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337B1 -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337B1
KR102003337B1 KR1020170079855A KR20170079855A KR102003337B1 KR 102003337 B1 KR102003337 B1 KR 102003337B1 KR 1020170079855 A KR1020170079855 A KR 1020170079855A KR 20170079855 A KR20170079855 A KR 20170079855A KR 102003337 B1 KR102003337 B1 KR 102003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ification
transaction information
item
transacti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28A (ko
Inventor
김향숙
맹동준
장정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거래별로 자동으로 항목의 내용을 분류하여 제공하며 분류된 항목의 내용에 대한 정확도를 제시하도록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 거래 정보를 근거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표시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book service}
본 발명은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장부를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세청에서는 납세자 스스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계산, 신고 및 납부하도록 하는 자진 신고납부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인과 개인 사업자는 회계 장부를 작성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세액이 산출된다.
결국, 세금 업무를 위해서는 회계 장부의 작성이 선행되어야 하나, 수시로 발생되는 입출금 전표, 영수증 등을 정리하고 임금 관리와 같은 경리 장부를 기장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 등은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또한, 수기로 회계 장부를 작성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작성과정에서 항목 기입의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즉,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 등)가 영수증을 보고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거래내역을 자동으로 불러와서 장부를 생성할 수 있는 자동장부 서비스(예컨대, 이지샵 자동장부 서비스)가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장부 서비스(예컨대, 이지샵 자동장부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간을 정하여 은행, 신용카드, 전자(세금)계산서, 현금 영수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자동 장부를 생성하기 전에 선택된 것에 의한 거래내역을 수집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도 1 참조)로 사용자의 단말에 화면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날짜, 거래처, 항목, 품목(내용), 공급가액, 부가세, 면세공급가액, 합계 등이 제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도 1 참조)를 보고서, 각각의 거래별로 항목란을 클릭한 후에 원하는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을 선택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어느 한 항목란(도 1에서 1)을 클릭하면 선택가능한 모든 항목(대략 160개 정도)이 수록된 항목 선택창(도 2 참조; 3)이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팝업 형태의 항목 선택창(3)의 스크롤 바(scroll bar)(도 2에서 2)를 움직여서 해당 거래에 적합한 내용을 고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장부 서비스에서는 수많은 항목 내용이 수록된 항목 선택창(3)이 팝업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일일이 거래별로 스크롤 바(2)를 움직여서 적합한 항목 내용을 선택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택일하는 것이므로, 익숙한 거래의 항목 내용이라면 몰라도 익숙하지 않은 거래의 항목의 내용에 대해서는 선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잘못 선택할 확률이 높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7821호(전자세무신고를 위한 장부 자동생성 및 온-라인 세무회계서비스와 전자세무신고의 시스템 및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42741호(세무관리 자동화 장치)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3922호(경영장부 회계관리 방법)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9051호(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거래별로 자동으로 항목의 내용을 분류하여 제공하며 분류된 항목의 내용에 대한 정확도를 제시하도록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표시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그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즉, 항목 정보)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기입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기입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거래 정보별로 항목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를 색상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다수의 거래 정보중에서 의심이 가는 몇 개의 거래 정보(즉, 항목 정보 분류의 정확도가 낮은 거래 정보)의 항목 내용만을 확인해 보면 되므로 항목 내용의 기입 오류 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동장부 서비스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채용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송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각 거래정보에 대한 항목 분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네트워크(20), 거래정보 소스(30), 데이터베이스(40), 및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국세청에 자진 납세를 위한 세무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의 단말기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국세청에서의 근거과세를 위하여 장부를 기장하여 제출하여야 하는데, 본래는 기업회계기준에 의하여 복식기장 형태로 제출하여야 하나, 영세 사업자의 경우에는 기장 능력이나 비용 부담을 고려하여 간편장부를 제출하기도 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거래 장부 제공 서버(50)에 접속하여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이라 함은 화면상의 "거래내역 불러오기"를 선택하면 시작될 수 있다. 만약, "거래내역 불러오기" 메뉴가 없다면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될 것이다.
사용자(사업자)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등록 과정을 먼저 거쳐야 한다. 이 경우 사업자는 상호, 업종, 사업장 주소, 사업장 관할 세무서, 사업장 주소코드 등을 입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업용 계좌, 매입카드, 매입 및 매출 거래처 등을 함께 등록해야 할 것이다.
사업용 계좌는 사업장 관할세무서에 신고한 사업용 계좌 또는 실질적으로 사업용도로 사용하는 계좌로서, 사업용 계좌의 금융기관, 은행 계좌번호, 계좌 종류 등을 입력하여 사업용 계좌의 입출금 정보가 거래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매입카드는 물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받을 때 사용하는 사업주 명의의 신용카드로서, 매입카드의 카드사, 카드번호, 카드의 결제계좌 등을 입력하면 카드 사용내역과 청구 금액 등이 거래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매입 및 매출 거래처는 상호, 업종, 사업자번호(주민등록번호), 비용항목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거래처 입력을 통하여 매입/매출 내역에 대하여 거래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2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20)는 유무선의 조합에 의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입 또는 매출 거래 방식을 포함하는 거래 데이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는 은행, 신용카드사, 현금 영수증 발행사, 전자세금 계산서 발급사, 증권사, 보험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제공받는 거래 데이터들을 은행 계좌의 은행 계좌 입출금 정보, 신용카드의 매입 전표, 현금 영수증 발행 정보, 전자세금 계산서 발급 정보, 증권 계좌 입출금 정보, 보험 계좌 입출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의 거래 데이터들은 정보 제공 보안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 단계를 거친 이후에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거래 정보 수집을 위해 거래정보 소스(30)의 서버 등에 접속하는 경우 정보 제공 보안을 위하여 사전에 인증 단계를 거친 사업자의 거래 데이터만을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사업자가 거래정보 소스(30)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거래정보 소스(30)는 인증 정보에 응답하여 거래 데이터를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에 응답한다는 것은 사업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가 해당 거래정보 소스(30)가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의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결국,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대한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에 거래정보 소스(30)에 접속하여 거래 데이터를 수집(취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개인 사업자 또는 법인)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각종의 정보는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의 상호, 업종, 사업장 주소, 사업장 관할 세무서, 사업장 주소코드, 사업용 계좌, 매입카드, 매입 및 매출 거래처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시한 각종의 정보의 예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사용자별 거래 정보 및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사용자별 거래 장부(예컨대, 복식 부기장부, 간편장부, 분개장 중의 어느 한 형태)를 저장할 수 있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한다. 만약, 사용자가 수집 기간을 설정한 경우에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수집 기간내의 거래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수집한 해당 사용자의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거래 정보별 항목 내용이 자동 분류되어 표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는 거래 정보마다 항목 내용(항목 정보) 자동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차등적인 색상이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확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보여지는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하는 거래 장부(예컨대, 복식 부기장부, 간편장부, 분개장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에서는 데이터베이스(40)와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를 각각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데이터베이스(40)가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의 내부 구성도이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스크래핑부(52),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 및 출력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가 될 수 있다.
스크래핑부(52)는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거래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다.
거래정보 소스(30)는 다양한 거래 방식을 포함하는 기관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래핑부(52)는 사전에 거래정보 소스(30)에 대한 인증 승인을 거쳐, 이후에는 별도의 절차 없이 거래정보 소스(30)에서 거래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크래핑부(52)는 웹 스크랩핑(Web Scraping) 및/또는 스크린 스크랩핑(Screen Scraping) 기술을 이용하여 거래정보 소스(30)에서 거래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스크랩핑 기술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스크랩핑 기술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래핑부(52)는 수집한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에게로 제공한다. 여기서, 거래 정보는 거래처명, 거래 비용, 거래 일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예컨대, GUI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이때,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즉,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상응함)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는 색상으로 정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각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에 대한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거래 정보별로의 색상은 달라질 수 있다. 물론,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동일한 거래 정보들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될 것이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일일이 거래별로 스크롤 바를 움직여서 적합한 항목 내용을 선택해야 되는 번거러움이 있고, 사용자가 직접 수많은 항목 내용중에서 택일하는 것이어서 익숙하지 않은 거래의 항목 내용에 대해서는 선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잘못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지정해 줌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출력부(56)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로부터의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즉,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56)는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네트워크(20)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보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의 내부 구성도이다.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54)는 항목 분류부(54a), 정확도 결정부(54b),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를 포함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54a)는 수집된 해당 사용자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기와 같은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회원)가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이 있으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은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1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있다면 거래한 회원중에서 사용자와 동종업종에 있는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회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와 동종업종에 있는 회원이 있다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동종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2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와 동종업에 있는 회원이 없다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와는 다른 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3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 내용의 분류를 위해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알 수 있다면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처의 업종을 참고하여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4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은 수집한 거래 정보(즉, 스크래핑 데이터) 또는 회원사(가맹점)의 DB(도시 생략) 등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은 업종별 항목의 내용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작성해 둔 업종별 항목 분류표를 통해 알 수 있다. 예시하지 않았지만, 업종별 항목 분류표에는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의 업종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하리라 생각되는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이 지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처가 3개(A,B,C)라면 업종별 항목 분류표에는 사용자의 업종에 대해 3개의 항목 내용이 지정되어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 A의 업종이 대응되었을 경우에는 "가"라는 항목 내용이 연관되고,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 B의 업종이 대응되었을 경우에는 "나"라는 항목 내용이 연관되고, 사용자의 업종과 거래처 C의 업종이 대응되었을 경우에는 "다"라는 항목 내용이 연관될 것이다. 이러한 업종별 항목 분류표는 미리 작성되어 항목 분류부(54a)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반대로,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알 수 없다면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해당 거래처의 상호가 "@@주유소", "%%식당", "&&마트" 등이 경우에는 주유소, 식당, 마트 등이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를 추출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업종과 키워드 추출에 따른 해당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5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은 앞서 제 4 분류 방식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즉,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 업종 키워드가 없는 경우에는 텍스트 비교를 통하여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해당 거래처의 상호가 "까끌레뽀끌레"인 경우 미용실의 업종이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으로 추정될 수 있다. 한편, 텍스트 비교를 통한 유사 업종 추정을 위하여, 항목 분류부(54a)는 거래처 상호를 분석하여 텍스트 비교를 통한 업종 자동 생성 기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항목 분류부(54a)는 업종 자동 생성 기계 학습의 결과물을 가지고 있을 것이며, 이를 활용할 것이다.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을 추정하면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처에 대해 추정된 유사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한다. 이와 같은 분류를 제 6 분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은 앞서 제 4 분류 방식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목 분류부(54a)는 상기에서 예시한 6가지의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이 6가지의 분류 방식중에서 어느 분류 방식에 의해 분류되는지에 따라 분류를 행하고, 분류 결과를 정확도 결정부(54b)에게로 전송한다.
정확도 결정부(54b)는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각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1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90 ~ 9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2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80 ~ 8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3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70 ~ 7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4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60 ~ 6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5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50 ~ 5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항목 분류부(54a)로부터의 분류 결과가 제 6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40 ~ 4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정확도 결정부(54b)는 결정된 정확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에게로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하여 자동 분류한 항목의 내용이 기입됨과 더불어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각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거래 정보별로의 색상을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물론, 분류의 정확도가 동일한 거래 정보들은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될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분류 결과가 제 1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90 ~ 99%인 것은 예를 들어 "연연연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분류 결과가 제 2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80 ~ 89%인 것은 예를 들어 "연연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분류 결과가 제 3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70 ~ 79%인 것은 예를 들어 "연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분류 결과가 제 4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60 ~ 69%인 것은 예를 들어 "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분류 결과가 제 5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50 ~ 59%인 것은 예를 들어 "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54c)는 분류 결과가 제 6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40 ~ 49%인 것은 예를 들어 "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예시한 색상은 연연연연연주황/연연연연주황/연연연주황/연연주황/연주황/주황 이외의 색상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정확도에 따라 차등적인 색상을 부여할 수만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어 무색/연연연연주황/연연연주황/연연주황/연주황/주황, 무색/파랑/초록/노랑/주황/빨강 등과 같이 다양하게 색상 배열을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만 있으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전송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단,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거래 장부 자동 생성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거래정보 소스(3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한다(S10). 여기서,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거래 정보 리스트라고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의 수집은 스크래핑을 통해 행할 수 있다.
이후,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수집한 해당 사용자의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한다(S20). 여기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함에 있어서 6가지의 분류 방식중에서 어느 분류 방식에 의한 것인지를 파악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항목 내용 분류 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각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한다(S30). 예를 들어, 분류 결과가 제 1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90 ~ 9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분류 결과가 제 2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80 ~ 8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분류 결과가 제 3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70 ~ 7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분류 결과가 제 4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60 ~ 6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분류 결과가 제 5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50 ~ 5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분류 결과가 제 6 분류 방식인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40 ~ 49%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후,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하여 자동 분류한 항목의 내용이 기입됨과 더불어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근거로 거래 정보별로 소정의 색상이 표시된다(도 7 참조). 도 7에서는 흑백으로는 색상을 제대로 표시할 수 없어서 각각의 거래 정보별로 항목 내용 분류의 정확도에 따른 색상 표시를 해칭으로 대체하였다. 도 7에서는 각각의 거래 정보의 모든 영역을 색상 표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거래 정보의 일부 영역(예컨대, 항목란)만을 색상 표시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항목 분류 결과가 제 1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90 ~ 99%인 것은 "연연연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결과가 제 2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80 ~ 89%인 것은 "연연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결과가 제 3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70 ~ 79%인 것은 "연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결과가 제 4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60 ~ 69%인 것은 "연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결과가 제 5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50 ~ 59%인 것은 "연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항목 분류 결과가 제 6 분류 방식이어서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가 40 ~ 49%인 것은 "주황"의 색상으로 해당 거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항목 정보)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기입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기입하였던 종래의 문제점(번거러움,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 항목 내용의 기입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거래 정보별로 항목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를 색상으로 표시하게 되면, 추후에 사용자는 다수의 거래 정보중에서 의심이 가는 몇 개의 거래 정보(즉, 항목 분류의 정확도가 낮은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만을 확인해 보면 되므로 항목 내용의 기입 오류 발생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 및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7 참조)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에게로 전송한다(S50).
그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0)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 및 그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확인 신호(즉, 각 거래 정보별로 항목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장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확인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보여지는 거래 정보들을 근거로 하는 거래 장부(예컨대, 복식 부기장부, 간편장부, 분개장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각 거래정보에 대한 항목 내용 분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함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회원)가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예컨대, 비용항목 또는 경비항목)의 내용이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40)내의 거래 정보를 근거로 파악한다(S100).
사용자(회원)가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이 있으면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제 1 분류 방식)한다(S102).
단계 S100에서의 파악 결과,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이 없는 경우에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4).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있으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중에서 사용자와 동종업종에 있는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6). 여기서, 회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와 동종업종에 있는 회원이 존재한다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동종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제 2 분류 방식)한다(S108).
이와 반대로, 사용자와 동종업종에 있는 회원이 없다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와는 다른 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제 3 분류 방식)한다(S110).
그리고,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단계 S104에서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와 거래한 회원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 내용 분류를 위해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아는 것이 중요하므로,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파악한다(S112). 여기서,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은 수집한 거래 정보(즉, 스크래핑 데이터) 또는 회원사(가맹점)의 DB(도시 생략) 등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파악하였다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처의 업종을 참고하여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제 4 분류 방식)한다(S114).
이와 반대로, 단계 S112에서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알 수 없다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S116). 예를 들어, 해당 거래처의 상호가 "@@주유소", "%%식당", "&&마트" 등이 경우에는 주유소, 식당, 마트 등이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될 수 있다.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를 추출하게 되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의 업종과 키워드 추출에 따른 해당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제 5 분류 방식)한다(S118).
이와 반대로,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서 업종 구분이 되는 키워드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즉, 해당 거래처의 상호내에 업종 키워드가 없는 경우에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텍스트 비교를 통하여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을 추정한다(S120). 예를 들어, 해당 거래처의 상호가 "까끌레뽀끌레"인 경우 미용실의 업종이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으로 추정될 수 있다.
해당 거래처에 대한 유사 업종을 추정하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처에 대해 추정된 유사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제 6 분류 방식)한다(S122).
이와 같이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제 1 분류 방식에서 제 6 분류 방식까지의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이 6가지의 분류 방식중에서 어느 분류 방식에 의해 분류되는지에 따라 항목 내용 분류를 행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네트워크
30 : 거래정보 소스
40 : 데이터베이스
50 :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서버
52 : 스크래핑부
54 :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56 : 출력부
54a : 항목 분류부
54b : 정확도 결정부
54c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

Claims (13)

  1.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되, 상기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복수의 순차적인 분류 방식 수행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 방식에 따라, 상기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정확도에 따라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부 생성부는,
    상기 분류 결과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수행된 분류 방식이, 분류에 필요한 거래 정보 및 분류 조건이 서로 상이하고, 분류 결과의 분류 정확도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분류 방식들 중 어느 분류 방식인지에 따라, 상기 내용 분류의 정확도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거래 정보별로 차등적인 색상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되, 순차적인 분류 방식을 근거로 항목의 내용을 분류하는 항목 분류부;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정확도 결정부; 및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이 자동기입되고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인 분류 방식은,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을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1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와 동종업계에 있는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2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와는 다른 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3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4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의 업종과 키워드 추출에 따른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5 분류 방식; 및
    상기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에 대해 추정된 유사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6 분류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항목 분류부는,
    상기 6가지의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이 상기 6가지의 분류 방식중에서 어느 분류 방식에 의해 분류되는지에 따라 분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확도 결정부는,
    상기 정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7.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거래 정보를 근거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되,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되, 상기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복수의 순차적인 분류 방식 수행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고,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 결과에 대응하는 분류 방식에 따라, 상기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하여,고 상기 결정된 정확도에 따라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에게로 보내는 제 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분류 결과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수행된 분류 방식이, 분류에 필요한 거래 정보 및 분류 조건이 서로 상이하고, 분류 결과의 분류 정확도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분류 방식들 중 어느 분류 방식인지에 따라, 상기 내용 분류의 정확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에 따라 거래 정보별로 차등적인 색상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을 자동으로 분류하되, 순차적인 분류 방식을 근거로 항목의 내용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에 대한 내용 분류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별로 항목의 내용이 자동기입되고 상기 항목의 내용 분류에 대한 정확도가 표시된 거래 장부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인 분류 방식은,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을 이전에 선택하였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1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와 동종업계에 있는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의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2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와는 다른 업종의 회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3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4 분류 방식;
    상기 사용자의 업종과 키워드 추출에 따른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의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5 분류 방식; 및
    상기 사용자의 업종과 해당 거래 정보의 거래처에 대해 추정된 유사 업종을 근거로 미리 정해놓은 항목의 내용을, 해당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으로 분류하는 제 6 분류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항목 분류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6가지의 분류 방식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각각의 거래 정보에 대한 항목의 내용이 상기 6가지의 분류 방식중에서 어느 분류 방식에 의해 분류되는지에 따라 분류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스크래핑으로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79855A 2017-06-23 2017-06-23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03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55A KR102003337B1 (ko) 2017-06-23 2017-06-23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55A KR102003337B1 (ko) 2017-06-23 2017-06-23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28A KR20190000628A (ko) 2019-01-03
KR102003337B1 true KR102003337B1 (ko) 2019-07-24

Family

ID=6502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55A KR102003337B1 (ko) 2017-06-23 2017-06-23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3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243B1 (ko) * 2004-02-26 2006-08-31 한정호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회계판단정보제공 서비스방법
KR20090015571A (ko) * 2007-08-09 2009-02-12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텔레비전 포탈 서비스에서의 자동완성 인기프로그램 추천시스템 및 방법
KR101084440B1 (ko) * 2009-11-10 2011-11-21 윤상봉 자동분개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399437B1 (ko) * 2011-10-07 2014-05-2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세무 회계 서비스 방법
KR20130142741A (ko) 2012-06-20 2013-12-30 텍스온주식회사 세무관리 자동화 장치
KR20150045851A (ko) *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아프로씨앤아이 패턴 기반, 거래 기준 회계 계정 자동 매칭 및 분개 시스템
KR20150067821A (ko) 2013-12-10 2015-06-19 이상호 전자세무신고를 위한 장부 자동생성 및 온-라인 세무회계서비스와 전자세무신고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7837A (ko) * 2014-02-17 2015-08-27 주식회사 더존다스 계정추천 및 전표생성을 위한 패턴생성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679051B1 (ko) 2014-03-21 2016-11-23 주식회사 답 세무 간편화 시스템 및 그 세무 관리 방법
KR20150013922A (ko) 2015-01-09 2015-02-05 윤세진 경영장부 회계관리 방법
KR20170023736A (ko) * 2016-09-26 2017-03-06 김주호 회계 및 재무 정보 생성을 통한 경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28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4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 of Pre-Approved Customized Product Offers to Evaluated Customers for On-Demand Acceptance and Fulfillment
US8332288B2 (en) Interactive online spending analysis tool
US81806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iew of and interacting with a purchase history
US8346661B2 (en) Aggregation of customer transaction data
US77116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ploying a business application
US833229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feedback from account users via account statements
US10332135B2 (en) Financial data norm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20089436A1 (en) Mapping analytics system for activity growth
US20120233090A1 (en) Investment portfolio analytics systems and methods
US20060267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ttributes, decision rules, or both, for remote execution, claim set ii
US201302824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affinity marketing
JP2011170490A (ja) SaaS型汎用会計処理システム
US9129321B2 (en) Fraud detection system audit capability
WO2011130260A2 (en) Electronic market tracking and reporting systems and methods
GB2380005A (en) A method of auotmatically offering a further credit deal
US20120215589A1 (en) Network analytics systems and methods
Sadekin et al. Effect of e-banking on banking sector of Bangladesh
KR20150004027A (ko) 복수의 업체를 관리하기 위한 업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76121A (ja) 経営管理システム
KR20200056014A (ko) 감정노동자를 위한 선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355964B2 (en) Auditor's toolbox
KR102067827B1 (ko) 자동화된 이메일 고지서 수집, 집계 및 처리를 제공하는 개인재무관리 방법
KR101972895B1 (ko)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03337B1 (ko) 거래 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1617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assifying transac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