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659A -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659A
KR20210067659A KR1020190157502A KR20190157502A KR20210067659A KR 20210067659 A KR20210067659 A KR 20210067659A KR 1020190157502 A KR1020190157502 A KR 1020190157502A KR 20190157502 A KR20190157502 A KR 20190157502A KR 20210067659 A KR20210067659 A KR 2021006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tumbler
water
smart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947B1 (ko
Inventor
권세혁
주가영
황인규
허정욱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04B5/00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 스마트폰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스마트 텀블러의 물 섭취량 정보 또는 섭취 목표량에 대한 현재 부족량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물의 유입량을 확인하여 일일 물 섭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한 스마트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는 물을 수용하는 텀블러하우징과; 상기 텀블러하우징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와; 상기 텀블러하우징 내에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Smart Tumbler with Non-contact Water Level Sensor and Water Intak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 스마트폰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스마트 텀블러의 물 섭취량 정보 또는 섭취 목표량에 대한 현재 부족량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은 우리 몸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몸속의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세포 호흡에 도움을 주며, 체온 유지 및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많은 매체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평소에 물을 자주 마셔야한다는 조언을 쉽게 들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할 물 권장량은 200ml 기준으로 8-10 잔 정도로 알려져 있다. 다만, 우리가 물을 마실 때마다, 섭취한 물의 양을 계산하여 하루 물 권장량을 만족시키기는 방법에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많다.
텀블러는 밑이 평평한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커피나 음료 등을 담아 보관하면서 음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용 용기에 비하여 보온성이나 휴대성이 좋아서 점차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만, 사용자가 텀블러를 이용하여 물을 섭취할 때 사용자는 물의 섭취량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어서,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할 물 권장량을 알기 위해 상기 물의 섭취량을 모두 합산하여 직접 계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1.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공개특허공보 10-2011-0136293 (2011.12.21 공개) 2.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등록특허공보 10-1329296 (2013.11.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접촉 수위센서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 스마트폰과 BLE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스마트 텀블러의 물 섭취량 정보 또는 섭취 목표량에 대한 현재 부족량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물의 유입량을 확인하여 일일 물 섭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한 스마트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는 물을 수용하는 텀블러하우징과; 상기 텀블러하우징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와; 상기 텀블러하우징 내에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는 외부 스마트폰과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부가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 텀블러의 아두이노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 내에 일일 물의 유입량 정보 및 유출량 정보를 생성하여 일일 섭취량 정보를 산출한 다음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와 함께 일일 섭취량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BLE 통신 연결된 외부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텀블러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와,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와,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텀블러와; 상기 스마트 텀블의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탑재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BLE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텀블러의 검출 수위량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의 아두이노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 내에 일일 물의 유입량 정보 및 유출량 정보를 생성하여 일일 섭취량 정보를 산출한 다음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와 함께 일일 섭취량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부를 통해 BLE 통신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일일 섭취량 정보와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텀블러의 사용자가 마신 물의 양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는 별도의 계산 없이 하루 동안 섭취해야 할 물의 일일 권장량과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마신 물의 섭취량과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텀블러로 사용자가 마신 물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루 동안 섭취해야 물의 일일 권장량과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마신 물의 섭취량과의 차이를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텀블러(100)는 크게 물을 수용하는 텀블러하우징(100a)과, 상기 텀블러하우징(100a)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10)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20)와, 상기 텀블러하우징(100a) 내에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30)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20)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40)와, 외부 스마트폰(200)과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텀블러하우징(100a)은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포함하는 식음료를 일시저장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텀블러하우징(100a)에는 수용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도록 비접촉 수위센서(10)가 복수개 구비되는데, 이러한 비접촉 수위센서(10)는 정전용량방식의 비접촉 수위센서일 수 있다.
즉, 텀블러하우징(100a)의 외측으로 일정 높이별 복수개의 비접촉 수위센서(10)가 부착되면 텀블러하우징(100a) 내로 물이 공급될 때 해당 높이별로 수위가 차오르게 될 때 해당 비접촉 수위센서(10)가 해당 수위로 물이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
상기의 정전용량방식의 비접촉 수위센서(10)는 센서 내에 콘덴서가 있어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펄스를 생성하는데, 물이 해당 비접촉 수위센서(10)의 부착위치로 도달되면 콘덴서가 병렬로 추가 연결된 효과가 발생되어 정전용량이 증가되고 충전, 방전 주기가 길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는 이와 같은 충전, 방전 주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물의 해당 수위 도달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비접촉 수위센서(10)는 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물로 인한 센서의 파손, 내구성 감소나 센서로 인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는 도 1에 2개소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로 필요에 따라 3개소 내지 10개소로 구성하여 보다 정밀한 물의 수위량 정보가 검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 수위센서(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용량방식인 경우 텀블러하우징(100a)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유리재질 등 금속재질을 제외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LED 발광부(20)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 발광부(20)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물의 수위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LED 발광부(20)는 비접촉 수위센서(10)의 구비 개수에 따라 발광색이 결정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수위센서(10)가 2개소 구비되는 경우, RGB 3색의 LED 발광부(20)로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텀블러하우징(100a)의 비접촉 수위센서(10)가 각각 200ml 와 400ml 수위 위치에 부착된 경우, 물의 수위가 200ml 보다 작은 경우 LED 발광부(20)는 적색으로 발광하고, 물의 수위가 200ml에 도달하게 되면 녹색으로 발광하고 400ml에 도달하게 되면 청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비접촉 수위센서(10)가 4개소 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LED 발광부(20)의 발광소자를 다수개 구비하여 이들의 발광색 조합으로 현재 수위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저음 출력수단(30)은 상기 텀블러하우징(100a) 내에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구비되는데, 일예로 400ml 수위로 버저음 출력 수위가 설정되면, 물이 400ml에 도달했을 때 버저음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버저음 출력수단(30)은 400ml 이상 물을 유입시킬 경우 넘치거나 하는 등 사용자로 하여금 경고의 의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두이노(40)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20)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한다.
즉, 비접촉 수위센서(10)가 텀블러하우징(100a)에 200ml, 400ml 수위로 2개소 구비된 경우 아두이노(40)는 현재 텀블러하우징(100a) 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가 200ml에 도달한 경우 이를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도달 감지신호인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에 따라 LED 발광부(20)의 발광색을 선택하고 발광을 제어한다.
아울러 400ml에 도달할 때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아두이노(40)는 텀블러하우징(100a)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400ml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LED 발광부(20)의 발광 제어는 물론 버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한 버저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텀블러(100)에는 블루투스 모듈부(50)가 탑재되어 외부의 BLE 통신가능한 스마트폰(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현재 텀블러하우징(100a) 내 물의 수위량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200)의 사용자는 현재 텀블러하우징(100a) 내 물의 수위량을 제공받음은 물론 일일 텀블러하우징(100a) 내로 유입된 총량과 유출된 총량 및 현재 물의 양을 종합하여 사용자의 일일 물 섭취량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아두이노(40)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100) 내에 일일 물의 유입량 정보 및 유출량 정보를 생성하여 일일 섭취량 정보를 산출한 다음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와 함께 일일 섭취량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통해 BLE 통신 연결된 외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X)는 비접촉 수위센서(10)가 2개소 구비되고, 각각 200ml, 400ml 수위에 부착되는 경우 총 3구간으로 생성되는데, 0≤ X <200ml, 200ml≤ X < 400ml, 400ml≤ X 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비접촉 수위센서(10)의 설치 개수를 증대시키게 되면 보다 정밀한 실시간 수위량 검출이 가능해지고, 일일 섭취량 정보 또한 보다 정밀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일일 물 섭취량 정보 산출은 스마트 텀블러(100)의 아두이노(40)에서 산출되지 않고, 상기 스마트폰(200)에서 계속적인 현재 수위량 정보를 전달받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1000)은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10)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20)와,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30)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20)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40)와,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포함하는 스마트 텀블러(100)와,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통해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탑재되는 블루투스 모듈(110)과, 상기 BLE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검출 수위량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스마트폰(200)은 블루투스 모듈(110)과 디스플레이 수단(120) 및 제어부(130)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블루투스 모듈(110)은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블루투스 모듈부(50)와 연결되어 BLE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120)은 사용자에게 현재 텀블러하우징(100a) 내 수위량 정보와 사용자의 일일 섭취량 정보 등을 시각화하거나 텍스트 데이터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0)에는 사용자입력부(140)가 구비되어 스마트 텀블러(100)로 각종 정보 요청은 물론 현재 유입된 물의 양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텀블러(100)에 비접촉 수위센서(10)가 2개소 구비되는 경우 현재 유입되는 물의 실제량과 검출되는 수위량 정보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스마트 텀블러(100)에 비접촉 수위센서(10)를 통한 물의 수위량 정보 검출 외에 사용자가 직접 유입량을 알 수 있는 경우 혹은 대략적인 물의 유입량을 알 수 있는 경우 스마트폰(200)으로 이를 입력하여 기존 비접촉 수위센서(10)를 통한 유입량 검출시 보다 정밀한 유입량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아두이노(40)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100) 내에 일일 물의 유입량 정보 및 유출량 정보를 생성하여 일일 섭취량 정보를 산출한 다음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와 함께 일일 섭취량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통해 BLE 통신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2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일일 섭취량 정보와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폰(200)은 사용자에게 설정된 시간에 스마트폰(200)의 음성 출력수단 또는 스마트 텀블러(100)의 부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물의 섭취를 유도하는 음성 또는 부저음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물의 일일 권장 섭취량이 예를 들어 2L인 경우, 한번에 2L를 마시는 경우 보다 균일하게 수 회 또는 십 수회에 걸쳐 나누어 마시는 경우가 보다 건강에 유익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200)은 사용자가 스마트 텀블러(100) 내 물을 섭취할 시간 정보가 설정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된 섭취 시간에 바람직한 섭취량 정보와 함께 스마트폰(200)의 음성 출력수단 또는 스마트 텀블러(100)의 부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물의 섭취를 유도하는 음성 또는 부저음 출력을 수행한다.
물론 해당 시간에 사용자가 물을 섭취하지 않은 경우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계속하여 섭취 유도를 위한 음성 또는 부저음 출력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비접촉 수위센서 20 : LED 발광부
30 : 버저음 출력수단 40 : 아두이노
50 : 블루투스 모듈부 100 : 스마트 텀블러
100a : 텀블러하우징 110 : 블루투스 모듈
120 : 디스플레이 수단 130 : 제어부
140 : 사용자입력부 200 : 스마트폰
1000 :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Claims (5)

  1. 물의 유입량을 확인하여 일일 물 섭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가능한 스마트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는
    물을 수용하는 텀블러하우징(100a)과;
    상기 텀블러하우징(100a)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10)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20)와;
    텀블러하우징(100a) 내에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30)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20)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는
    외부 스마트폰(200)과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아두이노(40)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100) 내에 일일 물의 유입량 정보 및 유출량 정보를 생성하여 일일 섭취량 정보를 산출한 다음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와 함께 일일 섭취량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통해 BLE 통신 연결된 외부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텀블러(100)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 내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비접촉 수위센서(10)와,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검출된 물의 수위에 따라 발광색을 달리하여 발광하는 LED 발광부(20)와,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을 출력하는 버저음 출력수단(30)과,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검출 수위에 따라 상기 LED 발광부(20)의 발광색을 선택하여 발광 제어하며, 설정된 물의 수위로 현재 수위가 도달한 경우 버저음 출력수단(30)을 통해 버저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아두이노(40)와,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포함하는 스마트 텀블러(100)와;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통해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탑재되는 블루투스 모듈(110)과, 상기 BLE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검출 수위량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제공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200);을 포함하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텀블러(100)의 아두이노(40)는
    상기 비접촉 수위센서(10)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전달받아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검출 수위량 정보를 통해 스마트 텀블러(100) 내에 일일 물의 유입량 정보 및 유출량 정보를 생성하여 일일 섭취량 정보를 산출한 다음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와 함께 일일 섭취량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부(50)를 통해 BLE 통신 연결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폰(2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일일 섭취량 정보와 일일 권장 섭취량과의 차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KR1020190157502A 2019-11-29 2019-11-29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KR10226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02A KR102266947B1 (ko) 2019-11-29 2019-11-29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502A KR102266947B1 (ko) 2019-11-29 2019-11-29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659A true KR20210067659A (ko) 2021-06-08
KR102266947B1 KR102266947B1 (ko) 2021-06-17

Family

ID=7639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502A KR102266947B1 (ko) 2019-11-29 2019-11-29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613A (ja) * 2001-12-28 2003-07-09 Ricoh Elemex Corp 液体収納体及び該収納体を用いた液体管理システム
KR20110136293A (ko)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KR101329296B1 (ko) 2013-04-05 2013-11-18 김건우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JP6067764B2 (ja) * 2013-04-03 2017-01-25 必有方投資股▲ふん▼有限公司Beyond Investment Co., Ltd. 液体摂取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4613A (ja) * 2001-12-28 2003-07-09 Ricoh Elemex Corp 液体収納体及び該収納体を用いた液体管理システム
KR20110136293A (ko) 2010-06-14 2011-12-21 한국과학기술원 음료 온도 표시형 텀블러
JP6067764B2 (ja) * 2013-04-03 2017-01-25 必有方投資股▲ふん▼有限公司Beyond Investment Co., Ltd. 液体摂取管理システム
KR101329296B1 (ko) 2013-04-05 2013-11-18 김건우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947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641B2 (en) Smart bottle
US10722059B2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liq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CN203969972U (zh) 智能多功能杯子
US20220218137A1 (en) Smart container with interactive, colored lights
JP6840757B2 (ja) 物質コンテナー内の物質レベルを想起、測定するデバイス
CA3036469A1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management system
CA2966898A1 (en) Bottle having water volume measuring function
US20150193844A1 (en) Alerting Servers Using Vibrational Signals
CN208851240U (zh) 一种水位检测装置及具有该水位检测装置的咖啡机
US11884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he status of a consumable
KR102266947B1 (ko) 비접촉 수위센서를 가지는 스마트 텀블러 및 이를 이용한 물 섭취량 관리시스템
CA3036475A1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management system
KR101338004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음료한 횟수 계산이 가능한 잔
CN208969518U (zh) 智能水杯
KR20160077017A (ko) 물 배출 장치
KR20200089246A (ko) 스마트 컵
KR102120332B1 (ko) 스마트 물병
CN211810787U (zh) 一种储存容器及用于商品展示和/或者销售的展示装置
KR101874576B1 (ko) 스마트 보틀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틀 받침 시스템
TWM576018U (zh) Multifunctional vacuum flask
CN211483925U (zh) 一种纸杯托
KR20200052151A (ko) 스마트 컵
US20230400233A1 (en) Apparatus for beverage container temperature control
KR102627858B1 (ko) 기능성 식판 및 이를 포함하는 식사 유도 시스템
CN216159417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