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172A -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172A
KR20210067172A KR1020190156521A KR20190156521A KR20210067172A KR 20210067172 A KR20210067172 A KR 20210067172A KR 1020190156521 A KR1020190156521 A KR 1020190156521A KR 20190156521 A KR20190156521 A KR 20190156521A KR 20210067172 A KR20210067172 A KR 2021006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
transaction
business
comparis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향숙
장정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172A/ko
Publication of KR2021006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0Tax strateg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거래별로 자동으로 항목의 내용을 분류하여 제공하며 분류된 항목의 내용에 대한 정확도를 제시하고 동종 업종과의 세금 비교를 해 줄 수 있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등록된 회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회원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해당 회원의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과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Transaction book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장부를 생성하고,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세청에서는 납세자 스스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계산, 신고 및 납부하도록 하는 자진 신고납부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인과 개인 사업자는 회계 장부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세액이 산출된다.
결국, 세금 업무를 위해서는 회계 장부의 작성이 선행되어야 하나, 수시로 발생되는 입출금 전표, 영수증 등을 정리하고 임금 관리와 같은 경리 장부를 기장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등은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또한, 수기로 회계 장부를 작성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성과정에서 항목 기입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즉,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 등)가 영수증을 보고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거래내역을 자동으로 불러와서 장부를 생성할 수 있는 자동장부 서비스(예컨대, 이지샵 자동장부 서비스)가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장부 서비스(예컨대, 이지샵 자동장부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간을 정하여 은행, 신용카드, 전자(세금)계산서, 현금 영수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자동 장부를 생성하기 전에 선택된 것에 의한 거래내역을 수집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도 1 참조)로 사용자의 단말에 화면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날짜, 거래처, 항목, 품목(내용), 공급가액, 부가세, 면세공급가액, 합계 등이 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도 1 참조)를 본 후에, 각각의 거래별로 항목란을 클릭한 후에 원하는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을 선택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어느 한 항목란(도 1에서 1)을 클릭하면 선택가능한 모든 항목(대략 160개 정도)이 수록된 항목 선택창(도 2 참조; 3)이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팝업 형태의 항목 선택창(3)의 스크롤 바(scroll bar)(도 2에서 2)를 움직여서 해당 거래에 적합한 내용을 고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장부 서비스에서는 수많은 항목 내용이 수록된 항목 선택창(3)이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일일이 거래별로 스크롤 바(2)를 움직여서 적합한 항목 내용을 선택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택일하는 것이므로, 익숙한 거래의 항목 내용이라면 몰라도 익숙하지 않은 거래의 항목의 내용에 대해서는 선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잘못 선택할 확률이 높다.
또한, 이러한 자동장부 서비스는 단순히 항목 내용에 대한 분류 정보만을 제공할 뿐, 자신의 사업장에서 처리되는 비용 항목들이 적절한지를 직관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가세와 같은 세금항목의 경우 매출 및 매입비율에 따라 세부항목별로 잘 조정되지 못하면 과도한 세금을 납부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세금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자동장부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만, 세금 분석은 별도의 회계사 또는 회계 담당자를 고용하여 처리하거나, 분석에 필요한 과도한 비용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하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으며, 세금 정보는 개인 정보로서 데이터 수집 또한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7821호(전자세무신고를 위한 장부 자동생성 및 온-라인 세무회계서비스와 전자세무신고의 시스템 및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42741호(세무관리 자동화 장치)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3922호(경영장부 회계관리 방법)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9051호(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동 분류가 가능한 자동장부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별도의 데이터 수집 분석과정이나 과도한 비용적 인프라 구축 없이도 사용자 입장에서 자신의 사업장의 상태를 직관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 및 진단해 볼 수 있는 세금 비교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등록된 회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회원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해당 회원의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과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등록된 회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회원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해당 회원의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과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장부 서비스의 효율적인 분류 처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신의 사업장(가게)에서 납부해야 할 및/또는 납부한 세금과 동종 업종의 다른 사업장에서 납부해야 할 및/또는 납부한 세금을 다른 사업장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해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세금 통계 정보로부터 비교해 볼 수 있으므로, 별도의 데이터 수집 분석과정이나 과도한 비용적 인프라 구축 없이도 사용자 입장에서 자신의 사업장의 상태를 직관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 및 진단해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동장부 서비스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세금 비교부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 예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네트워크(20), 거래정보 소스(30), 데이터베이스(40), 및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국세청에 자진 납세를 위한 세무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의 단말기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국세청에서의 근거과세를 위하여 장부를 기장하여 제출하여야 하는데, 본래는 기업회계기준에 의하여 복식기장 형태로 제출하여야 하나, 영세 사업자의 경우에는 기장 능력이나 비용 부담을 고려하여 간편장부를 제출하기도 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접속하여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이라 함은 화면상의 "거래내역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만약, "거래내역 불러오기" 메뉴가 없다면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될 것이다.
사용자(사업자로서, 회원이라고 할 수 있음)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로부터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등록 과정을 먼저 거쳐야 한다. 이 경우 해당 사업자는 사업자 ID, 상호, 업종, 사업장 주소, 사업장 관할 세무서, 사업장 주소코드 등을 입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업용 계좌, 매입카드, 매입 및 매출 거래처 등을 함께 등록해야 할 것이다.
사업용 계좌는 사업장 관할세무서에 신고한 사업용 계좌 또는 실질적으로 사업용도로 사용하는 계좌로서, 사업용 계좌의 금융기관, 은행 계좌번호, 계좌 종류 등을 입력하여 사업용 계좌의 입출금 정보가 거래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매입카드는 물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받을 때 사용하는 사업주 명의의 신용카드로서, 매입카드의 카드사, 카드번호, 카드의 결제계좌 등을 입력하면 카드 사용내역과 청구 금액 등이 거래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매입 및 매출 거래처는 상호, 업종, 사업자번호(주민등록번호), 비용항목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거래처 입력을 통하여 매입/매출 내역에 대하여 거래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가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10)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게로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보낼 수 있다. 물론, 세금 비교 조회요청시 미리 등록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예컨대, 홈택스 인증서)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미리 등록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인증서를 선택하게 되면 비밀번호 입력없이 등록후 조회가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서 전송되어 오는 세금 비교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해 볼 수 있다. 여기서, 세금 비교 정보는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한 사용자의 사업장에서 납부해야 할 및/또는 납부한 세금과 동종 업종(가급적, 동일 지역의 동종 업종)의 다른 사업장에서 납부해야 할 및/또는 납부한 세금을 비교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20)는 유무선의 조합에 의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입 또는 매출 거래 방식을 포함하는 거래 데이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는 은행, 신용카드사, 현금 영수증 발행사, 전자세금 계산서 발급사, 증권사, 보험사, 국세청 홈택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의 거래 데이터들은 은행 계좌의 은행 계좌 입출금 정보, 신용카드의 매입 전표, 현금 영수증 발행 정보, 전자세금 계산서 발급 정보(부가세 포함), 증권 계좌 입출금 정보, 보험 계좌 입출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의 거래 데이터들은 정보 제공 보안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 단계를 거친 이후에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게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거래 정보 수집을 위해 거래정보 소스(30)의 서버 등에 접속하는 경우, 정보 제공 보안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 단계를 거친 사업자(즉, 회원)의 거래 데이터만을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사업자가 거래정보 소스(30)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거래정보 소스(30)는 인증 정보에 응답하여 거래 데이터를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에 응답한다는 것은 사업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가 해당 거래정보 소스(30)가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결국,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대한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에 거래정보 소스(30)에 접속하여 거래 데이터를 수집(취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각종의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ID, 해당 사용자의 상호, 업종, 사업장 주소, 사업장 관할 세무서, 사업장 주소코드, 사업용 계좌, 매입카드, 매입 및 매출 거래처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시한 각종의 정보의 예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사용자별 거래 정보 및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사용자별 거래 장부(예컨대, 복식 부기장부, 간편장부, 분개장 중의 어느 한 형태)를 저장할 수 있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해당 사용자(즉,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한다. 만약, 사용자가 수집 기간을 설정한 경우에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해당 수집 기간내의 거래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수집한 해당 사용자의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거래 정보별 항목 내용이 자동 분류되어 표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는 거래 정보마다 항목 내용(항목 정보) 자동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차등적인 색상이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확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보여지는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하는 거래 장부(예컨대, 복식 부기장부, 간편장부, 분개장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갱신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한 사용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가급적, 동일 지역의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제공한다. 여기서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등록된 회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회원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해당 회원의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출력하되,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과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금 비교 조회 요청된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다른 회원들의 거래 장부들의 세금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상기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별 평균 부가세 납부액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상기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별 평균 부가세 대비 지출액 비율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매출 구간별 부가세, 부가세율, 매출액, 매입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은 상기 세금 비교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회원의 사업장과 연관된 지역에 존재하는 한명 이상의 다른 회원 사업장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과 연관된 지역 내 동종 사업장의 평균적인 매출/매입액 대비 부가세 지출액 또는 부가세 비율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사업장에서 과도한 부가세가 지출되거나, 매입액이 부족한 항목이 무엇인지를 다른 사업장의 통계 정보로부터 참고하여 사업 비용 절감을 위한 비용 처리 방안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는, 해당 비교 세부 항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보가 실린 정보처로 링크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업자가 비용 처리 방안을 결정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3에서는 데이터베이스(40)와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를 각각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데이터베이스(40)가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의 내부 구성도이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스크래핑부(72),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 및 출력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
스크래핑부(72)는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사용자(즉,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거래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는 다양한 거래 방식을 포함하는 기관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래핑부(72)는 사전에 거래정보 소스(30)에 대한 인증 승인을 거쳐, 이후에는 별도의 절차없이 거래정보 소스(30)에서 거래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크래핑부(72)는 웹 스크랩핑(Web Scraping) 및/또는 스크린 스크랩핑(Screen Scraping) 기술을 이용하여 거래정보 소스(30)에서 거래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스크랩핑 기술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스크랩핑 기술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래핑부(72)는 수집한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에게로 제공한다. 여기서, 거래 정보는 거래처명, 거래 비용, 거래 일시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거래 정보는 거래정보 소스(30)의 거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예컨대, GUI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이때,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즉,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상응함)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는 색상으로 정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각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에 대한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거래 정보별로의 색상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동일한 거래 정보들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될 것이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일일이 거래별로 스크롤 바를 움직여서 적합한 항목 내용을 선택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었고, 사용자가 직접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택일하는 것이어서, 익숙하지 않은 거래의 항목 내용에 대해서는 선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잘못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지정해 줌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한 사용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가급적, 동일 지역의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76)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로부터의 장부 형태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76)는 장부 형태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세금 비교부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 예들이다.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74)는 항목 분류부(77), 정확도 결정부(78),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77)는 수집된 해당 사용자(즉,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기와 같은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등록된 회원인 사용자가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이 있으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은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1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다면 거래한 회원중에서 사용자와 동종 업종(즉,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의 업종과 동일한 업종)에 있는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회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사용자와 동종 업종에 있는 회원이 있다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동종 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2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해당 사용자와 동종 업종에 있는 회원이 없다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와는 다른 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3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 내용의 분류를 위해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알 수 있다면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처의 업종을 참고하여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4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은 수집한 거래 정보(즉, 스크래핑 데이터) 또는 회원사(가맹점)의 DB(도시 생략) 등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은 업종별 항목의 내용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작성해 둔 업종별 항목 분류표를 통해 알 수 있다. 예시하지 않았지만, 업종별 항목 분류표에는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의 업종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하리라 생각되는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처가 3개(A,B,C)라면 업종별 항목 분류표에는 사용자의 업종에 대해 3개의 항목 내용이 지정되어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 A의 업종이 대응되었을 경우에는 "가"라는 항목 내용이 연관되고,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 B의 업종이 대응되었을 경우에는 "나"라는 항목 내용이 연관되고,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 C의 업종이 대응되었을 경우에는 "다"라는 항목 내용이 연관될 것이다. 이러한 업종별 항목 분류표는 미리 작성되어 항목 분류부(77)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반대로,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알 수 없다면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해당 거래처의 상호가 "@@주유소", "%%식당", "&&마트" 등이 경우에는 주유소, 식당, 마트 등이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를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업종과 키워드 추출에 따른 해당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5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은 앞서 제 4 분류 방식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즉,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 업종 키워드가 없는 경우에는 텍스트 비교를 통하여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해당 거래처의 상호가 "까끌레뽀끌레"인 경우 미용실의 업종이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으로 추정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비교를 통한 유사 업종 추정을 위하여, 항목 분류부(77)는 거래처 상호를 분석하여 텍스트 비교를 통한 업종 자동 생성 기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항목 분류부(77)는 업종 자동 생성 기계 학습의 결과물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이를 활용할 것이다.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을 추정하면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처에 대해 추정된 유사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6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은 앞서 제 4 분류 방식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목 분류부(77)는 상기에서 예시한 6가지의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이 6가지의 분류 방식중에서 어느 분류 방식에 의해 분류되는지에 따라 분류를 행하고, 분류 결과를 정확도 결정부(78)에게로 전송한다.
정확도 결정부(78)는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각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1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90 ~ 9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2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80 ~ 8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3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70 ~ 7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4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60 ~ 6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5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50 ~ 5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77)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6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40 ~ 4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정확도 결정부(78)는 결정된 정확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79)에게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79)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6 참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하여 자동 분류한 항목의 내용이 기입됨과 더불어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79)는 각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거래 정보별로의 색상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물론, 분류의 정확도가 동일한 거래 정보들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될 것이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79)는 세금 비교부(79a)를 포함한다.
세금 비교부(79a)는 전술한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르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가급적, 동일 지역의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 및 비교 세부 항목별 링크 선택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 및 비교 세부 항목별 링크 선택부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시 사용자 단말기(10)로 출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의 화면에서 세금 비교 조회 요청 입력(도 7에서, 세금 비교를 선택)를 선택한 후에 "부가세 신고" 항목 및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 중에서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세금 비교부(79a)는 도 8에서와 같은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 화면(91)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 즉, 세금 비교부(79a)는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가급적, 동일 지역의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세금 통계 정보에 따른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99, 100) 및 비교 세부 항목별 링크 선택부(101)를 생성하여 도 8과 같은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 화면(91)으로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
도 8의 화면(91)에서, 참조부호 92는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을 선택한 현재 날짜(예컨대, 5월 22일)를 의미하고, 참조부호 93은 현재(예컨대, 5월 22일)까지의 부가세 예상액을 의미한다. 현재(예컨대, 5월 22일)까지의 부가세 예상액은 부가가치세 신고서의 차가감 납부세액을 가져와서 계산할 수 있다. 참조부호 94는 현재(예컨대, 5월 22일)까지의 부가가치세 신고서상의 금액을 가져와서 계산한 매출세액, 매입세액, 공제세액, 예상세액을 표시한 영역이다. 참조부호 95는 부가세 신고가 도래하는 월을 의미한다. 일반과세자의 경우 1월 ~ 6월분은 7월에 부가세 신고를 하고 7월 ~ 12월분은 1월에 부가세 신고를 하고, 간이과세자의 경우에는 1월에 부가세 신고를 하므로, 이를 근거로 부가세 신고가 도래하는 월을 선정하여 기입할 수 있다. 참조부호 96은 현재(예컨대, 5월 22일)까지의 부가세 예상액(참조부호 93의 금액)과 현재(예컨대, 5월 22일)까지의 매출세액, 매입세액, 공제세액, 예상세액(영역(94)내의 각각의 금액)을 바탕으로 일할계산하여 해당 부가세 신고월(예컨대, 7월)에 납부해야 할 부가세 납부 예상액 및 그의 세부 내역(매출세액, 매입세액, 공제세액, 예상세액)을 나타낸 영역이다. 참조부호 97은 부가세 신고가 도래하는 월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98은 부가세 신고가 도래하는 월에서의 예상세액을 매출세액으로 나누어 비율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99는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의 손익계산서상의 항목(예컨대, 원재료, 수도광열비, 광고선전비, 직원식대, 잡화/소모품 등; 비교 세부 항목(계정과목)이 됨)별로 각각의 금액을 총 지출금액으로 나누어 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100은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의 업종과 동종 업종에 있는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의 손익계산서상의 항목(예컨대, 원재료, 수도광열비, 광고선전비, 직원식대, 잡화/소모품 등; 비교 세부 항목(계정과목)이 됨)별로 각각의 총금액을 총 지출금액으로 나누어 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한다. 결국, 참조부호 100은 동종 업종에 있는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값(99) 및 값(100)은 비교 세부 항목별로 일대일로 대응된다. 참조부호 101은 비교 세부 항목별로의 링크 선택부를 나타낸다.
도 8에 따르면, 링크 선택부(101)가 예를 들어 임차료, 수도광열비, 광고선전비, 잡화/소모품에 추가적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링크 선택부(101)는 세금 비교부(79a)에 의해 생성된다. 도 8의 경우,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에서 임차료, 수도광열비, 광고선전비, 잡화/소모품의 비교 세부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이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기 때문에, 임차료, 수도광열비, 광고선전비, 잡화/소모품의 비교 세부 항목에 링크 선택부(101)가 추가로 생성된다. 즉, 임차료 절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부(101a), 수도광열비 절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부(101b), 광고선전비 절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부(101c), 잡화/소모품의 비용 절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부(101d)가 추가로 생성된다. 물론, 원재료 및 직원식대의 경우에도 해당 사용자 사업장에서의 지출비율이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지출비율보다 높다면 원재료 비용 절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부, 직원식대의 비용 절감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부를 더 생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파일은 문서, 이미지, 동영상,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이 수록된 파일이 될 수 있다. 상술한 파일 또는 URL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정보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링크 선택부(101)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링크 정보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10)의 화면에서 세금 비교 조회(도 7에서, 세금 비교를 선택)를 요청한 후에 "부가세 신고" 항목 및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 중에서 "부가세 신고"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세금 비교부(79a)는 도 9에서와 같은 화면(81)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 즉, 세금 비교부(79a)는 사용자의 사업장에서 납부한 세금에 대한 각종의 세금 통계 정보(예컨대, 매출구간별 부가세 납부세율, 부가세 납부액 등)를 구분한 화면(81)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 여기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동종 업종의 다른 사업장 회원들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을 위해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도 9의 화면(81)에서, 참조부호 82는 직전 신고기한 연도와 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과세자의 경우 2019년 1월이 현재라면 2018년 1월이 전기가 될 수 있고, 2019년 7월이 현재라면 2018년 7월이 전기가 될 수 있다. 간이과세자의 경우에는 2019년이 현재라면 2018년이 전기가 될 수 있다. 참조부호 83은 진전 신고기한에서의 해당 사용자와 동종 업종의 매출구간별 부가세 납부세율을 나타낸 것으로서,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에서의 부가세 신고서를 거래정보 소스(30)에서 스크래핑으로 가져와서 부가세 신고서상의 "차가감납부세액/매출세액"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로 보여준다. 참조부호 84는 모든 매출구간별 부가세 납부세율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다. 참조부호 85는 일반과세자의 경우 전년 동기값이 표시되고 간이과세자의 경우에는 전년값이 표시된다. 참조부호 86은 거래정보 소스(30)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에서의 직전 기간의 부가세 신고서를 스크래핑으로 가져와서 구한 해당 기간의 차가감납부세액값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87은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에서 최근 부가세신고한 연도와 월(간이과세자일 경우에는 연도)과 전년 동기(간이과세자의 경우에는 전년)의 정보를 거래정보 소스(30)에서 스크래핑으로 가져와서 매출액, 매입액, 부가세, 부가세율별로 보여주는 영역이다.
상술한 도 8에서, 값(99)과 값(100)은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가 될 수 있다.
도 9에서, 영역(87)을 보면 2019년 1월 및 2018년 10월의 매출액, 매입액, 부가세, 부가세율을 보여주고 있으나, 더 보기 버튼(88)을 누르면 2019년 1월 및 2018년 10월 이외의 년/월의 매출액, 매입액, 부가세, 부가세율을 볼 수 있다.
한편, 세금 비교부(79a)는 업종코드 앞 2자리로 업종구분을 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 업종별 업종코드를 예시한다.
업종구분 업종코드 앞2자리
농ㆍ임ㆍ어업 01
광업 10 ~ 14
제조업 15 ~ 38
전기ㆍ가스ㆍ수도업 40
하수ㆍ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41 ~ 44
건설업 45
도ㆍ소매업 50 ~ 52
음식ㆍ숙박업 55
운수ㆍ창고ㆍ통신업 60 ~ 63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64
금융 및 보험업 65
부동산업 70
임대(부동산 제외) 및 사업서비스업 71
교육서비스업 80
보건(의료업) 85
기타 92 ~ 95
이와 같이 세금 비교부(79a)는 업종별 매출구간별 부가세율 자료를 수집하여 업종별 매출구간별 부가세율을 구해서 보여줄 수 있다. 세금 비교부(79a)는 부가세 신고서를 거래 정보 소스(30)에서 스크래핑으로 조회하여 원하는 기간의 매출, 매입, 부가세를 비교해 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일단,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거래 정보 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의 수집은 스크래핑을 통해 행할 수 있다.
이후,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수집한 해당 사용자의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한다(S20).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각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한다(S30).
이후,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40).
이와 같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항목 정보)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기입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기입하였던 종래의 문제점(번거러움,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 항목 내용의 기입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거래 정보별로 항목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게 되면, 추후에 사용자는 다수의 거래 정보중에서 의심이 가는 몇 개의 거래 정보(즉, 항목 분류의 정확도가 낮은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만을 확인해 보면 되므로 항목 내용의 기입 오류 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 및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6 참조)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전송한다(S50).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 및 그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확인 신호(즉,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보여지는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하는 거래 장부(예컨대, 복식 부기장부, 간편장부, 분개장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후, 사용자가 세금 비교 조회신청을 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0)로부터의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10)로부터의 세금 비교 조회요청을 수신하게 되면(S60에서 "Yes")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부가세 신고" 항목 및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 중에서 어느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부가세 신고" 항목을 선택하였다면(S70에서 "Yes"),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도 9에서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에서 납부한 세금에 대한 각종의 정보(예컨대, 매출구간별 부가세 납부세율, 부가세 납부액 등)를 구분한 화면(81)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S80). 해당 사용자는 화면(81)을 통해 자신의 사업장에서 납부한 세금의 세부 사항(예컨대, 신고기한별 매출액, 매입액, 부가세, 부가세율 등)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을 선택하였다면(S90에서 "Yes"),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70)는 도 8에서와 같이 해당 사용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가급적, 동일 지역의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 및 비교 세부 항목별 링크정보를 생성한 화면(91)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S100). 이와 같이 자신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가 일대일로 표시됨에 따라,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사업장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 및 진단해 볼 수 있다. 또한, 비교 세부 항목(예컨대, 원재료, 임차료, 수도광열비, 광고선전비, 직원식대, 잡화/소모품 등)별로 링크 선택부를 추가로 둘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한다면 언제든지 해당 비교 세부 항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보가 실린 파일 또는 URL로 링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언제든지 해당 비교 세부 항목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정보를 링크한 파일 또는 URL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네트워크
30 : 거래정보 소스 40 : 데이터베이스
70 :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 72 : 스크래핑부
74 :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76 : 출력부
77 : 항목 분류부 78 : 정확도 결정부
79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79a : 세금 비교부

Claims (16)

  1. 등록된 회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회원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해당 회원의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과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금 비교 조회 요청된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다른 회원들의 거래 장부들의 세금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상기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별 평균 부가세 납부액 정보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상기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별 평균 부가세 대비 지출액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매출 구간별 부가세, 부가세율, 매출액, 매입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은 상기 세금 비교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회원의 사업장과 연관된 지역에 존재하는 한명 이상의 다른 회원 사업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는,
    해당 비교 세부 항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보가 실린 정보처로 링크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9. 등록된 회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회원별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해당 회원의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과의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세금 비교 조회 요청된 회원의 사업장과 동종 업종의 사업장에서의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세부 항목별 비교 결과는, 상기 스크래핑된 거래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다른 회원들의 거래 장부들의 세금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상기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별 평균 부가세 납부액 정보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상기 부가세 납부예상액 항목별 평균 부가세 대비 지출액 비율 정보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통계 정보는,
    상기 동종 업종의 사업장의 매출 구간별 부가세, 부가세율, 매출액, 매입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종 업종의 다른 회원들의 사업장은 상기 세금 비교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 회원의 사업장과 연관된 지역에 존재하는 한명 이상의 다른 회원 사업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금 비교 인터페이스는,
    해당 비교 세부 항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정보가 실린 정보처로 링크되는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90156521A 2019-11-29 2019-11-29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7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21A KR20210067172A (ko) 2019-11-29 2019-11-29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521A KR20210067172A (ko) 2019-11-29 2019-11-29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172A true KR20210067172A (ko) 2021-06-08

Family

ID=7639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521A KR20210067172A (ko) 2019-11-29 2019-11-29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17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741A (ko) 2012-06-20 2013-12-30 텍스온주식회사 세무관리 자동화 장치
KR20150013922A (ko) 2015-01-09 2015-02-05 윤세진 경영장부 회계관리 방법
KR20150067821A (ko) 2013-12-10 2015-06-19 이상호 전자세무신고를 위한 장부 자동생성 및 온-라인 세무회계서비스와 전자세무신고의 시스템 및 방법
KR101679051B1 (ko) 2014-03-21 2016-11-23 주식회사 답 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741A (ko) 2012-06-20 2013-12-30 텍스온주식회사 세무관리 자동화 장치
KR20150067821A (ko) 2013-12-10 2015-06-19 이상호 전자세무신고를 위한 장부 자동생성 및 온-라인 세무회계서비스와 전자세무신고의 시스템 및 방법
KR101679051B1 (ko) 2014-03-21 2016-11-23 주식회사 답 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KR20150013922A (ko) 2015-01-09 2015-02-05 윤세진 경영장부 회계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8345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lead generating hub
US20200294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Pre-Approved Customized Product Offers to Evaluated Customers for On-Demand Acceptance and Fulfillment
US86266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fixed asset transactions from multiple financial transactions
US8332288B2 (en) Interactive online spending analysis tool
US844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classify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77344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urance coverage
US20120221446A1 (en) E-receipts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8626769B1 (en) Community contributed rules in online accounting systems
US20110288962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lead exchange facilitating hub
US201302684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and reporting of sales
US20150112854A1 (en) Method of Automating a Business Loan Life Cycle
US7680708B1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ssigning a tax line item to a user transaction
US20110082782A1 (en) Relocation Calculator Object Oriented System and Method
KR102293468B1 (ko) 보안이 강화된 지도 기반 부동산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80059345A1 (en) Auditor's Toolbox
CN111539783A (zh) 不动产投资分析辅助装置及方法、记录介质
JP6402397B1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方法、会計処理プログラム
US20200242509A1 (en) System for event data extraction for real-time event modeling and resolution
KR101972895B1 (ko)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80218465A1 (en) Service To Identify Class Action Settlements For Which A User Is A Class Member And Assist The User In Obtaining Settlement Damages
KR20210067172A (ko) 세금 비교 기능을 제공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40195390A1 (en) Auditor's Toolbox
KR102003337B1 (ko)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82825A (ko) Soho 기업을 위한 자금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037394A (ja) 保険契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