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089A -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089A
KR20210067089A KR1020190156366A KR20190156366A KR20210067089A KR 20210067089 A KR20210067089 A KR 20210067089A KR 1020190156366 A KR1020190156366 A KR 1020190156366A KR 20190156366 A KR20190156366 A KR 20190156366A KR 20210067089 A KR20210067089 A KR 20210067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de
plga
glycolide
block copolymer
pg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혜정
고명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089A/ko
Publication of KR20210067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4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08G63/08Lactones or lac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30/00Composition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정형외과용 인체흡수성 의료기기에 사용 가능한 적절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에 글리콜라이드(Glycolide, GA)가 공중합되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PGA-PLGA-PGA

Description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Biodegradable block-copolymer for and preparation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흡수성 의료기기용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흡수성을 나타내는 폴리유산(Polylactide, PLA),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de, PGA), 랜덤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가 다양한 의료기기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생체조직의 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결손부에 이식하여 형태의 재건, 기능을 대행시키기 위한 임플란트 재료로 PLA와 PLGA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척추고정용 장치로 활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의 경우에는 척추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 만큼의 적절한 강도를 지녀야 하고, 결손부가 회복되는 동시에 인체 내에서 자연 분해되어 흡수될 수 있도록 인체흡수성을 갖춘 소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술 시 손상 부위를 확인하면서 시술이 가능하도록 투명성을 나타내는 소재가 유리하다.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PLA는 인체흡수 기간은 24개월 이상으로 적절하나 척추고정용 장치가 요구하는 높은 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며, PGA는 인체흡수 속도가 3개월 이하로 너무 빠르고 투명성을 지니고 있지 않아 시술의 난이도가 올라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랜덤 PLGA는 인체흡수 기간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투명성이 좋지 않다.
한편, 이러한 낮은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PLA-PGA 블록 공중합체 중합 기술에 관해 일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중합 방법을 사용할 경우 PGA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열안정성을 지니는 PLA가 중합 도중 열분해를 일으키면서 투명성과 최종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227321호는 일정한 물성을 갖는 PLA-PGA 공중합체를 높은 수율로 연속적으로 얻기 위한 중합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인체흡수성 의료기기로 적용 시 요구되는 강성 및 투명성 향상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999-0074320호는 PLA-PGA 블록 공중합체를 연속으로 얻기 위한 중합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역시 인체흡수성 의료기기로 적용 시 요구되는 강성 및 투명성 향상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인체흡수성 의료기기에 사용 가능한 적절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에 글리콜라이드(Glycolide, GA)가 공중합되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PGA-PLGA-PGA
또한,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는 락타이드 함량이 25 내지 95 중량%이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함량이 25 내지 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는 랜덤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인체흡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를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를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를 촉매 하에 중합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PGA-PLGA-PGA
본 발명은 PLGA 양단에 PGA가 공중합된 새로운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를 제시함으로써 생체흡수성 의료기기로서 척추고정용 장치와 같은 용도로의 활용에 적합한 내재점도를 지니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에 있어 시행착오 없이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흡수성 고분자 소재로서 종래 PLA, PGA, PLGA 등의 단독 중합체의 경우 강도나 투명성에 문제가 있고, 강도 개선을 위해 제안된 PLA-PGA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에도 척추고정용 장치와 같은 적절한 강도 및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소재로의 적용에 한계가 있음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놀랍게도 PLGA 양단에 PGA가 공중합된 새로운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이러한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에 글리콜라이드(Glycolide, GA)가 공중합되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개시한다.
[화학식 1]
PGA-PLGA-PGA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는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공중합한 PLGA 블록, 바람직하게는 락타이드와 글리콜라이드를 랜덤으로 공중합한 PLGA 블록 양단에 글리콜라이드로 구성된 PGA를 공중합한 형태의 공중합체로서,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재점도 등에 있어 기존 랜덤 PLGA보다 개선된 물성을 보이면서도, 기존 PLA-PGA 블록 공중합체보다 개선된 투명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공중합체의 조성에 있어, PLGA의 경우 대체로 PLGA 내 락타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재점도와 굴곡강도는 증가하고, 글리콜라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투명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대체로 PLG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투명도는 상승하나 내재점도는 저하되며, 반대로, PG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재점도는 증가하나 투명도는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나, 본 발명에서는 최종 블록 공중합체의 적절한 강성 및 높은 투명성 구현을 위해 상기 PLGA 중 락타이드 함량이 25 내지 95 중량%이고, 전체 블록 공중합체 중 상기 PLGA 함량이 25 내지 9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PLGA 중 락타이드 함량이 30 내지 90 중량%이고, 전체 블록 공중합체 중 상기 PLGA 함량이 40 내지 90 중량%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PLGA 중 락타이드 함량이 50 내지 80 중량%이고, 전체 블록 공중합체 중 상기 PLGA 함량이 5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조성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 적절한 강성 및 높은 투명성이 구현되며, 구체적으로, 내재점도(Inherent viscosity)가 0.5 내지 2 ㎗/g이고, 흐림도(HAZE)(ASTM D1003, 두께 2 mm 기준)가 25%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재점도가 0.7 내지 1.7 ㎗/g이고, 흐림도가 22% 이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재점도가 0.9 내지 1.5 ㎗/g이고, 흐림도가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내재점도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정형외과용 척추고정 장치로의 적용 시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고, 내재점도가 과도할 경우 오히려 지지해야 할 척추에 부하를 주어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는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를 촉매 및 개시제 존재 하에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를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를 촉매 하에 중합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PGA-PLGA-PGA
상기 제1 단계에서 락타이드는 이성질체에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즉, L-락타이드, D-락타이드, L-형과 D-형이 각각 하나씩 이루어진 메조(meso)-락타이드, L-락타이드와 D-락타이드가 혼합된 D, L-락타이드(50:50으로 혼합된 rac-락타이드 포함)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타이드로서 중합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수분을 최대한 제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락타이드는 먼저 불활성 기체나 진공, 또는 건조한 공기 하에서 충분히 건조시킨 후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글리콜라이드 역시 유사한 조건에서 충분한 건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여 중합도에 영향을 적게 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단계에 사용되는 촉매로는 PLGA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촉매, 예컨대, 염화주석, 옥토산 주석(Tin(Ⅱ) 2-ethylhexanoate), 산화주석, 염화아연, 산화아연 등의 촉매의 사용이 가능하나, 생체적합성을 갖는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의 중합인 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옥토산 주석이 사용될 수 있다.
촉매의 함량은 투입되는 전체 모노머(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 기준으로 주석(원소 기준) 함량이 5 내지 100 ppm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50 ppm이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촉매 함량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개환중합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함량이 과도할 경우 인체 내에서 예기치 못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1 단계에서 개시제는 상기 촉매와 함께 개환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물질로서, 양 말단이 히드록시기(-OH)인 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데칸디올, 도데칸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락타이드 및 상기 글리콜라이드와 마찬가지로 수분을 최대한 제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옥토산 주석(Tin(Ⅱ) 2-ethylhexanoate)을 이용한 개환중합의 경우, 모노머는 루이스 산(Lewis acid)인 Sn2+에 결합되며, 이후 친핵성 첨가반응과 개환반응을 통해 고리가 열리면서 중합 과정이 진행되고, 개시제 또한 Sn2+에 결합해 모노머와 촉매 간 결합을 촉진시키며, 동시에 최종 분자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O. Dechy-Cabaret et al., Chem. Rev. 2004, 104, 6147-6176 참조).
상기 개시제 함량은 투입되는 전체 모노머(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시제 함량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중합반응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함량이 과도할 경우 PLGA의 분자량이 낮아져 최종 산물인 PLGA-PGA 블록 공중합체의 내재점도가 저하되어 정형외과용 인체흡수성 의료기기로 적용 시 요구하는 물성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의 중합을 통해 제조되는 PLGA는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에서 단일의 융점(Tm)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LGA의 융점이 150℃를 초과할 경우 PLGA 블록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아져 제2 단계 블록 공중합 반응의 효율이 떨어지고 반응 시간도 길어질 수 있고, 물성 및 투명성 향상 정도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의 중합 결과 잔류 모노머 함량은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잔류 모노머 함량이 높으면 상기 제2 단계 중합 시 블록 형성을 방해하여 원하는 물성의 중합물의 획득이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상기 PLGA로부터 미반응 모노머 및 개시제를 제거할 경우에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PLGA를 유기용매에 용해한 후 비용매(non-solvent)에 침전시켜 정제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일정 온도에서 건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PLGA와 글리콜라이드를 중합하는 단계로, 전술한 PLGA 함량 범위를 만족하도록 글리콜라이드를 투입하여 상기 제1 단계에서의 촉매와 동일한 촉매 조성으로 중합하여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중합반응의 온도는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모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황변 발생이 적고 원활한 중합반응을 통한 블록 공중합체 획득 관점에서 각각 1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90℃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각 중합반응은 1 내지 24시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중합반응에 사용되는 반응기는 적절한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라면 특별히 그 형태, 크기, 재질 등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반응기에 L-락타이드(메디켐사) 및 글리콜라이드(메디켐사)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로 투입하고, 촉매(Tin(Ⅱ) 2-ethylhexanoate, Sigma-Aldrich사) 100 ppm(모노머 총 중량 기준) 및 개시제(무수 에틸렌글리콜, Sigma-Aldrich사) 0.1 중량부(모노머 총 100 중량부 기준)와 함께 30분간 질소로 치환한 후 1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랜덤 PLGA를 중합하였다. 이후, 중합된 PLGA와 글리콜라이드를 다시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로 반응기에 투입하고, 촉매(Tin(Ⅱ) 2-ethylhexanoate, Sigma-Aldrich사) 50 ppm(PLGA 및 모노머 총 중량 기준)과 함께 30분간 질소로 치환한 후 17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반응기에 L-락타이드(메디켐사)를 투입하고, 촉매(Tin(Ⅱ) 2-ethylhexanoate, Sigma-Aldrich사) 100 ppm(모노머 총 중량 기준) 및 개시제(무수 에틸렌글리콜, Sigma-Aldrich사) 0.5 중량부(모노머 총 100 중량부 기준)와 함께 30분간 질소로 치환한 후 17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PLA를 중합하였다. 이후, 중합된 PLA와 글리콜라이드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비로 반응기에 투입하고, 촉매(Tin(Ⅱ) 2-ethylhexanoate, Sigma-Aldrich사) 100 ppm(PLA 및 모노머 총 중량 기준)과 함께 30분간 질소로 치환한 후 17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PLA-PGA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PLGA, PLA 및 블록 공중합체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내재점도(Inherent viscosity) 및 흐림도(HAZE)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내재점도(Inherent viscosity)
희박용액점도법에 따라 내재점도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용매는 1,1,1,3,3,3-hexafluoro-2-propanol(HFIP, Sigma-Aldrich사)이고, 메스 용량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0.1 g/㎗ 농도의 용액 샘플 제조 후 25℃ 조건에서 우베로드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를 이용한 자동점도측정기(PolyVISC, CANNON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흐림도(HAZE)
프레스 성형기를 이용하여 2 mm 두께의 시편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시편의 결정화온도(Tcc)를 시차주사열량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rty, DSC)를 사용하여 확인한 후, 해당 온도에서 충분히 결정화를 진행한 다음 ASTM D1003에 따라 흐림도(HAZE)를 측정하였다.
구분 제1 단계 (PLGA 또는 PLA 중합) 제2단계 (PLGA-PGA 또는 PLA-PGA 중합)
L-락타이드 : 글리콜라이드 PLGA :
글리콜라이드
내재점도
(㎗/g)
HAZE
(%)
실시예 1 90:10 90:10 1.25 20.0
실시예 2 90:10 30:70 1.38 16.7
실시예 3 70:30 70:30 1.14 14.3
실시예 4 30:70 90:10 0.98 10.7
실시예 5 30:70 30:70 1.02 19.5
실시예 6 20:80 90:10 0.68 36.8
실시예 7 90:10 20:80 1.69 29.7
비교예 1 100:0 90:10 1.47 65.9
비교예 2 100:0 30:70 1.78 79.8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PLGA 양단에 PGA가 공중합된 새로운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의 경우(실시예 1 내지 7) 기존에 낮은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제시된 PLA-PGA 블록 공중합체(비교예 1 및 2)에 비해 적절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PLGA 제조 단계에서 락타이드의 함량비가 다소 낮거나(실시예 6) 블록 공중합체 제조 단계에서 PLGA 함량비가 다소 낮을 경우(실시예 7)에는 투명성이 다소 저하되고 바람직한 점도 범위를 벗어날 수 있어, PLGA 제조 및 블록 공중합체 제조 각 단계에서 반응물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예정한 바람직한 함량비 내에서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함을 알 수 있다.
한편, PLGA 제조 시 락타이드의 함량비가 높을수록 내재점도와 함께 HAZE 값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실시예 1 및 4의 비교). 이는 PLGA 내 락트산(lactic acid) 반복 단위 함량이 증가할수록 폴리유산(PLA)의 특징이 강해지면서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인력이 작용, 결정을 형성하면서 점도는 증가하고 투명도는 저하되는 현상을 보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PLGA 및 PGA의 함량비와 흐림도 및 내재점도와의 관계는 PLGA 내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 함량비에 따라 양상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PLGA의 락타이드 함량비가 높을 경우에는 결정성이 증가하므로, PLGA-PGA 블록 공중합체의 PLGA 함량이 증가할수록 투명도가 저하된다(실시예 1 및 2 참조). 반면, 락타이드 함량비가 낮을 경우에는 PLGA는 비결정성에 가깝게 되며, 이때는 PLGA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체 PLGA-PGA 블록 공중합체의 비결정성이 증가하여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실시예 4 및 5 참조). 또한, 내재점도의 경우 글리콜라이드 블록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내재점도 상승과 물성 개선에 유리하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에 글리콜라이드(Glycolide, GA)가 공중합되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화학식 1]
    PGA-PLGA-PGA.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는 락타이드 함량이 25 내지 95 중량%이고,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함량이 25 내지 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는 랜덤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공중합체는 인체흡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공중합체.
  5. 락타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를 중합하여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ylcolide), PLGA)를 제조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폴리(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를 촉매 하에 중합하여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화학식 1]
    PGA-PLGA-PGA.
KR1020190156366A 2019-11-29 2019-11-29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7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66A KR20210067089A (ko) 2019-11-29 2019-11-29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366A KR20210067089A (ko) 2019-11-29 2019-11-29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89A true KR20210067089A (ko) 2021-06-08

Family

ID=7639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366A KR20210067089A (ko) 2019-11-29 2019-11-29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0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0416B1 (en) Crystalline copolymers of p-dioxanone and epsilon-caprolactone
EP1591132B1 (en) Poly(lactide-co-glycolide) terpolymers and medical devices containing same
US4118470A (en) Normally-solid, bioabsorbable, hydrolyzable, polymeric reaction product
US4122129A (en) Normally-solid, bioabsorbable, hydrolyzable, polymeric reaction product
EP0768329B1 (en) High strength, melt processable, lactide-rich, poly(lactide-co-p-dioxanone) copolymers
JP3556773B2 (ja) 高強度、急速被吸収性、溶融加工性のグリコリド高含有ポリ(グリコリド−コ−p−ジオキサノン)共重合体
US4095600A (en) Normally-solid, bioabsorbable, hydrolyzable, polymeric reaction product
US20070014848A1 (en) Resorbable Polyetheresters and Medicinal Implants Made Therefrom
US8927001B2 (en) Bioswellable, crystalline, amphiphilic, block/graft 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of
EP0693294A2 (en) Bioabsorbable branched polymers containing units derived from dioxanone and medical/surgical devices manufactured therefrom
GB1572362A (en) Normally-solid biobsorbable hydrolyzable polymeric reaction product
JP2010540731A (ja) 高弾性率ポリウレタン及びポリウレタン/尿素組成物
JPH04283227A (ja) 加水分解性樹脂組成物
US7754233B2 (en) Method of preventing post-operative surgical adhesion
US7652127B2 (en) Absorbable copolyesters of poly(ethoxyethylene diglycolate) and glycolide
AU2014342970B2 (en) Absorbable poly (p-dioxanone-co-glycolide) monofilament fibers possessing mid-term strength retention post-implantation
US7435789B2 (en) Crystalline high-compliance glycolide co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292781B1 (ko) 폴리글리콜리드-폴리락티드 다중블록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49223B1 (ko) 고강도 인체흡수성 폴리글리콜산계 블록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67089A (ko) 생분해성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0508017A (ja) 結晶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EP1516006B1 (en) Block copolymers for surgical articles
CN112469550B (zh) 用于具有增强的植入后强度保持性的高强度缝合线的易吸收共聚物组合物
JP2016519169A (ja) 2つ又は3つ以上のカルボン酸基を有するモノール及びジオール重合開始剤から調製されるポリラクトンポリマー
EP3656406B1 (en) Absorbable biomedical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