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053A - 종이 캐릭터 의상 - Google Patents

종이 캐릭터 의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053A
KR20210067053A KR1020190156287A KR20190156287A KR20210067053A KR 20210067053 A KR20210067053 A KR 20210067053A KR 1020190156287 A KR1020190156287 A KR 1020190156287A KR 20190156287 A KR20190156287 A KR 20190156287A KR 20210067053 A KR20210067053 A KR 2021006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n
parts
fastening
fastened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340B1 (ko
Inventor
김유주
Original Assignee
김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주 filed Critical 김유주
Priority to KR102019015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34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41D13/0005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가 로봇 놀이나 캐릭터 놀이를 할 때, 착용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신체 각부를 감싸는 파트들 간의 체결 거리를 가변할 수 있어, 어린이가 성장하더라도 착용이 가능하고, 복부부를 좌우 및 전후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어 착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놀이에 흥미를 유발시켜 지능발달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종이 캐릭터 의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이 캐릭터 의상{Paper character clothing}
본 발명은 어린이가 로봇 놀이나 캐릭터 놀이를 할 때, 착용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신체 각부를 감싸는 파트들 간의 체결 거리를 가변할 수 있어, 어린이가 성장하더라도 착용이 가능하고, 복부부를 좌우 및 전후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어 착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놀이에 흥미를 유발시켜 지능발달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종이 캐릭터 의상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가 로봇 놀이나 캐릭터 놀이를 할 때, 흥미와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원하는 의상을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의상은 코스튬(costume) 이라고도 하며, 생일이나 할로윈데이, 크리스마스와 같은 특별한 날에 착용하며 놀이를 하게 된다.
최근 영화에서 나오는 로봇이나 애니메이션 케릭터를 흉내내기 위한 다양한 코스튬이 시판 중인데, 이러한 코스튬은 매우 고가이므로 경제적인 부담감으로 인해 원하는 캐릭터의 의상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경제적인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가정에서 버려지는 재활용 박스나 종이류 등을 이용하여 직접 오려붙이고 색칠하여 캐릭터 의상을 만들 수 있는데, 이러한 수작업은 과정이 복잡하고 불편하며 의상제작 시간이 매우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만든 종이 캐릭터 의상은 어린이가 성장할 경우 다시 착용할 수 없으며, 키와 몸무게 차이가 나는 다른 친구에게는 빌려줄 수 없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종이 캐릭터 의상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두꺼운 종이로 만들게 되는데 복부와 같이 많이 구부리는 부분이 유연하지 않아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고 놀이에 흥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10786호, '캐릭터 종이 의상'에는 어깨부, 팔부, 몸체부, 허리부 등을 각각 착용할 수 있는 의상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종래기술은 각 신체 해당부위를 엑스밴드로 체결하여 어린이가 착용하므로 착용이 쉽고, 쉽게 벗겨지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신체 각 부위를 모두 가릴 수 없어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510786호, '캐릭터 종이 의상'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08796호, '온라인 캐릭터 기반의 인체를 매개로 제작되는 아바타 의상과 그 서비스 구현 방법' 3. 한국등록특허 제10-0924226호, '관절 인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각부를 최대한 가리며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종이 캐릭터 의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각부에 착용되는 파트들 간에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어린이가 성장하거나 성장상태가 서로 다른 어린이들이 범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종이 캐릭터 의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부에 착용하는 파트가 좌우 및 전후로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어 착용의 불편함을 줄여 흥미를 극대화할 수 있는 종이 캐릭터 의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람의 가슴몸통, 복부, 팔 및 다리에 각각 착용할 수 있는 파트들로 이루지는 종이 캐릭터 의상으로, 상기 파트들:은, 상기 가슴몸통에 착용하는 가슴몸통부; 상기 복부에 착용하는 복부부; 상기 팔 중, 위팔에 착용하는 위팔부; 상기 팔 중, 아래팔에 착용하는 아래팔부; 상기 다리 중, 윗다리에 착용하는 윗다리부; 및 상기 다리 중, 아래 다리에 착용하는 아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슴몸통부와 상기 위팔부, 상기 위팔부와 상기 아래팔부 또는 상기 윗다리부와 상기 아래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되, 체결되는 파트들 간의 거리를 가변하면서 체결할 수 있는 거리 가변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가변 체결수단:은, 체결되는 두 파트들 중, 어느 한 파트에 구비되고, 절취선으로 타공된 원형의 기본 연결부 및 기본 연결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취선으로 타공된 초승달 형상의 확장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 연결부와 상기 확장부를 순차적으로 때어냄으로써 형성되는 장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장홀 형성부; 일 측은 체결되는 두 파트들 중, 다른 한 파트에 부착되고, 타 측은 상기 어느 한 파트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장홀에 겹쳐질 수 있고 직경이 상기 기본 연결부의 직경과 동일한 체결홀이 타공된 체결면; 및 상기 장홀과 상기 체결홀이 겹쳐진 상태에서 일측 방향에서 상기 홀들에 삽입되고 걸림쇠가 형성된 걸림쇠 형성 원반과 타측 방향에서 상기 홀들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된 소켓 원반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쇠 형성 원반과 상기 소켓 원반의 직경은 상기 기본 연결부의 직경보다 커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홀들을 관통하여 이탈될 수 없고, 상기 체결홀이 상기 장홀에 겹쳐져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체결되는 두 파드들 간의 체결거리가 가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부부:는, 스트립의 면을 세워 양단을 이어 붙여 제작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고리; 및 상기 고리들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인접한 고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들은 상기 연결면이 모두 펴지거나 접힘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어느 한쪽의 연결면들은 펴지고 다른 한쪽의 연결면들은 접혀 사용자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옆구리를 구부릴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인접한 고리들의 일측 전방, 일측 후방, 타측 전방 및 타측 후방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일측 전방과 타측 전방의 연결면들은 접히고 일측 후방과 타측 후방의 연결면들은 펴져 사용자자 전방을 향해 복부를 구부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종이 캐릭터 의상에 의하면, 신체의 각부를 각각 최대한 가리며 편하게 착용할 수 있어, 캐릭터나 로봇의 형상을 거의 완벽하게 구현 가능하여 놀이에 흥미를 매우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 캐릭터 의상에 의하면, 거리 가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신체의 각부에 착용되는 파트들 사이에 체결 거리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가 성장하거나 성장상태가 서로 다른 어린이들이 범용으로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이 캐릭터 의상에 의하면, 복부에 착용하는 파트인 복부부가 좌우 및 전후로 유연하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체를 좌우 및 전후로 편안하게 구부릴 수 있어 착용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종이 캐릭터 의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캐릭터 의상의 거리 가변 체결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캐릭터 의상의 복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종이 캐릭터 의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캐릭터 의상(100)은 어린이의 가슴몸통, 복부, 팔 및 다리에 각각 착용할 수 있는 파트들로 구성되며, 각 파트들은 해당 신체부위를 최대한 가리며 착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파트들(110,120,130,140,150,16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린이가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으나, 스스로 잘라 오려붙일 수 있도록 도안된 종이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안된 종이는 가위가 필요없이 손으로 뜯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고, 절취선을 따라 떼어낸 도안의 모서리부분을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붙여 연결함으로써 인체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안은 마닐라지나 판지 위에 인체에 무해한 비휘발성(Non-VOCs) 잉크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인쇄함으로써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떼어낸 도안의 모서리부분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지 않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들을 형성하여 서로 갈고리 형태로 체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트들(110,120,130,140,150,160)에는 카메라로 촬영하였을 때, 서로 다른 캐릭터를 증강하여 보여줄 수 있는 AR 식별코드가 삽화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AR 식별코드를 촬영함으로써 증강된 이미지를 보면서 놀이가 가능하다.
상기 파트들은 어린이가 가슴에 착용하는 가슴몸통부(110), 복부에 착용하는 복부부(120), 어깨와 위팔에 함께 착용하는 위팔부(130,130a), 아래팔에 착용하는 아래팔부(140,140a), 대퇴부인 윗다리에 착용하는 윗다리부(150,150a) 및 종아리인 아래 다리에 착용하는 아래 다리부(160,16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파트들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파트인 머리부,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부 및 엉덩이와 골반 및 생식기를 감싸도록 착용할 수 있는 엉덩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부는 상기 복부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팔부(130,130a)는 오른쪽 위팔부(130)와 왼쪽 위팔부(130a)를 포함하고, 상기 아래팔부(140,140a)는 오른쪽 아래팔부(140)와 왼쪽 아래팔부(140a)를 포함하고, 상기 윗다리부(150,150a)는 오른쪽 윗다리부(150)와 왼쪽 윗다리부(150a)를 포함하고, 상기 아래 다리부(160,160a)는 오른쪽 아래 다리부(160)와 왼쪽 아래 다리부(16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슴몸통부(110)와 상기 위팔부(130,130a)의 사이, 상기 위팔부(130,130a)와 상기 아래팔부(140,140a)의 사이, 상기 윗다리부(150,150a)와 상기 아래 다리부(160,160a) 사이에는 파트들을 서로 체결하되 파트들간의 거리를 가변하면서 체결할 수 있는 거리 가변 체결수단(170)이 각각 구비된다.
즉, 파트들간의 체결 거리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종이 캐릭터 의상(100)은 어린이가 성장하거나 성장정도가 서로 다른 어린이들도 맞춤형으로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거리 가변 체결수단(170)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리 가변 체결수단(170)은 장홀 형성부(171), 체결면(172) 및 체결구(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거리 가변 체결수단(170)은 상기 가슴몸통부(110)와 상기 위팔부(130) 사이를 체결하는 거리 가변 체결수단(170)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위팔부(130,130a)와 상기 아래팔부(140,140a)의 사이, 상기 윗다리부(150,150a)와 상기 아래 다리부(160,160a) 사이를 체결하는 거리 가변 체결수단들은 크기에서 차이는 있을지라도 장홀 형성부(171), 체결면(172) 및 체결구(1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장홀 형성부(171)는 상기 가슴몸통부(110)의 쇄골 위치에 형성되며, 절취선으로 타공되어 때어낼 수 있는 원형의 기본 연결부(171-1) 및 상기 기본 연결부(171-1)에서 상기 위팔부(130)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취선으로 타공되어 떼어낼 수 있으며, 초승달 내지는 가로방향으로 폭이 있는 괄호 형태의 확장부들(171-2,17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확장부들(171-2,171-3) 중, 상기 기본 연결부(171-1)와 접한 제1 확장부(171-2)와 상기 제1 확장부(171-2)와 접한 제2 확장부(171-3)를 순차로 떼어낼 수록 홀의 가로방향 길이는 길어진다.
즉, 상기 장홀 형성부(171)는 상기 가슴몸통부(110)에 체결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기본 연결부(171-1)만 떼어내어 상기 체결면(172)을 체결할 경우, 상기 가슴몸통부(110)와 상기 위팔부(130)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되고, 제1 확장부(171-2) 및 제2 확장부(171-2) 순으로 때어 낼수록 상기 체결면(172)은 상기 가슴몸통부(110)에서 멀어져 상기 가슴몸통부(110)와 상기 위팔부(130)의 체결거리를 멀게할 수 있다.
한편, 역으로 상기 기본 연결부(171-1)가 상기 위팔부(130)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확장부(171-2)와 상기 제2 확장부(171-3)가 목 측으로 순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본 연결부(171-1)만 떼어낼 경우, 상기 가슴몸통부(110)와 상기 위팔부(130) 간의 거리는 최대화되어 체결할 수 있고 제1 확장부(171-2)와 제2 확장부(171-3)를 순차로 때어내어 체결거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홀 형성부(171)는 상기 가슴몸통부(110)의 쇄골 위치에 대응하여 등쪽 어깨뼈 부위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면(172)은 상기 장홀 형성부들(171,171a)에 각각 체결되어 체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체결면(172)은 일측은 상기 위팔부(130)의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슴몸통부(11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면(172)은 사각형 면을 가로 방향 중앙부가 위로 볼록하도록 구부린 형태이며, 상기 가슴몸통부(110)의 쇄골과 어깨뼈 부위를 덮으며 위치한다.
또한, 상기 체결면(172)에는 상기 장홀 형성부(171)와 겹쳐질 수 있는 위치에 체결홀(172a)이 타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홀 형성부(171)가 두 개의 장홀 성형부(171,171a)로 구비될 경우 상기 체결홀(172a)도 두 개의 체결홀(172a,172b)로 타공되며 전방의 체결홀(172a)은 전방의 장홀 형성부(171)와 서로 겹쳐지게 되고, 후방의 체결홀(172b)은 후방의 장홀 형성부(171a)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상기 체결구(173)는 상기 장홀 형성부(171)와 상기 체결홀(172a)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체결면(172)이 상기 가슴몸통부(110)에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173)는 전방으로 복수의 걸림쇠(173aa)가 돌출된 걸림쇠 형성 원반(173a)과 상기 걸림쇠(173aa)와 체결될 수 있는 걸림홈(173bb)이 형성된 소켓 원반(17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쇠 형성 원반(173a)과 상기 소켓 원반(173b)의 직경은 상기 체결홀(172a) 및 상기 기본 연결부(171-1)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상기 걸림쇠 형성 원반(173a)은 상기 가슴몸통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장홀 형성부(171)의 후면 모서리에 접촉하며 위치하고, 상기 걸림쇠(173aa)는 상기 장홀 형성부(171)의 홀과 상기 체결홀(172a)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체결면(172)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소켓 원반(173b)은 상기 걸림쇠(173aa)가 상기 걸림홈(173bb) 삽입되어 걸리도록 상기 체결면(172)의 전방에 밀착되어, 상기 걸림쇠 형성 원반(173a)과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구(173)는 상기 장홀 형성부(171)의 홀과 상기 체결홀(172a)을 통과하지는 않고 상기 상기 가슴몸통부(110)의 내면과 상기 체결면(172)의 외면을 서로 밀착시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구(173)를 걸림쇠와 걸림홈을 통해 체결할 수 있는 부품으로 구비하였으나, 똑딱단추(snap)와 같이 볼과 볼 소켓을 이용하여 누르면 똑딱하고 닫히는 부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173)는 인체에 접촉하여 상처나 찰과상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출된 면에 실리콘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복부부(120)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복부부(120)는 상하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고, 좌우 및 전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어린이는 상기 복부부(120)를 착용하더라도 좌우, 전후로 허리를 편안하게 구부릴 수 있어 움직임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부부(120)는 길쭉한 종이 스트립의 면을 세워 양측 단부를 서로 이어 붙인 복수개의 고리들(121,122,123)를 포함하며, 상기 고리들(121,122,123)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각 고리들(121,122,123)의 양측 단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붙여 고정할 수 있으나, 양측 단부의 겹친 후 두 개의 자석을 외측와 내측에서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함으로써 고리들의 길이를 조절하며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하는 어린이의 허리둘레에 따라 상기 복부부(120)의 직경을 가변시켜 맞춤형으로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리들(121,122,123)이 도시한 것처럼 세 개의 고리로 구성될 경우, 최상단의 제1 고리(121)와 상기 제1 고리(121) 하부의 제2 고리(122), 상기 제2 고리(122)와 상기 제2 고리(122) 하부의 제3 고리(123)는 각각 연결면(124)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면(124)은 각각 이웃한 고리의 일측 전방을 연결하는 일측 전방 연결면(124a), 이웃한 고리의 일측 후방을 연결하는 일측 후방 연결면(124b), 이웃한 고리의 타측 전방을 연결하는 타측 전방 연결면(124c) 및 이웃한 고리의 타측 후방을 연결하는 타측 후방 연결면(12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리들(121,122,123) 중, 상기 제1 고리(121)와 상기 제3 고리(123) 상하로 잡아당길 경우, 상기 연결면들(124a,124b,124c,124d)이 펴져 길이가 늘어나고 상기 제1 고리(121)와 상기 제3 고리(123)를 상기 제2 고리(122)를 향해 밀 경우, 연결면들(124a,124b,124c,124d)은 상기 고리들(121,122,123) 사이로 접혀 들어가 길이가 줄어든다.
또한, 상기 고리들(121,122,123)은 하단 직경이 상단 직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 이경우 상기 고리들(121,122,123)이 서로 슬라이딩하여 쉽게 겹쳐질 수 있다.
또한, 도 3은 몸통을 좌측으로 구부렸을 때, 상기 복부부(120)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몸통을 전방으로 구부렸을 때, 상기 복부부(120)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몸통을 좌측으로 구부릴 경우, 상기 연결면들(124a,124b,124c,124d) 중 일측 전방 연결면(124a)와 일측 후방 연결면(124b)은 펼쳐지고, 타측 전방 연결면(124c)과 타측 후방 연결면(124d)은 고리들 사이로 접혀 들어가며 좌측으로 구부러 질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몸통을 앞으로 구부릴 경우, 상기 연결면들(124a,124b,124c,124d) 중 일측 전방 연결면(124a)와 타측 전방 연결면(124c)은 고리들 사이로 접혀들어가고, 일측 후방 연결면(124b)과 타측 후방 연결면(124d)과은 펼쳐져 전방으로 구부러 질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는 상기 복부부(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를 좌우 또는 전후로 자유롭게 구부릴 수 있으므로 움직임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종이 캐릭터 의상 110:가슴몸통부
120:복부부 121,122,123:고리
124:연결면 130:오른쪽 위팔부
130a:왼쪽 위팔부 140:오른쪽 아래팔부
140a:왼쪽 아래팔부 150:오른쪽 윗다리부
150a:왼쪽 윗다리부 160:오른쪽 아래다리부
160a:왼쪽 아래다리부 170:거리 가변 체결 수단
171:장홀 형성부 172:체결면
173:체결구

Claims (4)

  1. 사람의 가슴몸통, 복부, 팔 및 다리에 각각 착용할 수 있는 파트들로 이루지는 종이 캐릭터 의상으로,
    상기 파트들:은,
    상기 가슴몸통에 착용하는 가슴몸통부;
    상기 복부에 착용하는 복부부;
    상기 팔 중, 위팔에 착용하는 위팔부;
    상기 팔 중, 아래팔에 착용하는 아래팔부;
    상기 다리 중, 윗다리에 착용하는 윗다리부; 및
    상기 다리 중, 아래 다리에 착용하는 아래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슴몸통부와 상기 위팔부, 상기 위팔부와 상기 아래팔부 또는 상기 윗다리부와 상기 아래 다리부 사이에 구비되되, 체결되는 파트들 간의 거리를 가변하면서 체결할 수 있는 거리 가변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가변 체결수단:은,
    체결되는 두 파트들 중, 어느 한 파트에 구비되고, 절취선으로 타공된 원형의 기본 연결부 및 기본 연결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절취선으로 타공된 초승달 형상의 확장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 연결부와 상기 확장부를 순차적으로 때어냄으로써 형성되는 장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장홀 형성부;
    일 측은 체결되는 두 파트들 중, 다른 한 파트에 부착되고, 타 측은 상기 어느 한 파트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장홀에 겹쳐질 수 있고 직경이 상기 기본 연결부의 직경과 동일한 체결홀이 타공된 체결면; 및
    상기 장홀과 상기 체결홀이 겹쳐진 상태에서 일측 방향에서 상기 홀들에 삽입되고 걸림쇠가 형성된 걸림쇠 형성 원반과 타측 방향에서 상기 홀들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쇠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된 소켓 원반을 포함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쇠 형성 원반과 상기 소켓 원반의 직경은 상기 기본 연결부의 직경보다 커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홀들을 관통하여 이탈될 수 없고,
    상기 체결홀이 상기 장홀에 겹쳐져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체결되는 두 파드들 간의 체결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부:는,
    스트립의 면을 세워 양단을 이어 붙여 제작되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고리; 및
    상기 고리들 사이의 일측과 타측에 인접한 고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들은 상기 연결면이 모두 펴지거나 접힘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고, 어느 한쪽의 연결면들은 펴지고 다른 한쪽의 연결면들은 접혀 사용자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옆구리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인접한 고리들의 일측 전방, 일측 후방, 타측 전방 및 타측 후방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일측 전방과 타측 전방의 연결면들은 접히고 일측 후방과 타측 후방의 연결면들은 펴져 사용자자 전방을 향해 복부를 구부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캐릭터 의상.
KR1020190156287A 2019-11-29 2019-11-29 종이 캐릭터 의상 KR10242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87A KR102421340B1 (ko) 2019-11-29 2019-11-29 종이 캐릭터 의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287A KR102421340B1 (ko) 2019-11-29 2019-11-29 종이 캐릭터 의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053A true KR20210067053A (ko) 2021-06-08
KR102421340B1 KR102421340B1 (ko) 2022-07-15

Family

ID=7639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287A KR102421340B1 (ko) 2019-11-29 2019-11-29 종이 캐릭터 의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3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986U (ja) * 1997-09-08 1998-03-24 とし 斎藤 伸縮かつ屈曲自在な人形
JP2009097103A (ja) * 2007-10-15 2009-05-07 Fujikura Parachute Co Ltd 航空機搭乗員用感染防護衣
KR100924226B1 (ko) 2009-07-30 2009-11-02 우희권 관절 인형
KR20120108796A (ko) 2011-03-25 2012-10-05 이봉재 온라인 캐릭터 기반의 인체를 매개로 제작되는 아바타 의상과 그 서비스 구현 방법
KR101510786B1 (ko) 2013-10-08 2015-04-10 이봉재 캐릭터 종이 의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986B2 (ja) * 1997-05-13 2000-05-29 工業技術院長 黄銅鉱から銅を分離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986U (ja) * 1997-09-08 1998-03-24 とし 斎藤 伸縮かつ屈曲自在な人形
JP2009097103A (ja) * 2007-10-15 2009-05-07 Fujikura Parachute Co Ltd 航空機搭乗員用感染防護衣
KR100924226B1 (ko) 2009-07-30 2009-11-02 우희권 관절 인형
KR20120108796A (ko) 2011-03-25 2012-10-05 이봉재 온라인 캐릭터 기반의 인체를 매개로 제작되는 아바타 의상과 그 서비스 구현 방법
KR101510786B1 (ko) 2013-10-08 2015-04-10 이봉재 캐릭터 종이 의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340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14B2 (en) Garment with tethering system
US3949568A (en) Bouquet ring
US20210170295A1 (en) Combined Toy Doll and Artificial Flower
US20150283471A1 (en) Doll and Securable Fitted Head Accessary Combination
US6173450B1 (en) Costume and toy and associated methods
US11202478B2 (en) Necktie lock
KR102421340B1 (ko) 종이 캐릭터 의상
US3378853A (en) Convertible sweater construction
US20170006939A1 (en) Reconfigurable garment
US4259807A (en) Doll which grows
US6839914B2 (en) Suit
JP2002212805A (ja) 乳房カップを有する衣料
US20060089085A1 (en) Novelty ladies swimsuit
JP6422602B1 (ja) 衣服
US20030092354A1 (en) Soft posable doll
JP2008240194A (ja) 衣服着用補助具を兼ねたスカーフ
US4184231A (en) Four in hand necktie with integral clasp
Dalrymple American Victorian costume in early photographs
US11235253B2 (en) Doll
JP5015302B2 (ja) ペット用胴輪
JPH10226904A (ja) ブラジャー
CN212260497U (zh) 一种夏季女士短袖
JP3131615U (ja) 胸パッド付き肩掛け
US20220105437A1 (en) Doll
KR200280583Y1 (ko) 목걸이형 브래지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