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996A -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996A
KR20210066996A KR1020190155780A KR20190155780A KR20210066996A KR 20210066996 A KR20210066996 A KR 20210066996A KR 1020190155780 A KR1020190155780 A KR 1020190155780A KR 20190155780 A KR20190155780 A KR 20190155780A KR 20210066996 A KR20210066996 A KR 20210066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ctic acid
acid bacteria
ski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길선
조은경
최향태
고재영
백흥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9015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996A/ko
Publication of KR2021006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에는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일 수 있고,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나노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물에 따른 조성물은 녹농균 생장 및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고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ANTIBACTERIAL OR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본 개시물에는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대부분의 동물세포는 다양한 크기와 성분을 갖는 세포 내 기원의 세포밖 베지클 (extracellular vesicle)를 분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포밖 베지클은 혈액, 소변, 타액 및 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모든 생물학적 유체 (biological fluids)에서 발견된다.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 또한 세포밖 베지클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밖 베지클은 작게는 직경 약 20 nm부터 크게는 직경 약 5 ㎛의 크기를 갖는 막 구조 소낭체로서, 그 크기와 구성에서 이질성이 있고, 엑소좀 (exosome, 약 20~100 nm), 엑토좀 (ectosome), 마이크로소낭 (microvesicle, 약 100~1,000 nm), 마이크로입자 (microparticle), 세포자멸체 (apoptotic body, 약 1~5 ㎛) 등의 다수의 상이한 종을 포함한다.
상기 세포밖 베지클의 상이한 유형은 이의 기원, 직경, 자당 (sucrose)에서의 밀도, 형상, 침강 속도, 지질 조성물, 단백질 마커 또는 분비 방식 (즉, 신호(유도성)에 의한 것인지 자발적(구성적)인 것인지) 등에 기초하여 구별된다. 예컨대, 마이크로소낭은 약 100 내지 1,000 nm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막 소낭으로서 원형질막 바깥쪽을 향하여 출아 (원형질막에서 기원)되며, 인테그린, 셀렉틴, CD40 리간드 등을 포함하는 마커, 포스파티딜세린을 포함하는 인지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엑소좀은 약 20 내지 100 nm (<200 nm)의 컵 형상을 갖는 가장 작은 막 소낭으로서 후기 엔도좀의 안쪽에서 출아 (엔도좀에서 기원)되며, 일반적으로 CD63, CD9의 테트라스파닌, TSG101, ESCRT을 포함하는 마커, 콜레스테롤,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 포스파티딜세린을 포함하는 지질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세포밖 베지클은 분비하는 기원 세포 (공여 세포)의 상태를 반영하며, 어떤 세포에서 분비되었는가에 따라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고, 세포들 사이에 유전 물질과 단백질을 옮기면서 세포 간 상호작용 (cell-to-cell communication)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인체에 유익한 대표적인 미생물인 유산균은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당을 분해하여 젖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는 균이다. 유산균은 당으로부터 유기산을 만드는 발효 과정을 거쳐 발효유, 치즈, 버터와 같은 발효 식품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으나, 유산균 유래의 복합 생리 활성 물질인 세포밖 베지클의 항균, 보습 효능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KR 10-2017-0109822 A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피부 항균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 생장 또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은 녹농균에 기인한 건선, 발진, 피부염 및 모낭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기탁번호가 KCCM11179P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나노 크기를 갖는 세포밖 베지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20 내지 2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엑소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균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세포밖 베지클이 0.1 내지 200 ㎍/㎖의 농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기탁번호가 KCCM11179P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나노 크기를 갖는 세포밖 베지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20 내지 2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엑소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세포밖 베지클이 0.1 내지 200 ㎍/㎖의 농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개선,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제공하며 녹농균과 같은 외부 박테리아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유산균으로부터 세포밖 베지클을 분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험예에 따른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의 투과전자현미경 촬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험예에 따른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의 크기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험예에 따라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을 피부 섬유아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증식 및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p<0.01).
도 5는 일 실험예에 따라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과 유산균 세포를 처리한 후 상대적 세포독성 (LDH 방출) 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험예에 따라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이 녹농균 생장과 바이오필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험예에 따라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이 오클루딘 (OCLN) 유전자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 생장 또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은 녹농균에 기인한 건선, 발진, 피부염 및 모낭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사용되어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Latobacillus) 속 균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항균 및 보습 효능, 엑소좀을 포함하는 세포밖 베지클의 수율 증가 면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이 바람직한 것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우수한 항균, 보습 효능 및 엑소좀을 포함하는 세포밖 베지클 수득 효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기탁번호가 KCCM11179P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Psulloc 331261인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세포밖 베지클'은 세포에서 분비되어 세포외 공간으로 방출된 베지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막 구조를 가져 지질 이중막에 의해 내부와 외부가 구분된다. 또한, 세포막 지질 (plasma membrane lipids), 세포막 단백질 (plasma membrane proteins), 핵산 (nucleic acids), 세포질 성분 (cytoplasmic components) 등을 가지고 있어 기원 세포의 성질과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세포밖 베지클은 다른 세포 또는 조직에 결합하여 막 구성요소, mRNAs, miRNAs, 단백질 (성장 호르몬, 사이토카인 등) 등을 전달해 줌으로써 세포-세포 간 소통을 매개하는 세포외 전달체로서 작용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유산균 배양액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유산균 배양액의 100,000 ×g 이상, 구체적으로 100,000 내지 200,000 ×g, 또는 100,000 내지 150,000 ×g, 또는 150,000 내지 200,000 ×g의 초원심분리에서 침강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나노 크기를 갖는 세포밖 베지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20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20 nm 이상, 30 nm 이상, 40 nm 이상, 50 nm 이상, 60 nm 이상, 70 nm 이상, 80 nm 이상, 90 nm 이상 또는 100 nm 이상이고, 500 nm 이하, 450 nm 이하, 400 nm 이하, 350 nm 이하, 300 nm 이하, 250 nm 이하, 200 nm 이하, 150 nm 이하 또는 100 nm 이하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20 내지 200 nm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직경은 평균 직경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엑소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예컨대, 표적 세포에서 원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막 성분이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밖 베지클의 막 성분이 티올기 (-SH) 또는 아민기 (-NH2)를 이용하여 화학적인 방법으로 변형되거나, 세포밖 베지클에 표적유도 물질, 세포막융합 물질,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막 성분이 화학적으로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원심분리 (centrifugation), 초원심분리 (ultracentrifugation), 분별 원심분리 (Differential Centrifugation), 등밀도 원심분리 (Equilibrium Density Centrifugation), 밀도 구배 (density gradient), 여과 (filtration), 투석 (dialysis) 및 자유 유동 전기이동 (free-flow electrophoresi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으나, 세포밖 베지클의 분리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밀도 구배는 밀도가 다른 물질을 구분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콜 (ficoll), 글리세롤 (glycerol), 수크로즈 (sucrose), 염화세슘 (cesium chloride), 이오딕사놀 (iodixanol) 등의 밀도 기울기 분리 재료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밀도 구배는 초원심분리 등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세포밖 베지클을 선별하기 위해 겔 여과 (gel filtration) 또는 한외여과 (ultrafiltration)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크기가 작은 분자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 대신 투석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자유 유동 전기이동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1) 유산균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수득된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수득된 여과물을 초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제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 단계에서 원심분리는 1,000 내지 20,000 ×g, 또는 1,500 내지 20,000 ×g, 또는 1,500 내지 15,000 ×g, 또는 1,500 내지 10,000 ×g에서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1) 단계의 원심분리는 30 내지 60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심분리는 속도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단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1,500 내지 2,000 ×g에서 저속으로 원심분리하여 배양액으로부터 유산균 균주를 분리 및 제거하고 세포와 상등 배양액을 분리한 후, 10,000 내지 20,000 ×g에서 고속으로 원심분리하여 추가적으로 세포 또는 세포 관련 잔해 및 잔여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 단계에서 여과는 0.3 내지 0.5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 공정을 통해 원심분리된 배양액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 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100,000 ×g 이상, 구체적으로 100,000 내지 200,000 ×g, 또는 100,000 내지 150,000 ×g, 또는 150,000 내지 200,000 ×g에서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 단계에서 초원심분리는 1 내지 5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3) 단계 후, (4) 상기 수득된 침전물을 현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조성물,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대상에게 적용하거나, 또는 투여하거나, 또는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대상의 피부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말,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샴푸,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개시물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예를 들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개시물에 개시된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일 측면에서 약 5 내지 12 g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개시물에 개시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 (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 ㎍/kg 내지 200 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 ㎍/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개시물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이고 100 중량% 이하, 99 중량% 이하, 98 중량% 이하, 97 중량% 이하, 96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4 중량% 이하, 93 중량% 이하, 92 중량% 이하, 91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인 양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밖 베지클이 0.1 ㎍/㎖ 이상, 1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25 ㎍/㎖ 이상, 30 ㎍/㎖ 이상, 35 ㎍/㎖ 이상, 40 ㎍/㎖ 이상, 45 ㎍/㎖ 이상, 50 ㎍/㎖ 이상, 55 ㎍/㎖ 이상, 60 ㎍/㎖ 이상, 65 ㎍/㎖ 이상, 70 ㎍/㎖ 이상, 75 ㎍/㎖ 이상, 80 ㎍/㎖ 이상, 85 ㎍/㎖ 이상, 90 ㎍/㎖ 이상, 95 ㎍/㎖ 이상 또는 100 ㎍/㎖ 이상이고, 200 ㎍/㎖ 이하, 190 ㎍/㎖ 이하, 180 ㎍/㎖ 이하, 170 ㎍/㎖ 이하, 160 ㎍/㎖ 이하, 150 ㎍/㎖ 이하, 140 ㎍/㎖ 이하, 130 ㎍/㎖ 이하, 120 ㎍/㎖ 이하, 110 ㎍/㎖ 이하, 100 ㎍/㎖ 이하, 90 ㎍/㎖ 이하, 80 ㎍/㎖ 이하, 70 ㎍/㎖ 이하, 60 ㎍/㎖ 이하, 50 ㎍/㎖ 이하, 40 ㎍/㎖ 이하, 30 ㎍/㎖ 이하, 20 ㎍/㎖ 이하 또는 10 ㎍/㎖ 이하인 농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동결건조된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ready-to-use) 밀봉된 포장재 또는 포장용기에 담긴 동결건조된 제형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동결건조된 제형을 갖는 조성물; 및 멸균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는 항균용 및/또는 보습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ready-to-use) 밀봉된 포장재 또는 포장용기에 담긴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로부터 세포밖 베지클의 분리
본 실시예에서는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사용하여 이로부터 엑소좀을 포함하는 세포밖 베지클을 분리하였다.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로는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Accession No.: KCCM11179P) strain을 이용하여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단계 1)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배양액을 4 ℃에서 1,800 ×g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분리 및 제거하였다. 즉, 저속의 원심분리 공정을 통해 세포와 배양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원심분리된 배양액을 고속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 ℃에서 10,000 ×g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추가적으로 세포 또는 세포 관련 잔해와 잔여물 등을 제거하였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원심분리된 배양액을 0.45 ㎛ 바틀 탑 필터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배양액의 순도를 증가시켰다.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여과한 배양액을 4 ℃에서 150,000 ×g으로 3 시간 동안 초고속원심분리하여 엑소좀을 포함하는 세포밖 베지클을 분리하였다.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초고속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세포밖 베지클의 펠릿 (pellet)을 완충용액 (HEPES 버퍼)에 농도별로 재현탁시켰다.
(단계 6) 상기 단계 5에서 완충용액에 재현탁시킨 세포밖 베지클 (EVs)을 -70 ℃에서 저장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도 1 참조).
비교예 1. 유산균 세포의 준비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Accession No.: KCCM11179P) strain을 이용하여 유산균 세포를 준비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즉, 본 비교예에서 유산균 세포는 세포밖 베지클의 분리 공정을 거치지 않은 원래 그대로의 세포를 의미하며, 살아 있는 유산균 세포는 장시간 노출 시 피부세포 사멸을 유도하므로 상기 세포는 121 ℃에서 15분 동안 가열 처리를 통해 사멸시켜 얻은 건조물의 형태로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건조물은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현탁하여 이용하였다.
비교예 2. 유산균 배양액의 준비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 (Accession No.: KCCM11179P) strain을 이용하여 유산균 배양액을 준비하여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APsulloc 331261을 MRS broth에 접종하고 35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물을 4 ℃에서 1,800 ×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배양액과 균체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배양액은 0.2 um 필터로 여과하여 균체를 완전히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한 배양액은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현탁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비교예 3.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로부터 세포밖 베지클의 분리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의 배양액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로부터 세포밖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균주로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Bifidobacterium longum KCTC3128)을 사용하였고, 상기 균주를 BL broth에 접종하여 35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분리한 세포밖 베지클은 완충용액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재현탁시켜 실험에 이용하였다.
비교예 4. 락토코커스 속 균주로부터 세포밖 베지클의 분리
락토토코커스 속 균주의 배양액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락토코커스 속 균주로부터 세포밖 베지클을 제조하였다. 균주로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KCTC3769)를 사용하였고, 상기 균주를 MRS broth에 접종하여 35 ℃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분리한 세포밖 베지클은 완충용액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재현탁시켜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의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과 DLS (Dynamic light scattering)로 그 형태와 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구형을 이루고, 직경이 약 20 내지 200 nm인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및 3 참조). 분리된 세포밖 베지클의 평균 직경은 약 50 내지 60 nm, 더욱 구체적으로 55.46 nm인 것으로 나타났다. PDI (polydispersity index) 값은 이질성 지수를 나타낸다. PDI 값에 의하면, 분리된 세포밖 베지클은 비교적 안정하고 동질의 분산 상태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세포 증식 및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 (0.1~10 μg/ml)을 인체 섬유아세포 (Hs68)에 처리하여 세포 증식 및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체 섬유아세포 Hs68을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세포밖 베지클 0.1 μg/ml, 1 μg/ml, 10 μg/ml을 처리한 다음, 48시간 동안 serum-free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5 ng/ml의 TGF-β를 처리하였다. 이후, 5% CCK-8 용액이 들어 있는 배지로 교환한 다음 2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고, 최종적으로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및 세포 독성을 대조군과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은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세포 독성이 없어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세포 독성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과 비교예 1에서 준비한 유산균 세포가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체 섬유아세포 Hs68을 5% CO2 배양기에서 37 ℃에서 배양하고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과 비교예 1에서 준비한 유산균 세포를 각각 10~20 μg/ml로 7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수거하여 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PierceTM LDH Cytotoxicity Assay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은 유산균 세포를 그대로 이용하였을 때에 비해 세포 독성을 현저하게 완화시켜 높은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항균 효과
피부 유해균이면서 건선 (psoriasis)의 원인균인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의 생장 억제 및 병원 요인 (virulence factor)인 바이오필름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여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의 피부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녹농균을 TSB (tryptic soy broth)에 접종하여 35 ℃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자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유래 세포밖 베지클, 락토코커스 락티스 유래 세포밖 베지클을 각각 10 ppm의 농도로 배지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반응시키면서 녹농균의 생장을 비교하였다. 생장은 배양액의 600 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여 무처리군의 생장 상태 대비 세포밖 베지클 처리군의 생장 상태를 백분율로 비교하였다.
또한, 녹농균의 병원 요인인 바이오필름의 저해 효과는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녹농균을 TSB (tryptic soy broth)에 접종하여 35 ℃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녹농균을 96 well plate에 100 ul씩 옮기고 여기에 상기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자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유래 세포밖 베지클, 락토코커스 락티스 유래 세포밖 베지클을 각각 10 ppm의 농도로 함께 처리하였다. 35 ℃에서 24시간을 추가로 배양하고 다음날 배지와 상부에 부유하는 녹농균을 걷어내었다. Well마다 200 ul의 PBS로 2회 세척하여 부유하는 녹농균을 제거하고, 0.1 % crystal violet을 50 ul 첨가하여 20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켜 남아 있는 바이오필름을 염색하였다. 다시 crystal violet을 제거하고 200 ul의 PBS로 well을 2회 세척하였다. 남아 있는 crystal violet을 에탄올에 녹여 58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처리군의 흡광도 대비 세포밖 베지클 처리군의 흡광도를 백분율로 비교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처리군의 녹농균 생장률은 도 6에 나타내었고, 나머지 4개의 처리군과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처리군은 10 ppm의 낮은 처리 농도에서도 녹농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바이오필름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농균 생장률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자체 98.2±2.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97.9±2.0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72.9±2.2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유래 세포밖 베지클 101.5±3.7
락토코커스 락티스 유래 세포밖 베지클 97.8±8.6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과
보습 관련 유전자인 오클루딘 (Occludin, OCLN)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여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람의 피부세포주 (human normal epidermal keratinocytes, Lonza)를 6 well plate에 3×105 cell/well의 농도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자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유래 세포밖 베지클, 락토코커스 락티스 유래 세포밖 베지클을 각각 농도별로 (1 내지 100 ppm) 첨가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2 ml의 PBS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트리졸 시약 (Trizol reagent, Invitrogen)을 사용하여 세포 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RNA를 키아젠 사의 RNA 키트 (QIAGEN RNeasy kit, QIAGEN)로 한번 더 정제한 후, Invitrogen 사의 역전사 키트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kit)를 이용하여 RNA로부터 cDNA를 합성하였다. 이를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Q-RT-PCR: quantitative 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OCLN의 mRNA 발현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전자의 발현 패턴 변화를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 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시스템 (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하여 세포의 유전자 변화를 실시간 PCR로 평가 (95 ℃에서 20초 처리한 후, 95 ℃에서 3초 및 60 ℃에서 30초를 처리하는 공정을 40 주기 반복)하였고, 보습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처리군의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율은 도 7에 나타내었고, 나머지 4개의 처리군과 비교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는 시료를 각각 10 ppm으로 처리한 결과이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처리군은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율
(control이 1일 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자체 1.1±0.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액 1.08±0.05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세포밖 베지클 1.25±0.1
비피도박테리움 롱굼 유래 세포밖 베지클 0.97±0.15
락토코커스 락티스 유래 세포밖 베지클 1.1±0.1
본 개시물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물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형예 1] 연고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 2.00
글리세린 8.00
부틸렌글리콜 4.00
유동파라핀 15.00
베타글루칸 7.00
카보머 0.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스쿠알란 1.0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0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0
세테아릴 알코올 1.00
밀납 4.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2] 미용액형 제제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용액형 제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수용액) 12.00
크산탄검(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3] 로션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 2.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4] 크림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 2.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제형예 5] 팩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유산균 유래 세포밖 베지클 2.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0
이상, 본 개시물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개시물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179P 20110328

Claims (18)

  1.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 생장 또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항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인, 항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항균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항균용 조성물.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농균에 기인한 피부 질환은 녹농균에 기인한 건선, 발진, 피부염 및 모낭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항균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인, 항균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인, 항균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나노 크기를 갖는 세포밖 베지클인, 항균용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엑소좀인, 항균용 조성물.
  11.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오클루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나노 크기를 갖는 세포밖 베지클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밖 베지클은 엑소좀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190155780A 2019-11-28 2019-11-28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10066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80A KR20210066996A (ko) 2019-11-28 2019-11-28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80A KR20210066996A (ko) 2019-11-28 2019-11-28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96A true KR20210066996A (ko) 2021-06-08

Family

ID=7639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80A KR20210066996A (ko) 2019-11-28 2019-11-28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1216A (zh) * 2022-03-16 2022-10-11 中国农业大学 一种新型生物防腐保鲜剂及其应用
KR102485314B1 (ko) * 2022-09-22 2023-01-09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와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 배양액 유래 엑소좀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085710A1 (ko) * 2021-11-11 2023-05-19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색 led를 이용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에서 세포외 소포체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822A (ko) 2016-03-22 2017-10-1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822A (ko) 2016-03-22 2017-10-10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10A1 (ko) * 2021-11-11 2023-05-19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색 led를 이용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에서 세포외 소포체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15161216A (zh) * 2022-03-16 2022-10-11 中国农业大学 一种新型生物防腐保鲜剂及其应用
KR102485314B1 (ko) * 2022-09-22 2023-01-09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와 유산균 발효 시어버터 배양액 유래 엑소좀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48B1 (ko)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EP335750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extracellular follicle derived from lactic acid bacteria
KR102598793B1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5905492B2 (ja) オリゴメリック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の精製方法、重合度の調整方法並びに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及びコラゲナーゼ阻害剤
KR102475129B1 (ko)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10066996A (ko) 유산균 유래의 세포밖 베지클을 포함하는 항균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US11583560B2 (en) Immunomodulatory composition comprising lactobacillus-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KR101263068B1 (ko) 피부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963572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311725B1 (ko) 락토바실러스 크러스토룸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2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395985B1 (ko) 세라티아 속 미생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30060146A (ko) 유산균의 발효 용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피부 장벽 개선용 조성물
US11744865B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lipofuscin accumulation or removing lipofuscin
KR1025527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하프니아 알베이 돌송이 ht-3 및 이의 용도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35480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크로모박테리움 아쿠아티쿰 돌송이 ht-2 및 이의 용도
KR101648130B1 (ko) 미생물 라멜라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미생물 라멜라 구조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52573A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