사이에는 일정한 갭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갭 공간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벤딩 가이더(230)의 일측면이 제 1 지지부(2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 1 경사면(S1)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벤딩 가이더(230)의 일측면이 원활하게 인장되거나 수축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경사면(S2)은 서로 마주하는 상기 벤딩 가이더(230)의 타측면과 상기 제 2 지지부(310)의 일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경사면(S2)에 의해 벤딩 가이더(230)와 제 2 지지부(220) 사이에는 일정한 갭 공간이 존재하게 되고, 상기 갭 공간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벤딩 가이더(230)의 일측면이 제 2 지지부(22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 2 경사면(S2)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시 벤딩 가이더(230)의 타측면이 원활하게 인장되거나 수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공성 패턴(234)을 갖는 벤딩 가이더(230)와 벤딩 가이더(230)로부터 연장된 제 1 및 제 2 연장부(240, 250)를 포함하는 패널 지지부(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접힘과 펼침시 벤딩 가이더(230)의 연성과 다공성 패턴(234)의 길이 변화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벤딩 가이더(230)의 곡률 반경(r1, r2)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하여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내측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벤딩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이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술한 벤딩 가이더(23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다공성 패턴(234)을 가지므로, 양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측 벤딩과 외측 벤딩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혀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부(DA)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측 벤딩 구조를 메인 벤딩 구조로 설정되고, 내측 벤딩 구조에 대응되도록 패널 지지부(200)가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110: 신호인가부
200: 패널 지지부 210: 제 1 지지부
220: 제 2 지지부 230: 벤딩 가이더
232: 베이스 부재 234: 다공성 패턴
240: 제 1 연장부 250: 제 2 연장부

Claims (5)

  1. 벤딩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벤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벤딩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다공성 패턴을 갖는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패턴은 일 방향으로 홀수 열과 짝수 열의 패턴들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를 갖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패턴의 패턴들 각각은 상기 일 방향과 나란한 장변을 갖는 개구부로 이루어진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패널 지지부의 적어도 일 측면은 상기 홀수 열 또는 상기 짝수 열 패턴의 일부 형태로 패턴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부에 형성된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상기 패널 지지부의 면과 반대되는 면에 배치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 중 상기 다공성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지지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70853A 2014-08-06 2021-06-01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853A KR102330223B1 (ko) 2014-08-06 2021-06-01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57741A KR102366515B1 (ko) 2014-08-06 2021-11-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25A KR102263917B1 (ko) 2014-08-06 2014-08-0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70853A KR102330223B1 (ko) 2014-08-06 2021-06-01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25A Division KR102263917B1 (ko) 2014-08-06 2014-08-0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741A Division KR102366515B1 (ko) 2014-08-06 2021-11-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354A true KR20210068354A (ko) 2021-06-09
KR102330223B1 KR102330223B1 (ko) 2021-11-22

Family

ID=5545721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25A KR102263917B1 (ko) 2014-08-06 2014-08-0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70853A KR102330223B1 (ko) 2014-08-06 2021-06-01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57741A KR102366515B1 (ko) 2014-08-06 2021-11-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25A KR102263917B1 (ko) 2014-08-06 2014-08-0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741A KR102366515B1 (ko) 2014-08-06 2021-11-16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63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43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024B1 (ko)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79750B1 (ko) * 2016-10-17 2023-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568328B1 (ko) * 2016-10-28 202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56444A (ko) 2016-11-18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6467B1 (ko) * 2016-11-23 202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9510B1 (ko) * 2016-11-30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324508B1 (ko) * 2017-06-28 2021-1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3904B1 (ko) * 2017-11-28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7854A1 (en) * 2017-11-28 2019-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67096B1 (ko) 2018-04-03 2023-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08898954B (zh) * 2018-07-18 2024-02-2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面板制作方法
KR102575599B1 (ko) * 2018-09-12 2023-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BR112021017896A2 (pt) 2019-03-11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eletrônico incluindo placa condutora dobrável
KR102642461B1 (ko) * 2019-03-11 202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9642732U (zh) * 2019-04-10 2019-11-15 安费诺飞凤(安吉)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柔性屏机构
KR20210035938A (ko) * 2019-09-24 2021-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86745A (ko) * 2019-12-30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03727B2 (en) 2020-02-14 2022-11-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56652B1 (ko) * 2020-02-14 2022-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77107A (zh) * 2020-04-20 2020-07-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支撑组件
KR102542816B1 (ko) * 2020-05-19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탄성 부재
KR102392290B1 (ko) * 2020-06-03 2022-05-06 (주)경신전선 연성인쇄회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07752A (ko) * 2020-07-09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63814A (ko) * 2020-11-09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06888A (ko) 2021-01-22 2022-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62234A (ko) * 2021-05-31 2022-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지지 부재의 제조 방법
DE102021118524B3 (de) * 2021-07-19 2022-09-29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system und Kraftfahrzeug mit einem Anzeigesystem
DE102021118525A1 (de) * 2021-07-19 2023-01-19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vorrichtung zum Ausgeben eines pixelbasierten Anzeigeinhalts, Trägerelement für die Anzeige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der Anzeigevorrichtung
CN113763819B (zh) * 2021-09-14 2023-05-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23059065A1 (ko) * 2021-10-05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038338B (zh) * 2021-12-09 2024-03-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29638B1 (ko) * 2022-01-11 2022-08-0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연장형 고정 더미를 갖는 플렉시블 플레이트
KR102429637B1 (ko) * 2022-01-11 2022-08-0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확장형 고정 더미를 갖는 플렉시블 플레이트
CN114842755B (zh) * 2022-05-31 2023-10-27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支撑板、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174111A (ko) * 2022-06-20 202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 바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0912A1 (en) * 2011-11-15 2013-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8466A (ja) * 2001-03-15 2002-09-27 Minolta Co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0912A1 (en) * 2011-11-15 2013-05-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43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74698B2 (en) 2021-06-14 2024-0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515B1 (ko) 2022-02-23
KR102263917B1 (ko) 2021-06-11
KR20160017843A (ko) 2016-02-17
KR102330223B1 (ko) 2021-11-22
KR20210143147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223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921856B2 (en) Supporting frame for flexible display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916454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1099691B2 (en) Display device
US917328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09523916B (zh) 显示设备
KR10224480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23915B (zh) 显示装置
US957227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291843B2 (en) Display apparatus
US10510980B2 (en) Display module
US976118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9348450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102226694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KR102415925B1 (ko) 표시장치
KR1026671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670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4203030A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