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463A - 인삼 직파기 - Google Patents

인삼 직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463A
KR20210067463A KR1020190157107A KR20190157107A KR20210067463A KR 20210067463 A KR20210067463 A KR 20210067463A KR 1020190157107 A KR1020190157107 A KR 1020190157107A KR 20190157107 A KR20190157107 A KR 20190157107A KR 20210067463 A KR20210067463 A KR 20210067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eed
seeds
outlet
adsorp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전현종
강태경
이상희
김영근
최일수
유승화
우제근
현창식
용 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5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463A/ko
Publication of KR2021006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A01C7/042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using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7Cell rollers, wheels, discs or belts
    • A01C7/128Cel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흡입력 및 공기분사력을 이용하여 인삼 종자를 한 개씩 정교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한 인삼 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 직파기{APPARATUS FOR SOWING DIRECTLY SEED OF GINSENG}
본 발명은 인삼 종자를 한 개씩 정교하게 파종할 수 있는 인삼 직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한번 식재 후 4 ~ 6년간 재배하는 작물로, 적정 재식밀도 및 결주율 등이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주게 된다.
인삼 종자 파종 방식은 수작업에 의한 파종과 종자 파종기를 이용한 파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삼 종자 파종을 수작업으로 수행할 때에는 종자 파종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인건비 과다 사용에 따른 종자 재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점차 파종기를 이용하여 인삼 종자를 파종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인삼 파종기는 한 파종구에 두 개 이상의 종자가 파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처럼 한 파종구에 두 개 이상의 인삼 종자가 파종되는 경우, 인삼 뿌리 형성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파종구에 인삼 종자를 정확하게 한 개씩 파종할 수 있는 직파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46557호(2001.06.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진공 흡입력 및 공기분사력을 이용하여 인삼 종자를 한 개씩 정교하게 파종할 수 있도록 한 인삼 직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파종 대상 종자를 투입해줄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종자통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종자가 적어도 한 개씩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에 흡착홈이 형성된 회전디스크가 구비되는 배종디스크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홈에 수용된 종자를 흡착 고정해줄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켜주는 진공흡입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된 상기 흡착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흡착홈에 흡착된 종자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주는 공기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매개로 상기 투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1공간과, 상기 배출구 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홈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홈 내에는, 상기 진공흡입부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켜줄 수 있도록 회전디스크를 관통해주는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홈은,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흡착홈에 종자가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해주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한 쌍의 흡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사해줄 수 있도록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종자 한 개씩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의 일면에는, 상기 흡착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착홈 내에 종자의 흡착을 유도해주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삼 직파기는,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종자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종자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종자통로를 통해 투입되는 종자가 두둑 상면에 놓일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는 실린더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에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둑 상면에 놓인 종자를 소정깊이 가압하여 파종해주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파종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진공 흡입력 및 공기분사력을 이용하여 인삼 종자를 한 개씩 정교하게 파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종된 인삼 종자의 뿌리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디스크의 양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I-I'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디스크의 다른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및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를 복수 개 설치한 직파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삼 직파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삼 직파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도 13은 도 12에 적용된 진공흡입부와 공기분사부가 구비된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직파기(100)는, 본체부(110), 배종디스크부(120), 진공흡입부(130), 공기분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마련되며,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S)에 파종 대상 종자(1)를 투입해주는 종자통(11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배출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자통(111)은 복수 개의 종자(1)가 수납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에는 상기 수납된 종자(1)를 수용공간(S) 내에 공급해줄 수 있도록 투입구(112)(도 2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종자통(111)은 통상의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자통(111)의 투입구(112)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공간(S)은 투입구(112)와 배출구(113)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115)을 매개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공간(S)은 투입구(112) 측에 형성되는 제1공간(S1)과, 상기 격벽(115)을 매개로 배출구(113) 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S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115)은 수용공간(S)의 전체 이등분하는 방식으로 구획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공간(S1)에서 제2공간(S2)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후술할 배종디스크부(120)의 오작동을 방지해줄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일부를 구획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격벽(115)이 수용공간(S)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투입구(112)와 배출구(113) 사이에 국한되게 구획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배종디스크부(120)는 상기 종자통(111)의 투입구(112)를 통해 수용공간(S) 내로 공급되는 종자를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한 개씩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종디스크부(120)는 수용공간(S) 내부에 구동축(12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디스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디스크(123)의 일면에는 종자통(111)의 투입구(112)를 통해 공급되는 종자가 적어도 한 개씩 수용될 수 있도록 구동축(121)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흡착홈(125)이 소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홈(125)은 종자(1) 한 개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흡착홈(125) 내에는 후술할 진공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켜줄 수 있도록 회전디스크(123)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125a)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흡착홈(125)은 안착된 종자(1)를 구멍(125a)을 통해 원활하게 흡착해줄 수 있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디스크(123)는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축(121)에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디스크(123)는 복수 개의 흡착홈(125)이 순차적으로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디스크(123)의 회전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할 진공흡입부(130)와 공기분사부(140)와 함께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진공흡입부(130)는 본체부(110)의 타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홈(125) 내에 수용된 종자(1)를 흡착 고정해줄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공흡입부(130)는 투입구(112)와 대향되는 본체부(110)의 타면에 상기 회전디스크(123)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흡입부(130)를 통해 본체부(110) 내의 제1공간(S1)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종자(1)를 흡착홈(125) 내에 흡착 고정한 상태로 회전디스크(123)가 소정각도 회전(일례로 시계방향)되면서 제2공간(S2)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분사부(140)는 본체부(110)의 타면에 상기 진공흡입부(13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공기분사부(140)는 상기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된 구멍(125a)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흡착홈(125)에 흡착된 종자(1)를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시켜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분사부(140)는 배출구(113)가 구비된 제2공간(S2)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공기분사부(140)는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에 흡착된 종자(1)가 제2공간(S2)으로 이동하는 순간 구멍(125a)을 통해 흡착홈(125)에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홈(125)에 흡착되었던 종자(1)가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흡착홈(125) 내에는 종자(1)의 흡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회전디스크(123)의 회전 위치에 따라 흡착홈(125)의 내부 깊이를 조절해주는 깊이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깊이조절수단은, 원통형으로 관통 형성되며 흡착홈(125) 내에 깊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멍(125a)이 구비되는 이동부재(미도시)와, 상기 이동부재를 진공흡입부(130) 측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진공흡입부(130)가 형성된 본체부(110)의 내벽면에는 상기 흡착홈(125)의 회전 궤적을 따라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되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투입구(112) 측으로 전, 후진 작동시켜가며 흡착홈(125)의 깊이를 조절해주는 작동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흡착홈(125) 사이에는 작동돌기의 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상시 접촉될 수 있도록 흡착홈(125)의 회전궤적을 따라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깊이조절수단의 작동을 설명해보면, 먼저 상기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이 투입구(112) 부근에 위치하는 경우 작동돌기와 연동되는 이동부재가 투입구(112) 측으로 이동하면서 흡착홈(125)의 깊이를 얕게 해주게 되고, 이에 따라 흡착홈(125) 내에 안착되는 종자(1)를 견고하게 흡착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디스크(123)가 회전되면서 종자(1)가 흡착된 흡착홈(125)의 이동부재가 이동되며 흡착홈(125)의 깊이를 깊게 해주고, 흡착홈(125) 내부 공간에 종자(1) 1립만 안착시켜 배출구(113)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자(1)가 흡착된 흡착홈(125)이 배출구(113)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이동부재가 다시 이동되어 흡착홈(125)의 깊이를 얕게 해주고 배출구(113)에 설치된 돌출된 부재와의 간섭으로 종자(1)가 배출구(113)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 1개소 당 종자(1)가 1립만 배종되어 배출구(113)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디스크(123)의 종자 흡착표면을 향하도록 공기분사노즐이 1개 또는 다수개 부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회전디스크(123)에 형성되는 흡착홈(125)은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디스크(123) 또는 본체부(11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한 쌍의 흡착홈(125)에 종자가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해주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부(140)는 한 쌍의 흡착홈(125) 중 종자(1)가 흡착된 어느 하나의 흡착홈(125)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사해줄 수 있도록 대응되게 설치(미도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종자 한 개씩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123)의 일면에는, 상기 흡착홈(125)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흡착홈(125) 내에 종자(1)의 흡착을 유도해주는 가이드돌기(12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인삼 직파기(100)는 본체부(110)의 배출구(113) 하측에 설치되어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종자(1)를 두둑(G)에 파종할 수 있도록 파종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종부(200)는, 배출구(113)를 통해 한 개씩 배출되는 종자(1)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종자통로(211)가 구비되며 상기 종자통로(211)를 통해 투입되는 종자(1)가 두둑(G) 상면에 놓일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는 실린더 하우징(210)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210) 내에 액추에이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두둑(G) 상면에 놓인 종자를 소정깊이 가압하여 파종해주는 피스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자통로(211)를 통해 종자(1)가 두둑(G) 상면에 놓이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20)이 하강하면서 두둑(G)에 놓인 종자(1)를 소정깊이 눌러주는 방식으로 파종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파종부(200)를 포함하는 인삼 직파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 등의 농기계(미도시)에 프레임(300)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두둑(G)의 길이방향을 따라 농기계가 이동하면서 두둑(G) 상에 종자(1)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파종해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삼 직파기(100)는 두둑(G)의 너비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이웃하는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됨과 아울러 적어도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앞 1열이 종자(1)를 파종하고 난 후, 2열이 앞 1열에서 파종된 종자(1) 사이 사이에 다시 한 번 파종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두둑(G)의 너비 방향으로 원하는 갯수의 종자(1)를 파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인삼 직파기(100)가 설치된 프레임(300)의 전방에는 파종이 이루어지기 전에 두둑(G)을 평평하게 정리해주는 사전정지롤러(3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정지롤러(310)와 인삼 직파기(100)의 사이에는 평평하게 정리된 두둑(G) 상에 파종구(홈부)(G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호미형상의 파종구 형성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의 후방에는 상기 인삼 직파기(100)를 이용한 종자(1)의 파종이 완료된 후 두둑(G) 상에 형성된 파종구(G1) 내에 주위에 파헤쳐진 흙을 다시 모아 덮어주는 진압롤러(3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투입구(112)를 통해 내부의 제1공간(S1) 내에 종자(1)가 투입되면, 진공흡입부(130)의 진공에 의해 복수의 종자(1) 중 하나의 종자(1)가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에 흡착된다.
그런 후, 상기 회전디스크(123)는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된 종자(1)를 제2공간(S2)으로 이동시켜준다.
상기 종자(1)가 제2공간(S2)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공기분사부(140)에서 상기 종자(1)가 흡착된 흡착홈(125)을 향해 소정 압력의 공기를 분사해주게 되고, 이에 따라 흡착홈(125)에 흡착되었던 하나의 종자(1)는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된 종자(1)는 상기 파종부(200)를 통해 두둑(G) 상면에 놓이게 됨과 동시에, 피스톤(220)이 하강하면서 상기 종자(1)를 두둑(G) 내에 소정 깊이 파종시켜주게 된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삼 직파기(100)는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에 종자(1)를 흡착해줄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켜주는 진공흡입부(130)와, 종자(1)가 흡착된 흡착홈(125)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종자(1)를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시켜주는 공기분사부(140)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적용해줄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삼 직파기(100')는, 투입구(112)를 통해 종자(1)가 본체부(110) 내에 투입되면 제1공간(S1)의 진공흡입부(130)를 통해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에 상기 투입된 종자(1)를 한 개씩 흡착해주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종자(1)가 흡착된 회전디스크(12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격벽(115)을 매개로 구획된 제2공간(S2)으로 상기 흡착된 종자(1)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공간(S2) 내에 구비된 공기분사부(140)를 통해 공기가 분사되면서 상기 흡착홈(125)에 흡착된 종자(1)가 이탈하면서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삼 직파기(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내에 복수의 수용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수용공간(S)에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회전디스크(123)가 흡착홈(125)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회전디스크(123) 사이 사이에는 투입구(112)를 통해 내부 수용공간(S)으로 투입된 종자(1)를 흡착 또는 공기를 분사해줄 수 있도록 진공흡입부(130)와 공기분사부(140)가 일체로 형성된 유닛(U)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유닛(U)은 일측의 제1공간(S1)에 진공을 발생시켜 회전디스크(123)의 흡착홈(125)에 종자(1)를 흡착해줄 수 있도록 진공흡입부(130)가 구비되고, 유닛(U)의 타측에는 격벽(115)을 통해 제2공간(S2)이 구획되어 상기 흡착홈(125)에 흡착된 종자(1)가 제2공간(S2)으로 이동 시 공기를 분사하여 수용공간(S)의 배출구(113)를 통해 종자(1) 한 개씩 순차적으로 배출시켜줄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S) 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투입구(112)와 배출구(113)를 구획해주는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1 : 종자 100, 100', 100" : 인삼 직파기
110: 본체부 111 : 종자통
112 : 투입구 113 : 배출구
115 : 격벽 120 : 배종디스크부
121 : 구동축 123 : 회전디스크
125 : 흡착홈 125a : 구멍
127 : 가이드돌기 130 : 진공흡입부
140 : 공기분사부 200 : 파종부
210 : 실린더 하우징 211 : 종자통로
220 : 피스톤 300 : 프레임
310 : 사전정지롤러 320 : 파종구 형성부
330 : 진압롤러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파종 대상 종자를 투입해줄 수 있도록 투입구가 형성된 종자통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종자가 적어도 한 개씩 수용될 수 있도록 일면에 흡착홈이 형성된 회전디스크가 구비되는 배종디스크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착홈에 수용된 종자를 흡착 고정해줄 수 있도록 진공을 발생시켜주는 진공흡입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된 상기 흡착홈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흡착홈에 흡착된 종자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켜주는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인삼 직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투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매개로 상기 투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1공간과, 상기 배출구 측에 형성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인 인삼 직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홈은,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복수 개가 소정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인 인삼 직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홈 내에는,
    상기 진공흡입부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켜줄 수 있도록 회전디스크를 관통해주는 구멍;이 구비되는 것인 인삼 직파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홈은,
    적어도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흡착홈에 종자가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해주는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분사부는 상기 한 쌍의 흡착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분사해줄 수 있도록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종자 한 개씩 배출되도록 한 것인 인삼 직파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디스크의 일면에는,
    상기 흡착홈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착홈 내에 종자의 흡착을 유도해주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인삼 직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직파기는,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종자가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종자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종자통로를 통해 투입되는 종자가 두둑 상면에 놓일 수 있도록 관체로 형성되는 실린더 하우징; 및
    상기 실린더 하우징 내에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둑 상면에 놓인 종자를 소정깊이 가압하여 파종해주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파종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인삼 직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홈 내에는,
    상기 본체부의 내벽면에 상기 흡착홈의 회전 궤적과 대응되게 서로 다른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작동돌기와, 상기 회전디스크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돌기와 연동되면서 상기 흡착홈의 내부 깊이를 조절해주는 이동부재를 포함한 깊이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인삼 직파기.
KR1020190157107A 2019-11-29 2019-11-29 인삼 직파기 KR20210067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07A KR20210067463A (ko) 2019-11-29 2019-11-29 인삼 직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07A KR20210067463A (ko) 2019-11-29 2019-11-29 인삼 직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463A true KR20210067463A (ko) 2021-06-08

Family

ID=7639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107A KR20210067463A (ko) 2019-11-29 2019-11-29 인삼 직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4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7667A (zh) * 2023-11-15 2024-01-05 东北农业大学 适用于播种无人机的水稻直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557A (ko) 1999-11-08 2001-06-15 이기명 인삼직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557A (ko) 1999-11-08 2001-06-15 이기명 인삼직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7667A (zh) * 2023-11-15 2024-01-05 东北农业大学 适用于播种无人机的水稻直播装置
CN117337667B (zh) * 2023-11-15 2024-04-26 东北农业大学 适用于播种无人机的水稻直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904B2 (en) Air seed meter with adjustable singulator
CA2987213C (en) Multiple seed type seed meter with seed switching mechanism
US10368478B2 (en) Multiple variety seed meter with segmented sump arrangement and seed switching arrangement
CN103392422B (zh) 滚筒式精量播种器
CA2693878A1 (en) Seed meter and seed disk with peripheral edge seed pick-up
US6142086A (en) Air seeder singulation system
KR20210067463A (ko) 인삼 직파기
WO2020042054A1 (zh) 一种覆盖均匀的小麦撒播机
CN207733217U (zh) 一种针型种子外置式打穴精密播种机构
CN207369550U (zh) 一种大蒜播种机
CN208210623U (zh) 用于播种的农耕机
CN105850302A (zh) 旱地播种机
KR101446997B1 (ko) 강제 배출식 점파장치
CN2402109Y (zh) 水稻播种机的双层滚筒气吸式播种装置
CN108029285A (zh) 一种针型种子外置式打穴精密播种机构
KR101611424B1 (ko) 개량된 종자 투입구조를 갖는 점파식 종자 배출장치
CN207369533U (zh) 一种复式耕犁
CN108243677A (zh) 一种打穴播种轮的排种清洁机构
CN109997461A (zh) 柱塞方式的点播装置
WO2017126519A1 (ja) 直播機
CN110495289A (zh) 多功能一体播种机
KR101315328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N113099784B (zh) 大籽粒作物漏播补偿装置及补偿方法
KR101194496B1 (ko) 점파식 파종기의 종자배출장치
CN115708432A (zh) 一种籽种投种数量调节方法及采用其播种的播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